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212Y1 -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212Y1
KR200356212Y1 KR20-2004-0010724U KR20040010724U KR200356212Y1 KR 200356212 Y1 KR200356212 Y1 KR 200356212Y1 KR 20040010724 U KR20040010724 U KR 20040010724U KR 200356212 Y1 KR200356212 Y1 KR 200356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ortion
container
inner body
main body
conn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김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기 filed Critical 김준기
Priority to KR20-2004-0010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2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의 전방 천정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메인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측면 출입구와, 상단 개방단이 마련되며, 출입구와 대향되는 폐쇄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진 내부 본체; 내부 본체의 경사부와 외측에서 형합될 수 있는 외부 경사부가 마련되며, 내부 본체의 외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외부 본체; 일단은 외부 본체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내부 본체의 출입구의 상단 끝단에 힌지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연결 플레이트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외부 본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내부 본체와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Container structure for second floor capable of being loaded on truck}
본 고안은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부에 설치되는 이동식 컨테이너(메인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운전석 천장 상부에 설치되고, 상호 슬라이딩되는 2개의 본체들의 이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 등과 같은 화물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이동식 컨테이너 구조물은 전용 캠핑카와 달리 각종 물품을 담아 보관하거나 그 물품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수납함으로써, 구조물이 차량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되고 필요에 따라 지면에 설치하여 각종 물품을 보관하거나 짧은 기간 동안의 캠핑에 사용된다.
또한, 근래에 들어 컨테이너 구조물은 사무실이나 주거 공간으로 개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차량을 이용하여 영업을 하는 소상인들은 이러한 구조물을 이용하여 이동식 간이 상점을 운용하고 있다.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컨테이너 구조물은 차량의 사이즈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활용 문제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컨테이너 구조물의 경우 차량의 화물칸에서의 공간 활용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차량의 전방 즉, 운전석 천장 상부 공간은 거의 활용이 없었으며, 활용을 한다 하더라도 그 공간의 높이의 한계 때문에 물건의 수납에만 한정되어 있었고 내부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이동등과 관련한 측면에서는 그 활용성이 거의 전무하였다.
더욱이, 차량을 이용하여 상점을 운영하는 소상인들의 경우 그들의 휴식 공간의 필요성이 그 무엇보다 절실한 상태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차량의 화물칸에 배치되는 메인 컨테이너 이외에 이것과 연통되어 사람이 드나 들 수 있으며 그 곳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화물차의 운전석 천장 상부에 위치되고, 이동되는 외부 본체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층 공간용 컨테이너가 화물차에 탑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내부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외부 본체와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동작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로서, 도 5는 하강된 상태를 도 6은 중간 정도 상승된 상태를, 도 7은 완전히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층 공간용 컨테이너 110...내부 본체 112...출입구
114...경사부 120...외부 본체 124...외부 경사부
125...전면 윈도우 130...연결 플레이트 132...후방 윈도우
134...스토퍼 140...액츄에이터 142...실린더
144...작동 로드 150...롤러 200...메인 커테이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는, 트럭의 전방 천정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메인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측면 출입구와, 상단 개방단이 마련되며, 상기 출입구와 대향되는 폐쇄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진 내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경사부와 외측에서 형합될 수 있는 외부 경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본체의 외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외부 본체; 일단은 상기 외부 본체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출입구의 상단 끝단에 힌지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외부 본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본체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본체의 경사부에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외부 경사부에 설치된 롤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롤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외부 본체의 경사부에 형성된 윈도우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외부 본체의 끝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 마련된 스토퍼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층 공간용 컨테이너가 화물차에 탑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층 공간용 컨테이너(100)는 트럭(1)의 화물칸에 설치될 수 있는 메인 컨테이너(200)와 연결되는 후방의 출입구(112)와 전방의 경사부(114)를 가지며, 상단이 개방되고 메인 컨테이너(200)에 지지되는 내부 본체(110)와, 경사부(114)에 형합되는 외부 경사부(124)를 가지며 내부 본체(110)의 외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외부 본체(120)와, 내부 본체(110)와 외부 본체(120)에 각각 힌지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130)와, 외부 본체(120)와 내부 본체(110)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40), 경사부(114)와 외부 경사부(124) 사이에 설치된 롤러(150)를 구비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내부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본체(110)는 트럭의 전방 천정 상부에 위치되고 별도의 프레임(3: 도1 참조)에 의해 메인 컨테이너(200)에 지지된다. 내부 본체(110)는 바닥과 2개의 측벽, 전면 경사부(114)를 구비한다. 메인 컨테이너(2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경사부(114)에 대향되는 면은 개방되어 출입구(112)가 형성된다. 내부 본체(110)의 상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된 개방단(116)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본체(110)의 바닥, 측벽, 경사부는 통상의 컨테이너 제작용 패널(panel)에 의해 제조된다. 경사부(114)의 소정 위치에는 롤러(15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홈(118)이 마련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외부 본체와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본체(120)는 실질적으로 내부 본체(110)의 외부에서 내부 본체(110)의 거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서 내부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다. 외부 본체(120)는 천장, 양 측벽, 외부 경사부(124)에 의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구조이다. 외부 본체(120)에 마련된 외부 경사부(124)는 내부 본체(110)의 경사부(114)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작된다. 외부 경사부(124)에는 차량(1)의 전면을 향하는 소정 크기의 전면 윈도우(125)가 마련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는 내부 본체(110)에 대하여 외부 본체(120)가 하강된 경우에는 외부 본체(120)의 천장과 동일 평면에 위치되어 천장 기능을 담당하고, 본체의 높이를 신장하기 위해 외부 본체(120)가 내부 본체(110)에 대하여 상승된 경우에는 외부 본체(120)의 천장과 수직되는 위치에서 본체의 후방 벽을 형성한다. 연결 플레이트(130)는 내,외부 본체(110)(120)의 재질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130)의 일단은 외부 본체(120)의 천장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내부 본체(110)의 출입구(112)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다. 연결 플레이트(130)의 소정 부위에는 후방 윈도우(132)가 설치된다.
연결 플레이트(130)의 양 측면 끝단에는 한 쌍의 스토퍼(134)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134)는 외부 본체(120)의 측벽 끝단이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액츄에이터(140)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130)가 회동되어 연결 플레이트(130)와 외부 본체(120)의 천장이 실질적으로 90도 각도에 도달 할 경우 더 이상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140)는 연결 플레이트(130)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외부 본체(12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본체(110)의 측벽과 연결 플레이트(130)의 양 사이드에 설치된다. 액츄에이터(140)는 통상의 가스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쇼바(shock absorber)를 이용한다. 한편, 액츄에이터(140)의 양 끝단은 각각 내부 본체(110)와 연결 플레이트(1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40)는 실린더(142)와, 실린더(142) 내부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 로드(144)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50)는 내부 본체(110)의 경사부(114)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홈(118)에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외부 경사부(120)의 내벽의 소정 위치 즉,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층 공간용 컨테이너의 동작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로서, 도 5는 하강된 상태를 도 6은 중간 정도 상승된 상태를, 도 7은 완전히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본체(120)가 내부 본체(110)에 포개져 외부 본체(120)가 완전히 하강된 경우에는 외부 본체(120)의 천장과 연결 플레이트(130)는 통일 평면 상에 위치되고, 연결 플레이트(130)와 내부 본체(110)의 출입구(112)는 수직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 본체(120)를 상승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140)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140)의 작동 로드(144)가 실린더(142)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실린더(142)로부터 연장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결 플레이트(130)는 제1 연결점(13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상승 회동하게 되고, 외부 본체(120)는 슬라이딩 홈(118)을 통해 회전되는 롤러(15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외부 본체(120)가 도 5의 초기 위치로부터 중간 정도 상승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40)를 더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142)의 압력 변화에 의해 작동 로드(144)는 더 신장하게 된다. 작동 로드(144)가 최대로 신장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30)는 내부 본체(110)의 출입구(112) 끝단과 나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연결 플레이트(130)는 외부 본체(120)의 천장과 수직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본체(120)는 내부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상승하게 된다.
이상은 내부 본체(110)에 대하여 외부 본체(120)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본체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과정이고, 본체의 높이를 낮추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는 내부 본체에 대해 외부 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컨테이너 이외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트럭의 전방 천정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메인 컨테이너와 연결되는 측면 출입구와, 상단 개방단이 마련되며, 상기 출입구와 대향되는 폐쇄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를 가진 내부 본체;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경사부와 외측에서 형합될 수 있는 외부 경사부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 본체의 외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단이 개방된 외부 본체;
    일단은 상기 외부 본체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출입구의 상단 끝단에 힌지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외부 본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 본체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2. 체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경사부에 접촉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외부 경사부에 설치된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용 구조.
  3. 체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본체의 상기 경사부는 상기 롤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용 구조.
  4. 체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 및/또는 상기 외부 본체의 경사부에 형성된 윈도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용 구조.
  5. 체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외부 본체의 끝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그 양측면 마련된 스토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용 구조.
KR20-2004-0010724U 2004-04-19 2004-04-19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KR200356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24U KR200356212Y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24U KR200356212Y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212Y1 true KR200356212Y1 (ko) 2004-07-14

Family

ID=4943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724U KR200356212Y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2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8146A (zh) * 2022-07-14 2022-10-11 沈阳得乐仪器设备研发有限公司 房车车厢升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8146A (zh) * 2022-07-14 2022-10-11 沈阳得乐仪器设备研发有限公司 房车车厢升降装置
CN115158146B (zh) * 2022-07-14 2024-03-08 沈阳得乐仪器设备研发有限公司 房车车厢升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921B2 (en) Closure system for a vehicle
CN104369644B (zh) 用于机动车辆的玻璃表面区域的遮蔽设备
RU2730284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агажного отсе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WO2004080756A1 (ja) キャンピングカー
US7806457B2 (en) Cargo cover lift and pivot system
KR20060022899A (ko) 캠핑카
KR20220019937A (ko) 슬라이딩 테일게이트
KR200356212Y1 (ko) 차량에 탑재될 수 있는 2층 공간용 컨테이너 구조
JP3829953B2 (ja) 貨物車両の箱型荷室用自動開閉扉
KR102028926B1 (ko)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US7918053B2 (en) Container
KR20090043127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US4842325A (en) Towable camper
KR100917980B1 (ko) 지붕형 확장 컨테이너
US20060226673A1 (en) Combination floor extender and loading ramp
KR200368382Y1 (ko) 캠핑카
KR10096289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JP2023504305A (ja) 一体化された折り畳み可能なドアを有する車両用テールゲート
JP2650995B2 (ja) 特装バン型車両の荷台構造
ITRN20000025A1 (it) Cellula attrezzata, autoportante, rimovibile, di volume variabile, per un mezzo di trasporto, provvisto di vano di carico, chiuso
KR100747888B1 (ko) 차량의 러기지 룸의 플로워 패널 구조
KR10038392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CN113184064B (zh) 用于车辆的货箱总成及车辆
CN218292965U (zh) 银行atm机防护舱
JP5336930B2 (ja) 車両用昇降装置におけるプラットフォームの回転軸のたわみ軽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