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127A -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127A
KR20090043127A KR1020070108812A KR20070108812A KR20090043127A KR 20090043127 A KR20090043127 A KR 20090043127A KR 1020070108812 A KR1020070108812 A KR 1020070108812A KR 20070108812 A KR20070108812 A KR 20070108812A KR 20090043127 A KR20090043127 A KR 20090043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 gate
tailgate
vehicle
op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127A/ko
Publication of KR2009004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60J5/1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where lower door part optionally moves independently, or follows as component the movement of the entire door structure, e.g. by being hinged in a door frame or releasably connected to upper doo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moveable by a linkage system to open/clo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외측에 설치되는 테일게이트(tail gate)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일게이트를 리어콤비램프와 리어글래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후방공간이 협소한 경우라도 개방이 용이하고 개방감이 뛰어나며, 적은 힘으로도 개방을 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후방루프패널(1)에 힌지(3)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는 상, 하부테일게이트(20, 30)로 분리되어 상부테일게이트(20)와 하부테일게이트(30)와의 사이에 설치된 회동수단(40)에 의해 상부 및 하부테일게이트(20, 30)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닫혀 있을 때,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와 가스 리프트를 비롯한 2단 개폐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다는 것과 차체의 힌지와 테일게이트 상부 링크의 힌지를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2단의 개폐동작을 연동했음에 특징이 있으며, 이 결과 테일 게이트의 전개시에 차체 힌지에서부터 끝단까지의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개폐시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개방감을 키워 키가 큰 화물도 적재가능하며 테일 게이트가 완전 전개되었을 때 하단부가 상단부 위로 겹쳐지면서 공간이 줄어듦으로써 차량 후방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테일 게이트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상부테일게이트 중심축의 이송레버를 통한 슬라이드 이동으로 하부테일게이트만이 작동할 수 있어 필요시 간편하게 테일게이트의 하부만을 열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테일 게이트, 힌지.

Description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AIL GAT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외측에 설치되는 테일게이트(tail gate)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테일게이트를 리어콤비램프와 리어글래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후방공간이 협소한 경우라도 개방이 용이하고 개방감이 뛰어나며 적은 힘으로도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 혹은 SUV라 함은 평상시엔 자동차를 출퇴근용의 운송수단으로 사용하다가, 주말에는 가족들과 야외에 나가 한적한 시간을 보내기에 유용한 레저수단의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다목적 차량의 대부분은 시트가 3열로 배치되어 있고, 마지막 3번째 시트가 설치되는 후방에는 사람 및 화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도어역할을 하는 테일게이트가 장착된다.
최근의 자동차 수요동향을 살펴보면, 판매차량의 대부분이 경제성과 활동성이 부각되는 RV(recreation vehicle)차량이고, 소비자들 또한 실용적이고 각종 편 의성이 제공되는 RV와 같은 다목적 차량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RV 혹은 SUV(sports utility vehicle)라고 부르는 차량에는 대부분 차량의 후방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테일게이트를 마련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종래의 상방향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는, 도1a 및 도1b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는 바,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는 손으로 외력을 가하면 후방루프패널의 힌지를 매개로 상방향으로 직각회동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가 회전승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승강완료된 후 외력을 해제해도 테일게이트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리프트는 그 일측끝단이 상기 테일게이트의 요부와 체결되고 타측끝단은 차체후방과 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방향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는 일체구조로서 개폐시 테일 게이트 전체가 하나의 힌지에 의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결정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의 테일게이트는, 후방루프(1)에 설치된 힌지(3)를 회전축으로 상방향으로 직각 회동되는, 단일 개폐식이었다.
상방향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10)는 출입을 하기위한 도어로서의 본질적 기능외에, 야외에서는 테일게이트(10)를 개방함으로써 이 테일게이트(10)가 형성하는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종래의 상방향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은 도1b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는 바, 여기서 보면, 아웃터패널(10a)과 인너패널(10b)로 접합되는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10)는 손으로 외력을 가하면 후방루프패널(1)의 힌지(3)를 매개로 상방향으로 직각 회동된다. 또한 상기 테일게이트(10)가 회전 승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승강 완료된 후 외력을 해제해도 테일게이트(1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스리프트(15)는 그 일측 끝단이 상기 테일게이트(10)의 요부와 체결되고 타측끝단은 차체후방과 체결된다.
상기 테일게이트(10)를 닫을시에는 다시 손으로 외력을 가해 상기 가스리프트(15)의 가스압력을 극복하고 하방향으로 닫으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방향 단일 개폐식 테일게이트는 화물을 입, 출하는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테일게이트를 개방하여도 단순한 그늘형성 기능 외에는 별다른 편의성이 없으므로 다목적 차량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테일게이트는, 일체구조로서 개폐 시 테일게이트 전체가 하나의 힌지에 의해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후면 주차공간이 불충분할 시에 테일게이트의 개폐가 불가능했다. 또한 테일게이트의 힌지부위와 끝단까지의 거리가 멀어 회전력이 많이 필요하므로 개폐 시 힘이 많이 소요되었고, 테일게이트의 굴절부위로 인해 화물 수납시 방해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SUV 또는 RV를 비롯한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를 상, 하로 각각 2단 분리되도록 하여 테일게이트를 리어콤비램프와 리어글래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후방공간이 협소한 경우라도 개방이 용이하고 개방감이 뛰어나며, 적은 힘으로도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는, 차량후방루프패널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는 상, 하부테일게이트로 분리되어 상부테일게이트와 하부테일게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회동수단에 의해 상부 및 하부테일게이트가 연동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에 의하면, 테일게이트가 닫혀 있을 때,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와 가스 리프트를 비롯한 2단 개폐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다는 것과 차체의 힌지와 테일게이트 상부 링크의 힌지를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2단의 개폐동작을 연동했음에 특징이 있으며 이 결과 테일 게이트의 전개시에 차체 힌지에서부터 끝단까지의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개폐시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개방감을 키워 키가 큰 화물도 적재가능하며 테일 게이트가 완전 전개되었을 때 하단부가 상단부 위로 겹쳐지면서 공간이 줄어듦으로써 차량 후방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테일 게이트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상부테일게이트 중심축의 이송레버를 통한 슬라이드 이동으로 하부테일게이트만이 작동할 수 있어 필요시 간편하게 테일게이트의 하부만을 열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특징이 구현된 상부테일게이트와 하부테일게이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a는 본 발명의 상하부테일게이트가 동시에 작동될 때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3b는 본 발명의 이송레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3c는 본 발명의 하부테일게이트 만 작동될 때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는 상, 하 2단 분리형 테일게이트로서, 리어콤비램프와 리어글래스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상부테일게이트(20), 하부에는 하부테일게이트(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단면 양측에는 가스리프트(21)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테일게이트(30)를 연결 결합하고 있다.
즉,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부면 양측에는 가스리프트(21)의 일단이 결합되어 가스리프트(21)의 타단은 하부테일게이트(30)에 형성된 리프트홈(31) 내에 삽입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의 상단부는 복수개의 힌지(12)를 매개로 하여 차량후방루프패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단부의 구성을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양측에 두 개의 가스리프트(21)가 있고,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 및 하부테일게이트(30)의 사이, 즉,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하부테일게이트(3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수단(40)은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단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중심축(41)과, 상기 중심축(41)의 외주면에서 이송레버(42)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이송하면서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전달축(43)과, 상기 동력전달축(43)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어 일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체인과 결합되는 피니언기어(44a)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부싱(44b)이 형성된 한 쌍의 동력단속축(44)과, 상기 동력단속축(44)의 외주면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루프패널(1)의 힌지(3)와 결합된 한 쌍의 체인(45)과, 상기 한 쌍의 체인(45)의 일측에서 상기 동력단속축(44)의 외주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46a)와, 타단은 하부테일게이트(3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된 슬롯홀 형상의 레일홈(3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된 롤러(46b)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링크(46)로 구성된다.
도2와 같이 하부테일게이트(30)의 내측 아랫면에는 하부가 상부 위로 올라감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개폐 손잡이의 위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테일게이트를 손쉽게 닫기 위하여 보조손잡이(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는 상부테일게이트(20) 및 하부테일게이트(3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도3a)와 하부테일게이트(30)만이 작동하는 경우(도3c)가 있다.
즉, 상부 및 하부테일게이트(20, 30)가 연동되는 경우에는 하부테일게이트(30)를 들어 올리면, 한 쌍의 링크(46)가 회전하면서 그 힌지(46a)와 동력단속축(44)의 피니언기어(44a)와 맞물린 상태에서 동력단속축(44)이 회전하고, 이 동력 단속축(44)이 회전하면서 그 외주면에 피니언기어(44a)와 맞물려 있는 한 쌍의 체인(45)이 회전하게 된다. 이 체인(4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후방루프패널(1)의 힌지(3)가 회전하고, 이와 연결된 상부테일게이트(20)에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도3c와 같이, 하부테일게이트(30)만 작동하는 경우는, 이송레버(42)를 일측으로 작동시키면, 중심축(41)의 외주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동력전달축(42)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기어산이 없는 부싱(44b)의 외주면에 체인(45)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테일게이트(30)를 열면, 체인(45)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부테일게이트(20)가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의 테일게이트를 닫을 시에는 하부테일게이트(30)의 하단에 위치한 보조 손잡이(50)를 밑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의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테일게이트가 닫히게 된다.
도2와 같이 상부테일게이트(20) 및 하부테일게이트(30)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상부테일게이트(20)의 위로 하부테일게이트(30)가 완전히 젖혀지게 되므로,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차량의 후방 부분의 테일게이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즉, 테일게이트가 전개되면 차체 힌지(3)에서부터 끝단까지의 거리가 줄어들므로 개폐시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개방감을 키움으로써 부피가 큰 화물도 무리없이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테일게이트가 완전 전개되었을 때 하단부가 상단부 위로 겹쳐지면서 공간이 줄어듬으로써 차량 후방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테일게이 트를 전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체의 힌지(3)와 상부테일게이트(20) 하단의 동력전달축(43)을 연결하는 체인(30)에 대하여 링크(46)의 회전운동이 체인(45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 간편하게 하부테일게이트(30) 만을 열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테일게이트의 개폐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일체형으로 된 테일게이트를 가진 차량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1b는 종래의 일체형 테일게이트를 가진 차량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특징이 구현된 상부테일게이트와 하부테일게이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상하부테일게이트가 동시에 작동될 때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이송레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3c는 본 발명의 하부테일게이트 만 작동될 때의 회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후방루프패널 3 : 힌지
20 : 상부테일게이트 21 : 가스리프트
30 : 하부테일게이트 31 : 리프트홈
32 : 레일홈 40 : 회동수단
41 : 중심축 42 : 이송레버
43 : 동력전달축 44 : 동력단속축
44a : 피니언기어 44b : 부싱
45 : 체인 46 : 링크
46a : 힌지 46b : 롤러
50 : 보조손잡이

Claims (4)

  1. 차량후방루프패널(1)에 힌지(3)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는 상, 하부테일게이트(20, 30)로 분리되어 상부테일게이트(20)와 하부테일게이트(30)와의 사이에 설치된 회동수단(40)에 의해 상부 및 하부테일게이트(20, 30)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2. 차량후방루프패널(1)에 힌지(3)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차량용 테일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테일게이트는 상, 하부테일게이트(20, 30)로 분리되어 상부테일게이트(20)와 하부테일게이트(30)와의 사이에 설치된 회동수단(40)에 의해 하부테일게이트(30) 만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40)은 상기 상부테일게이트(20)의 하단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중심축(41)과;
    상기 중심축(41)의 외주면에서 이송레버(42)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이송하면서 동력을 단속하는 동력전달축(43)과;
    상기 동력전달축(43)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어 일측 외주면에는 체인과 결합되는 피니언기어(44a)가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는 부싱(44b)이 형성된 한 쌍의 동력단속축(44)과;
    상기 동력단속축(44)의 외주면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후방루프패널(1)의 힌지(3)와 결합된 한 쌍의 체인(45)과;
    상기 한 쌍의 체인(45)의 일측에서 상기 동력단속축(44)의 외주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46a)와, 타단은 하부테일게이트(3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된 슬롯홀 형상의 레일홈(32)에 각각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형성된 롤러(46b)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링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테일게이트(30)의 하부 내측면에는 보조손잡이(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1020070108812A 2007-10-29 2007-10-29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090043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12A KR20090043127A (ko) 2007-10-29 2007-10-29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812A KR20090043127A (ko) 2007-10-29 2007-10-29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127A true KR20090043127A (ko) 2009-05-06

Family

ID=4085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812A KR20090043127A (ko) 2007-10-29 2007-10-29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12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91B1 (ko) * 2011-06-21 2013-04-2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개폐도어
CN106368547A (zh) * 2016-11-18 2017-02-01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后备箱自动开启控制装置
KR20220088970A (ko) 2020-12-21 2022-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DE102021208394A1 (de) 2020-12-31 2022-06-30 Hyundai Motor Company Zweistufige öffnungsstruktur einer fahrzeugtür
DE102021208355A1 (de) 2021-01-12 2022-07-14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öffnen einer fahrzeugtür
KR20240028612A (ko) 2022-08-25 2024-03-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91B1 (ko) * 2011-06-21 2013-04-26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개폐도어
CN106368547A (zh) * 2016-11-18 2017-02-01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后备箱自动开启控制装置
CN106368547B (zh) * 2016-11-18 2024-02-27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后备箱自动开启控制装置
KR20220088970A (ko) 2020-12-21 2022-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DE102021208394A1 (de) 2020-12-31 2022-06-30 Hyundai Motor Company Zweistufige öffnungsstruktur einer fahrzeugtür
KR20220096309A (ko) 2020-12-31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US11788339B2 (en) 2020-12-31 2023-10-17 Hyundai Motor Company Two-stage open structure of vehicle door
DE102021208355A1 (de) 2021-01-12 2022-07-14 Hyundai Motor Company Struktur zum öffnen einer fahrzeugtür
KR20220101780A (ko) 2021-01-12 2022-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오픈 구조
US11679652B2 (en) 2021-01-12 2023-06-20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oor opening structure
KR20240028612A (ko) 2022-08-25 2024-03-05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KR20090043127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US6260916B1 (en) Vehicle body panel and window system
US6318782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US6540280B2 (en) Structure for storing roof and rear pillar of convertible hardtop
MX2008007363A (es) Cubierta de columna guia de puerta levadiza y acceso de servicio.
US9783028B1 (en) Powered dual closure system for vehicles
CN105313655A (zh) 用于能打开的车顶的车篷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US9561711B2 (en) Convertible car with a rigid sunroof and a front engine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US20170015367A1 (en) Pickup truck tailgate lifting apparatus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KR10038392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JP2002046472A (ja) 2ウェイスライド方式の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JP2007153138A (ja) コンバーチブル車
KR10049472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자동개폐장치
US20240066962A1 (en) Tilting type vehicle trunk door
KR100828775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CN203713735U (zh) 一种挂车及其工具箱
CN102431939B (zh) 高空作业车工作斗斗门
KR100387834B1 (ko) 자동차의 이중개방형 테일게이트
KR1005301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 장치
KR20030083203A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20220088970A (ko)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