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754A -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754A
KR20070046754A KR1020060105969A KR20060105969A KR20070046754A KR 20070046754 A KR20070046754 A KR 20070046754A KR 1020060105969 A KR1020060105969 A KR 1020060105969A KR 20060105969 A KR20060105969 A KR 20060105969A KR 20070046754 A KR20070046754 A KR 2007004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tape
binding tape
clincher arm
dri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끼또 후까다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9/00Independent binders, e.g. for hay; Binders attachable to 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드라이버 핸들(1)의 선단부와 클린처 아암(2)과의 사이에 걸친 결속 테이프(a)를 피결속물에 권취하고, 드라이버 핸들(1)과 클린처 아암(2)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결속 테이프(a)의 선단부를 후속부와의 중첩 부분을 스테이플에 의해 철하는 동시에 커터날에 의해 결속 테이프(a)를 절단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드라이버 핸들(1)에 설치한 테이프 통로(1a)에, 결속 테이프(a)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동 롤러(27)와 종동 롤러(28)를 설치하고, 구동 롤러(27)를 회전시켜 결속 테이프(a)를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드라이버 핸들, 클린처 아암, 결속 테이프, 구동 롤러, 종동 롤러

Description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MECHANISM FOR PREVENTING RELAXATION OF BINDING TAPES FOR A HORTICULTURAL BIND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
도2는 상기 결속기의 클린처 아암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3은 상기 결속기의 결속시의 측면도.
도4는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결속 테이프의 이완의 복귀 조작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다른 이완 방지 기구를 구비한 결속기의 측면도.
도7은 상기 이완 방지 기구의 확대 단면도.
도8은 상기 이완 방지 기구의 작동 태양 설명도.
도9는 또 다른 이완 방지 기구를 구비한 결속기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10은 도9의 X-X선 상의 단면도.
도11은 릴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결속 테이프
1 : 드라이버 핸들
1a : 테이프 통로
21, 27 : 구동 롤러
22, 28 : 종동 롤러
45 : 손잡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41613 참조
본 발명은, 원예용 결속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결속 전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여 스테이플 고정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원예용 결속기는 수동식의 스테이플러와 같은 기구를 구비하는 핸드 공구이고, 포도, 오이 등의 덩굴성 농작물의 덩굴이나 가지를 지지 기둥 등에 결속하는 공구이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341613 참조).
원예용 결속기에서는,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개폐 조작하여 결속 작업을 행한다.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1회 폐쇄하면 피킹 플레이트의 스토퍼 기구가 해제되고, 피킹 플레이트가 드라이버 핸들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결속 테이프에 꽂힌다. 그리고,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개방하면 드라이버 핸들측으로부터 결속 테이프가 인출되고, 결속 테이프가 걸쳐진 상태가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원예용 결속기를 전방으로 압출하여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 사이에 농작물의 덩굴 등과 지지 기둥을 넣어 결속 테이프를 그들에 U자형으로 권취한다. 그 후,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폐쇄하면 결속 테이프의 선단부가 후속부에 중첩되어 루프형으로 된다.
다음에,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또 폐쇄하는 것에 의해, 매거진부에 장전된 스테이플로 결속 테이프의 중첩 부분이 철해지고, 커터날에 의해 결속 테이프가 절단된다. 그리고,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개방하면 1 사이클의 결속 처리가 완료한다.
그러나,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 사이에 걸쳐진 결속 테이프에 피결속물을 밀어 넣어 권취할 때에, 상기 결속기를 지나치게 밀어 넣으면 결속 테이프가 과잉 인출되어 결속 테이프가 이완되는 것에 의해, 결속시에 피결속물과 결속 테이프 사이에 간극이 생겨, 결속 후의 피결속물끼리 어긋나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원예용 결속기에서는, 일단 인출된 결속 테이프를 권취하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에 의해 결속이 불충분해지는 경우에는, 또한 1회 더 동일 부위를 결속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결속 전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이 생긴 경우라도, 과잉 인출된 결속 테이프를 권취하여 결속 전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피결속물과 결 속 테이프 사이의 간극을 없애서 스테이플 고정할 수 있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예용 결속기는, 스테이플러의 드라이버 핸들에 결속 테이프를 수납한 테이프 릴을 설치하고, 이 테이프 릴로부터 테이프 통로를 경유하여 드라이버 핸들의 선단부와 클린처 아암 사이에 걸친 결속 테이프를 피결속물에 권취하고,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드라이버 핸들의 매거진부와 클린처 아암의 선단부가 접하여 결속 테이프의 선단부를 후속부와의 중첩 부분을 스테이플에 의해 철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핸들에 설치한 커터날에 의해 결속 테이프를 절단하는 원예용 결속기이며, 드라이버 핸들에 설치한 테이프 통로에, 상기 결속 테이프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설치하고, 구동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결속 테이프를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원예용 결속기에 따르면, 덩굴성 농작물의 덩굴이나 가지를 지지 기둥 등에 결속하는 작업에 있어서, 결속 테이프를 과잉 인출된 경우라도, 구동 롤러를 회전시켜 결속 테이프를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결속 테이프는 송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복귀하여 이동하므로, 굴곡을 간단히 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피결속물에 결속 테이프를 밀착시켜 결속할 수 있어 양호한 결속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을, 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을 결속시에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해도 좋다.
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이 결속 작업하고 있는 쪽의 손의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한쪽 손으로 테이프를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다.
또한, 상기 종동 롤러를 구동 롤러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격 방향으로 압박하는 동시에, 상기 클린처 아암과 구동 롤러를, 상기 클린처 아암의 상하 운동을 상기 구동 롤러의, 결속 테이프 이송에 대한 역회전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거쳐서 작동 연결시켜도 좋다.
종동 롤러를 구동 롤러에 압박하여 결속 테이프를 양 롤러의 사이에 끼워 넣고, 클린처 아암을 상하 방향으로 운동시키면, 변환 기구를 거쳐서 상기 구동 롤러가 결속 테이프 이송 방향과 역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결속 테이프는 테이프 릴측으로 복귀되고, 결속 테이프의 이완은 제거된다. 그 후 상기 동작을 계속하면 이완이 없는 결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을, 결속시에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해도 좋다.
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이 결속 작업하고 있는 쪽의 손의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한쪽 손으로 테이프를 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좋다.
또한, 상기 테이프 릴에 수동 회전용 손잡이를 설치하고, 이 손잡이에 의해 테이프 릴을 결속 테이프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해도 좋다.
테이프 릴의 수동 회전용 손잡이에 의해 테이프 릴을 직접적으로 결속 테이 프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비용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1은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이 결속기에 있어서, 가늘고 긴 드라이버 핸들(1)의 중간에 설치한 회전축(3)에, 클린처 아암(2)의 기부가 축지된다. 클린처 아암(2)의 중간부에 설치한 축(5)에는 조작 링크(4)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된다. 이 피봇부의 한쪽은 파지부(4a)이다. 다른 쪽의 링크부(4b)의 선단부에 형성한 후크부(6)는, 상기 드라이버 핸들(1)의 측부에 설치한 롤러형 결합부(7)에 결합된다. 상기 파지부(4a)와 드라이버 핸들(1)을 파지 체결하고, 해방하여 상기 클린처 아암(2)을 개폐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클린처 아암(2)의 선단부의 헤드부(8)와 상기 드라이버 핸들(1)의 전단부 헤드 받침부(9)를 접촉, 이격 가능하게 된다.
드라이버 핸들(1)의 후단부에는 결속 테이프를 수납한 테이프 릴(10)이 설치된다. 결속 테이프(a)는 드라이버 핸들(1)의 테이프 통로(1a)를 경유하여, 그 선단부가 드라이버 핸들(1)의 전단부 헤드 받침부(9)의 도출부(11)로 인출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 핸들(1)에는 스테이플러 본체부(12)가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플러 본체부(12)는, 일반적인 스테이플러와 마찬가지로 매거진부(13)와 스테이플 타출부(14)를 구비한다. 스테이플러 본체부(12)는 드라이버 핸들(1)의 중간부의 상기 축(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매거진부(13)에는 U자형의 스테이플을 연결한 연결 스테이플이 수납되어 있다. 스테이플 타출부(14)에는, 매거진부(13)의 선두의 스테이플을 하방으로 타출하는 드라이버 플레이트(15)가 설치되어 있다.
클린처 아암(2)의 헤드부(8)에는, 상기 스테이플 타출부(14)에 대응하는 클린치 홈(16)과, 상기 결속 테이프(a)의 선단부의 인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묘목이나 나뭇가지 등의 피결속물을 결속 테이프(a)에 의해 결속할 때에는, 우선 도2와 같이 클린처 아암(2)을 폐쇄하여 그 헤드부(8)의 인출부(17)에 헤드 받침부(9)의 결속 테이프(a)의 선단부를 보유 지지시킨다. 다음에, 도1의 점선과 같이 개방하고, 드라이버 핸들(1)의 선단부와 클린처 아암(2) 사이에 결속 테이프(a)를 걸친다. 또한,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b)을 결속 테이프(a)의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고, 도3과 같이 클린처 아암(2)을 폐쇄한다. 또한, 조작 링크(4)의 파지부(4a)를 강하게 파지 체결하여 헤드부(8)를 더 밀어 넣고, 드라이버 플레이트(15)에 의해 매거진부(13)의 선단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하고, 결속 테이프(a)의 선단부와 후속부와의 중첩 부분에 스테이플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헤드부(8)의 클린치 홈(16)에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압박하고, 스테이플의 다리부를 절곡하여 결속 테이프(a)를 철한다. 동시에 결속 테이프(a)는 드라이버 핸들에 설치된 커터날에 의해 커트된다. 이에 의해, 결속이 종료한다.
또한, 상기 결속 기구의 구성 및 작용은, 일본 특허 공개 2003-341613이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4-46543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알려져 있다.
다음에, 상기 드라이버 핸들(1)의 중간부에는, 상기 테이프 통로(1a) 내에 롤러 박스(20)가 배치된다. 이 롤러 박스(20)에는, 도4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가 설치되어 있다. 종동 롤러(22)는, 스프링(23)에 의해 결속 테이프(a)를 거쳐서 구동 롤러(21)에 접촉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또한, 구동 롤러(21)의 회전축(24)은 롤러 박스(20)를 관통하고, 그 단부에는 회전 조작판(25)[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25)]이 고정되어 있다. 결속 테이프(a)는, 상기 2개의 롤러(21, 22)에 끼워져 롤러 박스(20)를 관통한다.
또한, 상기 회전 조작판(25)은 결속시에 드라이버 핸들(1)과 조작 링크(4)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b)을 결속 테이프(a)의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은 후, 도3과 같이 클린처 아암(2)을 폐쇄할 때에, 지나치게 밀어 넣어 결속 테이프(a)가 이완되었을 때에는, 회전 조작판(25)을 엄지 손가락 등으로 돌려서 구동 롤러(2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결속 테이프(a)를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결속 테이프(a)는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릴(10)측으로 복귀되므로,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속 테이프(a)의 이완은 제거된다. 그 후, 상기 동작을 계속하면, 피결속물(b)에 결속 테이프(a)를 밀착시켜 결속할 수 있어 양호한 결속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6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핸들(1)의 중간부에는 테이프 통로(1a)의 양측에 고정 지지 플레이트(26)가 설치되고, 이 고정 지지 플레이트(26)에는, 결속 테이프(a)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음 가능한 구동 롤러(27)와 종동 롤 러(2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동 롤러(28)는, 상기 고정 지지 플레이트(26)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 지지판(30)의 긴 구멍(31)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지판(30)은 고정 지지 플레이트(26)에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에 의해 구동 롤러(27)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33)에 의해 이격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또한, 회전 지지판(30)의 상부에는 손잡이(34)[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상기 클린처 아암(2)과 구동 롤러(27)는, 상기 클린처 아암(2)의 상하 운동을 상기 구동 롤러(27)의, 결속 테이프 이송에 대한 역회전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거쳐서 작동 연결하고 있다.
즉, 변환 기구의 구성은 구동 롤러(27)의 회전축(35)에는 래칫 기어(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롤러(27)의 하방에는 갈고리형의 이(37)가 연속적으로 톱니형으로 형성된 원호형의 구동 아암(38)이 배치되고, 이 구동 아암(38)의 하단부는 상기 클린처 아암(2)에 설치된 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40)의 근방과 상기 축 사이에는 스프링(41)이 설치되고, 그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구동 아암(38)은 항상 구동 롤러(27)측으로 압박되고, 래칫 기어(36)와 구동 아암(38)의 이(37)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동 롤러(28)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판(30)의 손잡이(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34)는, 결속시에 드라이버 핸들(1)과 조작 링크(4)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테이프 통로(1a)의 결속 테이프(a)를, 구동 롤러(27)와 종동 롤러(28)와의 사이를 통과시켜 두고, 상술한 바와 같이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b)을 드라이버 핸들(1)의 선단부와 클린처 아암(2) 사이에 걸친 결속 테이프(a)의 외측으로부터 밀어 넣고, 조작 링크(4)에 의해 클린처 아암(22)을 폐쇄할 때에, 지나치게 밀어 넣어 결속 테이프(a)가 이완되었을 때에는,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 등으로 손잡이(34)를 밀어 내려 종동 롤러(28)를 구동 롤러(27)에 압박하고, 조작 링크(4)를 파지 체결하면, 링크부(4b)가 결합부(7)와의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전체적으로 축(5)과 함께 클린처 아암(2)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구동 아암(38)은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구동 롤러(27)는 회전시켜지고, 결속 테이프(a)는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이동량은 작으므로, 조작 링크(4)를 해방하면 클린처 아암(2)도 내려가고, 구동 아암(38)은 스프링(41)에 의해 끌어내릴 수 있지만, 이때에는 구동 아암(38)의 이(37)는 래칫 기어(36)와는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구동 롤러(27)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동작을 반복하여 클린처 아암(2)을 상하 이동시키면, 결속 테이프(a)는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해 가기 때문에, 결속 테이프(a)는 테이프 릴(10)측으로 복귀되고, 결속 테이프(a)의 이완은 제거된다. 그 후에 상기 동작을 계속하면 이완이 없는 결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34)를 밀어 내리지 않으면 종동 롤러(28)와 구동 롤러(27)는 이격하고 있기 때문에, 클린처 아암(2)의 작동은 결속 테이프(a)의 복귀 이동과 관계없이 행해진다.
도9, 도10 및 도11은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테이프 릴(10)은 릴 케이스(39) 내에 배치되어 있다. 릴 케이스(39)는 한쪽이 개방한 케이스 본체(39a)의 중심의 원 구멍(44)에 외측으로부터 손잡이(45)의 통형축(46)을 끼워 넣고, 이 통형축(46)에 케이스 본체(39a)의 내측으로부터 허브 받침(47)의 통형축(48)을 압입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또한 허브 받침(47)의 외측으로부터 결속 테이프(a)를 권장한 허브(49)를 강하게 끼워 넣게 하여 손잡이(45)와 허브(49)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50은 커버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 부분의 이완을 제거할 때에는, 손잡이(45)를 결속 테이프(a)의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속 테이프(a)를 복귀하면 좋다. 그 후, 상기 동작을 계속하면 이완이 없는 결속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 결속 전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이 생긴 경우라도, 과잉 인출된 결속 테이프를 권취하여 결속 전에 결속 테이프의 이완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피결속물과 결속 테이프 사이의 간극을 없애서 스테이플 고정할 수 있는,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스테이플러의 드라이버 핸들과,
    결속 테이프를 수납한 테이프 릴과,
    상기 드라이버 핸들에 설치된 테이프 통로와,
    클린처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릴로부터 상기 테이프 통로를 경유하여 드라이버 핸들의 선단부와 클린처 아암과의 사이에 걸친 결속 테이프를 피결속물에 권취하고, 드라이버 핸들과 클린처 아암을 폐쇄하는 것에 의해, 드라이버 핸들의 매거진부와 클린처 아암의 선단부가 접하여 결속 테이프의 선단부와 후속부와의 중첩 부분을 스테이플에 의해 철하는 동시에, 드라이버 핸들에 설치한 커터날에 의해 결속 테이프를 절단하는 원예용 결속기이며,
    상기 테이프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결속 테이프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속 테이프가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원예용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롤러의 조작 수단은 결속시에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원예용 결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클린처 아암의 상하 운동을 상기 구동 롤러의 결속 테이프 이송에 대한 역회전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구동 롤러에 대해 접촉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 롤러는 상기 구동 롤러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압박되고,
    상기 클린처 아암과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변환 기구를 거쳐서 작동 연결되는 원예용 결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또한 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종동 롤러의 조작 수단은 결속시에 손가락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되는 원예용 결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테이프 릴에 설치된 수동 회전용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에 의해 테이프 릴을 결속 테이프 이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원예용 결속기.
KR1020060105969A 2005-10-31 2006-10-31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KR20070046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7151A JP2007117055A (ja) 2005-10-31 2005-10-31 園芸用結束機における結束テープのたるみ戻し機構
JPJP-P-2005-00317151 2005-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754A true KR20070046754A (ko) 2007-05-03

Family

ID=3806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969A KR20070046754A (ko) 2005-10-31 2006-10-31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117055A (ko)
KR (1) KR20070046754A (ko)
CN (1) CN1957673A (ko)
TW (1) TW20072777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68A1 (ko) * 2010-09-28 2012-04-05 Seo Hae-Young 원예용 결속기
KR20180133050A (ko) * 2017-06-05 2018-12-13 김용진 농작물, 다발묶음 또는 묶음제품 자동결속기
CN110122161A (zh) * 2018-02-08 2019-08-16 库泰勒分布公司 用于捆绑植物的方法和装置、供给子组件及其紧固系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7918B2 (ja) * 2008-08-28 2012-06-20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CN101885388B (zh) * 2010-07-06 2012-07-11 王智国 捆扎装置
EP2926649A4 (en) * 2012-11-29 2016-06-22 Nichiban Kk FOCUSING DEVICE
CN106114944A (zh) * 2013-10-15 2016-11-16 威尔机械江苏有限公司 棒型材打捆装置
CN106364710B (zh) * 2013-10-15 2020-10-30 南京凌翼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打捆机器人
CN106064680B (zh) * 2013-10-15 2020-09-01 威尔机械江苏有限公司 一种钢捆捆扎过程中受力均匀的棒型材打捆机器人
JP6638569B2 (ja)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740737B2 (ja) 2016-06-15 2020-08-1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6638568B2 (ja) * 2016-06-15 2020-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園芸用結束機
JP7288606B2 (ja) * 2019-08-23 2023-06-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42521B2 (ja) * 2019-08-23 2023-09-1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3455239A (zh) * 2021-07-20 2021-10-01 刘祝鹏 一种现代农业大棚番茄生长捆扎设备
CN114846988B (zh) * 2022-04-14 2023-07-07 黑龙江银锚建筑机械有限公司 一种农作物采收用打结捆扎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968A1 (ko) * 2010-09-28 2012-04-05 Seo Hae-Young 원예용 결속기
US9060471B2 (en) 2010-09-28 2015-06-23 Hae-young Seo Binder for horticultural use
KR20180133050A (ko) * 2017-06-05 2018-12-13 김용진 농작물, 다발묶음 또는 묶음제품 자동결속기
WO2018225911A1 (ko) * 2017-06-05 2018-12-13 김용진 농작물, 다발묶음 또는 묶음제품 자동 결속기
CN110122161A (zh) * 2018-02-08 2019-08-16 库泰勒分布公司 用于捆绑植物的方法和装置、供给子组件及其紧固系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17055A (ja) 2007-05-17
CN1957673A (zh) 2007-05-09
TW200727775A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6754A (ko) 원예용 결속기에 있어서의 결속 테이프의 이완 방지 기구
CN109964696B (zh) 园艺用捆扎机
CN107517818B (zh) 园艺用捆扎机
CN107517774B (zh) 园艺用捆扎机
CN107517770B (zh) 园艺用捆扎机
CN107517773B (zh) 园艺用捆扎机
WO2014084205A1 (ja) 結束装置
JPWO2006067886A1 (ja) 園芸用結束装置及び結束方法
CN107517817B (zh) 园艺用捆扎机
JP2017222397A5 (ko)
KR100676542B1 (ko)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가이드장치
JP6702006B2 (ja) 園芸用結束機
JP7324401B2 (ja) 結束機
JP4957918B2 (ja) 園芸用結束機
JP4081657B2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JP2005224197A (ja) 園芸用結束機
JP6673042B2 (ja) 園芸用結束機
JP2003020005A (ja)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ガイド装置
JP4729824B2 (ja) 園芸用結束機
JP4747461B2 (ja) 園芸用結束機
CN216982780U (zh) 一种绑枝机及绑带钉
JP4120284B2 (ja) 園芸用結束機
JP2021035861A (ja) 結束機
CN115299289A (zh) 捆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