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011A -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 Google Patents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011A
KR20070046011A KR1020060105304A KR20060105304A KR20070046011A KR 20070046011 A KR20070046011 A KR 20070046011A KR 1020060105304 A KR1020060105304 A KR 1020060105304A KR 20060105304 A KR20060105304 A KR 20060105304A KR 20070046011 A KR20070046011 A KR 20070046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oresistive
drafting
motor
drive
bottom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노트 쉐플러
Original Assignee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46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loose fibres, e.g. in high-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04B15/60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 D04B15/61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with thread-clamping or -severing devices arranged within needle circ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22Devices for preparatory treatment of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편물 바늘 및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를 구비하는 편물 장치를 포함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섬유 가닥을 드래프팅하기 위하여 편물 위치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드래프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가 할당된다.

Description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A drive for an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a knitted fabric}
도 1은 드래프팅 장치 및 바늘 실린더를 구비한 직접 편물공정(direct knitting)을 위한 장치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2는 드래프팅 장치 및 편물 장치에서 처리된 섬유 가닥(strand)의 경로를 볼 수 있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고,
도 3은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편물 바늘 및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를 구비하는 편물 장치를 포함하며, 섬유 가닥(fibre strand)을 드래프팅하기 위하여 편물 위치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드래프팅 장치(draft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드래프팅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가 할당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국제특허출원 WO 2004/079068 A2에서의 종래기술이다. 여기서, 편물은 방적사로부터 편물 기계로 공급되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생산되지 않고 드래프팅 장치에서 드래프팅되는 섬유 가닥으로부터 직접 짜여진다 . 상기 장점은,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않으며 거의 평행한 섬유를 가지는 섬유 가닥을 짬으로써 매우 "부드러운 감촉"과 이에 상응하여 착용시 아주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하는 매우 부드러운 편물이 생산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표준 방적사 생산공정의 중간단계, 즉, 스피닝(spinning) 및 와인딩-업(winding-up) 공정, 필요시 리와인딩 (re-winding) 공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편물은 매우 효과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 가닥은 회전되지 않고, 편물 위치에서 작동하는 편물 바늘에 즉시 공급되거나, 상기 드래프팅 장치가 상기 편물위치에 대해서 소정의 간 격으로 배치될 때, 상기 편물 위치로의 운송을 가능케하는 비틀림 장치에 의하여 소정의 장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편물 위치로의 운송을 위한 섬유 가닥이 특히 높은 장력을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섬유 가닥의 약간의 회전으로 충분하다. 이는, 에어 젯(air jet)을 사용하여 상기 섬유 가닥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처음으로 한 번 상기 섬유 가닥이 상기 편물 장치에 있는 편물에 짜여질 때, 상기 섬유 가닥에 개개의 스티치(stitch)로 주름을 잡음으로써 상기 편물의 장력이 보장된다. 상기 섬유 가닥을 회전하는 것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완전히 이와 반대로, 일반적인 편물에서 나타나는 방적사 회전으로 인해, 상기 완성된 직물은 더 "딱딱한 감촉"을 갖게 된다. 보조 비틀림(false twist) 장치의 사용은 특히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섬유 가닥의 운송력에 가해진 회전이 상기 편물 위치에서의 편물 공정중에 다시 해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보조적인 방적사, 예를 들어, 엘라스탄 방적사(Elastane thread)가 상기 드래프팅 장치 내의 섬유 가닥에 공 급될 수 있으며, 엘라스탄 방적사는 상기 드래프팅 장치로부터 상기 편물 위치로의 섬유 가닥의 운송을 도와주며 상기 제조된 편물의 특성도 보다 더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방법은 "직접 편물공정(direct knitting) " 또는 "스피닝 편물공정 (spinning knitting)"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를 폐쇄루프 속도제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회전수 조정된 구동 모터가 드래프팅 장치에 할당되고,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수 표준값은 편물 장치의 속도에 상응하게 조정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의 구동 모터의 회전수 실제값은 조정기(regulator)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수 표준값으로 조정된다.
이때, 상기 개시된 구동부는 원칙적으로 상기 회전수 표준값과 상기 회전수 실제값 사이의 제어 편차를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매우 정밀한 회전수 센서 및 극도로 민감한 조정기를 사용하여, 여러 경우에, 완성된 편물, 특히, 이 편물의 균일성에 대한 인지가능한 부정적인 영향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어 편차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부의 구현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외에도, 상기 회전수 조정된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드래프팅 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제어 편차의 변경으로 인해 진동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지며, 이는 상기 드래프팅된 섬유 가닥 내에서 불균일성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를 간소화하고 개선하는 데 에 있다.
상기 목적은 구동 모터가 자기저항 모터(reluctance motor)라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저항 모터라는 개념은, 특히, 조정되지 않은 3상 동기 모터가 구비된다. 이때, 드래프팅 장치의 구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자기저항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조정기 및 회전수 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제어된 구동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자기저항 모터에는 상기 편물 장치의 속도에 상응하는 회전수 표준값이 제공되며, 그리고 나서 상기 회전수 표준값은 자동으로 정확히 상기 편물 장치의 속도를 따른다. 이에 따라서, 제어 편차에 의하여 불균일성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이 진동하려고 하는 경향이 방지된다. 자기저항 모터 사용의 또다른 장점은 저비용뿐만 아니라 상기 시스템의 상대적으로 높은 견고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자기저항 모터가 공동의 주파수 변환기 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는 보다 더 간소화되며 보다 비용절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드래프팅 장치들는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서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므로, 이러한 구현은 또한, 상기 드래프팅 장치들에 할당된 모든 자기저항 모터의 동기 작동이 직접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드래프팅 장치는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통합되므로, 적어도 두 개의 자기저항 모터가 각각의 드 래프팅 장치 조립체에 할당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기계적인 구동 수단에 개입하지 않고 상기 드래프팅 장치들에서의 드래프팅 비율이 변경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개별적인 자기저항 모터를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전방의 저부 롤러에 할당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전방의 저부 롤러의 상류에 위치한 저부 롤러에 제2 자기저항 모터를 공동으로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특히 공간절약적인 구현은, 상기 두 개의 자기저항 모터가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에 모두 속하는 적어도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 및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상류에 위치한 저부 롤러를 대향측면으로부터 구동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자기저항 모터는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를 상기 저부 롤러의 제1 말단으로부터 구동한다. 제2 자기저항 모터는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의 대향 말단에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의 상류에 위치한 저부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 롤러에 할당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저부 롤러의 각각의 말단에 필요한 구동 수단, 예를 들어, 기어 또는 치형 풀리(toothed pulley)가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특히,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기어 또는 치형 풀리가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기저항 모터와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 사이의 구동 수단의 전력 손실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기어의 경우에, 직경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롤링 조건이 개선되므로, 상기 기어 단계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치형 벨트 구동부의 경우,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에서의 치형 풀리의 상대적으로 큰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거나 얇은 벨트의 적용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상 기 상대적으로 작거나 얇은 벨트는 발생하는 굽힘 전환력으로 인해 낮은 내부 마찰 손실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측정은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에서 특히 중요한데, 이는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체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의 구동력의 대부분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의 자기저항 모터 및 상류에 위치한 상기 저부 롤러의 자기저항 모터는 공동의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서, 상기 섬유 가닥을 드래프팅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의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는,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의 자기저항 모터가 서로 다른 수의, 바람직하게는, 상류에 위치한 저부 롤러의 자기저항 모터보다 작은 수의 극(pole)을 구비함으로써, 특히 간단히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변형에 더하여, 상기 편물 장치의 구동 모터로서도 하나 또는 다수의 자기저항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전체 장치에서 제어된 구동 모터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드래프팅 장치에 할당된 자기저항 모터 및 상기 편물 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저항턴모터가 공동의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 및 특징은 특허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명부에 나타나며, 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전형적인 방적사 생산의 상대적으로 긴 공정없이 편물이 생산되는 직접 편물공정 또는 스피닝 편물공정을 위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실질적인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편평하거나 원형의 편물 기계를 포함 하며, 도 1에는 원형의 편물 기계의 바늘 실린더(1)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편물 공정과 달리, 상기 편물은 상기 바늘 실린더(1)에 공급된 방적사로부터 생산되지 않고, 상기 바늘 실린더(1)에 직접 근접한 드래프팅 장치(3)에서 생산되는 대부분 회전되지 않은 섬유 가닥(2)으로부터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12개의 섬유 가닥(2)을 위한 상기 드래프팅 장치(3)는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께 결합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로부터 상기 바늘 실린더(1)로 주행하는 상기 섬유 가닥(2) 중에서 단지 두 개의 외부 섬유 가닥(2)만이 간소화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드래프팅 장치(3)에는 로우빙(roving) 또는 슬리버(sliver)(5) 형태의 섬유물질이 공급되며, 상기 섬유 물질은 각각 로우빙 보빈(roving bobbin)(도시되지 않음)이나 캔(6)으로부터 취한다. 간소화를 위해서, 상기 두 개의 외부 섬유 가닥(2)의 경로만이 다시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예를 들어, 네 개의 드래프팅 조립체(4)(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바늘 실린더(1)의 둘레에 배치될 때가 바람직하므로, 상기 바늘 실린더(1)에는 가능한한 도체에 섬유 가닥(2)이 공급된다.
도 2는 캔(6)을 떠나서 드래프팅 장치(3)를 통과하여 상기 바늘 실린더(1)로 주행하는 섬유 가닥(2)의 경로를 도시한다. 이때, 상기 섬유 가닥(2)은 하나 또는 다수의 편향 롤러(7)에 의하여 꺼내서 섬유 운송방향(A)으로 상기 드래프팅 장치에 공급되어 이에 의하여 원하는 정도의 미세도로 드래프팅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3)는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 쌍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롤러 쌍은 가요성있게 서로 압착된 상단 롤러(9, 11, 13)뿐만 아니 라 구동 저부 롤러(8, 10, 12)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 또는 다수의 롤러 쌍은 에이프런(apron) 롤러 쌍(10, 11)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에이프런 롤러 쌍(10, 11)에는 마찬가지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에이프런(14, 15)이 하단 에이프런(14) 및 상단 에이프런(15)으로 할당되어 있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3)가 3-실린더-드래프팅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롤러 쌍이 상기 롤러 쌍(8, 9)의 상류에 배치된 4- 또는 5-실린더-드래프팅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부 롤러(8, 10, 12)는 추후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구동수단(16)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상기 저부 롤러(8, 10, 12)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그리고 공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저부 실린더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6)을 서로 대향한 측면에 그리고 상기 저부 롤러(8, 10, 12)의 서로 다른 말단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3)는, 속도가 증가하면서 섬유 운송방향(A)으로 회전하는 저부 롤러(8, 10, 12)를 사용하여 프론트 롤러 쌍(12, 13)에서 원하는 미세도의 섬유 가닥(2)을 생산하며, 상기 섬유 가닥(2)은 상기 편물 장치(18)의 바늘 실린더(1)에서 편물 위치(17)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편물 장치(18)는 회전방향(B)으로 편물 바늘(20)을 포함하는 상기 바늘 실린더(1)를 구동하는 구동수단(1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래프팅 장치(3)의 프론트 롤러 쌍(12, 13)과 상기 편물 위치(7) 사이에는, 상기 편물 위치(17)로의 운송을 위한 충분한 장력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 가닥(2)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비틀림 장치(21)가 거리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물 위치(17)에서 다시 해제되는 보조적인 비틀림을 상기 섬유 가닥(2)에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섬유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위치에서 상기 편물 바늘(20)에 의해 생산된 편물에 섞어 짜여진다. 이에 따라서, "매우 부드러운 감촉"과 착용시 아주 편안한 편물이 생산될 수 있다. 이때, 비틀림 장치(21)로서,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비틀림 튜브(twisting tubes)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하는 트위스트 노즐(22)일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입부에 각각 트위스트 노즐(22)을 구비하는 두 개의 스피닝 튜브(spinning tubes)(23)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드래프팅 장치(3)의 전방의 저부 롤러(12, 13) 상류 또는 하류에는 보조적인 방적사(24)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적인 방적사(24)는 상기 섬유 ㄱ가닥(2)을 상기 드래프팅 장치(3)로부터 상기 편물 위치(17)로 운송하는 것을 지원한다. 상기 보조적인 방적사(24)는, 예를 들어, 엘라스탄 필라멘트(Elastane filament)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생산된 편물의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롤러 쌍(12, 13)과 상기 비틀림 장치(21) 사이에는 흡입관(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25)은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진공원과 연결된다. 상기 섬유 가닥(2)이 더 이상 상기 편물 위치(17)에 정확히 운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흡입관(25)은 상기 섬유물질을 흡입하여 상기 프론트 롤러 쌍(12, 13)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래프팅 장치(3)의 구동수단(16)은 적어도 하나의 자기저항 모터(26)를 포함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기저항 모터(26) 는 파선으로 도시된 활성 연결부(28)에 의하여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전방의 저부 롤러(12)에 연결된다. 제2 자기저항 모터(27)는 상기 활성 연결부(28)에 의하여 상기 저부 롤러(8, 10)에 연결된다. 상기 활성 연결부(28, 29)는 자체적으로 임의로 기어 또는 치형 벨트(toothed belts)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부 롤러(8, 10) 사이에는 기어 변속비가 제공되므로, 상기 저부 롤러(8)보다 약간 높은 회전수를 갖는 상기 저부 롤러(10)가 회전된다.
상기 편물 장치(18)의 구동수단(19)은 상기 바늘 실린더(1)용 또다른 자기저항 모터(32)를 포함한다. 도시된 경우, 주파수 변환기(30, 31, 33)가 상기 자기저항(26, 27, 32)의 각각에 배치된다. 상기 주파수 변환기(30, 31, 33)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3상 전원 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주파수 변환기(30, 31, 33)에 연결된 제어 시스템(34)이 구비되며 이를 제어한다.
도 1에 따르면, 다수의 드래프팅 장치(3)가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늘 실린더(1)의 둘레에는 다수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에 대해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에 자기저항 모터(26)를 제공하고 상기 나머지 저부 롤러(8, 10)에 대해서 자기저항 모터(27)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에서의 상기 저부 롤러(8, 10, 12)는 각각 동일한 속도로 주행해야하므로, 모든 자기저항 모터(26)를 하나의 단일 주파수 변환기(30)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자기저항 모터(26)는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며, 이에 따라, 또다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전방의 저부 롤러(12)가 동일한 회 전수로 회전하는 것이 보장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자기저항 모터(27)가 공동의 주파수 변환기(3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변형예와는 달리, 상기 자기저항 모터(26, 27)를 상기 주파수 변환기(30)에 함께 연결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기(31)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저항 모터(26, 27)의 서로 다른 회전수는 서로 다른 극(pole) 수에 의하여 도달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 모터(26)에 대해서 2극 모터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저항 모터(27)에 대해서 6극 또는 8극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가닥(2)의 대략적인 드래프팅 비는 사전에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개개의 저부 롤러(8, 10, 12) 사이의 드래프팅 비의 미세조정은 서로 다른 수의 치(teeth)를 갖는 변환기어를 상기 활성 연결부(28, 29)에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드래프팅 비가 상기 서로 다른 극의 수에 의하여 이미 선택되므로, 상기 활성 연결부(28, 29)에서는 상기 기어변속비를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3에는 도 1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변형이 도시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는 12개의 슬리버(5)를 드래프팅하는 드래프팅 장치(3)를 포함한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3)는 드래프팅된 섬유 가닥(2)의 형태로 상기 편물 장치(18)에 공급된다. 여기서 도시된 드래프팅 장치(3)는 4-실린더 드래프팅 장치로 구현된다. 상기 4-실린더 드래프트 장치에서는 상기 저부 롤러(8, 10, 12) 외에 또다른 저부 롤러(3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저부 롤러(35)는 운송방향(A)으로 상기 저부 롤러(8)의 상류에 배치된다. 각각의 저부 롤러(35)에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 으로, 상기 상단 롤러(9, 11, 13)와 유사한 상단롤러가 할당된다. 상기 상단 롤러(35, 8, 10, 12)에 할당된 구동수단(16)은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집약적인 설계를 허용하므로 차례대로 바늘 실린더(1)의 둘레에서 서로 인접한 다수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폐쇄 배치를 허용하는데, 이때 인접한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를 구동하기 위해서, 두 개의 자기저항 모터(26, 27)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자기저항 모터(26)는 활성 연결부(28)를 경유하여 다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만을 구동한다. 상기 저부 롤러(8, 10)는 활성 연결부(29)를 경유하여 제2 자기저항 모터(27)에 의해 구동되므로, 상기 자기저항 모터(27) 및 상기 활성 연결부(29)는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대향하는 말단에 배치된다. 상기 활성 연결부(28, 29)는 동기 벨트 유닛으로 형성된다. 상기 저부 롤러(12, 10)의 대향하는 말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에서의 치형 풀리(36)와 상기 저부 롤러(10)에서의 치형 풀리(37)는 서로 방해할 수 없다.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에는 상대적으로 큰 치형 풀리(36)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치형 풀리(36)는 상대적으로 얇고 좁은 치형 벨트(38)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요구되는 동력의 전달을 허용한다. 상대적으로 좁고 얇은 치형 벨트(38)는 상기 활성 연결부(28)에서의 마찰 손실을 감소시킨다.
상기 저부 롤러(8) 및 상기 저부 롤러(10)는 치형 벨트(39)와 함께 상기 자기저항 모터(27)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상기 저부 롤러(35)를 구동하기 위해서, 중간 샤프트(40)와 함께 작용하는 두 개의 치형 벨트(41, 42)가 제공된다. 상기 치형 벨트(41)의 구동은 상기 저부 롤러(8)로부터 유발된다. 이때, 상기 중간 샤프트(40)는 상기 저부 롤러(8)와 상기 저부 롤러(35) 사이의 원하는 변속비를 얻는 데에 사용되므로, 상기 저부 롤러(35)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회전해야 한다.
도식적인 이유로 선택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상기 중간 샤프트(40)뿐만 아니라 상기 자기저항 모터(26, 27)가 상기 저부 롤러(35, 8, 10, 12) 하부에, 즉, 상기 상단 롤러(9, 11, 13)으로부터 떨어져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므로, 상기 전체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는 가능한한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은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를 간소화하고 개선할 수 있다.

Claims (9)

  1.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에 있어서,
    편물 바늘(20) 및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17)를 구비하는 편물 장치(18)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섬유 가닥(2)을 드래프팅하기 위하여 편물 위치(17)의 상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드래프팅 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드래프팅 장치(3)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가 할당되며,
    상기 구동 모터는 자기저항(reluctance) 모터(26, 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자기저항 모터(26, 27)는 공동의 주파수 변환기 (30, 31)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드래프팅 장치(3)는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를 형성하기 위해서 통합되고, 그에 의해서 적어도 두 개의 자기저항 모터(26, 27)가 각각의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 모터(26, 27)는 상기 드래프팅 장치 조립 체(4)에 모두 속하는 적어도 전방의 저부 롤러(12) 및 그 상류에 위치한 저부 롤러(10)를 대향측면으로부터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팅 장치(3) 또는 드래프팅 장치 조립체(4)의 전방의 저부 롤러(12)에는 개별적인 자기저항 모터(26)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팅 장치(3)의 전방의 저부 롤러(12)의 상류에 위치한 다수의 저부 롤러(8, 10)에는 공동의 자기저항 모터(27)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의 자기저항 모터(26) 및 상류에 위치한 상기 저부 롤러(8, 10)의 자기저항 모터(27)는 공동의 주파수 변환기(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저부 롤러(12)의 자기저항 모터(26) 및 상류에 위치한 상기 저부 롤러(8, 10, 35)의 자기저항 모터(27)는 서로 다른 수의 극(p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프팅 장치(3)에 할당된 자기저항 모터(26, 27) 및 상기 편물 장치(18)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저항 모터(32)가 공동의 제어 시스템(3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KR1020060105304A 2005-10-28 2006-10-27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KR200700460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52693A DE102005052693A1 (de) 2005-10-28 2005-10-28 Antrieb einer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DE102005052693.4 2005-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011A true KR20070046011A (ko) 2007-05-02

Family

ID=3791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304A KR20070046011A (ko) 2005-10-28 2006-10-27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20070046011A (ko)
CN (1) CN1955353B (ko)
BR (1) BRPI0604369A (ko)
DE (1) DE102005052693A1 (ko)
IT (1) ITMI20061908A1 (ko)
TR (1) TR200605973A2 (ko)
TW (1) TW2007306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1967B1 (de) 2014-12-11 2019-02-27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254A (en) * 1973-07-30 1975-04-15 Stevens & Co Inc J P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from untwisted staple fibers
US4006609A (en) * 1974-04-29 1977-02-08 Bunker Ramo Corporation Manufacturing of patterned deep pile circular knitted fabric
DE3107714A1 (de) * 1980-10-11 1982-06-24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Strick- oder wir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florware mit eingekaemmten fasern
IT1311256B1 (it) * 1999-10-26 2002-03-04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e metodo di movimentazione e controllo del braccioavvolgitrama negli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per telai d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52693A1 (de) 2007-05-03
TW200730681A (en) 2007-08-16
CN1955353A (zh) 2007-05-02
CN1955353B (zh) 2011-04-06
BRPI0604369A (pt) 2007-08-28
ITMI20061908A1 (it) 2007-04-29
TR200605973A2 (tr) 2007-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4920B2 (en) Knitted fabric,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aid fabric
CN1263572A (zh) 产生包芯纱的方法和纺纱机
KR20060136324A (ko) 편물 제조방법 및 장치
EP3128054B1 (en) Draft device of spinn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70000354A (ko) 편물 제조방법 및 장치
CN114540999B (zh) 一种单牵伸区的等隔距双通道环锭纺纱装置
JP2008531862A (ja) フライヤを使用しない紡績方法及びドラフトシステムを有する装置
JPS58109635A (ja) 芯鞘複合糸精造用リング精紡機
CN101122060A (zh) 用于制造针织物的设备
EP3358054A1 (en) Core spun yarn comprising core yarn composed of variable drafted filament yarn and/or elastane yarn and fabric obtained with this core spun yarn
KR20070046011A (ko) 직물을 제조하는 장치의 구동부
KR20070090761A (ko) 니트웨어 제조장치를 위한 구동장치
CN101205656B (zh) 用于生产织物的设备
JP4528315B2 (ja) 複合紡績糸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KR20070029097A (ko)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CN101323990B (zh) 凸轮式振动摩擦纺制平行股线的装置
JP2007182647A (ja) ドラフト装置
JP2000212865A (ja) 嵩高糸の製法
JPH0633332A (ja) 特殊糸の製造方法
JP2003082547A (ja) フィラメントの複合糸混合製造方法及び装置
JP3507410B2 (ja) 紐状糸とその製造方法
ITMI20071381A1 (it) Dispositivo per la fabbricazione di un prodotto a maglia
JPS6392732A (ja) 紡績糸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8202184A (ja) スラブ糸及びその製造装置とそのスラブ糸を用いた織編物
KR20080059065A (ko) 연신장치를 구비한 편직물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