KR20070050345A - 간헐 권취 유닛 - Google Patents

간헐 권취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345A
KR20070050345A KR1020060098328A KR20060098328A KR20070050345A KR 20070050345 A KR20070050345 A KR 20070050345A KR 1020060098328 A KR1020060098328 A KR 1020060098328A KR 20060098328 A KR20060098328 A KR 20060098328A KR 20070050345 A KR20070050345 A KR 20070050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ay clutch
fixed shaft
clutch
sw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마이와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7/00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 F16D47/04Systems of clutches, or clutches and couplings, comprising devices of types grouped under at least two of the preceding guide headings of which at least one is a free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와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권취 유닛에 있어서, 유닛 전체의 축방향 사이즈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요동 부재(12)와 권취 부재(19)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와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각각 개재된 간헐 권취 유닛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19)의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 사이에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되고, 그 클러치 수납부(26)에 회전 슬리브(9)가 끼워지고, 그 회전 슬리브(9)와 외통부(22)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되고, 고정축(3)과 상기 내통부(21) 사이에 형성된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에 역전 방지측의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된 구성으로 하였다.
요동 부재, 권취 부재,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 간헐 권취 유닛,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 권취측 전동체,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 역전 방지측 전동체, 쐐기각

Description

간헐 권취 유닛{INTERMITTENT TAKE-UP UNIT}
도 1은 실시예 1의 종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Y-Y선 단면도,
도 4의 (a)는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 (b)는 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2의 종단 측면도,
도 6은 도 5의 Z-Z선 단면도,
도 7의 (a)는 실시예 2의 분해 사시도, (b)는 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고정 프레임 2 : 볼트
3 : 고정축 4 : 소경부
5 : 중경부 6 : 대경부
7 : 고정축 플랜지부 8 : 스페이서
9 : 회전 슬리브 10 : 고정축 외통부
11 : 내향 플랜지부 11' : 외향 플랜지부
12 : 요동 부재 13 : D 커팅부
14 : 보스부 15 : D 커팅 구멍부
16 : 제 1 요동 암 17 : 제 2 요동 암
18 : 코일 스프링 19 : 권취 부재
20 : 보스부 21 : 내통부
22 : 외통부 23 : 내향 플랜지부
24 :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 25 : 일방향 클러치
26 :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 27 : 일방향 클러치
28, 28' : 스페이서 29 : 권취 플랜지부
30 : 덮개 31 : 착탈 릴
32 : 권취 홈 33 : 권취측 외륜
34 : 회전 방지 수단 35 : 포켓
36 : 권취측 전동체(롤러) 37 : 바이어스 스프링
38 : 권취측 캠면 39 : 역전 방지측 외륜
41 : 회전 방지 수단 42 : 포켓
43 : 역전 방지측 전동체(롤러) 44 : 바이어스 스프링
45 : 역전 방지측 캠면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 유닛 등에서 사용되는 간헐 권취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닛 자체의 축방향의 컴팩트화, 즉 협폭화를 도모하여 폭이 좁은 테이프 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칩 마운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 유닛에 있어서는, 전자 부품이 수납된 반송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그 반송 테이프의 덮개의 역할을 하는 탑 테이프를 벗겨내고, 벗겨낸 탑 테이프를 간헐적으로 권취하는 권취 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간헐 권취 유닛으로서, 입력측이 되는 요동 부재와 출력측이 되는 권취 부재가 고정축 상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요동 부재와 권취 부재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와, 그리고 상기 권취 부재와 상기 고정축 사이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가 각각 개재되고, 상기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요동 부재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로킹되어 권취 토크를 전달하고, 또한 상기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권취 부재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프리해지는 방향성을 각각 갖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1-41265호 공보(도 1)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간헐 권취 유닛은, 권취용과 역전 방지용의 2종류의 일방향 클러치가 축방향으로 2개가 나란히 설치되기 때문에 축방향의 컴팩트화, 즉 협폭화의 한계가 있어, 폭이 좁은 테이프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일방향 클러치를 지름 방향으로 조합함으로써 더 많은 협폭화를 도모한 간헐 권취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헐 권취 유닛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측의 요동 부재(12)와 출력측의 권취 부재(19)가 고정 프레임(1)과 일체화된 고정축(3)의 둘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와 권취 부재(19)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와, 상기 권취 부재(19)와 상기 고정축(3) 사이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각각 개재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상기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로킹되고,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프리해지는 방향성을 각각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간헐 권취 유닛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권취 부재(19)의 보스부(20)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가 동축 상태로 설치되고, 이들 내통부(21)와 외통부(22)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 측으로 개방된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동 부재(12)가 회전 슬리브(9)를 통해서 상기 고정축(3)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됨과 동시에, 이 회전 슬리브(9)가 상기 내통부(21)의 외경면을 따라 끼워지고, 회전 슬리브(9)와 외통부(22)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된다.
이 일방향 클러치(27)는 상기 외통부(22)에 끼워 맞춰진 권취측 외륜(3)과, 그 외륜(3)3의 내경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리브(9)와 대향하여 바닥면에 쐐기각(θ)(도 3 참조)을 갖는 권취측 캠면(38)이 형성된 포켓(35)과, 그 포켓(35)에 수납된 권취측 전동체(3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축(3)과 상기 내통부(21) 사이에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클러치 수납부(24)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된다. 이 일방향 클러치(25)는 상기 내통부(21)에 끼워 맞춰진 역전 방지측 외륜(39)과, 그 외륜(39)의 내경면에 상기 고정축(3)과 대향하여 바닥면에 쐐기각(δ)(도 3 참조)을 갖는 역전 방지측 캠면(45)이 형성된 포켓(42)과, 그 포켓(42)에 수납된 역전 방지측 전동체(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쐐기각(θ)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권취측 전동체(36)가 로킹되는 방향으로 협소해지고, 또한 쐐기각(δ)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역전 방지측 전동체(43)가 프리해지는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방향성을 갖는다.
한편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를 수납하고,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를 수납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1의 간헐 권취 유닛은, 하우징, 브래킷 등의 고정 프레임(1)에 볼트(2)에 의해 부착된 고정축(3)을 갖는다. 고정축(3)의 외경면은 고정 프레임(1) 측의 단부부터 차례대로 소경부(4), 중경부(5), 대경부(6)가 형성되고, 대경부(6)의 단부에 고정축 플랜지부(7)가 설치되고, 상기 소경부(4)가 고정 프레임(1)에 끼워 맞춰져 일체화된다. 또한 상기 중경부(5)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과의 사이에 스페이서(8)를 끼워두고 회전 슬리브(9)의 내향 플랜지 부(11)가 중경부(5)와 대경부(6) 사이의 단차 부분에서 위치 결정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끼워 맞춰진다.
상기 회전 슬리브(9)의 외주면에 입력 부재로서의 요동 부재(12)가 끼워 맞춰진다. 양자의 끼워맞춤 부분에서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회전 슬리브(9) 측에 D 커팅부(13)가 설치되고(도 4 참조), 요동 부재(12)의 보스부(14)에 이에 합치하는 D 커팅 구멍부(15)가 설치된다.
상기한 요동 부재(1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14)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요동 암(16)과, 측방으로 뻗어나온 제 2 요동 암(17)이 설치된다. 제 1 요동 암(16)의 선단에 도시 생략한 링크 기구가 연결되고, 도 2에서 화살표 a,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요동각을 가지고 구동된다. 제 2 요동 암(17)의 선단과 고정 프레임(1) 사이에 코일 스프링(18)이 개재된다. 이 코일 스프링(18)은 화살표 a, b의 요동 방향에 따라 신축되어 스프링력을 미친다. 한편, 회전 슬리브(9)와 요동 부재(12)는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출력 부재로서의 권취 부재(1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20)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를 가지며, 그 내통부(21)의 고정 프레임(1)측 단부에 지름 방향으로 굴곡되어 내향 플랜지부(23)가 형성된다. 내향 플랜지부(23)는 고정축(3)의 대경부(6)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리브(9)에 접하여 배치되고, 지름 방향으로 필요한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끼워 맞춰진다.
고정축(3)의 상기 고정축 플랜지부(7)와 상기한 내향 플랜지부(23) 사이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획되고, 또한 상기 내통부(21)와 대경부(6)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구획된 빈 공간에 의해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가 형성되고, 그 클러치 수납부(24)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된다. 상기한 권취 부재(19)는 그 내통부(21)가 이 일방향 클러치(25)와 상기 회전 슬리브(9)의 내향 플랜지부(11)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지지된다.
또한 권취 부재(19)의 내통부(21)와 외통부(22)에 의해 고정 프레임(1) 측으로 개방된 단면 ㄷ자형의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슬리브(9)는 이 클러치 수납부(26) 내부의 내통부(21)에 접하여 끼워진다. 그 내통부(21)와 외통부(22)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된다. 또한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의 개방측 단면이 스페이서(28)를 사이에 두고 상기 요동 부재(12)의 보스부(14)에 의해 폐쇄된다.
또한 권취 부재(19)의 외통부(22)의 고정 프레임(1)측 단부에 있어서 외향 권취 플랜지부(29)가 설치된다. 그 권취 플랜지부(29)에 대향하여 외통부(22)에 단면 L자형의 착탈 릴(31)이 끼워 맞춰지고, 그 착탈 릴(31)과 권취 플랜지부(29) 사이에 권취 홈(32)이 형성된다.
상기한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용 외륜(33)이 회전 방지 수단(34)을 통해서 외통부(22)의 내경면에 끼워 맞춰지고, 그 내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켓(35)이 설치된다. 각 포켓(35) 내에 롤러(36)와 바이어스 스프링(37)이 수납된다. 상기한 포켓(35)은 권취측 외륜(33)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도 1 참조), 롤러(36) 는 그 포켓(35)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다.
상기 포켓(35)의 바닥면에 권취측 캠면(38)(도 3 참조)이 형성된다. 그 권취측 캠면(38)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시의 요동 방향(도 2, 도 3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경우,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지름 방향으로 얕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그 경사에 의해 회전 슬리브(9)와의 사이에 상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쐐기각(θ)이 형성된다. 롤러(36)는 상기한 바이어스 스프링(37)에 의해 쐐기각(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또한 상기한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방지용 외륜(39)이 회전 방지 수단(41)을 통해서 내통부(22)의 내경면에 끼워 맞춰지고, 그 내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켓(42)이 설치된다. 각 포켓(42) 내에 롤러(43)와 바이어스 스프링(44)이 수납된다. 상기한 포켓(42)은 역전 방지측 외륜(39)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도 1 참조). 롤러(43)는 그 포켓(42)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다.
상기 포켓(42)의 바닥면에 역전 방지측 캠면(45)(도 3 참조)이 형성된다. 그 역전 방지측 캠면(45)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시의 요동 방향(도 2, 도 3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경우,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지름 방향으로 얕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그 경사에 의해 고정축(3)과의 사이에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쐐기각(δ)이 형성된다. 롤러(43)는 상기한 바이어스 스프링(44)에 의해 쐐기각(δ)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실시예 1의 간헐 권취 유닛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며, 다음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동 부재(12)가 도 3에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요동되었을 때, 이와 일체인 회전 슬리브(9)가 그 방향(화살표 A 참조)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의 롤러(36)가 쐐기각(θ)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물림 현상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로킹 상태가 되고, 권취측 외륜(33), 이것과 회전 방지 수단(34)을 통해서 권취 부재(19)로 토크가 전달되어 권취 홈(32)에 탑 테이프가 감긴다. 이 때,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는 역전 방지측 외륜(39)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43)가 쐐기각(δ)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기 위하여 프리해져 권취를 방해하지 않는다.
다음, 요동 부재(1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요동되면,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는 롤러(36)가 쐐기각(θ)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결과 프리해지고, 요동 부재(12)는 권취 부재(19)에 대하여 역방향의 토크를 미치지 않고 회전 슬리브(9)와 함께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이 경우, 탑 테이프 등으로부터 권취 부재(19)에 대하여 역전 방향의 토크가 가해졌다고 하면,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에 있어서는 롤러(43)가 쐐기각(δ)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축(3)에 대하여 로킹 상태가 되어 권취 부재(19)의 역전(함께 회전)을 저지하는데, 그 로킹은 회전 슬리브(9) 및 이와 일체인 요동 부재(12)의 회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요동 부재(12)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때의 토크에 변동을 초래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다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의 간헐 권취 유닛은 상기 실시예 1의 것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한데, 다른 점은 실시 예 1의 경우에는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외경측에 배치되고,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내경측에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내경측,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외경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2의 간헐 권취 유닛은, 하우징, 브래킷 등의 고정 프레임(1)에 볼트(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 고정축(3)을 갖는다. 고정축(3)의 일단부에 소경부(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고정축 플랜지부(7)가 설치된다. 고정축 플랜지부(7)의 외주에 내향 고정축 외통부(10)가 설치되고, 상기 소경부(4)가 고정 프레임(1)에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3)은 상기 고정 프레임(1)과의 사이에 스페이서(8)를 끼워두고 회전 슬리브(9)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끼워 맞춰진다. 회전 슬리브(9)는 고정 프레임(1) 측의 단부에 외향 플랜지부(11')를 가지며, 회전 슬리브(9)의 선단은 고정축 플랜지부(7)에 접한다. 상기 외향 플랜지부(11')의 외주면에 입력 부재로서의 요동 부재(12)가 끼워 맞춰진다. 양자의 끼워맞춤 부분에서의 회전 방지를 위하여, 외향 플랜지부(11') 측에 D 커팅부(13)가 설치되고(도 7 참조), 요동 부재(12)의 보스부(14)에 이에 합치하는 D 커팅 구멍부(15)가 설치된다.
상기한 요동 부재(1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14)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뻗어나온 제 1 요동 암(16)과 측방으로 뻗어나온 제 2 요동 암(17)이 설치된다. 제 1 요동 암(16)의 선단에 도시 생략한 링크 기구가 연결되고,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a,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요동각을 가지고 구동 된다. 제 2 요동 암(17)의 선단과 고정 프레임(1) 사이에 코일 스프링(18)이 개재된다. 이 코일 스프링(18)은 화살표 a, b의 요동 방향에 따라 신축하여 스프링력을 미친다. 한편, 회전 슬리브(9)와 요동 부재(12)는 일체의 부품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출력 부재로서의 권취 부재(1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스부(20)의 고정 프레임(1)과 반대측의 면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를 가지며, 외통부(22)보다 외경측에서 보스부(20)로부터 지름 방향 외향으로 뻗어나온 권취 플랜지부(29)가 설치된다. 그 권취 플랜지부(29)에 대향하여 외통부(22)에 단면 L자형의 착탈 릴(31)이 끼워 맞춰지고, 그 착탈 릴(31)과 권취 플랜지부(29) 사이에 권취 홈(32)이 형성된다.
상기한 권취 부재(19)는, 그 내통부(21)가 상기 고정축(3)의 외통부(10)의 내경면을 따라 끼워짐으로써 고정축(3)과 조합된다. 이 조합에 의해 형성된 회전 슬리브(9)와 상기 내통부(21) 사이에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3)의 외통부(10)와 권취 부재(19)의 외통부(22) 사이에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된다. 그 클러치 수납부(26)는 이 일방향 클러치(25)를 수납한 후 환상의 덮개(30)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한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용 외륜(33)이 회전 방지 수단(34)을 통해서 내통부(21)의 내경면에 끼워 맞춰지 고, 그 내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켓(35)이 설치된다. 각 포켓(35) 내에 롤러(36)와 바이어스 스프링(37)이 수납된다. 상기한 포켓(35)은 권취측 외륜(33)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도 5 참조), 롤러(36)는 그 포켓(35)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다.
상기 포켓(35)의 바닥면에 권취측 캠면(38)(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그 권취측 캠면(38)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시의 요동 방향(도 6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경우,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지름 방향으로 얕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그 경사에 의해 회전 슬리브(9)와의 사이에 상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쐐기각(θ)이 형성된다. 롤러(36)는 상기한 바이어스 스프링(37)에 의해 쐐기각(θ)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상기한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는 고정축 플랜지부(7)와 회전 슬리브(9)의 외향 플랜지부(11') 사이에서 축방향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외향 플랜지부(11')와 일방향 클러치(27) 사이에 스페이서(28')가 개재된다.
상기한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 방지용 외륜(39)이 회전 방지 수단(41)을 통해서 외통부(22)의 내경면에 끼워 맞춰지고, 그 내경면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켓(42)이 설치된다. 각 포켓(42) 내에 롤러(43)와 바이어스 스프링(44)이 수납된다. 상기한 포켓(42)은 역전 방지측 외륜(39)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고(도 5 참조), 롤러(43)는 그 포켓(42)의 길이와 동일 길이를 갖는다.
상기 포켓(42)의 바닥면에 역전 방지측 캠면(45)(도 6 참조)이 형성된다. 그 역전 방지측 캠면(45)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시의 요동 방향(도 6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경우,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지름 방향으로 얕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그 경사에 의해 고정축(3)의 외통부(10)와의 사이에 상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쐐기각(δ)이 형성된다. 롤러(43)는 상기한 바이어스 스프링(44)에 의해 쐐기각(δ)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실시예 2의 간헐 권취 유닛은 이상과 같은 것이다. 그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5)가 내경측에서, 그리고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외경측에서 작용하는 점이며, 발생 토크의 상대적인 크기에 차이는 있지만 권취 작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와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를 반경 방향으로 배치하였으므로, 유닛의 축방향의 폭은 실질적으로 어느 하나의 일방향 클러치의 폭이 되는 협폭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외경측에 배치되는 일방향 클러치는 전동체가 내경측의 것에 비하여 많아지므로 상대적으로 부하 용량이 증대된다.

Claims (7)

  1. 입력측의 요동 부재(12)와 출력측의 권취 부재(19)가 고정 프레임(1)과 일체인 고정축(3)의 둘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와 권취 부재(19)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와, 상기 권취 부재(19)와 상기 고정축(3) 사이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각각 개재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상기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로킹되고,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프리해지는 방향성을 각각 갖는 간헐 권취 유닛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19)의 보스부(20)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가 동축 상태로 설치되고, 이들 내통부(21)와 외통부(22)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 측으로 개방된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요동 부재(12)가 회전 슬리브(9)를 통해서 상기 고정축(3)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됨과 동시에, 이 회전 슬리브(9)가 상기 내통부(21)의 외경면을 따라 끼워지고, 이 회전 슬리브(9)와 외통부(22)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되고, 이 일방향 클러치(27)는 상기 외통부(22)에 끼워 맞춰진 권취측 외륜(33)과, 그 외륜(33)의 내경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리브(9)와 대향하여 바닥면에 쐐기각(θ)을 갖는 권취측 캠면(38)이 형성된 포켓(35)과, 그 포켓(35)에 수납된 권취측 전동체(36)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3)과 상기 내통부(21) 사이에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가 설치 됨과 동시에, 그 클러치 수납부(24)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되고, 이 일방향 클러치(25)는 상기 내통부(21)에 끼워 맞춰진 역전 방지측 외륜(39)과, 그 외륜(39)의 내경면에 상기 고정축(3)과 대향하여 바닥면에 쐐기각(δ)을 갖는 역전 방지측 캠면(45)이 형성된 포켓(42)과, 그 포켓(42)에 수납된 역전 방지측 전동체(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각(θ)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권취측 전동체(36)가 로킹되는 방향으로 협소해지고, 또한 상기 쐐기각(δ)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역전 방지측 전동체(43)가 프리해지는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방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리브(9)의 고정 프레임(1)측 단부에 내향 플랜지부(11)가 형성되고, 그 내향 플랜지부(11)가 고정축(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끼워 맞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측의 일방향 클러치(27)의 클러치 수납부(26)의 개방단면이 상기 요동 레버(12)의 보스부(14)에 의해 폐쇄되고, 그 폐쇄에 의해 상기 일방향 클러치(27)의 축방향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21)의 고정 프 레임(1)측 단부에 내향 플랜지부(23)가 설치되고, 그 내향 플랜지부(23)와 고정축(3)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축 플랜지부(7)에 의해 상기 역전 방지측의 일방향 클러치(25)의 축방향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5. 입력측의 요동 부재(12)와 출력측의 권취 부재(19)가 고정 프레임(1)에 일체화된 고정축(3)의 둘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와 권취 부재(19)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와, 상기 권취 부재(19)와 상기 고정축(3) 사이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각각 개재되고,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상기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로킹되고,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프리해지는 방향성을 각각 갖는 간헐 권취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3)의 고정 프레임(1)과 반대측의 단부에 고정축 플랜지부(7)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 플랜지부(7)의 외주에 내향 고정축 외통부(1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3)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끼워 맞춰진 회전 슬리브(9)와 상기 고정축 외통부(10) 사이에 고정 프레임(1) 측으로 개방된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가 설치되고, 상기 권취 부재(19)의 보스부(20)에 지름 방향으로 대향한 내통부(21)와 외통부(22)가 동축 상태로 설치되고, 이들 내통부(21)와 외통부(22)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1)에 대하여 반대측으로 개방된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 부재(19)의 내통부(21)가 상기 내경측 클러치 수납부(24)에 끼워 지고, 그 내통부(21)와 상기 회전 슬리브(9) 사이에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7)가 수납되고, 이 일방향 클러치(27)는 상기 내통부(21)에 끼워 맞춰진 권취측 외륜(33)과, 그 외륜(33)의 내경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리브(9)에 대향하여 쐐기각(θ)을 갖는 권취측 캠면(38)이 형성된 포켓(35)과, 그 포켓(35)에 수납된 권취측 전동체(36)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에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수납되고, 이 일방향 클러치(25)는 상기 외통부(22)에 끼워 맞춰진 역전 방지측 외륜(39)과, 그 외륜(39)의 내경면에 상기 고정축 외통부(10)에 대향하여 바닥면에 쐐기각(δ)을 갖는 역전 방지측 캠면(45)이 형성된 포켓(42)과, 그 포켓(42)에 수납된 역전 방지측 전동체(43)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각(θ)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권취측 전동체(36)가 로킹되는 방향으로 협소해지고, 또한 쐐기각(δ)은 상기 요동 부재(12)의 권취 방향으로의 요동 시에 역전 방지측 전동체(43)가 프리해지는 방향으로 협소해지는 방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일방향 클러치(25)가 상기 회전 슬리브(9)의 외향 플랜지부(11')와 고정축 플랜지부(7)에 의해 축방향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측 클러치 수납부(26)의 개방단이 환상의 덮개(30)에 의해 폐쇄되고, 이 덮개(30)에 의해 역전 방지용 일방향 클러치(25)의 축방향으로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권취 유닛.
KR1020060098328A 2005-11-10 2006-10-10 간헐 권취 유닛 KR200700503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26099 2005-11-10
JP2005326099A JP2007132433A (ja) 2005-11-10 2005-11-10 間欠巻取り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345A true KR20070050345A (ko) 2007-05-15

Family

ID=3808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328A KR20070050345A (ko) 2005-11-10 2006-10-10 간헐 권취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32433A (ko)
KR (1) KR20070050345A (ko)
CN (1) CN19632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016B (zh) * 2015-09-09 2018-09-04 西南大学 电动摩托车侧挂弓锥摆式自适应自动变速驱动总成
JP2019086138A (ja) * 2017-11-10 2019-06-06 Ntn株式会社 逆入力遮断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3254A (zh) 2007-05-16
JP2007132433A (ja)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854A (en) Spring coupler brake
JP5030488B2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
US5234089A (en) Torque limiter
JPH0587154A (ja) トルクリミツタ
US8172055B2 (en) One-way clutch
US20230309527A1 (en) Fishing spinning reel
KR20070050345A (ko) 간헐 권취 유닛
JP2009052689A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
JPH09112568A (ja) トルクリミッタおよびクラッチ
JP5324164B2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US10856536B2 (en) Dual-bearing reel
JP2008151232A (ja) トルクリミッタ付き逆入力遮断ユニット
JP3270667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8157263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7113767A (ja) 間欠巻取りユニット
JP2006266478A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
US6422502B1 (en) Winding unit
JP2008151229A (ja) 逆入力遮断ユニット
JP2009155027A (ja) 巻取りユニット及び巻取り装置
JP2007064398A (ja) 間欠巻取りユニット
JP2007100832A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JP2007062953A (ja) 間欠巻取りユニット
JP2007010118A (ja) トルク利用物品
JP2007292110A (ja) 間欠巻取りユニット
JP2006300310A (ja)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