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926B1 -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 Google Patents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926B1
KR102028926B1 KR1020170147429A KR20170147429A KR102028926B1 KR 102028926 B1 KR102028926 B1 KR 102028926B1 KR 1020170147429 A KR1020170147429 A KR 1020170147429A KR 20170147429 A KR20170147429 A KR 20170147429A KR 102028926 B1 KR102028926 B1 KR 10202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housing
loading box
heigh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592A (ko
Inventor
문수동
Original Assignee
문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동 filed Critical 문수동
Priority to KR102017014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9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적재함에 리프팅수단을 통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들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이 일정거리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camping car system for expanded with minimum height}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적재함에 리프팅수단을 통하여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들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이 일정거리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라 함은 장기간의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자동차를 말하는 것으로 유럽 등지에서 활성화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레저형 차량 즉 캠핑카를 이용한 장거리여행이 붐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생활 설비를 갖춘 캠핑카는 대형화가 일반적이며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침실을 구비시키고 숙박할 수 있는 부대시설(화장실, 주방 등)이 갖추어져 있다.
한편, 캠핑카는 주행시에 차량의 차폭 제한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폭으로 형성할 수 없는 제약이 있으며, 이는 캠핑카 실내공간의 크기의 제약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캠핑시에 보다 많은 주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캠핑카의 측면패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기술의 일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22899호(발명의 명칭 : 캠핑카)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어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바닥의 프레임 양측에 각각 가이드가 설치된 본체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의 후면은 관통되고 전면측에는 운전석과 관통되도록 형성된 출입구와,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우측방향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 제1보조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좌측방향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 제2보조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며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 하도록 설치된 확장박스와, 상기 확장박스의 후면에는 개폐가능 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하측에 접이식사다리와, 양측에 접이식 지지대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보조박스는 본체박스의 좌,우측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캠핑카의 실내 공간이 더욱 크게 확보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술외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 10-0983626호 "측면패널이 확장되는 캠핑카"에도 측면 패널이 주름 접힘판에 의해 양 외측으로 이동되어 실내공간을 증대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측면 패널이 이동되어 실내공간을 측방향으로 확장시키는 구성이며, 천정과의 공간 확장 개념을 갖지 못하므로, 실내 공간이 측방향으로 확장되더라도 실내 공간의 협소한 이미지를 극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천정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실내 공간을 실질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답답하고 협소한 캠핑카의 이미지를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단순히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천정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아니라, 측면 보조박스의 이동과 연계 동작되어 조작의 편의성을 가지며 유압실린더를 더 추가하지 않고도 천정의 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층높이의 층고를 확장시켜 다층구조를 갖는 공간을 형성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면서 층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및 측면으로의 확장이 가능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토록 하며, 공간의 확장 및 축소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이면서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리프팅수단에 의해 적재함에서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들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이 일정거리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캠핑카는, 하부하우징은 고정식 집기류가 연결되면서 적재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적재함의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가 구비되고, 적재함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하부하우징을 지지토록 일측면 저면에 서포트가 더 구비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수단은, 적재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이드로울러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단에 섭동로울러가 구비되는 실린더 및 상기 섭동로울러에 접촉되면서 양단이 상부하우징과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리프팅수단은,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는 랙기어와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은 강도를 보강토록 가이드로울러가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이 일체로 더 구비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하우징은, 일측면에 하부하우징이 통과하는 슬라이딩홀이 구비되면서 저부에 적재함의 상측으로 승강할 때 적재함과의 공간을 커버링하도록 실링부재가 더 연결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턱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에 의해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은 계단과 커버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토록 커버판의 상부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스텝이 구비되어 하향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층높이의 층고를 확장시켜 다층구조를 갖는 공간을 형성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면서 층고를 최소화하고, 상부 및 측면으로의 확장으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공간의 확장 및 축소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되고, 간단한 구성이면서 조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동작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의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동작상태도이며,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사시도이고,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캠핑카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캠핑카 시스템(100)은, 차량의 적재함(500)의 상측에 수납토록 설치되는 상부하우징(200)과 미들하우징 (300)및 하부하우징(600)이 순차로 적층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최외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리프팅수단(400)에 의해 적재함으로 기준으로 승,하강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안전받침대(미도시)는 일반적인 차량과 안전받침대와 동일한 역활을 수행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상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200)이 일정높이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600)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캠핑카 시스템(100)은, 하부하우징(600)은 내측에 고정식 집기류(610)가 연결 설치되면서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적재함의 측면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6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5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하부하우징(600)을 지지토록 하부하우징의 노출시 하향되는 서포트(650)가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리프팅수단(400)은, 적재함(500)에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이드로울러(230)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410)과 섭동로울러(431)가 구비되는 실린더(430) 및 상기 섭동로울러에 접촉되면서 양단이 상부하우징(200)과 가이드프레임(4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450)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리프팅수단(400)은,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는 랙기어(420)와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구동모터(441)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44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즉, 상기 리프링수단(400)은, 실린더의 최대돌출높이가 상부하우징이 최소로 축소되는 높이에 대응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수단(400)은, 적재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이드로울러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섭동로울러가 상부 양측에 구비토록 T자형으로 연결되는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섭동로울러에 각각 접촉되면서 양단이 상부하우징의 하측과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강도를 보강토록 가이드로울러가 연결되는 고정프레임(27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일측면에 하부하우징(600)이 통과하는 슬라이딩홀(330)이 구비되면서 저부에 리프팅시 적재함과의 공간을 커버링하도록 실링부재(370)가 더 연결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상승시의 공간이 적재함의 상부면 둘레에 연결되는 안전받침대에 의해 커버링되어 별도의 실린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00)과 미들하우징(300)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턱(290)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390)에 의해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계단과 커버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토록 커버판(710)의 상부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스텝(730)이 구비되어 하향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하부하우징(600)은 미들하우징(300)의 상승시 적재함의 측면으로 노출되지 않아도 되며, 이때에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측, 미들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상측에 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3층의 분리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캠핑카 시스템(100)은, 차량의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200)과 미들하우징 (300)및 하부하우징(60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미들하우징이 상기 미들하우징의 내측에 하부하우징이 수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층고를 최소화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최외측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리프팅수단(400)에 의해 적재함으로 기준으로 승강토록 설치되어 그 내부에 사용자가 선 상태로 행동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상부하우징(200)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200)이 일정높이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어 일정한 높이의 구현이 가능토록 됨으로써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미들하우징과 적재함 또는 미들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캠핑카는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최소한 2층 이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600)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서 측면으로 슬라이딩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600)에 의해 넓이를 확대시켜 공간의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핑카 시스템(500)은, 하부하우징(600)은 내측에 고정식 집기류(610)가 연결 설치되어 적재함(5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로울러(630)가 이동시 미들하우징의 공간을 비우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함(5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하부하우징(600)을 지지토록 서포트(650)가 힌지 연결되어 적재함으로 측면으로 노출되는 하부하우지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은 리프팅수단(400)을 통하여 자유롭게 상승 및 하강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프팅수단은, 적재함(500)에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이드로울러(230)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410)과 섭동로울러(431)가 구비되는 실린더(430) 및 상기 섭동로울러에 접촉되면서 양단이 상부하우징(200)과 가이드프레임(41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450)으로 이루어져 실린더의 상승시 상부하우징을 상승토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430)의 자동차의 상측에 노출되는 상태로 확장시 상부하우징의 최대의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가 수축시 자동차의 내측에 위치토록 하는 구성으로 자동차와 적재함 상측의 높이와 동일한 가이드프레임을 통하여 최대의 높이로 상부하우징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리프팅수단(400)은, 상부하우징에 구비되는 랙기어(420) 가이드프레임에 연결되면서 구동모터(441)가 연결되는 피니언기어(44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이 역시 피니언기어의 회전시 상부하우징을 상승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강도를 보강토록 가이드로울러가 연결되는 고정프레임(270)이 더 구비되어 무게를 받는 상부하우징을 용이하게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일측면에 하부하우징(600)이 통과하는 슬라이딩홀(330)이 구비되어 하부하우징이 측면으로 노출토록 한다.
이때, 상기 미들하우징(300)의 저부에는 리프팅시 적재함과의 공간을 커버링하도록 실링부재(370)가 더 연결되어 캠핑카 내측의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200)과 미들하우징(300)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턱(290)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지지턱(390)에 의해 상부하우징이 일정높이 상승할 때 미들하우징이 동시에 상승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미들하우징(300)은 계단과 커버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토록 커버판(710)의 상부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스텝(730)이 구비되어 하향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미 사용시에는 커버판이 관통홀에 밀착되고, 사용시 커버판을 하향회전시킨 후 스텝을 당기면 계단이 형성되어 상부하우징 하측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텝의 하단과 적재함, 사기 하부하우징과 서포트에는 상호 대응되는 자석(910)이 각각 구비되어 위치결정시 움직임이 방지토록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200...상부하우징 300...미들하우징
400...리프팅수단 500...적재함
510...가이드레일 600...하부하우징
630...로울러

Claims (6)

  1.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수납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리프팅수단에 의해 적재함을 중심으로 승,하강토록 설치되며,
    상기 미들하우징은,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부하우징이 일정거리 상승시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부하우징 및 미들하우징의 상승시 적재함의 상측에 그대로 위치하거나 적재함의 일 측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 사이에 분리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미들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 하부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각각 형성토록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수단은,
    a). 실린더의 최대돌출높이가 상부하우징이 최소로 축소되는 높이에 대응토록 설치되며,
    b). 적재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이드로울러를 통하여 이탈이 방지토록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이 구비되고, 섭동로울러가 상부 양측에 구비토록 T자형으로 연결되는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섭동로울러에 각각 접촉되면서 양단이 상부하우징의 하측과 가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체인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핑카는, 하부하우징은 고정식 집기류가 연결되면서 적재함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로울러가 구비되고, 적재함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하부하우징을 지지토록 일측에 서포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강도를 보강토록 가이드로울러가 연결되는 고정프레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은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대응토록 설치되는 제1지지턱과 제2지지턱에 의해 동시에 상승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하우징은, 일측면에 하부하우징이 통과하는 슬라이딩홀이 구비되면서 저부에 리프팅시 적재함과의 공간을 커버링하도록 실링부재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미들하우징은 계단과 커버의 역활을 동시에 수행토록 커버판의 상부에 다단으로 수납되는 스텝이 구비되어 하향시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KR1020170147429A 2017-11-07 2017-11-07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KR10202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9A KR102028926B1 (ko) 2017-11-07 2017-11-07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29A KR102028926B1 (ko) 2017-11-07 2017-11-07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92A KR20190051592A (ko) 2019-05-15
KR102028926B1 true KR102028926B1 (ko) 2019-10-07

Family

ID=6657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29A KR102028926B1 (ko) 2017-11-07 2017-11-07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40B1 (ko) 2020-02-05 2020-06-18 박영호 상층부의 폭 가변 확장이 가능한 복층형 카라반
KR20220022562A (ko) 2020-08-19 2022-02-28 안희태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8220B (zh) * 2020-12-22 2023-03-31 洛阳埃文海姆朗宸旅居车有限公司 伸缩式旅居房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0026A1 (en) * 2009-09-21 2011-05-26 One 4 Haul Trans4mer Ltd. Mobile multi-functional shelt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0021B1 (fr) * 1986-06-17 1988-07-01 Loniewski Robert Caravanes et autocaravanes, de volume variable, a extension, installation interieure, stabilisation et repli automatiques
KR20160020770A (ko) * 2014-08-14 2016-02-24 나상철 푸드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0026A1 (en) * 2009-09-21 2011-05-26 One 4 Haul Trans4mer Ltd. Mobile multi-functional shelter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40B1 (ko) 2020-02-05 2020-06-18 박영호 상층부의 폭 가변 확장이 가능한 복층형 카라반
KR20220022562A (ko) 2020-08-19 2022-02-28 안희태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92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926B1 (ko)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US5316432A (en) Wheelchair lifts with automatic barrier
US6447048B2 (en) Travel trailer with extendable two level bathroom and bedroom
US100170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ar slide-out compartment in a recreational vehicle for increasing interior space
US6062805A (en) Vehicular wheelchair step lift
WO2015124031A1 (zh) 一种撑举式双层房车
KR20060022899A (ko) 캠핑카
CH651508A5 (it) Veicolo per diporto, lavoro e per il trasporto a lunghe distanze di persone e cose, con autovettura ausiliare incorporata.
US7316439B1 (en) Slide-out room mechanism for recreational vehicles
US20040256873A1 (en) Apparatus for configuring the cargo area of a vehicle
US20230150416A1 (en) Reconfigurable Recreational Vehicle
KR102362705B1 (ko) 다단 캠핑하우스
GB2268133A (en) Wheelchair access system for vehicles
EP3375660A1 (en) Compartmentalizing a road vehicle
KR102420424B1 (ko) 공간 확장이 가능한 트럭 적재형 캠핑카
KR102193291B1 (ko) 회전 가능한 컨테이너를 갖는 캠핑용 트레일러
KR100970208B1 (ko) 이동식 화장실
KR200368382Y1 (ko) 캠핑카
US7334827B1 (en) Slide-out gliding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CN106436911B (zh) 一种展开活动房
CN105386523A (zh) 扩展方舱
US20200215956A1 (en) Revolution Caravan
KR100605563B1 (ko) 이동식 용적가변형 구조물
JP3749701B2 (ja) 自動車
CN205296399U (zh) 扩展方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