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8612A -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8612A
KR20240028612A KR1020220106554A KR20220106554A KR20240028612A KR 20240028612 A KR20240028612 A KR 20240028612A KR 1020220106554 A KR1020220106554 A KR 1020220106554A KR 20220106554 A KR20220106554 A KR 20220106554A KR 20240028612 A KR20240028612 A KR 2024002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trunk door
trunk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06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8612A/ko
Priority to US18/224,104 priority patent/US20240066962A1/en
Publication of KR2024002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8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트렁크 도어가 2단으로 접을 수 있게 두 개의 서브 도어로 구획함으로써, 자동차와 벽체 등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 트렁크 도어를 개방하기 어려울 때도 트렁크 도어를 2단으로 접어 쉽고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서브 도어의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도어가 회전하는 회전 반지름을 줄여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서브 도어가 함께 열리게 하다가 벽체 등에 부딪힐 우려가 있을 때, 바깥쪽의 서브 도어가 반대로 회전하게 해서 트렁크 도어의 전체 회전 반지름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서브 도어가 벽체 등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도 트렁크 도어의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TILTING TYPE TRUNK DOO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렁크 도어가 2단으로 젖힐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가 벽체 등에 가까이 붙어 트렁크 도어를 개방할 때 트렁크 도어가 벽체 등에 닿아 열 수 없는 상황에서 2단 젖힘 방식으로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뒷좌석과 트렁크가 붙어있어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종류의 차량이 있다. 특히, 이런 종류의 자동차는 트렁크 도어(또는 테일 게이트)(D)를 아래에서 위로 젖혀서 개방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위로 개방되는 트렁크 도어가 쉽게 열리고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하게 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2305호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는 자동차의 후미에 설치되는 테일 게이트의 개폐에 따른 조작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압 실린더부와 저압 실린더부를 가지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고압 실린더부와 저압 실린더부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압 실린더부와 저압 실린더부에 채워진 가스를 압축하는 제1 및 제2피스톤과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에 설치되며 단부가 각각 테일 게이트와 자체에 설치되는 제1, 2 로드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2083호
차체의 후방을 개폐하는 테일 게이트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차체에 고정된 메인 힌지와, 상기 메인 힌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메인 힌지에 장착된 고정핀을 구비하는 힌지 브래킷; 상기 힌지 브래킷과 고정 결합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브래킷; 일단이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 힌지에 장착된 고정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브래킷의 일단과 연결된 회전링크; 및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회전 브래킷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브래킷의 타단과 연결된 신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장치의 신장에 따른 회전링크가 고정핀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축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회전력이 발생하는 테일 게이트의 개폐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테일 게이트의 개폐구조에 의하면, 테일 게이트가 노출되지 않아, 트렁크 즉, 후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탑승자 또는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차량의 후방 공간이 협소한 경우라도, 테일 게이트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에서 바라보았을 때, 미관을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3127호
차량의 트렁크 외측에 설치되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일 게이트를 리어콤비램프와 리어글래스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후방공간이 협소한 경우라도 개방이 용이하고 개방감이 뛰어나며, 적은 힘으로도 개방을 할 수 있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후방루프패널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차량용 테일 게이트에서, 상기 테일 게이트는 상, 하부테일 게이트로 분리되어 상부테일 게이트와 하부테일 게이트와의 사이에 설치된 회동수단에 의해 상부 및 하부테일 게이트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테일 게이트가 닫혀 있을 때,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링크와 가스 리프트를 비롯한 2단 개폐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다는 것과 차체의 힌지와 테일 게이트 상부 링크의 힌지를 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2단의 개폐동작을 연동했음에 특징이 있으며, 이 결과 테일 게이트의 전개시에 차체 힌지에서 끝단까지의 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개폐시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개방감을 키워 키가 큰 화물도 적재 가능하며 테일 게이트가 완전 전개되었을 때 하단부가 상단부 위로 겹쳐지면서 공간이 줄어듦으로써 차량 후방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테일 게이트를 전개할 수 있다, 또한 상부테일 게이트 중심축의 이송레버를 통한 슬라이드 이동으로 하부테일 게이트만이 작동할 수 있어 필요시 간편하게 테일 게이트의 하부만을 열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트렁크 도어(D)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자동차에 상하로 개방하게 설치되는데, 이처럼 트렁크 도어(D)를 개방할 때는 트렁크 도어(D)의 하부가 자동차 차체에서 밖으로 벗어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2305호 (공개일: 2007.06.15)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2083호 (공개일: 2017.04.18)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3127호 (공개일: 2009.05.06)
하지만, 이처럼 회전 중심이 되는 축을 기준으로 아래에서 위로 회전시켜서 개방하는 트렁크 도어(D)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자동차 후방에 벽체나 장해물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트렁크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하지 못해 벽체나 장해물에 걸리면, 트렁크 안에 물건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물건을 꺼낼 때 불편한 자세에서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 이에, 자동차를 주차나 정차할 때 자동차 뒤에 있는 벽체나 장해물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거리를 두고 주차나 정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3) 또한, 이를 무시하고 주차나 정차했을 때는 트렁크 도어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주차나 정차한 자동차를 다시 움직이게 해서 벽체나 장해물과 충분한 거리를 두고 다시 주차나 정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4) 한편, 주차나 정차할 때 이처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트렁크 도어를 개방하면, 트렁크 도어가 벽체나 장해물에 부딪혀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트렁크 도어가 2단으로 접을 수 있게 두 개의 서브 도어로 분리하여 구획함으로써, 자동차와 벽체 등의 사이의 거리가 트렁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트렁크 도어를 2단으로 접어 쉽고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이러한 두 개의 서브 도어가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거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도어가 회전하는 전체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좁은 공간에서도 쉽고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먼저 두 개의 서브 도어가 함께 열리게 하다가 벽체 등에 부딪힐 우려가 있을 때, 바깥쪽의 서브 도어가 반대로 회전하게 해서 트렁크 도어의 전체 회전 반지름을 줄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서브 도어가 벽체 등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도 트렁크 도어의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쉽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는, 왜건(Wagon), 해치백(Hatch-back), 밴(Van), 및 SUV(Sport Utility Vehicles)과 같이 트렁크 도어(100)가 차체 밖으로 벗어나게 열어서 개방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로 구획되되, 차체에 회전하게 설치된 제1서브 도어(100a)의 회전 축과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서브 도어(100b)에는 자동차 도어락을 갖춰 상기 제1서브 도어(100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거나,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해치 백 방식으로 상하로 개폐하는 도어로, 다음의 순서에 따라 동작하되,
(1) 상기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를 함께 개방하고,
(2)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만 (1)과 반대 방향으로 젖힌 다음,
(3) 상기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를 (1)의 개방 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트렁크 도어가 2개의 서브 도어로 구획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때 트렁크 도어의 개폐 반지름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2) 이는, 자동차 후부와 그 뒤에 있는 벽체나 장해물과의 거리가 짧더라도 트렁크 도어의 개폐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쉽고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3) 이에, 실수로 자동차 후부와 벽체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지 않고 주차 또는 정차하거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이러한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는 자동차 도어의 회전 지지 기능과 도어의 잠금장치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해치 백 타입으로 개폐되는 트렁크 도어가 장착된 자동차의 일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여 사용하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트렁크 도어를 개폐할 때 벽체나 장해물 등에 걸려 완전하게 개폐할 수 없는 상태를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을 차례로 보여주는 자동차 일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자동차 후부에 장착된 트렁크 도어(100)를 두 개의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로 구획하여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는 서로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 도어(100)의 개폐 반지름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하여 자동차와 벽체 등의 사이 간격이 좁을 때도 쉽게 트렁크 도어(100)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제1서브 도어(100a)가 제2서브 도어(100b)와 함께 회전하게 한 다음, 상기 제2서브 도어(100b)가 제1서브 도어(100b)를 기준으로 반대로 회전하게 하고, 다시 상기 제2서브 도어(100b)와 함께 제1서브 도어(100a)가 원래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성함으로써,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가 벽체나 장해물에 닿지 않게 회전하면서도 트렁크 도어(100)를 완전하게 개폐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트렁크 도어
트렁크 도어(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회전 중심이 되는 축을 기준으로 그 아래에서 위로 젖혀 올려서 개방하는 도어이다. 이러한 트렁크 도어(100)는 왜건(Wagon), 해치백(Hatch-back), 밴(Van), 그리고 SUV(Sport Utility Vehicles) 등에 장착되며, 개방할 때는 차체 밖으로 벗어나면서 개폐 작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틸팅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로 나눠서 함께 회전하거나 어느 하나만 회전하게 설치된다.
나. 제1 및 제2서브 도어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기존 트렁크 도어(100)를 두 개로 구획한 것이다. 이에, 차체에 장착되는 제1서브 도어(100a)는 기존 트렁크 도어(100)의 개폐에 사용되는 경첩 등을 그대로 사용하여 회전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는 이러한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의 한쪽 가장자리(차체에 회전하게 설치된 가장자리와 마주하는 가장자리)에서 제자리 회전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기존 트렁크 도어(100)의 개폐 작용에 사용되는 힌지와 잠금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는 제1서브 도어(100a)를 기준으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제1서브 도어(100a)와 일체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회전하는 회전축 부분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이들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를 회전시킴에 따라 트렁크 도어(100)의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트렁크 도어(100)를 개폐하더라도 자동차 후부에 있는 벽체 등에 걸리지 않고 개폐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장착하거나,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서로 반대로 회전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제2서브 도어(100b)와 함께 제1서브 도어(100a)만 회전하게 하고, 이때 트렁크 도어(100)는 벽체 등에 걸리지 않을 때는 상기 제1서브 도어(100a)만으로 트렁크를 개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제1서브 도어(100a)를 개방하다가 벽체 등에 걸릴 때는, 제1서브 도어(100a)가 더는 회전하지 않게 하고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는 제1서브 도어(100a)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서브 도어(100b)가 벽체 등에 부딪히지 않게 하면서도 트렁크 도어(100)의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과 같이, 상기 제2서브 도어(100b)와 함께 상기 제1서브 도어(100a)만 회전시켜서 트렁크 도어(100)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트렁크 도어가 2단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후부에 벽체와 같은 장해물이 있어 트렁크 도어를 개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트렁크 도어를 두 번에 걸쳐 접어 회전 반지름의 길이를 줄여 쉽고 편리하게 트렁크 도어를 완전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100: 트렁크 도어
100a: 제1서브 도어
100b: 제2서브 도어

Claims (3)

  1. 왜건(Wagon), 해치백(Hatch-back), 밴(Van), 및 SUV(Sport Utility Vehicles)과 같이 트렁크 도어(100)가 차체 밖으로 벗어나게 열어서 개방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도어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로 구획되되, 차체에 회전하게 설치된 제1서브 도어(100a)의 회전 축과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 사이에 설치된 회전축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서브 도어(100b)에는 자동차 도어락을 갖춰 상기 제1서브 도어(100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2. 제1항에서,
    상기 제1서브 도어(100a)와 제2서브 도어(100b)는,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거나,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3. 제1항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100)는,
    해치 백 방식으로 상하로 개폐하는 도어로, 다음의 순서에 따라 동작하되,
    (1) 상기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를 함께 개방하고,
    (2) 상기 제2서브 도어(100b)만 (1)과 반대 방향으로 젖힌 다음,
    (3) 상기 제1 및 제2서브 도어(100a, 100b)를 (1)의 개방 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KR1020220106554A 2022-08-25 2022-08-25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KR20240028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54A KR20240028612A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US18/224,104 US20240066962A1 (en) 2022-08-25 2023-07-20 Tilting type vehicle trunk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54A KR20240028612A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8612A true KR20240028612A (ko) 2024-03-05

Family

ID=900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554A KR20240028612A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66962A1 (ko)
KR (1) KR2024002861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305A (ko) 2005-12-12 2007-06-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090043127A (ko)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170042083A (ko) 2015-10-08 2017-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305A (ko) 2005-12-12 2007-06-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090043127A (ko) 2007-10-29 2009-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KR20170042083A (ko) 2015-10-08 2017-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개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6962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621B2 (en) Vehicl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US7950109B2 (en) Vehicle 180 degree rear door articulating mechanism
US6921492B2 (en)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cargo space door
US7950719B2 (en) Vehicle dual hinge rear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system
US7918492B2 (en) Vehicle door belt and cam articulating mechanism
US8020912B2 (en) Rear closure assembly for a passenger vehicle
US7334833B2 (en) Tailgate assembly
US6786535B1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plit midgate assembly
US20030127874A1 (en) Decklid and luggage compartment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20160236724A1 (en) Tailgate with load area extender for utility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H1054172A (ja) ヒンジ装置
KR20240028612A (ko) 자동차용 틸팅 방식의 트렁크 도어
US6131980A (en) Foldable pickup bed for motor vehicles
JP4999153B2 (ja) 車両の補助テールゲート構造
JP2005053315A (ja) 車両の後部開閉構造
KR100461061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열림각 제한장치
JP5160894B2 (ja) 自動車用の開放可能な屋根システム
JP2002046472A (ja) 2ウェイスライド方式の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FR2909317A1 (fr) Structure de hayon pour vehicule automobile transformable et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e telle structure de hayon
KR20230055192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KR10252250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힌지 마운팅 유닛
KR100828775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100828773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구조
KR20220088970A (ko) 차량의 도어 2단 오픈구조
KR100394957B1 (ko) 미드게이트를 갖는 차량의 글래스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