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73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733A
KR20070046733A KR1020060105427A KR20060105427A KR20070046733A KR 20070046733 A KR20070046733 A KR 20070046733A KR 1020060105427 A KR1020060105427 A KR 1020060105427A KR 20060105427 A KR20060105427 A KR 20060105427A KR 20070046733 A KR20070046733 A KR 20070046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ection
dummy
pads
effectiv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417B1 (ko
Inventor
도모히로 마쓰모또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9957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467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도시바 마쯔시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46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1PCB having detailed leading e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10A)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가요성 보드(16)와,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가요성 보드(16)가 연결되는 연결 부품(TA)과, 연결 부품(TA)과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배선(CW)을 포함한다. 연결 부품(TA)은 연결 배선(CW)을 통해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에 연결되는 연결 패드(CP)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PA1, PA2)과,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PA)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패드(DP)로 구성된 더미 패드 그룹(PA3)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섹션(TA1)과, 연결 패드(CP)에 대응하는 연결 단자(CT)로 구성되는 연결 단자 그룹(CTA1, CTA2)과 더미 패드(DP)에 대응하는 더미 단자(DT)로 구성되는 더미 단자 그룹(CTA3)을 포함하는 제2 연결 섹션(TA2)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 연결 부품, 제1 연결 섹션, 제2 연결 섹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2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레이 기판과 가요성 보드 사이의 연결 부품의 구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3a는 도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연결 부품의 연결 패드의 배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b는 도2에 도시된 연결 부품에서 연결 패드의 배열 피치가 감소된 경우의 연결 패드의 배열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c는 도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연결 부품의 구조의 예의 상세도.
도3d는 도2에 도시된 어레이 기판의 연결 부품의 구조의 다른 예의 상세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요성 보드와 어레이 기판 사이의 연결 부품의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a는 도4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5b는 도4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스플레이 패널
10A: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
TA: 연결 부품
TA1: 제1 연결 섹션
TA2: 제2 연결 섹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히는 액티브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픽셀이 배열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주사선과, 선택된 디스플레이 픽셀들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선을 포함한다. 신호선과 주사선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IC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수와 동일한 수의 구동 신호 출력선을 갖 는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폭넓게 공급되었다. 장치의 하우징 내의 제한된 공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기 위한 요구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구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자형 영역의 크기가 감소되면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능한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자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구동 IC, 가요성 보드 및 그 리드선 사이의 위치 관계가 개선되는 방법이 종래 기술에서 제안되었다.(일본 특허공개 평11-305254호 참조)
그러나, 구동 IC 등 사이의 위치 관계가 전술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와 같이 개선되더라도, 신호선과 주사선의 증가는 가요성 보드와 신호선들 등 사이의 연결 배선의 길이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자형 영역은 증가될 것이다.
부가로, 연결 단자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가요성 보드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어레이 기판 사이의 연결 부품의 길이에 대한 제한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수의 연결 단자들이 종래 기술보다 좁은 피치로 배치되면, 연결 부품에서 연결 단자가 없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요성 보드가 어레이 기판에 열 압착 접합될 때, 가요성 보드의 결함이 있는 연결이 연결 단자가 없는 영역에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요성 보드의 결함있는 연결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라,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신호 공급원과,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 신호 공급원이 연결되는 연결 부품과, 연결 부품과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연결 부품은 연결 배선을 통해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에 연결되는 연결 패드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과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패드로 구성된 더미 패드 그룹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섹션과, 연결 패드에 대응하는 연결 단자로 구성되는 연결 단자 그룹과 더미 패드에 대응하는 더미 단자로 구성되는 더미 단자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액자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가요성 보드의 결함있는 연결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일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특히 이하에서 지적되는 수단 및 조합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고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합체되며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에 주어진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도록 주어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한 쌍의 상호 대향된 기판, 즉 어레이 기판(12)과 카운터 기판(14)을 포함하고, 액정층(도시 안함)은 어레이 기판(12)과 카운터 기판(14) 사이에 보유된다.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은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픽셀(PX)로 구성된다.
어레이 기판(12)에서, 복수의 주사선(SL)(SL1 내지 SLm)이 디스플레이 픽셀(PX)의 열을 따라서 배치되고 복수의 신호선(DL)(DL1 내지 DLn)이 디스플레이 픽셀(PX)의 행을 따라 배치된다. 도1에 도시된 예에서, 432개의 신호선이 어레이 기판(12)에 배치된다.
어레이 기판(12)은 어레이 기판(12)이 카운터 기판(14)의 에지부(14E)에 대향되는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부품(12A)을 포함한다.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신호 공급원이 연결되는 연결 부품(TA)은 연장 부품(12A)에 배치된다. 특히, 구동 신호 공급원으로써 기능하는 가요성 보드(16)는 연결 부품(7A)에 연결된다. 구동 회로(DC)는 가요성 보드에 장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2)의 제1 연결 섹션(TA1)과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은 연결 부품(TA)에서 연결된다. 어레이 기판(12)의 제1 연결 섹션(TA1)은 연결 배선(CW)에 의해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 패드(CP)를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연결 섹션(TA1)은 432개의 신호선으로 연장되는 연결 배선으로 연결되는 연결 패드(CP)를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2)은 연결 배선(CW)이 배치되는 배선 영역(WA)을 포함한다. 배선 영역(WA)은 연결 배선(CW)이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에 사실상 직각인 방향(Y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배선 영역(WA1)과, 연결 배선(CW)이 신호선(DL)쪽으로 제1 배선 영역(WA1)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배선 영역(WA2)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예에서, 제2 배선 영역(WA2)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의 X 방향으로 양 단부쪽으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제1 연결 섹션(TA1)의 단부로부터 연장한다.
제1 연결 섹션(TA1)의 연결 패드(CP)에 대응되는 연결 단자(CT)는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에 배치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연결 섹션(TA1)의 432개의 연결 패드(CP)에 대응하는 432개의 연결 단자(CT)가 연결 패드(CP)의 배열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제2 연결 섹션(TA2)에 배치된다.
연결 부품(TA)과 연결 배선(CW)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배열되면, 제1 배선 영역(WA1)과 제2 배선 영역(WA2)의 Y 방향 길이(L2)는 증가된다. 그 결과,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 사이의 Y 방향 길이(L3)는 증가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1 및 도2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 널(10)의 연결 패드(CP)의 배열 피치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도1 및 도2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연결 패드(CP)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피치(P1)로 배열된다. 피치(P1)를 감소시킴으로써, 연결 패드(CP)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P2, P1 > P2)로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연결 패드(CP)는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 즉 제1 연결 패드 그룹(PA1)과 제2 연결 패드 그룹(PA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패드 그룹(PA1, PA2)은 제1 연결 섹션(TA1)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패드(CP)에 대응하는 가요성 보드(16)의 연결 단자(CT)의 배열 피치는 감소되고, 두 개의 연결 단자 그룹, 즉 제1 연결 단자 그룹(CTA1)과 제2 연결 단자 그룹(CTA2)은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2)과 가요성 보드(16)는 어레이 기판(12)의 제1 연결 패드 그룹(PA1)이 가요성 보드(16)의 제1 연결 단자 그룹(CTA1)에 대향되고, 어레이 기판(12)의 제2 연결 패드 그룹(PA2)이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단자 그룹(CTA2)에 대향되도록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패드(CP)와 연결 단자(CT)의 피치는 감소되고, 연결 패드 그룹들과 연결 단자 그룹들은 연결 부품(TA)의 X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고, 연결 배선(CW)은 각각의 연결 패드 그룹들로부터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특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패드 그룹(PA1)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배선 영역(WA2)은 제1 배선 영역(WA1)으로부터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쪽으 로 좌측으로 연장하는 연결 배선(CW)과, 제1 연결 패드 그룹(PA1)으로부터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쪽으로 우측으로 연장하는 연결 배선(CW)들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연결 패드 그룹(PA2)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배선 영역(WA2)은 제1 연결 영역(WA1)으로부터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쪽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하는 연결 배선(CW)을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 배선(CW)이 어레이 기판(12)의 X 방향으로의 단부쪽으로 연장하는 영역뿐 아니라, 연결 배선(CW)이 어레이 기판(12)의 중심쪽으로 연장하는 영역도 제공된다. 따라서,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의 X 방향의 단부쪽으로 연장하는 연결 배선(CW)의 수는 감소된다. 따라서, 제1 배선 영역(WA1)과 제2 배선 영역(WA2)의 Y 방향의 길이(L2)는 감소될 수 있고, 그 결과,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 사이의 길이(L3)는 감소될 수 있다.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의 X 방향 길이는 제한된다. 따라서, 연결 패드(CP)의 배열 피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소되면, 연결 패드(CP)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A1)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섹션(TA1)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 단자(CT)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A2)(도4 내지 도6의 CTA3에 대응됨)은 연결 패드(CP)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A1)과 연관하여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섹션(TA2)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가요성 보드(16)가 어레이 기판(12)에 열 압착 접합되면, 연결 부품(TA)의 열 분포는 불균일하게 되고, 결함이 있는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배선(CW)에 연결되지 않 은 복수의 더미 패드(DP)가 연결 패드(CP)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A1)에 배치된다.
특히,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품(TA1)에서는, 연결 패드(CP)로 구성된 제1 및 제2 연결 패드 그룹(PA1, PA2)과 제1 연결 패드 그룹(PA1)과 제2 연결 패드 그룹(PA2)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패드(DP)로 구성된 제3 연결 패드 그룹(PA3)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패드(CP)의 피치(P3)는 연결 패드(CP)의 피치(P2)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에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패드(DP)는 연결 단자(CT)가 배치되지 않고 제1 연결 단자 그룹(CTA1)과 제2 연결 단자 그룹(CTA2) 사이에 개재된 영역(A2)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부품(TA2)에서, 연결 단자(CT)들로 구성된 제1 및 제2 연결 단자 그룹(CTA1, CTA2)과, 제1 연결 단자 그룹(CTA1)과 제2 연결 단자 그룹(CTA2)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단자(DT)들로 구성된 제3 연결 단자 그룹(CTA3)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더미 패드(DP)를 포함하는 제3 연결 패드 그룹(PA3)은 제1 연결 섹션(TA1)의 구성 요소인 제1 및 제2 연결 패드 그룹(PA1, PA2)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3 연결 단자 그룹(CTA3)은 제2 연결 섹션(TA2)의 구성 요소인 제1 및 제2 연결 단자 그룹(CTA1, CTA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 패드(CP)의 배열 피치가 감소되더라도, 열 압착 접합시의 열 분포는 균일하게 되고, 결함이 있는 연결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와 본 발명의 비교예가 설명될 것이다. 예와 비교예에 따른 각각의 액정 패널들은 X 방향 길이가 331 ㎜이고 432개의 연결 패드(CP)와 432개의 연결 단자(CT)를 갖는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을 포함한다. 부가로,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의 X 방향 길이(L1)는 39 ㎜이다.
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포함한다. 특히, 연결 배선(CW)은 폴리실리콘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된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SWC)를 경유하여 신호선(DL)에 연결된다. 예에서, 432개의 연결 배선(CW)은 스위치 회로(SWC)를 경유하여 신호선(DL)(DL1 내지 DL1296)에 연결된다.
전술한 관계를 제외하고, 이러한 액정 패널(10)은 도1에 도시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동일하다. 따라서, 공통 부품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이 기판(12)은 제1 내지 제3 연결 패드 그룹(PA1, PA2, PA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패드 그룹(PA1, PA2) 각각의 연결 패드(CP)의 수는 216개이고, 이들 연결 패드(CP)들은 65 ㎛의 피치로 배열된다. 제3 연결 패드 그룹(PA3)에서, 118개의 더미 패드(DP)가 65 ㎛의 피치로 배열된다.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은 제1 연결 섹션(TA1)과 연관되어 제1 내지 제3 연결 단자 그룹(CTA1, CTA2, CTA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단자 그룹(CTA1, CTA2)에서, 연결 단자들은 연결 패드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다. 제3 연결 단자 그룹(CTA3)에서, 더미 단자(DT)들이 더미 패드(DP)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배선 영역(WA1)과 제2 배선 영역(WA2) 각각의 Y 방향 길이(L2)는 5.3 ㎜이고,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 사이의 Y 방향 길이(L3)는 약 5.8 ㎜이다.
비교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6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어레이 기판(12)의 연결 배선(CW)은 스위치 회로(SWC)를 경유하여 신호선(DL)에 연결된다. 특히,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2개의 연결 배선(CW)은 스위치 회로(SWC)를 경유하여 1296개의 신호선들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섹션(TA1)에서, 432개의 연결 패드(CP)들이 80 ㎛의 피치로 배열된다. 가요성 보드(16)의 제2 연결 섹션(TA2)에서, 연결 단자(CT)들은 제1 연결 섹션(TA1)의 연결 패드(CP)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다. 이러한 비교예에서, 전술한 점을 제외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도1에 도시된 액정 패널(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져서, 공통 부품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로 지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배선 영역(WA1)과 제2 배선 영역(WA2) 각각의 Y 방향 길이(L2)는 5.9 ㎜이고,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 사이의 Y 방향 길이(L3)는 약 6.4 ㎜이다.
특히, 본 발명의 예에서, 비교예와 비교하여 제1 배선 영역(WA1)과 제2 배선 영역(WA2) 각각의 Y 방향 길이(L2)는 10% 만큼 성공적으로 감소되고, 그 결과, 어레이 기판(12)의 에지부(12E)와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10A) 사이의 Y 방향 길 이(L3)는 9.4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액자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요성 보드(16)의 결함있는 연결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직접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없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본 발명은 신호선에 연결된 연결 배선의 배열에 적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은 주사선의 배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연결 패드(CP)의 피치와 더미 패드(DP)의 피치 각각은 65 ㎛이다. 그러나, 더미 패드(DP)의 피치는 연결 패드(CP)의 피치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3d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패드(CP)는 피치(P2; P1 > P2)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다양한 발명들이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 요소들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이 적절하게 합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자형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요성 보드의 결함있는 연결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 신호 공급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구동 신호 공급원이 연결되는 연결 부품과,
    상기 연결 부품과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품은,
    상기 연결 배선을 경유하여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에 연결되는 연결 패드로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과, 적어도 두 개의 연결 패드 그룹 사이에 배치되고 더미 패드로 구성되는 더미 패드 그룹을 포함하는 제1 연결 섹션과,
    연결 패드에 대응하는 연결 단자들로 구성되는 연결 단자 그룹과, 더미 패드에 대응하는 더미 단자들로 구성되는 더미 단자 그룹을 포함하는 제2 연결 섹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드의 배열 피치는 연결 패드의 배열 피치와 동일하거나 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디스플레이 섹션은 디스플레이 픽셀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신호 공급선과, 상기 복수의 신호 공급선을 연결 배선에 대해 절환하고 연결하는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회로는 폴리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된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한 쌍의 상호 대향된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들 사이에 보유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05427A 2005-10-31 2006-10-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3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17079A JP5292665B2 (ja) 2005-10-31 2005-10-31 表示装置
JPJP-P-2005-00317079 2005-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733A true KR20070046733A (ko) 2007-05-03
KR100835417B1 KR100835417B1 (ko) 2008-06-04

Family

ID=3799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427A KR100835417B1 (ko) 2005-10-31 2006-10-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85665B2 (ko)
JP (1) JP5292665B2 (ko)
KR (1) KR100835417B1 (ko)
TW (1) TWI3445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7971A (zh) * 2017-07-28 2017-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3965A (ja) * 2005-06-27 2007-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KR101174781B1 (ko) * 2005-10-25 2012-08-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9019975A (ja) * 2007-07-11 2009-01-29 Micronics Japan Co Ltd プローブ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58987A (ko) * 2007-12-05 200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필름 캐리어테이프 제조방법
CN201204279Y (zh) * 2008-05-07 2009-03-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204417A (zh) * 2008-08-29 2011-09-28 Gvbb控股股份有限公司 卡和连接装置
KR100890200B1 (ko) 2008-12-08 2009-03-25 은성산업(주)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US8131991B2 (en) * 2009-02-10 2012-03-0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plural software profiles
JP2012226058A (ja) * 2011-04-18 2012-11-15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CN104507254B (zh) * 2014-12-31 2018-09-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软性印刷电路板和液晶显示器
CN104540315B (zh) * 2014-12-31 2018-01-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软性印刷电路板和液晶显示器
JP2017003484A (ja) * 2015-06-12 2017-01-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検査装置、表示装置用マザー基板の検査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435975B1 (ko) 2017-08-18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666490B (zh) * 2018-06-15 2019-07-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JP7315523B2 (ja) * 2020-12-04 2023-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固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1891B1 (en) * 1995-06-02 2001-08-28 Xerox Corporation Display with array and multiplexer on substrate and with attached digital-to-analog converter integrated circuit having many outputs
JP2001083908A (ja) * 1999-09-10 2001-03-30 Denso Corp Elディスプレイ装置
US6922226B2 (en) * 1999-12-31 2005-07-26 Lg. 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plementing improved electrical lines and the fabricating method
KR100356988B1 (ko) * 2000-02-23 2002-10-1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099260A (ja) * 2000-09-26 2002-04-05 Toshiba Corp 信号線駆動回路
JP2002215059A (ja) * 2001-01-18 2002-07-3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
JP3696512B2 (ja) * 2001-02-13 2005-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2357807A (ja) * 2001-05-31 2002-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982249B2 (ja) * 2001-12-11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6478600B1 (en) * 2001-12-24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T contact for a ZIF socket
US6652329B1 (en) * 2002-06-10 2003-1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erminals for an electrical socket
JP4047102B2 (ja) * 2002-08-23 2008-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TW553512U (en) * 2002-11-15 2003-09-11 Molex Inc Electronic card connector
TWM250355U (en) * 2003-08-22 2004-1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1051013B1 (ko) * 2003-12-16 2011-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칩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5241852A (ja) 2004-02-25 2005-09-0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4020885B2 (ja) * 2004-04-27 2007-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ド用コンタクト端子
US7223923B2 (en) * 2004-10-26 2007-05-29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PCB capable of releasing thermal stress
KR20060064388A (ko) *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12140B1 (ko) * 2005-10-14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CN100440628C (zh) * 2005-10-17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7971A (zh) * 2017-07-28 2017-09-15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417B1 (ko) 2008-06-04
US20070097309A1 (en) 2007-05-03
JP5292665B2 (ja) 2013-09-18
TW200730984A (en) 2007-08-16
TWI344574B (en) 2011-07-01
US7385665B2 (en) 2008-06-10
JP2007121915A (ja)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4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3643640B2 (ja) 表示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icチップ
JP3696512B2 (ja) 表示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80143948A1 (en) Method of mounting flexible circuit boards, and display device
JP2007011368A (ja) 表示パネル、それを具備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9960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20110235286A1 (en) Display panel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KR20010017528A (ko) 수리선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CN111367125A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JP5339274B2 (ja) 表示装置
JP2009237280A (ja) 表示装置
KR10037258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8309825A (ja) 液晶表示装置
JP4343328B2 (ja) 表示装置
JP2009092695A (ja) 液晶表示装置
JPH07325315A (ja) 表示装置
JP3649050B2 (ja) 半導体装置の接合構造
JPH1117448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105647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接合構造
KR19990011781A (ko) 액정표시장치의 접지 배선 구조 및 방법
CN110596925B (zh) 电路基板
KR10069661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구조
JP2007027387A (ja) 表示装置
JP200606667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35478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