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741A -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 Google Patents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741A
KR20070047741A KR1020070029572A KR20070029572A KR20070047741A KR 20070047741 A KR20070047741 A KR 20070047741A KR 1020070029572 A KR1020070029572 A KR 1020070029572A KR 20070029572 A KR20070029572 A KR 20070029572A KR 20070047741 A KR20070047741 A KR 2007004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olt
support
nut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8636B1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07002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63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결합부재에 고정시켜 조립/해제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셔로서 보울트 또는 너트의 조립/해제 지지구가 제공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보울트(10)의 수나사가 관통되는 관통홀(12)을 포함하여 와셔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패널(14)과, 이 베이스 패널(14)의 일단에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지지패널(18)과, 상기 지지패널(18)이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4)의 타단 또는 상기 지지패널(18)에 연장되어 결합부재(22)에 지지되는 고정패널로 이루어진다.
보울트, 너트, 와셔, 체결, 해제, 지지.

Description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Bolt/Nut Supporting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보울트(너트)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와, 장착상태도 및 단면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보울트(너트)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와, 장착상태도 및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보울트(너트)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와, 장착상태도 및 단면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서 보울트(너트)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와, 장착상태도 및 단면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울트, 12 - 관통홀,
14 - 베이스패널, 16 - 너트,
18 - 지지패널, 20 - 결합부재,
22 - 고정패널, 24,26,30 - 고정단부,
28 - 제 2 지지패널, 32 - 거치고정부.
본 발명은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셔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보울트와 너트의 조립이나 해제시 이를 지지하여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울트와 너트는 판상의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대표적인 체결구이다. 상기 보울트나 너트의 모양은 보통 6각형으로 구비되며, 그 평행면을 스패너로 돌려 죄어줌으로써, 나사 결합력으로 판상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울트/너트에는 결합대상 부재 사이에 와셔가 매개되는데, 예를 들어, 평와셔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엽전모양의 와셔로서, 결합물이 알루미늄과 같이 연한 물체이거나 볼트 또는 너트의 좌면 면압이 높은 경우 면압을 낮춤으로써 결합물의 변형을 방지하고자 사용된다.
또한, 보울트 또는 너트로 죄었을 때, 진동으로 인해 너트가 느슨해져서 빠져나오는 경우에 와셔의 한쪽 끝을 구부려서 너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스프링 와셔와 같이 와셔에 스프링작용을 하게 하여 너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있으며, 이 밖에도 웨이브와셔, 삿갓와셔, 고정와셔 등이 공연실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울트(너트)의 조립 또는 체결 작업을 살펴보면,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의 관통홀에 보울트의 수나사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를 결합시키고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돌려 나사결합을 수행하는데, 이때 다른 하나는 고정되어 야 할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 손으로 잡거나 스패너를 이용하여 고정을 수행하는데, 부재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보울트(너트)의 헤드부분을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프레임을 이루는 앵글에 기기를 장착할 때, 앵글과 기기의 브라켓 사이에 손을 집어넣거나 공구를 집어넣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협소한 패널사이의 공간이나 심하게 절곡된 패널사이의 공간으로도 손이나 공구를 집어넣기 용이하지 않다.
특히, 해제시에는 더욱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실내보다는 외부 기후에 노출된 부재인 경우, 보울트와 너트의 결합부위에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늘어 붙게 되어 스패너를 돌리게 되어도 결합한 상태로 헛도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때에 어느 한쪽을 손으로 잡아 지지시킨 다음, 다른 쪽을 스패너를 돌리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양쪽 모두 스패너를 사용하여 어느 한쪽은 지지를 시키고, 다른 쪽을 돌려 해제를 수행하는데, 스패너가 삽입되는 공간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그 해제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결합부재에 고정시켜 조립/해제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셔로서 보울트 또는 너트의 조립/해제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보울트 헤드나 너트의 일측면과 결합부재의 턱부 또는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여,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가 결합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과 해제가 수행되도록 하여 고정시키는 공구의 역할을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로서 보울트(너트)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설명도와, 장착상태도 및 단면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보울트(10)의 수나사가 관통되는 관통홀(12)을 포함하여 와셔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패널(14)과, 이 베이스 패널(14)의 일단에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지지패널(18)과, 상기 지지패널(18)이 고 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4)의 타단 또는 상기 지지패널(18)에 연장되어 결합부재(22)에 지지되는 고정패널로 이루어진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이다.
여기서,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의 돌출된 구조물 또는 협소한 홈부 또는 절단된 구조물로의 적용에 따라 각 실시예로 구분되며, 제 1 실시예로서 도 1 에서와 같이,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에서 돌출된 구조물에 간섭되도록 지지패널(18)의 상단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 결합부재(20)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로서 도 2 에서와 같이, 고정패널(22)은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어져 결합부재(22)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실시예로서 도 3 에서와 같이, 고정패널(22)은 지지구가 협소한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지지패널(18)과 대향되는 위치에 베이스 패널(14)로부터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가 끼워지게 제 2 지지패널(2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18)과 제 2 지지패널(24)의 각각에는 그 상방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져 상기 프레임 형상의 결합부재(20) 양측 내면에 간섭되는 고정단부(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실시예로서 도 4 에서와 같이, 고정패널(22)은 판상의 결합부재에서 절단면에 거치되면서 고정되도록,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면서 하방으로 꺽여져 결합부재의 단부면에 간섭되는 거치고정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결합부재에 고정시켜 조립/해제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셔로서 보울트 또는 너트의 조립/해제 지지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보울트(10)의 헤드나 너트(16)의 일측면과 결합부재(20)의 턱부나 단부 또는 홈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보울트(10) 또는 너트 (16)중 어느 하나가 결합부재에 고정되도록 한 다음, 체결이 수행되도록 하고 해제 역시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구는 베이스패널(14)과, 지지패널(18)과, 고정패널(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것에 본 발명의 지지구가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지지구가 장착된 부재(보울트 또는 너트)는 결합부재(22)에 지지구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물이며, 죄어지는 부재 측에는 평와셔(미도시)가 매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16)에 지지구가 장착될 경우는, 특히 보울트가 삽입되지 못할 정도로 협소한 공간에서 체결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그러할 것이다. 또한 진동 등에 의해 체결이 해제되려는 경우, 스템과 헤드로 이루어진 보울트(10) 보다 너트(16)가 진동으로 인한 회전에 더 취약한데, 이때 상기 지지구에 의해 너트가 지지될 경우, 너트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너트의 회전에 의한 체결해제를 방지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구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베이스패널(14)은 보울트(16)의 수나가 관통되는 관통홀(12)을 포함하며, 체결체인 보울트(10) 또는 너트(16)의 체결면을 확장시키는 와셔로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된다.
이러한 베이스패널(14)에 일체로 연장되어 지지패널(18)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널(18)은 베이스패널(14)로부터 상방으로 꺽여져 보울트(10)의 헤드 또는 너트(16)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패널(18)은 보울트(10) 또는 너트(16)의 일측면에 평행되는 면으로 접촉되어 그 회전을 방지시키게 되며, 이러한 지지패널(18)을 고정시켜 고정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패널(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20)와 간섭되어져 지지패널(18)이 회전되려할 때 결합부재(20)를 지점으로 그 회전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20)에서 간섭되는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예를 들어 결합부재(20)에 돌출된 구조물, 프레임과 같은 협소한 홈부, 또는 이러한 돌출부나 홈부가 없고 판상으로만 이루어질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실시예로 구분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 는 결합부재에 돌출된 구조물로부터 지지패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실시예로서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에서 돌출된 구조물에 간섭되도록 지지패널(18)의 상단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 결합부재(20)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도 1 참조)
그리고, 제 2 실시예로서 고정패널(22)은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어져 결합부재(22)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예를 들어, "ㄱ" 형태로 절곡된 단면을 갖는 앵글과 패널의 결합 등에 적용되며, 앵글의 측벽은 결합부재(20)에 돌출된 구조물로서 이러한 돌출된 구조물에 고정패널(22)의 단부면인 고정단부(24)(26)가 접촉되어 이를 지점으로 지지패널(18)이 보울트(10) 또는 너트(16)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어느 것이나 돌출된 구조물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나, 다만 상기 제 1 실시예는 보울트 또는 너트와 결합부재의 돌출부가 근거리일 경우 바람직하며, 제 2 실시예는 결합부재의 돌출부가 상대적으로 먼 경우, 베이스패널로 연장되어 하면을 결합부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여, 체결과 마감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지지구의 관통홀(12)과 결합부재(20)의 관통홀을 일선상으로 배치시키고, 고정패널(22)의 고정단부(24)를 결합부재(20)의 돌출부에 간섭되게 배치시키면서 보울트(10) 또는 너트(16) 중 어느 하나를 지지패널(18)에 접촉되게 배치시킨 다음, 다른 하나로서 결합시키게 되면, 지지패널(18)과 접촉된 보울트(또는 너트)는 스패너에 의해 고정되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그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결합의 해제는 상기와 역순이며, 이 경우에도 상기 지지구는 스패너에 의해 고정시킨 다음 타측을 돌려 해제시키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해제 역시 용이하게 되며, 특히 협소한 공간에서 공구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더욱 편리하게 되며, 너트(16)가 지지구에 의해 고정될 경우, 진동으로 인한 회전이 취약한 너트에 있어서 회전을 방지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는 협소한 홈부로서, 예를 들어 "ㄷ" 형태의 프레임과 기기의 브라켓 또는 패널과의 결합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패널(22)은 지지구가 협소한 프레임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지지패널(18)과 대향되는 위치에 베이스 패널(14)로부터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가 끼워지게 제 2 지지패널(2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18)과 제 2 지지패널(24)의 각각에는 그 상방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져 상기 프레임 형상의 결합부재(20) 양측 내면에 간섭되는 고정단부(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프레임의 협소한 공간으로 보울트 또는 너트를 지지구와 함께 장착할 수 있고, 지지구는 보울트 또는 너트를 충분히 지지하게 된다.
특히, 협소한 공간에 보울트를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 너트(16)를 삽입하고 보울트로서 체결하게 되는데, 지지구와 함게 너트를 삽입하게 되면, 지지구가 너트(16)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지지구와 함께 프레임 단면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고, 다른 하나를 결합하게 되면 이 역시 전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가 스패너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용이한 체결이 수행되며, 그 해제 역시 용이하게 진행된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는 평판으로서, 예를 들어 근접되게 이웃된 곳에 턱부가 있는 평판이나, 단부면을 갖는 평판과 다른 부재와의 결합에 적용되는 것으로 서, 고정패널(22)은 판상의 결합부재에서 절단면에 거치되면서 고정되도록,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면서 하방으로 꺽여져 결합부재의 단부면에 간섭되는 거치고정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4 참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보울트 또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지지구와 함께 체결할때, 지지구의 거치고정부(32)를 결합부재(20)의 단부면에 거치시키게 되면, 지지패널(18)은 보울트 또는 너트의 일측면을 고정시키게 되어 스패너로 고정시키는 결과가 되며, 사용자는 용이하게 체결 또는 해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협소한 공간에서 보울팅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며, 이러한 지지구의 베이스패널은 면압을 낮추는 평와셔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고, 또한 너트와 함께 체결될 경우 진동에 취약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도 병행하게 되어, 결국 간단한 구조물인 지지구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울트(또는 너트)가 지지구에 의해 결합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또는 보울트)가 체결(또는 해제)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물인 지지구가 체결(또는 해제)을 위한 고정 공구의 역할을 대체하여 그 작업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구를 이루기 위한 베이스패널은 평와셔의 역할을 병행하며, 지지패널은 너트(또는 보울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의 역할도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보울트(10)의 수나사가 관통되는 관통홀(12)을 포함하여 와셔면을 제공하는 베이스 패널(14)과, 이 베이스 패널(14)의 일단에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지지패널(18)과, 상기 지지패널(18)이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4)의 타단 또는 상기 지지패널(18)에 연장되어 결합부재(22)에 지지되는 고정패널로 이루어진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패널(22)은 결합부재에서 돌출된 구조물에 간섭되도록 지지패널(18)의 상단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 결합부재(20)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패널(22)은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어져 결합부재(22)의 돌출된 측벽과 간섭되는 고정단부(2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패널(22)은 지지패널(18)과 대향되는 위치에 베이스 패널(14)로부터 연장되어 보울트(10) 헤드 또는 너트(16)가 끼워지게 제 2 지지패널(28)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패널(18)과 제 2 지지패널(24)의 각각에는 그 상방으로부터 꺽여지면서 연장되어져 상기 프레임 형상의 결합부재(20) 양측 내면에 간섭되는 고정단부(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5.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패널(22)은 판상의 결합부재에서 절단면에 거치되면서 고정되도록, 베이스 패널(14)에 연장되면서 하방으로 꺽여져 결합부재의 단부면에 간섭되는 거치고정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KR1020070029572A 2007-03-27 2007-03-27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KR10085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72A KR100858636B1 (ko) 2007-03-27 2007-03-27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572A KR100858636B1 (ko) 2007-03-27 2007-03-27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741A true KR20070047741A (ko) 2007-05-07
KR100858636B1 KR100858636B1 (ko) 2008-09-17

Family

ID=3827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572A KR100858636B1 (ko) 2007-03-27 2007-03-27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6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4858B1 (en) * 2008-06-11 2010-10-19 Brunswick Corporation Condition indicator for a marine component
KR200459852Y1 (ko) * 2009-12-10 2012-04-19 대우버스(주) 볼트풀림방지 장치
CN107191446A (zh) * 2017-06-27 2017-09-22 北京康拓红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车辆运行安全监控系统的磁钢卡轨器
KR20180137437A (ko) * 2018-06-22 2018-12-27 서석호 C 채널과 태양광 모듈 프레임 체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7044A (zh) * 2013-12-25 2014-04-02 西安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车辆侧面悬挂件的固定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40568U (ko) * 1973-04-07 1974-12-0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4858B1 (en) * 2008-06-11 2010-10-19 Brunswick Corporation Condition indicator for a marine component
KR200459852Y1 (ko) * 2009-12-10 2012-04-19 대우버스(주) 볼트풀림방지 장치
CN107191446A (zh) * 2017-06-27 2017-09-22 北京康拓红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车辆运行安全监控系统的磁钢卡轨器
KR20180137437A (ko) * 2018-06-22 2018-12-27 서석호 C 채널과 태양광 모듈 프레임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636B1 (ko)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636B1 (ko)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TW201303174A (zh) 螺絲結構
JP4062740B2 (ja) 水栓の取付装置
TW201303177A (zh) 螺絲結構
JP2011014877A (ja) 太陽電池用太陽光パネル固定具
JP2016223620A (ja) アンカーボルト
TWI397459B (zh) Folding tool group
JP2000009125A (ja) ボルト・ナット用保護キャップ
KR20150135982A (ko) 카운터싱크 와셔
JP3711395B2 (ja) 共回り防止キャップ
JP2005282020A (ja) 建築構造材のねじ止め補助具
KR200398518Y1 (ko) 교량상판 이음용 핑거플레이트의 고정구조
TWI678301B (zh) 攜車架夾球式夾具迫緊輔助扳手
JP2012246985A (ja) 取り外し防止ナット、取り外し防止ボルトおよびこれらを着脱するソケットレンチ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
KR20090012861U (ko) 스프링 일체형 볼트 및 이를 포함하는 클립 앵글 지지장치
KR200462117Y1 (ko) 원형관 체결용 너트 고정구
TWI583855B (zh) 外牆結構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JP6462616B2 (ja) 鋼材接合構造
KR200318867Y1 (ko) 와셔가 일체로 구비된 나비너트
JP3224231U (ja) タップアタッチメント
JP5276033B2 (ja) 止め金具
JP2004132518A (ja) 固定具
JP5239957B2 (ja) 外壁パネル取付構造
JP2002089524A (ja) 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