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119A -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 Google Patents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119A
KR20070046119A KR1020077003667A KR20077003667A KR20070046119A KR 20070046119 A KR20070046119 A KR 20070046119A KR 1020077003667 A KR1020077003667 A KR 1020077003667A KR 20077003667 A KR20077003667 A KR 20077003667A KR 20070046119 A KR20070046119 A KR 2007004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ate
ascorbic acid
pufa
skin car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388B1 (ko
Inventor
하루카즈 후카미
히로시 가와시마
요시코 오노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비타민 C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기이고, A 는 아스코르브산 중의 히드록실기 유래의 -O- 로 결합되는 아스코르브산 잔기이다].
상기 제품은 아스코르브산의 조직 또는 세포로의 개선된 전이성을 나타내고, 아스코르브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며, 또한 PUFA 의 기능을 보여줄 가능성을 갖는다.
또한, 하기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한다.
6-O-PUFA 아스코르베이트, 비타민 C, 스킨 케어 제품, 식품, 음료

Description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SKIN CARE PRODUCTS, AS WELL AS FOODS AND BEVERAGES CONTAINING 6-O-PUFA ASCORBIC ESTERS}
본 발명은 6-O-PUFA (고도불포화 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아스코르브산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로의 아스코르브산의 개선된 투과성, 특히 피부 각질로의 아스코르브산의 개선된 전이를 허용하는 스킨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 는 그의 부족이 괴혈병의 주된 원인이 되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고, 생체 내 항산화제로서 생체 내에서 제공되는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시토크롬 C 에 의해 촉매되는 철이온의 산화환원반응에 관여한다. 이러한 생리 작용에 더하여, 비타민 C 는 항암, 면역증강, 및 콜레스테롤 생성억제를 수반하는 항동맥경화와 같은 많은 다른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진피 영역에 있어서, 비타민 C 는 항산화 및 콜레스테롤 합성 촉진에 기초한 광노화 방지, 자외선 손상의 방지 및 색소침착의 억제와 같은 작용을 가지며, 화장품에 첨가된다 (FRAGRANCE JOURNAL, Vol. 25, March, Special Feature, page 7, 1997). 비타민 C 는 또한 식품 및 화장품에서 항산화제로서 첨가된다. 그러나, 화장품에서 비타민 C 의 생리기능을 이용하고자 한다면, 그의 수용성이 너무 높아, 피부의 진피를 통해 목표로 하는 세포에 도달하기 힘들 것이다.
PUFA 로서, 도코사헥사엔산 (DHA), 에이코사펨타엔산 (EPA)를 비롯하여, α- 또는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DGLA) 및 아라키돈산이 생체성분으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리한 기능을 갖는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Nou no hataraki to shishitu", H. Okuyama 등 편집, Gakkai Center Kansai, 1997; "Kinousei shishitsu no kaihatsu", K. Sato 등 감독 하 편집, 1992; "Kanzobyo to chiryo eiyou", A. Watanabe 등 저, Daiichi Shuppan, 1992). 이러한 PUFA 의 일부는 의약 및 식품, 특히 건강식품에서 사용되고 있다. PUFA 들 중, DGLA 및 GLA 가 시리즈 1 의 프로스테글란딘 (PGE l) 의 전구체로서 알려져 있다. PGE l 은
예컨대 시리즈 2 의 프로스타글란딘 (PGE 2)과 길항하고, 항염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연형 알러지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okubutsu shigen no seirikassei busshitsu handbook", Yoshizumi 등 저, Science Forum, page 536, 1998).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 이들은 PUFA 및 아스코르브산 둘 모두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되는 뿐만 아니라, 그러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일부 기능이 또한 하기와 같이 알려져 있다: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가 항부정맥 작용 (JP 10-139664 A), 칼슘 길항 작용 (WO 94/20092) 및 항알러지 작용 (JP 10-139664 A)을 가지고, 6-O-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가 알도스 환원효소 저해작용 (USP 6069168)을 갖고, 스트렙토조토신-유발 당뇨병 모델에 효과적이다 (Diabetologia, 1996, 39, 1047).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비변형된 PUFA 에 비해 산화에 더 잘 저항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J. Am. Oil Chem. Soc, 2001, 78, 823). 리놀레산은 말토덱스트린, 아라비아검 또는 대두다당과 같은 수용성 다당과 혼합되고, 스프레이 건조되어, 마이크로캡슐을 형성하는데, 이는 리놀레산 그 자체로 제조되는 것에 비해 산화에 대한 더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 Agr. Food Chem., 2002, 50, 3984; J. Microencapsulation, 2002, 19, 181). 이와 같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생리기능적인 관점 및 산화에 대한 저항성에 있어서 더 나은 특성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 또는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아스코르브산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스킨 케어 제품을 제조하는 시도는 없었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비타민 C 그 자체를 함유하는 통상적인 스킨 케어 제품에 비하여,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의 세포 내로의 비타민 C 의 혼입을 현저히 개선하고, 이로써 아스코르브산의 기능이 효과 적으로 발휘되는 스킨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UFA 의 생리적 활성에 기초한 기능을 또한 나타내는 스킨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은 하기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비타민 C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기이고, A 는 아스코르브산 중의 히드록실기 유래의 -O- 로 결합되는 아스코르브산 잔기이다].
도 1 은 인간 각질세포에서의 세포내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에 대한 6-0-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는 UVA 광선의 조사에 의한 인간 피부 표피 유래의 각질세포 (HaCaT) 의 세포사 (apoptosis) 에서의 6-0-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은 피부 조직으로의 아스코르브산 혼입에서의 6-0-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비타민 C 는 수용성이므로, 그의 수송체가 공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포로의 투과성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스킨 케어 제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C 의 효과는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6-위치에 PUFA 로 에스테르화된 비타민 C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피부 단편에 접촉시키면, 표피 또는 진피로의 그의 수송성이 비타민 C 자체의 수송성에 비해 현저하게 개선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에스테르 유도체를 피부 각질세포의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비타민 C 그 자체가 첨가된 경우에 비해 세포내 비타민 C 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에스테르 유도체가 취입된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 UVA를 조사한 경우, 비타민 C 그 자체를 취입했을 때에 비하여 세포의 생존율이 현저하게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완성되었다.
피부층은 표피 및 그의 하부의 진피로 이루어지고, 표피의 최상층은 각질세포로 구성된다. 따라서,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화학식 (I) 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비타민 C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은, 피부에 적용될 때 비타민 C 그 자체를 함유하는 통상적인 스킨 케어 제품에 비해 더 많은 비타민 C 가 각질세포에 취입되도록 하여, 비타민 C 를 표피 및 진피로 전이시켜 이들 세포 내에서 비타민 C 를 풍부히 하고, 또한 실외에서 UVA 에 노출되는 동안의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내에서 에스테르 연결 기능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PUFA 로서의 기능 및 비타민 C 로서의 기능을 둘 모두 가지고, PUFA 의 산화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추가적 능력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 또는 추정되고 있다. 또한, DHA, EPA 및 아라키돈산으로 대표되는 PUFA 는 생체 성분으로서의 생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많은 유용한 다른 기능들을 갖는 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 및 식품/음료는 하기의 장점을 발휘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A) 세포의 에스테라아제 또는 라파아제의 작용 하에서 비타민 C 가 제조될 것이다. 비타민 C 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서의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며, 또한 항산화제로서 피부 미백 작용 및 UVA 에 대한 피부 보호 작용을 발휘한다.
B) 비타민 C 와 함께 형성되는 PUFA, 예컨대 DGLA 및 GLA 는 또한 PGEl를 생성하여, PGE2 에 길항하는 항염증작용을 발휘하고, 지연적 알러지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상기 DGLA 의 항염증작용은 거친 피부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되고; 동시에 생성된 비타민 C 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하여 DGLA 및 GLA 의 안정성을 강화할 것이다.
C)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자체의 기능, 예컨대,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항부정맥, 칼슘 갈항 및 항알러지 작용이, 6-O-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알도스 환원제 저해작용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 및 식품/음료에 사용될 수 있는 PUFA (고도불포화 지방산) 의 예로서는, 18 이상의 탄소수 및 2 이상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지방산, 리놀산, 리놀렌산, γ-리놀렌산, 디호모-γ-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화학적 합성방법 또는 효소적 합성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둘 모두 당업예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화학적 합성방법에서는, PUFA 및 아스코르브산을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와 같은 통상의 탈수제를 이용해 축합하거나, 또는 PUFA 의 산클로라이드를 아스코르브산으로 처리한다 (USP 6069168). 효소적 합성방법에서는, PUFA 및 아스코르브산을 아세톤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 리파아제를 이용해 합성한다 (JAOCS, 2001, 78, 823).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임의로 정제될 수 있다.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PUFA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단독 또는 통상의 외용 조성물로서 알려진 각종 투여 형태의 화장품의 베이스에 혼입되어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혼입되는 경우, PUFA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상기 베이스에 혼입되기 전에 적절한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거나, 액체 베이스 또는 베이스 성분과 직접 혼합될 수 있다. 상기 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베이스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하는 바람직하다.
스킨 케어 제품의 투여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예컨대 로션, 크림, 화장수, 얼굴팩, 클린저 및 립스틱과 같은 메이크업 화장품, 스컬럽 및 헤어케어 제품과 같은 화장품, 및 연고, 분산제, 크림 및 외용액과 같은 의약 화장품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외용 화장품의 베이스는 외용 조성물과 같은 투여 형태에 의존하며, 정제수, 저급 알코올, 폴리올 및 유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은 계면활성제, pH 조정성분, UV 흡수제, UV 산란제, 증점제, 색소, 안료, 방부제,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은 다른 비타민 C 이외의 생리적 활성성분 및/또는 영양성분을 임의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은 비타민 C 의 피부로의 취입을 촉진하기 위하여 경피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피부를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있으므로, 경피흡수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스킨 케어 제품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이다.
본 발명은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임의의 식품 및 음료 중에 비타민 C 성분으로서 혼입될 수 있다. 이의 혼입될 수 있는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타민 C 의 첨가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기 위하여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통상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총량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혼입된다.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적절한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식품 또는 음료에 혼입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액상 음료에 직접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및 음료는 유아용 식품, 고령자용 식품, 영양보조식품, 점적, 휴대식, 스포츠드링크, 비타민 보조제, 애완동물용 식품 및 음료, 가축사료, 미네랄수, 조미료, 유제품, 후리카케 (밥위에 뿌리는 각종 생선 및 채소 후레이크), 다시 (다시마 또는 가다랭이포, 또는 둘 모두로 만들어진 국물), 청량음료, 분말화된 음료 및 알코올 음료일 수 있다.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비타민 C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은 비타민 C 의 세포로의 혼입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비티민 C 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이 인간의 피부에 적용될 때, 아스코르브산은 표피 또는 진피에 현저하게 전이하여, 상기 조직의 세포 내에 현저히 축적될 것이다. 또한, UVA 손상을 입기 쉬운 인간 피부 각질세포의 생존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제품 중의,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또한 PUFA 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예컨대, DGLA 및 GLA 는, 시리즈 2 의 프로스타글란딘 (PGE2) 에 길항하는 PGEl 와 함께, 항염증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시리즈 1 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로서 알려져 있다. PGEl 는 또한 또한 거친 피부에 효과적인 것으로 기대된다. 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생체 내에서 이들이 분해되는 경우, 비타민 C 성분이 산화에 고민감성인 PUFA 의 산화 안정성을 현저히 개선시킨다.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진피 세포로의 투과성이 개선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식품 및 음료 또한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소장관에 의한 흡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체내로 전이된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상피조직에 추가 혼입될 것이 또한 기대된다. 한편,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는 생체 내에 에스테라아제 또는 라파아제에 의해 아스코르브산 및 PUFA 로 서서히 분해된다. 따라서, 비타민 C 에 비해,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가 체내에서 비타민 C 의 효과를 더 오래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 기대된다. 비타민 C 는 생성되는 PUFA 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PUFA 는 상기 언급된 화장품의 경우와 같이 지연형 알러지 억제작용 및 항염증 작용과 같은 건강에 이로운 각종 작용뿐만 아니라, 항부정맥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 기대된다.
하기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6-위치에 부착된 각종 PUFA를 갖는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의 제조는 참고예로서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예 1: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아라키돈산 (2.0 g, 6.6 mmol)을 벤젠 (20 ml) 에 용해시킨 후, 옥살릴 클로라이드 (5.4 ml, 7.9 mmo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 실온에서 2.5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감압 하에서 농축하여, 아라키도노일 클로라이드의 유상액을 수득하였다. 4N HCl/디옥산 혼합액 (2.4 ml) 중의 N-메틸피롤리돈 (15 ml) 용액에 L-아스코르브산 (1.4 g, 7.9 mmol)을 첨가하고, 상기 용액을 빙냉하였다. 상기 빙냉 용액에 미리 제조된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의 아라키도닐 클로라이드 용액 (약 2 ml)를 첨가하고, 상기 혼합물을 빙냉 하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로 2회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액, l%∼20% 구배) 로 정제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건조하여 페이스트 상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7 g, 수율: 90%).
PMR(δppm, CDCl3); 0.87(3H, t), 1.2-1.4(6H, m) , 1.73(2H, q) , 2.0-2.2(4H, m), 2.36(2H, t), 2.8-2.9(6H, 4.2-4.3(3H, m), 4.79(1H, s), 5.36(8H, m).
참고예 2: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디호모-γ-리놀렌산 (2.0 g, 6.6 mmol) 을 유사하게 처리하여, 페이스트 상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43 g, 수율: 80%).
PMR(δppm, CDCl3); 0.89(3H, t), 1.2-1.4(12H, m), 1.63(2H, t), 2.0-2.1(4H, m), 2.39(2H, t), 2.7-2.9(4H, m), 4.2-4.3(3H, m), 4.79(1H, s), 5.2-5.4(6H, m).
참고예 3: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합성
도코사헥사엔산 (2.0 g, 6.1 mmol) 을 유사하게 처리하여, 페이스트 상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5 g, 수율: 84%).
PMR(δppm, CDCl3); 0.97(3H, t), 2.07(2H. q), 2.43(4H, q), 2.8-2.9(10H, m), 4.76(1H, s), 5.2-5.4(10H, m), 4.2-4.7(3H, m) , 4.8O(1H, s), 5.2-5.5(12H, m).
실시예 1 :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서의 세포 내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에 대한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효과
미리 결정된 개수 (370,000) 의 인간 피부 각질세포 HaCaT 를 100 mm 직경의 디쉬에 접종하였다.
배양 16 시간 후에, HaCaT 의 24-시간 무혈청 배지 용액이 40% 첨가된 DMEM를 함유하는 10% FBS 에 용해된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100 μM 의 양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3 내지 24 시간에 배지를 제거하고, 빙냉한 PBS 로 2회 헹구고,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단일 세포로 이루어진 세포판을 분리해 내었다. 상기 세포를 50 μM 의 디티오트레이톨 (DTT)을 함유하는 PBS 중에 현탁시키고, 3회 원심분리하여 헹구었다. 상기 세포 현탁액을 포터형 테플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액체 질소 중에서 동결융해를 2회 실시하였다. 상청액을 Molcut (Nihon Millipore Corporation 사 제조, 가압 한외여과 단위, 분획 분자량 10000, 폴리에테르 술폰 막) 로 처리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TOSOH CORPORATION 사 제조의 AS-8020 시스템, 칼럼: Shodex ODSpak (SHOWA DENKO K.K. 사 제조; 4.6 x 150 mm); 이동상 0.1M KH2PO4-H3PO4 (pH 2.35)-0.1mM EDTA-2Na; 유속, 1.5 mL/분], 세포 내 아스코르브산의 양을 쿨롱메트릭 전기화학적 검출기 (coulometric electrochemical detector; ESACo, Bedford 사 제조, MA, 200 mV) 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유사하게,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비교예)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또한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서 보여 주듯이, 인간 피부 각질세포 중의 비타민 C 의 양은 미변형 비타민 C 에 비해 PUFA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에 의해 더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
UVA 광선 조사에 의한 인간 피부 표피 유래의 각질세포 (HaCaT) 의 세포사 (apoptosis) 에 있어서의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보호 효과
인간 피부 각질세포 HaCaT (하이델버그 대학의 Fusenig 박사에 의해 허여된 세포주)를 10% 소 태아 혈청 (FBS) 함유 DMEM 배지 (DMEM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에 10,000 세포/웰의 밀도로 24-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18 시간 후, 상기 배지에 32∼48 mJ/cm2 의 UVA 를 조사하였다. 조사 2 시간 후, 100∼200 μM 의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상기 배지에 첨가하고, 조사 직전에 제거하고, 배지를 헹구었다. UVA 조사는 약제 미존재 하, PBS 중에서 수행되었으며; 조사 후 10% FBS 함유 DMEM 배지에서 배양을 계속하고, 조사 24 시간 후 세포 생존율을 2-(4-요오도페닐)-3-(4-니트로페닐)-5-(2,4-디술포페닐)-2H-테트라졸리움 일나트륨염 (WST-1)을 이용한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 활성 검정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200 μM 의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처리에 의해 인간 피부 각질세포의 생존율이 개선되었음이 명백하다.
실시예 3 :
인간 피부조직 절편으로의 투과성에 대한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의 효과
수술에 동의한 56 세 남성 지원자의 우측 복부로부터 추출된 인간 피부 단편을 수직형 소편으로 분할하고, 이를 변형된 Bronov 확산 세포 챔버 내에 두었다. DMEM 배지 (2 mL) 중에 침지된 피하측에 양분을 공급하면서, 각질화된 층에 5% CO2 를 공급하여 배지의 pH를 7.25 로 유지하였다. 각질화된 층을 실시예 2에서 제조된 100 mM (3.38% w/w; PBS(-) 용액) 의 농도의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1 mL 가 스며든 약 5 mm 사각의 이중 거즈를 이용해 도포하였다.
투여 4 시간 및 17 시간 후에 추가로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100 mM (3.38% w/w; PBS(-) 용액) 의 농도로 유사하게 투여하고, 24 시간 후 피부 절편을 변형된 Bronov 확산 세포 챔버에서 꺼내고, 0.1% 트립신의 PBS(-) 용액을 10 배로 첨가하여, 37℃에서 3 시간 처리한 후, 온화하게 교반하여 피부를 표피와 진피로 분리하였다. 무기포 하에서, 포터형 테플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상기 표피 및 진피에 각각에 액체 질소 중의 동결융해를 실시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상기 균질 현탁액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한외여과하였다. 비타민 C 의 총량 (비타민 C 의 환원형 및 산화형의 합계) 및 표피 및 진피에서의 환원형 비타민 C 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비타민 C 의 총량은 환원제인 16 mM 디티오에리트리톨의 존재 하에서 측정하고, 환원형 비타민 C의 양은 환원제 무첨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각 측정치를 이용하여 환원형 비타민 C 가 총 비타민 C 에 점유하는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유사하게,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아스코르브산 (비교예)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또한 도 3 에 나타낸다.
도 3 에서 보여 주듯이, 진피 중의 비타민 C 의 양은, 미변형 비타민 C 에 비해,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및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에 의해 현저히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크림의 제조
스쿠알렌 (5.0 중량%), 바셀린 (2.0 중량%), 밀랍 (0.5 중량%),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20E.O) (1.2 중량%), 1,3- 부틸렌 글리콜 (5.0 중량%),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및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1.0 중량%)를 혼합하고, 70℃ 로 가열하였다. 별도로, 에틸 알코올 (5.0 중량%) 및 정제수 (59.5 중량%)를 혼합하고, 70℃ 로 가열하였다. 상기 두 혼합물을 배합한 후 냉각하고,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1% 용액) (20.0 중량%)을 첨가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 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화장수의 제조
폴리옥시에틸렌 (20E.O)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2 중량%), 에틸 알코올 (8.0 중량%),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1.0 중량%), 방부제 (적량) 및 향료 (적량) 를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6.5 중량%) 및 정제수 (78.3 중량%) 을 혼합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두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액의 제조
폴리옥시에틸렌 (10E.O)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10E.O) 소르비탄 테트라올레이트 (1.0 중량%),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0 중량%), 스테아르산 (0.5 중량%), 베헤닐 알코올 (0.5 중량%), 스쿠알렌 (8.0 중량%) 및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1.0 중량%)를 70℃ 에서 가 열혼합하였다. 별도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1 중량%) , 에틸 알코올 (5.0 중량%),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및 정제수 (82.4 중량%) 를 70℃ 에서 가열혼합하였다. 두 혼합물을 균일하게 배합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연고의 제조
트리에탄올아민 (2.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및 정제수 (70 중량%) 를 75℃ 에서 가열혼합하였다. 별도로, 스테아르산 (18.0 중량%), 세타놀 (4.0 중량%) 및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75℃ 에서 가열혼합하였다. 전자의 혼합물을 서서히 후자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냉각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6-O-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 대신에 6-O-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사용하고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기이고, A 는 아스코르브산 중의 히드록실기 유래의 -O- 로 결합되는 아스코르브산 잔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6-0-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6-0-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4. 제 1 항에 있어서, 6-0-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용 화장품의 베이스 중에 상기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0.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하는 스킨 케어 제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션, 크림, 화장수, 얼굴팩, 클린저, 메이크업 화장품, 스컬럽 및 헤어케어 제품, 연고, 분산제, 크림, 및 외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킨 케어 제품.
  7. 하기 화학식 (I) 로 표현되는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R-CO-A (I)
    [식 중, RCO- 는 고도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아실기이고, A 는 아스코르브산 중의 히드록실기 유래의 -O- 로 결합되는 아스코르브산 잔기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6-0-디호모-γ-리놀레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9. 제 7 항에 있어서, 6-0-아라키도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10. 제 7 항에 있어서, 6-0-도코사헥사에노일 아스코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6-O-PUFA 아스코르베이트를 0.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용 식품, 고령자용 식품, 영양보조식품, 점적, 휴대식, 스포츠드링크, 비타민 보조제, 애완동물용 식품 및 음료, 가축사료, 미네랄수, 조미료, 유제품, 후리카케 (밥위에 뿌리는 각종 생선 및 채소 후레이크), 다시 (다시마 또는 가다랭이포, 또는 둘 모두로 만들어진 국물), 청량음료, 분말화된 음료 및 알코올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품 또는 음료.
KR1020077003667A 2004-08-18 2005-08-18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KR101402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7942A JP2006056795A (ja) 2004-08-18 2004-08-18 6−o−pufa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並びに飲食品
JPJP-P-2004-00237942 2004-08-18
PCT/JP2005/015383 WO2006019186A1 (en) 2004-08-18 2005-08-18 Skin care products, as well as foods and beverages containing 6-o-pufa ascorbic es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119A true KR20070046119A (ko) 2007-05-02
KR101402388B1 KR101402388B1 (ko) 2014-06-03

Family

ID=3521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667A KR101402388B1 (ko) 2004-08-18 2005-08-18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80319058A1 (ko)
EP (1) EP1778179B1 (ko)
JP (1) JP2006056795A (ko)
KR (1) KR101402388B1 (ko)
CN (1) CN101001607B (ko)
AU (1) AU2005273224B2 (ko)
CA (1) CA2577454C (ko)
MY (1) MY149501A (ko)
SG (1) SG155219A1 (ko)
TW (1) TWI386166B (ko)
WO (1) WO2006019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0281B1 (fr) * 2008-12-22 2011-04-01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Ester de diol et d'acide gras polyinsature comme agent anti-acne
FR2988092B1 (fr) * 2012-03-16 2014-04-25 Centre Nat Rech Scient Complexes de vitamine c, nanoparticules desdits complexes, procedes pour leur preparation, leurs compositions, leurs utilisations cosmetiques et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CN115350110A (zh) * 2022-07-26 2022-11-18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维生素c乳酸酯及其类似物在制备皮肤组织用制品中的用途及其相关制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9828A (ko) * 1962-11-14
JPS6281307A (ja) * 1985-10-04 1987-04-14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2831395B2 (ja) * 1989-09-12 1998-12-02 ハリマ化成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
US5078989A (en) * 1990-03-28 1992-01-07 Sunstar K.K. Skin whitening cosmetics
GB9403855D0 (en) * 1994-03-01 1994-04-20 Scotia Holdings Plc Fatty acid derivatives
AU711482B2 (en) * 1994-06-28 1999-10-14 Scotia Holdings Pl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JPH10139664A (ja) * 1996-11-12 1998-05-26 Sagami Chem Res Center 抗不整脈薬
EP1041979A4 (en) * 1997-12-23 2001-10-04 Dcv Inc EST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R CONJUGATED LINOLENIC ACID
EP1303245A4 (en) * 2000-07-13 2004-09-01 Skinmedica Inc COMPILA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OF VITAMIN C
US7285284B2 (en) * 2000-09-08 2007-10-23 Kuhnau Stephen C Cosmetic composition,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king
JP4153330B2 (ja) * 2003-02-28 2008-09-24 サントリー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の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化合物の粉末組成物の製造法およびそれらの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55219A1 (en) 2009-09-30
TWI386166B (zh) 2013-02-21
CN101001607B (zh) 2010-09-29
CA2577454C (en) 2014-02-04
CN101001607A (zh) 2007-07-18
EP1778179B1 (en) 2014-04-02
US20080319058A1 (en) 2008-12-25
US20100003208A1 (en) 2010-01-07
MY149501A (en) 2013-09-13
EP1778179A1 (en) 2007-05-02
AU2005273224B2 (en) 2011-08-25
WO2006019186A1 (en) 2006-02-23
TW200621302A (en) 2006-07-01
AU2005273224A1 (en) 2006-02-23
KR101402388B1 (ko) 2014-06-03
JP2006056795A (ja) 2006-03-02
CA2577454A1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0755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2010143893A (ja) セリンプロテアーゼHtrA1及び/又はHtrA2の活性阻害剤
KR101402388B1 (ko) 6-o-pufa 아스코르브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스킨케어 제품을 비롯한 식품 및 음료
JP6666650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JP2009269851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産生抑制剤及びその利用
JP6709587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頭髪化粧料
JP7361412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7351541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5792330B2 (ja) 6−o−pufaアスコルビ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並びに飲食品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JP6993628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KR102256823B1 (ko) 도코사헥사노엔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 아토피피부염 개선 및 피부 장벽 강화용 복합 조성물
JP6993627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JP2009137879A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JP2022183016A (ja) 美白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膚美白方法
JP2012102063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