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896A -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896A
KR20070049896A KR1020050107175A KR20050107175A KR20070049896A KR 20070049896 A KR20070049896 A KR 20070049896A KR 1020050107175 A KR1020050107175 A KR 1020050107175A KR 20050107175 A KR20050107175 A KR 20050107175A KR 20070049896 A KR20070049896 A KR 20070049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luggage room
pedestal
vehicle
pane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888B1 (ko
Inventor
양재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8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 룸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플로워 패널의 이동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워 패널(3a)과 하부 플로워 패널(3b)로 구성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에 있어서,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00),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후방측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200), 플로워 패널(3a)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100)에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300),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 러기지 룸, 플로워 패널

Description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A floor panel structure in vehicle's lugaage room}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차량의 2단식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상세도면.
도 5는 도 3의 B 부분의 상세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토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의 상부 플로워가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가이드 홈 200 : 스토퍼
300 : 가이드 로드 400 : 손잡이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러기지 룸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플로워 패널의 이동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 백형 자동차 또는 다목적 승합차는 별도의 화물실을 설치하지 않고 리어 시트의 후방을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 룸(lugaage room)으로 활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어 시트(1)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위치되는 사이드 트림(2)과 사이드 트림(2)의 후방에 플로워 패널(3)에 비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리어 트랜스버스 트림(4)에 의해 화물의 적재가 가능한 러기지 룸(10)이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5)는 테일 게이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러기지 룸을 구성함에 있어 차량 사용자가 짐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허리 굽힘과 같은 적재 동작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에게 힘을 덜 들이는 등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로워 패널(3a)과 하부 플로워 패널(3b)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러기지 룸에 짐을 적재하는 경우 플로워 패널(3a)을 하부 플로워 패널(3b)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물건을 적재하게 되고, 플로워 패널(3a)이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제거하여 별도로 보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로워 패널이 별도로 준비되어야 하므로 차량의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 플로워 패널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러기지 룸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플로워 패널의 이동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에 있어서,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00),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후방측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200), 플로워 패널(3a)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100)에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30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에는 손잡이(40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100)은 'c'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로(130), 상기 가이드로(13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110, 1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고정부(110)는 가이드로(130)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고정부(120)는 가이드로(130)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200)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05)에 의해 사이드 트림(2)의 측면 내측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210), 상기 받침대(210)의 회전축(205)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사이드 트림(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동작 레버(220), 상기 받침대(210)의 회전축(205)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받침대(2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스프링(230),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받침대(210)의 내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사이드 트림(2)의 내측벽에 위치되는 제 2 스프링(240), 'ㄱ'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동작 레버(22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받침대(210)의 상부 후면에 위치되는 링크(2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스프링(230)은 상기 받침대(210)가 사이드 트림(2)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스프링(240)은 상기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러기지 룸에 물건을 탑재할 때 러기지 룸의 바닥면을 높여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 작아지도록 하여 부상 방지 등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을 사용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물품을 러기지 룸에 적재하기 전에 우선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의 높이를 높이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400)를 당겨 플로워 패널(3a)의 전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300)가 가이드 홈(10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가이드 홈(100)은 'c'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로(130)와 가이드로(130)의 양단부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고정부(110, 120)로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 로드(300)는 최초에는 제 1 고정부(110)에 위치되어 있으나 손잡이(400)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3a)이 상부로 이동하면 가이드로(130)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이 계속됨에 의해 가이드로(13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고정부(120)에 위치되면 더 이상의 이동은 정지하게 된다.
회전축(205)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스프링(230)은 받침대(210)가 사이드 트림(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받침대(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스프링(240)은 받침대(210)가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하부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 받침대(210)는 사이드 트림(2)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가이드 로드(300)가 가이드 홈(100)의 제 2 고정부(120)에 위치된 상태에서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를 스토퍼(200)의 위치보다 높이 들어올 리도록 한다.
이때 플로워 패널(3a)의 좌우 양측단은 러기지 룸의 내측 좌우에 밀착되는 크기로 형성되므로, 플로워 패널(3a)이 들어 올려지면서 플로워 패널(3a)의 양측이 사이드 트림(2)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동작 레버(220)를 누르게 되어, 링크(250)가 기준축(255)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한다.
링크(2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받침대(210)의 상부를 밀게 되면 받침대(210)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트림(2)의 외부로 노출되어 플로워 패널(3a)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플로워 패널(3a)을 정상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조작하도록 한다. 우선, 사이드 트림(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받침대(210)에 힘을 인가하면 받침대(210)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트림(2)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플로워 패널(3a)을 지지하는 구성 요소는 없으므로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의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플로워 패널(3a)의 손잡이(400)를 당겨 가이드 홈(100)의 제 2 고정부(120)에 위치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300)가 가이드로(130)를 따라 이동하여 제 1 고정부(110)로 복귀되어 플로워 패널(3a)이 원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러기지 룸에 물건을 적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플로워 패널을 상부로 이동시키고 플로워 패널의 이동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하여 플러워 패널이 고정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에 있어서,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전방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00),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2)의 후방측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200), 플로워 패널(3a)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100)에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00)은 'c'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로(130), 상기 가이드로(13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110, 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00)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205)에 의해 사이드 트림(2)의 측면 내측에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210), 상기 받침대(210)의 회전축(205)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일단부는 사이드 트림(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동작 레버(220), 상기 받침대(210)의 회전축(205)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받침대(2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스프링(230),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받침대(210)의 내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단부는 사이드 트림(2)의 내측벽에 위치되는 제 2 스프링(240), 'ㄱ' 형태 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상기 동작 레버(22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받침대(210)의 상부 후면에 위치되는 링크(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프링(230)은 상기 받침대(210)가 사이드 트림(2)의 외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240)은 상기 받침대(21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워 패널(3a)의 후단부에 손잡이(400)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KR1020050107175A 2005-11-09 2005-11-09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KR100747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175A KR100747888B1 (ko) 2005-11-09 2005-11-09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175A KR100747888B1 (ko) 2005-11-09 2005-11-09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896A true KR20070049896A (ko) 2007-05-14
KR100747888B1 KR100747888B1 (ko) 2007-08-08

Family

ID=3827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175A KR100747888B1 (ko) 2005-11-09 2005-11-09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829A (ko) 2015-04-08 2016-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확장형 러기지 플레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63A (ko) * 1997-03-26 1998-11-05 김영귀 트렁크 보오드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829A (ko) 2015-04-08 2016-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확장형 러기지 플레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888B1 (ko)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6477A1 (en) Thickness of a seat cushion at the back side of a seat cushion frame
US8757571B2 (en) Cup holder
JP4140571B2 (ja) 車両の荷室構造
US8844779B2 (en)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
US10479279B2 (en) Slidable luggage board assembly for vehicle
KR10036427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절첩장치
US6886877B1 (en) Vehicle with tailgate
KR20070049896A (ko)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US11077778B2 (en) Offset dual pawl armrest latch
KR102540889B1 (ko) 픽업 트럭용 베드 커버 어셈블리
KR101796246B1 (ko) 윙바디 트럭의 도어 개폐장치
JP2009241631A (ja)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KR101844916B1 (ko) 자동차 도어 트림
CN221067739U (zh) 车辆尾门以及车辆
WO2019229833A1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JP6544011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140572B2 (ja) 車両の荷室構造
KR20240073196A (ko) 도어회동유닛과 이것이 구비된 데크용 적재함 그리고 적재함이 구비된 차량
JP4335754B2 (ja) シートバックボード構造
KR200356212Y1 (ko)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KR102471437B1 (ko) 픽업차량을 위한 복합 테일 게이트
KR10045791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콘솔
JP4140570B2 (ja) 車両の荷室構造
JP6799663B2 (ja) 車両用荷室構造
KR20060020902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