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770A - 푸드차량 - Google Patents

푸드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770A
KR20160020770A KR1020140105928A KR20140105928A KR20160020770A KR 20160020770 A KR20160020770 A KR 20160020770A KR 1020140105928 A KR1020140105928 A KR 1020140105928A KR 20140105928 A KR20140105928 A KR 20140105928A KR 20160020770 A KR20160020770 A KR 2016002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food
alo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철
Original Assignee
나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상철 filed Critical 나상철
Priority to KR1020140105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770A/ko
Publication of KR2016002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 B60P3/025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hop, cafeteria or display the object being a theatre or stage the object being a vending stall, restaurant or food kio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드차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일 판매부스만으로도 필요한 공간을 간편하게 확장하여 조실실과 식당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음식을 주문하여 바로 섭취하는 구매자는 식당공간에 배치된 식탁에 앉아 편안한 자세로 음식을 섭취하고, 음식을 데이크아웃하는 구매자는 가판대 앞에서 기다려 주문한 음식을 구매하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천막 등을 설치함이 없이 가판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철수 시에는확장된 확장칸을 수납시키는 것만으로 신속하게 정리한 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중간부에 개폐도어를 갖는 벽체으로써, 내측 전면부과 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측 전면부측에 물품보관부를 형성되는 구획벽과, 상기 물품보관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구획벽과 개방된 후면부 사이의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1확장체와; 상기 제1확장체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제1확장체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2확장체로 구성되며; 상기 판매부스는 차량을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본체의 도어를 열고, 수납된 제1확장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한 다음, 제1확장체의 내부중공에 수납된 제2확장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푸드차량{A food vehicle}
본 발명은 푸드차량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 및 물품 등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충분한 수납공간을 별도로 구비하는 동시에 적재부에 탑재설치된 판매부스을 길이방향으로 확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푸드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푸드차량은 내부중공을 갖는 박스형상으로서, 양측면에 개폐가능하게 절접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판대와, 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갖는 판매부스가 탑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푸드차량은 별도의 식재료 및 물품 수납공간이 없이 조리실만으로 사용하는 실내의 구석에 무질서하게 적재되어 있어 위생 및 미관이 좋지않고, 음식을 구매하는 구매자는 가판대앞에 서서 음식이 나오기를 기다리고 주문한 음식을 섭취하거나 또는 별도의 천막을 판매부스 옆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 구매자가 불편한 자세로 음식을 섭취하거나 별도의 천막을 설치 및 철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외관상도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간확장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단일 판매부스만으로도 필요한 공간을 간편하게 확장하여 조실실과 식당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음식을 주문하여 바로 섭취하는 구매자는 식당공간에 배치된 식탁에 앉아 편안한 자세로 음식을 섭취하고, 음식을 데이크아웃하는 구매자는 가판대 앞에서 기다려 주문한 음식을 구매하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천막 등을 설치함이 없이 가판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철수 시에는 길이방향으로 인출확장된 확장칸을 본체칸에 순차적으로 밀어 수납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확장된 판매부스를 정리한 후 이동할 수 있는 푸드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 뒷부분에 가판부와 취사공간을 갖는 판매부스를 구비한 푸드차량에 있어서, 상기 판매부스는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서,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중간부에 개폐도어를 갖는 벽체으로써, 내측 전면부과 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측 전면부측에 물품보관부를 형성되는 구획벽과, 상기 물품보관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구획벽과 개방된 후면부 사이의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을 구비한 본체와; 전면부에 출입구를 구비하고,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1확장체와; 양 단면부에 각각 출입구를 구비한 박스형상을 갖고, 상기 제1확장체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제1확장체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2확장체로 구성되며; 상기 판매부스는 차량을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본체의 도어를 열고, 수납된 제1확장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한 다음, 제1확장체의 내부중공에 수납된 제2확장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은 단일 판매부스를 적어도 다수개의 판매부스를 설치한 것과같은 실내공간으로 간편하게 확장하여 설치하여 사용하고, 차량의 이동시에는 단일 판매부스의 부피로 간편하게 압축시킨 후 이동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위생적이면서도 음식을 구매하는 구매자들도 확보된 별도의 식당공간에서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를 완전히 확장된 상태로 지면상에 설치된 사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완전수납된 상태의 판매부스를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가 완전히 확장된 상태로 지면상에 설치된 상태를 길이방향을 따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완전수납된 상태의 판매부스를 폭방향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의 상면에 설치된 개폐지붕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의 측면에 설치된 개폐창문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의 지지래그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의 랙과 피니언 구조로 중간 및 내곽 컨테이너를 수납 및 인출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의 실린더 구조로 중간 및 내곽 컨테이너를 수납 및 인출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판매부스상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장비의 구성 및 태양광방전모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드차량은 차량의 화물적재부에 탑재설치된 판매부스(10)를 구비한다.
상기 판매부스(10)는 본체(20)와, 제1확장체(30)와, 제2확장체(40)로 구성되며, 차량을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본체(20)의 도어를 열고, 수납된 제1확장체(3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한 다음, 제1확장체(30)의 내부중공에 수납된 제2확장체(4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시켜 설치한다.
상기 본체(20)는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서,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하는 도어(21)와, 중간부에 개폐도어(22a)를 갖는 벽체으로써, 내측 전면부과 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측 전면부측에 물품보관부(23)를 형성되는 구획벽(22)과, 상기 물품보관부(23)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폐도어(23a)와, 상기 구획벽(22)과 개방된 후면부 사이의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24)과, 안내레일(25)과, 내측 스토퍼(26)와, 바닥판부재(27)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레일(25)은 상기 본체(20)의 구획벽(22)과 후단부 사이의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내측 스토퍼(26)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단면을 갖고, 상기 본체(20)의 후단부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된다.
상기 바닥판부재(27)는 판상으로서, 상기 본체(20)의 구획벽(22)과 후단부 사이의 저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상호 대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확장체(30)는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서,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며, 전면부에 형성된 출입구(30a)와,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36)과,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하도록 후면부측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개폐도어(37)와, 안내레일(31)과, 안내단(32)과, 외측 스토퍼(34)와, 바닥판부재(35)와, 개폐도어(37)와, 지지레그(50)와, 개구(60) 및 개폐지붕(61)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레일(31)은 상기 제1확장체(30)의 저면(실내 바닥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단(32)은 상기 제1확장체(30)의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20)의 안내레일(25)과 슬라이딩가능하게 맞물린다.
상기 내측 스토퍼(33)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단면을 갖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후단부의 내측면을 따라 장된다.
상기 외측 스토퍼(34)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단면을 갖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전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본체(20)의 내측 스토퍼(26)와 착탈가능하게 맞물린다.
상기 바닥판부재(35)는 판상으로서, 상기 제1확장체(30)의 저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상호 대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확장체(40)는 양 단면부에 각각 출입구(40a)를 구비한 박스형상으로서, 안내단(41)과, 외측 스토퍼(42)와, 바닥판부재(43)와, 개페창문(44)과, 지지레그(50)와, 개구(60) 및 개폐지붕(61)을 구비하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제1확장체(30)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된다.
상기 안내단(41)은 상기 제2확장체(40)의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확장체(30)의 안내레일(3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상기 외측 스토퍼(42)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단면을 갖고, 상기 제1확장체(30)와 겹쳐지는 전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내측 스토퍼(33)와 착탈가능하게 맞물린다.
상기 바닥판부재(43)는 판상으로서, 상기 제2확장체(40)의 저면(실내 바닥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상호 대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60)는 상기 본체, 제1 및 제2확장체(20)(30)(40)의 상면에 각각 관통형성되고, 연부가 상방으로 완곡하게 절곡형성되며, 상기 개구(60)의 상측에 상하방으로 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부(60)를 개폐하는 개폐지붕(61)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지붕(61)은 평판으로써, 연부를 따라 하방으로 완곡하게 절곡형성되고, 4개의 실린더(61a)에 의해 상하작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면에 록킹구(61b)를 구비한 손잡이가 장착되어, 상기 개구(60)를 닫을 때 손잡이를 하방으로 당겨 개폐지붕(61)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록킹구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를 잡고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록킹구(61b)의 잠금을 해제되는 동시에 개폐지붕(61)이 상사점에 도달하여 상기 실린더에 의해 지지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창문(24)(36)(44)은 상기 본체(20), 제1 및 제2확장체(30)(40)의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되어 측면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외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의 상하여닫이개폐쌍으로 이루어지고, 하측 창문의 하단부는 하단 창문틀과 힌지결합되고, 상측 창문의 상단부는 상단 창문틀과 힌지결합되고, 상하측 창문은 각각 양측단부가 개별 실린더(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인출선 및 도면부호에 의해 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 창문은 개방시 외향으로 직각되게 열린상태에서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됨으로 상면에 판매물 및 용품들을 진열하는 가판대 기능을 하고, 상측 창문은 외향으로 직각되게 열린상태에서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됨으로 차양기능을 한다.
도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레그(50)는 상단부가 절첩가능하게 지지체와 힌지결합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서, 하단부에 바퀴부재(51)와, 바퀴부재 스토퍼(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확장체(30) 및 제2확장체(40)의 후면부측 하단부의 양 측면 또는 하면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확장체(30)(40)는 랙과 피니언 구조 또는 실린더 구조에 의해 슬라이닝 작동되어 수납 및 인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랙과 피니언 구조는 랙(70)은 제1 및 제2확장체(30)(40)의 하면 양측단부 또는 중앙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고, 피니언(71)은 제1 및 제2확장체(20)(30)의 저면 후단부 양측에 각각 랙(70)과 치합되도록 회전축(72)의 양측단부 또는 중간부에 장착되며, 회전축(72)을 회전레버에 의해 정역회전시켜 제1 및 제2확장체(30)(40)를 인출 또는 수납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 구조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80)를 본체(20)와 제1확장체(30) 사이 및 제1확장체(30)와 제2확장체(40) 사이에 각각 장착되고, 실린더를 신장 또는 압축시켜 제1 및 제2확장체(30)(40)를 인출 또는 수납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 제1 및 제2확장체(20)(30)(40)는 각각의 상면에 태양광발전장비(90)를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90)는 태양광발전모듈(91)과, 충전조절기(92)와, 충전기(93)와, 축전지(94)와, 인버터(95)로 구성된다.
상기 태양광발전모듈(91)은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로 전환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충전조절기(92)는 상기 태양광발전모듈(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발전모듈(91)로 부터 발전공급되는 DC 전류를 상기 충전기(93)를 통해 축정기(94)로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인버터(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버터(95)로 DC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인버터(95)는 상기 충전조절기(92)로부터 공급되는 DC전류를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AC전류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10: 판매부스 20: 본체
30: 제1확장체 40: 제2확장체
50: 지지레그 51: 바퀴부재
60: 개구 61: 개폐지붕
70: 랙 71: 피니언
72: 회전축 80: 실린더
90: 태양광발정장비

Claims (10)

  1. 운전석 뒷부분에 가판부와 취사공간을 갖는 판매부스를 구비한 푸드차량에 있어서,
    상기 판매부스(10)는,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서, 개방된 후면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21)와, 중간부에 개폐도어(22a)를 갖는 벽체으로써, 내측 전면부과 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측 전면부측에 물품보관부(23)를 형성되는 구획벽(22)과, 상기 물품보관부(23)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개폐도어(23a)와, 상기 구획벽(22)과 개방된 후면부 사이의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24)을 구비한 본체(20)와;
    전면부에 출입구(30a)를 구비하고, 후면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갖고,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1확장체(30)와;
    양 단면부에 각각 출입구(40a)를 구비한 박스형상을 갖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상기 제1확장체(30)의 내부중공내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제2확장체(40)로 구성되며;
    상기 판매부스(10)는,
    차량을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본체(20)의 도어를 열고, 수납된 제1확장체(3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한 다음, 제1확장체(30)의 내부중공에 수납된 제2확장체(4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상기 구획벽(22)과 후단부 사이의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안내레일(25)과, 전단부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내측 스토퍼(26)와, 상기 구획벽(22)과 후단부 사이의 저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판부재(27)를 구비하고;
    상기 제1확장체(30)는,
    저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안내레일(31)과,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본체(20)의 안내레일(25)과 슬라이딩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단(32)과, 후단부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내측 스토퍼(33)와, 잔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본체(20)의 내측 스토퍼(26)와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외측 스토퍼(34)와, 저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판부재(35)와,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36)과, 후면부측 양측면에 장착된 개폐도어(37)를 구비하며;
    상기 제2확장체(40)는,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확장체(30)의 안내레일(3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안내단(41)과, 상기 제1확장체(30)와 겹쳐지는 전단부의 외측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제1확장체(30)의 내측 스토퍼(33)와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외측 스토퍼(42)와, 저면의 양측 모서리부를 따라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닥판부재(43)와, 양측면부를 따라 장착된 개폐창문(4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체(30) 및 제2확장체(40)는,
    후면부측 하단부의 양 측면 또는 하면 양측에 절첩 및 길이조절가능한 2개의 지지레그(50)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지지레그(50)의 하단부에는,
    바퀴부재(51) 및 바퀴부재 스토퍼(5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확장체(30)(40)은,
    상면에 관통형성되고, 연부가 상방으로 완곡하게 절곡형성되는 개구(60)와;
    상기 개구(60)의 상측에 상하방으로 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부(60)를 개폐하는 개폐지붕(6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지붕(61)은,
    평판으로써, 연부를 따라 하방으로 완곡하게 절곡형성되고, 4개의 실린더(61a)에 의해 상하작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하면에 록킹구(61b)를 구비한 손잡이가 장착되어, 상기 개구(60)를 닫을 때 손잡이를 하방으로 당겨 개폐지붕(61)이 하사점에 도달하였을 때 록킹구(61b)에 의해 고정되고, 손잡이를 잡고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록킹구(61b)의 잠금을 해제되는 동시에 개폐지붕(61)이 상사점에 도달하여 상기 실린더(61a)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확장체(30)(40)는,
    랙과 피니언 구조 또는 실린더 구조에 의해 슬라이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과 피니언 구조는,
    랙(70)은 제1 및 제2확장체(30)(40)의 하면 양측단부 또는 중앙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고,
    피니언(71)은 본체(20) 및 제1확장체(30)의 저면 후단부 양측에 각각 랙(70)과 치합되도록 회전축(72)의 양측단부 또는 중간부에 장착되며;
    회전축(72)을 회전레버에 의해 정역회전시켜 제1 및 제2확장체(30)(40)를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조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80)를 본체(20)와 제1확장체(30) 사이 및 제1확장체(30)와 제2확장체(40) 사이에 각각 장착되고, 실린더를 신장 또는 압축시켜 제1 및 제2확장체(30)(40)를 인출 또는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1 및 제2확장체(20)(30)(40)는,
    각각의 상면에 태양광 발전장비(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부스(10)은,
    상기 제1확장체(30) 또는 제2확장체(40)의 조립구조와 동일한 조립구조를 갖고,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별체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드차량.
KR1020140105928A 2014-08-14 2014-08-14 푸드차량 KR20160020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28A KR20160020770A (ko) 2014-08-14 2014-08-14 푸드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928A KR20160020770A (ko) 2014-08-14 2014-08-14 푸드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70A true KR20160020770A (ko) 2016-02-24

Family

ID=5544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928A KR20160020770A (ko) 2014-08-14 2014-08-14 푸드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7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60U (ko) * 2017-03-02 2018-09-12 방은엽 판매용 자전거
KR20190051592A (ko) * 2017-11-07 2019-05-15 문수동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KR102022304B1 (ko) * 2019-06-18 2019-09-18 주식회사 성진테크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탈출용 슬라이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60U (ko) * 2017-03-02 2018-09-12 방은엽 판매용 자전거
KR20190051592A (ko) * 2017-11-07 2019-05-15 문수동 층고를 최소화한 확장형 캠핑카 시스템
KR102022304B1 (ko) * 2019-06-18 2019-09-18 주식회사 성진테크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탈출용 슬라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229B1 (ko) 캠핑카의 활동공간 가변확장장치
US10985689B2 (en) Collapsible shelter
US9980559B2 (en) Combination foldable and adjustable workstation
US4478467A (en) Portable workshop
US5475949A (en) Telescoping ceiling closet
EP3977904B1 (en) Rv retrofit system
US20140300087A1 (en) Portable storefront vendor cart
KR102180835B1 (ko) 공간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캠핑카
KR20160020770A (ko) 푸드차량
KR20160020769A (ko) 확장가능한 컨테이너
KR101559870B1 (ko) 해치백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장비
KR20160020771A (ko) 캠핑용 카라반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KR100794475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는 캠핑하우스
US20110285099A1 (en) Folding Serving Wagon
KR20180045335A (ko) 텐트형 캠핑트레일러의 테이블 수납장치
KR101458200B1 (ko) 다용도 자동차
US3936110A (en) Combination cabinet fold-out bar
US20100269875A1 (en) Camper privacy enclosure
CA2954581C (en) Expandable habitation unit
KR20090092098A (ko) 가판대
KR101636522B1 (ko) 가두판매용 컨테이너
KR100885963B1 (ko) 조리부를 구비한 가판대
KR20090092097A (ko) 조리부를 구비한 가판대
CN205554021U (zh) 一种野外勘察后勤保障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