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097A -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097A
KR20070029097A KR1020060086950A KR20060086950A KR20070029097A KR 20070029097 A KR20070029097 A KR 20070029097A KR 1020060086950 A KR1020060086950 A KR 1020060086950A KR 20060086950 A KR20060086950 A KR 20060086950A KR 20070029097 A KR20070029097 A KR 2007002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ller
feed
knitting
pair
fiber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트 슈탈렉커
게르노트 쉐플러
노라 스토프
Original Assignee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슈핀델파브릭 쉬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2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5/00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 Threading of roving into drafting machine
    • D01H5/1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 D01H5/28Drafting machines or arrangements without fallers or like pinned bars in which fibres are controlled by inserting twist during draf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loose fibres, e.g. in high-p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편직물(knitted fabric)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뜨개 바늘들과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를 구비하는 편물기(knitted device)를 구비한다. 또한 장치는 섬유 가닥을 인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출기(drafting device)를 구비한다. 인출기는 편물 위치의 상류에 설치되며, 공급 롤러 쌍을 구비한다. 공급 롤러 쌍은 공급 인취 라인을 형성한다.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공급 롤러 쌍에 아주 근접하여 설치된다. 에이프런(apron) 쌍은 공급 롤러 쌍의 상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이프런 쌍은 공급 인취 라인과 함께 쐐기 형상의 간격을 형성한다. 이로써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은 이 쐐기 형상의 간격의 외측에 설치되지만, 공급 롤러 쌍과 에이프런 쌍에 아주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흐름의 경계층을 중단시키기 위해 변화되는 구조의 수단들이 공급 롤러 쌍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An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knitted fabrics}
도 1은 인출기들과 바늘 실린더를 구비하는 방사 편직(spin-knitting)을 위한 장치의 아주 개략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섬유 가닥이 인출기와 편물기를 통과하는 경로가 쉽게 식별되는, 방사 편직을 위한 장치의 일부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공기 흐름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되며, 상기 수단들과 각각의 롤러의 원주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는, 도 2에 도시된 인출기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각각의 롤러에 접촉하는 수단들을 구비하는 인출기의 실시예의 도 3에 유사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5는 공기 흐름들을 이격시키기 위해 완전히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장치들이 마련되는 도 2에 도시된 공급 롤러 쌍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늘 실린더 25: 제어기
2: 섬유 가닥 26, 51: 흡입 튜브
3: 인출기 27, 28: 유입 간격들
4: 인출 조립체 29: 공급 인취 라인
5: 슬라이버 30, 31: 편향기
6: 캔 32; 33: 원주
7: 편향 롤러들 34: 섬유 가닥
8, 10, 12: 바닥 롤러들 35: 쐐기 형상의 간격
9, 11, 13: 상부 롤러들 36, 37: 안내 실드들
14: 바닥 에이프런 38, 39: 밀봉 간격
15: 상부 에이프런 40, 45, 50: 흡입기
16, 19: 구동 모터 41: 스프링 수단들
17: 편물 위치 42: 벨트
18: 편물기 43: 스토퍼
20: 뜨개 바늘들 44: 레일
21: 꼬는 장치 46: 축
22: 꼬는 노즐 47: 브러쉬
23: 방사 튜브들 52: 간격
24: 보조실
본 발명은 편물기(knitted device)를 구비하여 편직물(knitted fabric)을 제 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편물기는 뜨개 바늘들과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knitting position)를 구비한다. 장치는 섬유 가닥(fiber strand)을 인출하기 위해 편물 위치의 상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기는 공급 인취(引取) 라인(nipping line)을 형성하는 공급 롤러 쌍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장치는 국제 특허출원 WO2004/079068 A2의 선행 기술이다. 편성포(knitted yarn)는 일반적인 관습대로 편물 기계에 공급되는 방사(紡絲; yarn)로부터 생산되지 않고, 인출기에서 인출되는 섬유 가닥으로부터 직접 편직된다. 이의 장점은 거의 평행한 섬유들을 가져 본질적으로 꼬임이 없는 섬유 가닥을 편직함으로 인해, 아주 뛰어난 정도의 착용감을 갖는 아주 부드러운 편직물이 생산된다는 점이다. 표준적인 방사 생산 공정, 즉 방사(spinning), 감기(winding-up), 필요한 경우 재감기(re-winding)가 생략되므로 편직물의 생산은 아주 효율적이다.
이로써 섬유 가닥은 꼬이지 않고 편물 위치의 뜨개 바늘들에 직접 공급되거나, 인출기가 편물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에 설치되었을 때에는 편물 위치로 이송시키는 꼬는 장치에 의해 섬유 가닥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다. 편물 위치로 이송되기 위한 섬유 가닥은 특별히 높은 인장력을 가질 필요는 없으므로, 낮은 수준으로 섬유 가닥을 꼬는 것으로 충분하다. 꼬는 것은 에어제트(airjet)를 사용함으로써 섬유 가닥에 아주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섬유 가닥이 편물기에서 편직물로 편직되었을 때에 편직물의 강도는 각각의 스티치(stitch)의 섬유 가닥의 매듭(plaiting)에 의해 확보된다. 섬유 가닥의 꼬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반대로 표준적인 편직물에 존재하는 실 꼬기(yarn twist)는 완성된 편직물에 더 "거친 감촉"을 가져온다. 보조적으로 꼬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특별히 바람직한데, 이는 편직 공정 중에 섬유 가닥의 이송 안정성을 위해 적용되는 꼬기가 편물 위치에서 다시 풀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보조 실, 예를 들어 엘라스틴사(elastin thread)가 인출기의 섬유 가닥에 공급될 수 있다. 보조사는 인출기로부터 편물 위치로 향하는 섬유 가닥의 이송을 보조하고, 또한 제조된 편직물의 특징을 특별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기술된 공정은 또한 직접 편직(direct-knitting) 또는 방사 편직(spin-knitting)으로 불린다.
이와 같은 유형의 기능의 장치들에서 인출기들은 상대적으로 빠른 공급 속도에 놓인다. 그로 인해 주변 공기가 고속의 주변 속도(peripheral speed)로 회전하는 공급 롤러에 의해 취해진다. 그리하여 공급 롤러의 원주 방향을 향하는 공기 흐름을 일으킨다. 공기 흐름은 공급 인취(引取) 라인(nipping line)에 의해 끊어진다. 두 개의 공급 롤러들 사이의 쐐기 형상의 간격에 공기가 계속 공급되어, 한편으로는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빠져나가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유입되는 섬유 가닥의 이동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도 흐를 수 있다. 이로써 발생되는 공기의 와류(渦流)는 섬유의 흐름에 교란을 야기하며 인출되는 섬유 가닥에 심한 수준의 불균일을 야기한다. 편직물(knitted fabric)의 품질은 섬유 가닥의 불균일로 인해 저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러 쌍의 홈이 형성된 바닥 롤러는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 흐름의 발생에 상당한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 41 32 919 A1호로부터 방적 장치를 위한 인출기가 알려져 있다. 인출기에는 공급 롤러들을 위해 부분 케이스가 구비된다. 상술한 부분 케이스의 기능은, 공급 인취 라인의 상류의 쐐기 형상 간격에 설치되는 컨덴서와 관련하여, 롤러에 의해 취해지는 공기가 섬유 가닥에 전혀 작용하지 않게 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한의 작용만을 하게 함과 아울러 섬유 가닥이 동시에 최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공기 흐름들에 대한 영향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흡입 흐름을 위한 통로들이 케이스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 103 15 933 A1호로부터 방적 공장용 이중 에이프런(double-apron) 인출기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서는 공급 롤러 쌍들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구비된다. 기술된 인출기는 공급 롤러 쌍의 상류에 설치되는 에이프런 쌍을 구비한다. 에이프런 쌍은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 섬유 가닥을 안내함과 아울러 인취 라인과 함께 동일한 쐐기 형상의 간격을 형성한다.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공급 인취 라인과 에이프런 쌍에 의해 형성되는 쐐기 형상의 간격의 외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공급 롤러 쌍과 에이프런 쌍에 아주 근접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인출기를 개량하고, 장치에서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에 의한 섬유 가닥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공급 인취 (引取) 라인(nipping line)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공급 롤러 쌍에 아주 근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방사 편직(spin-knitting)을 위한 장치에서, 회전하는 공급 롤러 쌍의 고속 원주 속도로 인해 발생되는 공기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섬유 가닥 생성 중의 결함도 방지할 수 있다.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은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부터 공기 흐름들을 이격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섬유 가닥을 위한 공급 롤러 쌍의 상류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컨덴서 또는 안내 에이프런과 같은 안내 장치들의 기능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장치들이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완전히 공압적으로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흡입기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완전히 공압적으로 기능하며,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흡입하는 장치들은, 공급 롤러 쌍을 둘러싸는 공기가 많은 먼지와 폐기 섬유를 가지고 있는 공기 조건에서도 신뢰성있게 작동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공압 장치들은 사실상 공급 인취 라인의 상류의 임계 영역에서 흡입 흐름을 발생하는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흡입 흐름은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정도의 양으로 흐른다. 흡입기의 입구부는 이로써 공급 롤러 쌍의 외주에 대하여 흡입기가 먼지 또는 폐기 섬유에 의해 막히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에 흡입기에서 우세한 진공이 공급 롤러 쌍의 회전 속도 또는 원주 속도에 맞추어지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조정됨으로써 다른 공급 속도에서도 섬유 가닥의 결함이 항상 최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나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격리시키기 위해 완전히 공압적으로 기능하는 장치들은 큰 동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낮은 압력이 사용되고,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이로 인해 동력 소모의 감소에 기여하는 다른 실시예들이 바람직하다. 기계적으로 차단하는 부분들을 갖는 이와 같은 유형의 장치들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한 실시예에서는 에이프런 쌍이 공급 롤러 쌍의 상류에 설치된다. 상기 에이프런 쌍은 섬유 가닥을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 안내하며, 공급 인취 라인과 함께 쐐기 형상의 간격을 형성한다.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들은 이 쐐기 형상의 간격의 외측에 설치되지만, 공급 롤러 쌍과 에이프런 쌍에 아주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이프런 쌍을 빠져나오는 섬유 가닥은 특별히 결함을 일으키는 영향들에 취약하다. 그러므로 에이프런을 통해 섬유 가닥을 공급 인취 라인에 가능한 가깝게 안내함으로써, 섬유 가닥이 안내되지 않고 이동하는 거리가 아주 짧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들이 공급 인취 라인으로부터 너무 멀리 제거되지 않게 할 수 있고, 그리하여 물러난 공기 흐름들이 다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흐름들을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공급 인 취 라인으로부터 각각 측정되었을 때 공급 롤러 쌍의 롤러들의 대략 30도 내지 60도의 원주 영역에 베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한 조치들에 의해, 공급 롤러 쌍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에서 공기 흐름들의 경계층을 중단하기 위한 수단들을 구비하는 장치들을 제공하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롤러 쌍의 바닥 롤러에서 특별히 중요하다. 공기 흐름의 경계층은 수단들이 각각의 롤러에 대해 0.2 mm 보다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0.05 mm 보다도 더 가깝게 배치될 때 중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각 실시예에서 편물 위치에 할당된 각각의 인출기에 공기 흐름들의 경계층을 중단시키기 위한 분리 수단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인출기에서의 수단들이 최적으로 조정되어, 필요한 경우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수단들이 다수의 인접한 인출기들을 따라 연장됨으로서 다수의 필요한 요소들과 조립체의 복잡성을 감소시키도록 함이 또한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수단들은 할당된 롤러의 원주에 대해 이격되며, 바람직하게는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들은, 예를 들어 밀봉 간격(sealing gap)을 갖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 간격은 1 밀리미터의 수십분의 일까지 감소되거나, 필요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1 밀리미터의 수백분의 일까지 감소될 수 있다. 방사방향의 밀봉 간격의 감소가 증대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 흐름들이 줄어든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단들은 할당된 롤러의 원주와 접촉할 수 있다. 이는 그 자체로 공기 흐름들의 경계층이 확실히 제거되는 것과 같은 뛰어난 효과를 가져온다. 바람직하게는 할당된 롤러와 접촉하는 입구 또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는 안내 레일이 여기에 마련될 수 있다. 수단들은 또한 각각의 롤러에 배치되는 브러시(brush)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롤러에 접촉하는 미세한 모의 브러시는 공급 롤러 쌍의 상부 롤러에 특별히 유용하다.
공급 롤러 쌍과 접촉하는 수단들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 흐름들의 경계층이 가장 효과적으로 중단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특별히 섬유들이 공급 롤러 쌍의 롤러들에 달라붙고, 그리하여 롤러들과 함께 회전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고착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수단들이 흡입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기는 그 자체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의 경계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될 정도로 강력하지 않지만, 상술한 수단들의 차단 효과를 보조하며 찌꺼기 입자들이 거기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든 변형예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수단들의 결합으로 인해 흡입기에 필요한 동력 소모의 수준은 허용할만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출 공정(drafting process)이 중단되는 경우 수단들이 할당된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끼일 수도 있는 섬유들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섬유들의 적체가 계속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흡입기와의 결합에서 특별히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단들이 할당된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는 것은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선형 상승 운동 또는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경계층을 중단시키기 위한 이와 같은 수단들은 스프링 수단들에 대하여 작용하는 벨트에 의해 각각의 롤러로부터 멀어지도록 바람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 특징과 장점은 주로 개략적으로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표준적인 방사 생산(yarn production)의 긴 공정이 생략되면서 편직물이 제조되는 방사 편직(spin-knitting) 또는 직접 편직(direct-knitting)을 위한 장치를 아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장치는 필수적인 요소 부분들로서 표준적인 평면 편직기 또는 원형 편직기를 구비한다. 이로써 원형 편직기의 바늘 실린더(1)가 도 1에서 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편직 공정과는 대조적으로, 편직물은 바늘 실린더(1)에 공급되는 방사(紡絲; yarn)로부터 제작되지 않고, 바늘 실린더(1)에 아주 근접한 인출기들(3)로부터 생산되는, 대부분 꼬임이 방지된 섬유 가닥들(2)로부터 제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선에 의해 표시된 12개의 섬유 가닥들(2)을 위한 인출기들(3)은 인출기 조립체(4)와 병합되었다. 단순화를 위해, 인출 조립체(4)로부터 바늘 실린더(1)까지 풀리는 두 개의 섬유 가닥들(2), 즉 두 개의 외측 섬유 가닥들(2)만이 도시되었다.
각각의 인출기(3)에는 캔(6)으로부터 취해지는 연방(練紡, roving) 또는 슬라이버(sliver; 5) 형태의 섬유 재료가 공급된다. 또 다시 단순화를 위해 두 개의 외측 슬라이버(5)의 경로들만이 도시되었다.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다 수, 예를 들어 4 개의 인출기 조립체들(4)이 바늘 실린더(1)의 외주에 설치됨으로써 바늘 실 린더(1)가 섬유 가닥들(2)의 전체 둘레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캔(6)으로부터 인출기(3)를 지나 바늘 실린더(1)에까지 이르는 슬라이버(5)의 경로를 도시한다. 이로써 슬라이버(5)는 하나 또는 다수의 편향 롤러들(7) 위로 인출되어 섬유 이송 방향(A)으로 인출기(3)에 공급되고, 이로써 요구되는 정도로 미세하게 인출된다.
인출기(3)는 공지의 방식에서 복수 개의 롤러 쌍들로 구성되고, 이들의 각각의 쌍은 피동 바닥 롤러(8, 10, 12) 및 유연하게 바닥 롤러에 가압되는 상부 롤러(9, 11, 13)를 구비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 쌍들이 바닥 에이프런(14)과 상부 에이프런(15)과 같이 공지된 방식으로 에이프런들(14, 15)이 할당될 수 있는 에이프런 롤러 쌍들(10, 11)로 설계될 수 있다. 3 개의 실린더 인출기로서 도시된 인출기(3)의 실시예에 대해, 4 개 또는 5 개의 실린더 인출기도 또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바닥 롤러들(8, 10, 12)은 하나의 모터들에 의해 구동될 수 있거나, 적절한 이를 갖는 벨트(toothed belt) 또는 기어 전달장치들에 의해 조인트 구동 모터(1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인출 조립체(4)의 바닥 롤러들(8, 10, 12)을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속적이며 조인트 구동되는 바닥 실린더들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이송 방향(A)으로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피동 바닥 롤러들(8, 10, 12)에 의해, 인출기(3)는 그 배출구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미세한 섬유 가닥(2)을 생산한다. 섬유 가닥은 편물기(18)의 바늘 실린더(1) 상의 편물 위치(17)로 공급된다.
편물기(18)는 뜨개 바늘들(20)을 구비하는 바늘 실린더(1)를 회전 방향(B)으 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모터(19)를 구비한다. 구동 모터들(16, 19)은 제어기(25)에 연결되어, 제어기에 의해 작동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꼬는 장치들(21)이 인출기(3)의 전방 롤러 쌍(12, 13)과 편물 위치(17)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 롤러 쌍과 편물 위치 사이의 간격에 따라 꼬는 장치들(21)은 필수적으로 평행한 섬유들을 포함하는 섬유 가닥(2)에 편물 위치(17)로 이송되기 위한 충분한 인장력을 부여한다. 이에 섬유 가닥(2)에 보조적인 꼬임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가닥은 편물 위치(17)에서 다시 풀리고, 그리하여 섬유들은 본질적으로 서로 서로 평행한 위치로 복귀하여, 뜨개 바늘들(20)에 의해 제조되는 편직물에 감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인해 감촉이 아주 부드럽고 고도로 편안한 착용감을 갖는 편직물이 만들어진다.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꼬는 튜브들 또는 공압적으로 작동하는 꼬는 노즐들(22)이 꼬는 장치들(21)로서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부들에 하나의 꼬는 노즐(22)을 각각 갖는 두 개의 방사 튜브들(23)이 구비된다.
또한 보조실(24)이 인출기(3)의 공급 롤러 쌍(12, 13)의 상류 또는 하류에 공급되어, 인출기(3)로부터 편물 위치(17)로 향하는 섬유 가닥(2)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이 보조실(24)은 예를 들어 엘라스틴 필라멘트(elastin filament)일 수 있어, 제조되는 편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급 롤러 쌍(12, 13)과 꼬는 장치(21)의 사이에 흡입 튜브(26)가 설치된다. 흡입 튜브(26)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진공 공급원에 연결된다. 흡입 튜브(26)는 섬유 가닥(2)이 편물 위치(17)로 더 이상 적절히 이송되지 않을 때 공급 롤러 쌍(12, 13)으로부터 섬유 재료를 흡입한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라 장치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급 롤러 쌍들(12, 13)에 아주 근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장치들은 공급 롤러 쌍(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을 공급 롤러 쌍(12, 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급 인취 라인(29)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로써 장치들은 바닥 에이프런(14)의 바닥 롤러(12)를 향하는, 그리고 상부 에이프런(15)의 상부 롤러(13)를 향하는 쐐기 형상의 유입 간격 내에서 27과 28로 표시된 장소들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그 다음의 도 3과 도 4는 이제 확대된 치수로 인출기(3)를 도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이 어떻게 이와 같은 쐐기 형상의 유입 간격들(27, 28)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이는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유연하게 가압되는 상부 롤러들(9, 11, 13)이 가압되는 피동 바닥 롤러들(8, 10, 12)도 에이프런들(14, 15)과 같이 쉽게 식별될 수 있다.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은 화살표들(C)로 표시된다.
편향기들(deflecting devices; 30, 31)을 구비하는 에이프런 쌍(14, 15)이 각각의 롤러(12, 13)의 원주(32, 33)에 가능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편물 위치(17)에 공급되는 섬유 가닥들(2)의 품질과 평탄도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장치가 공급 롤러 쌍(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C)을 반드시 중단시키지는 않지만, 섬유 가닥(34)이 공급 인취 라인(29)의 상류에서 아주 짧은 거리에서만 안내되지 않을 정도로 에이프런 쌍(14, 15)에서 나와 인출기 의 배출구로부터 롤러(12, 13)의 원주를 향하며 인출기(3)에서 인출되는 섬유 가닥(34)의 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특별히 강한 인출을 위해서 대단히 중요하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공기 흐름(C)이 공급 인취 라인(29)에서 중단되면, 그로 인해 임계 영역 내에서의 섬유 가닥(34)의 흐름을 분열시키는 공기 와류가 발생된다. 이로써 에이프런 쌍(14, 15)과 공급 인취 라인(29)의 사이의 쐐기 형상의 간격(35)은 특별히 임계적이다. 이는 여기에서 섬유 가닥(34)은 이미 아주 얇은 섬유 가닥으로 인출되어, 그에 대응되는 낮은 수준의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공급 롤러들(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C)이 쐐기 형상의 간격(35)의 영역 내에서 공급 롤러들(12, 13)의 축 방향으로 흘러나감으로써 섬유 가닥(34)을 측면으로 불어버리거나 또는 심지어 섬유 이송 방향(A)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용돌이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에이프런 쌍(14, 15)을 공급 롤러 쌍(12, 13)의 각각의 원주에 대하여 가깝게 배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그럼에도 다른 한편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 와류들을 피하기 위해서는, 장치들(27, 28)이 쐐기 형상의 간격(35)의 외측에 설치되되 공급 롤러 쌍(12, 13)과 에이프런 쌍(14, 15)에 아주 근접하게 설치된다. 여기에 적용되는 수단들은 가능하다면 롤러(12, 13)의 적어도 하나의 공기 흐름(C)의 경계층을 파괴할 수 있어야 한다.
도 3에 따르면 안내 실드(guiding shield; 36, 37)가 공급 롤러 쌍(12, 13)의 바닥 롤러(12)와 상부 롤러(13)에 적용된다. 안내 실드(36, 37)와 각각의 롤 러(12, 13)의 원주(32, 33)의 사이에는 아주 좁은 밀봉 간격(sealing gap; 38, 39)이 존재한다. 밀봉 간격은 0.2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0.05 mm 보다도 작다. 또한 이들 안내 실드들(36, 37)은 바닥 안내 실드(36)의 경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입은 한편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공기 흐름들(C)의 경계층을 제거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롤러(12, 13)와 함께 회전하는 폐섬유도 동시에 흡입되어 공급 인취 라인(29)으로 다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인접하는 인출기들(3)이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그리고 바닥 롤러들(8, 10, 12)의 구동 개념에 따라, 편물 위치(17)에 할당된 각각의 인출기(3)에 분리 안내 실드들(36, 37)이 마련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다수의 인출기들(3)을 따라 안내 실드들(36, 37)이 연장될 수 있다. 안내 실드들이 다수의 인출기들을 따라 연장되면, 흡입기(40)도 또한 다수의 인접하는 인출기들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로 설계될 수 있다.
밀봉 간격들(38, 39)에 섬유가 적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편물 공정이 중단되는 경우 안내 실드들(36, 37)이 할당된 롤러(12, 13)로부터 약간 멀어지는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안내 실드(36)를 위하여 이동 기능을 병합한 실시예가 예로 제시된다. 안내 실드(36)는 스프링 수단들(41)에 대하여 작용하는 밸트(42)에 의해 이동 방향(D)을 향하여 공급 롤러(1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어 공급 롤러(12)로부터 수 밀리미터 이격되는 간격에 이른다.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스토퍼(stopper; 43)가 안내 실드(36)에 설치된다. 스토퍼는 안내 실드(36)를 원래 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벨트(42)가 해제되었을 때 밀봉 간격(38)의 설정 폭을 다시 설정한다.
도 4에 따르면, 롤러들(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C)의 경계층을 중단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롤러들의 원주(32, 33)에 배치된다. 바닥 롤러(12)의 경우, 탄성이 있으며 조정 가능한 레일(44)이 마련되어 흡입기(45)에 번갈아 연결된다.레일(44)은 이로써 지렛대로 작용하는 축(46) 상에 지지되어, 회전 방향(E)을 향하며 롤러(1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끼인 섬유들은 해제되어 흡입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부 롤러(13)의 경우에는 아주 미세한 모를 갖는 브러쉬(47)가 마련된다. 롤러들(12, 13) 모두에 대해서는 상술한 수단들(44, 47)의 각각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공급 롤러 쌍(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C)을 완전히 공압적으로 공급 인취 라인(29)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공급 롤러 쌍(12, 13)에 설치되는 장치(49)가 도 5에 예시로 도시되었다. 장치(49)는 흡입기(50)를 구비할 수 있다. 흡입기는 예를 들어 흡입 통로 또는 흡입 튜브(51)의 입구에 의해 형성된다. 흡입기(50)는 진공에 연결되어, 공급 인취 라인(29)의 상류 영역에서 바닥 롤러(12)와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C)에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화살표(F)로 표시된 흡입 흐름을 발생시킨다. 흡입 흐름(F)의 속도를 공급 롤러 쌍(12, 13)의 원주 속도에 맞추어 공급 인취 라인(29)의 상류 영역에서 흐름들(F, C)이 서로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섬유 가닥(34)의 분열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특별히 바람직하다. 흡입기(50)의 진공이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흡입 흐 름(F)이 변화하는 공기 흐름들(C)(공기 흐름의 변화는 공급 롤러 쌍(12, 13)의 변화하는 속도에 의해 발생한다.)에 적합하도록 조절됨으로써 섬유 가닥(34)이 항상 최적으로 보호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흡입 튜브(51)의 개구부와 공급 롤러(12)의 원주(32)의 사이의 간격(52)은 먼지나 폐섬유들에 의해 막히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장치들이 공급 롤러 쌍(12, 13)의 상부 롤러(13) 뿐만 아니라 바닥 롤러(12)에 할당될 수 있고, 이들 수단들은 서로 결합되거나, 교환될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권하는 바이다. 그리고 쉽게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치는 실험에 의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인출기가 개량되어, 장치에서 공급 롤러 쌍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에 의한 섬유 가닥의 교란이 방지된다.

Claims (10)

  1. 편물기(knitting device)를 구비하는 편직물(knitted fabric)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편물기(18)는 뜨개 바늘들(20)과 적어도 하나의 편물 위치(17)를 구비하고, 장치는 편물 위치(17)의 상류에 설치되어 섬유 가닥(34)을 인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출기(3)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기(3)는 공급 인취(引取) 라인(29; nipping line)을 형성하는 공급 롤러 쌍(12, 13)을 구비하고, 공급 롤러 쌍(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C)을 공급 인취 라인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장치들(27, 28, 49)이 공급 롤러 쌍(12, 13)에 바로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들(49)은 공급 롤러 쌍(12, 13)과 함께 회전하는 공기 흐름들(C)을 완전히 공압적으로 공급 인취 라인(29)의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흡입기(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 가닥(34)을 공급 인취 라인(29)의 영역으로 안내하는 에이프런(apron) 쌍(14, 15)이 공급 롤러 쌍(12, 13)의 상류에 설치되고, 에이프런 쌍(14, 15)은 상기 공급 롤러 쌍(12, 13)과 쐐기 형상의 간격(35)을 형성하고, 장치들(27, 28)은 이 쐐기 형상의 간격(35)의 외측에 설치되지만, 공급 롤러 쌍(12, 13)과 에이프런 쌍(14, 15)에 바로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장치들(27, 28)은 공급 롤러 쌍(12, 13)의 적어도 하나의 롤러(12; 13)의 공기 흐름(C)의 경계층을 중단시키기 위한 수단들(36, 37, 40; 44, 45, 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분리 수단들(36, 37, 40; 44, 45, 47)이 편물 위치(17)에 설치되는 각각의 인출기(3)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분리 수단들(36, 37, 40; 44, 45, 47)은 다수의 인접하는 인출기들(3)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단들(44; 47)은 할당된 롤러(12; 13)의 원주(32; 33)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단들(36; 37)과 할당된 롤러(12; 13)의 원주(32; 33)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단들은 흡입기(40; 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물 공정(knitting process)이 중단된 경우에, 수단들(36, 37, 40; 44, 45, 47)은 할당된 롤러(12; 13)로부터 약간 멀어지는 간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20060086950A 2005-09-08 2006-09-08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9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4082.7 2005-09-08
DE102005044082A DE102005044082A1 (de) 2005-09-08 2005-09-08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97A true KR20070029097A (ko) 2007-03-13

Family

ID=3776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950A KR20070029097A (ko) 2005-09-08 2006-09-08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007070795A (ko)
KR (1) KR20070029097A (ko)
CN (1) CN1928183A (ko)
DE (1) DE102005044082A1 (ko)
IT (1) ITMI20061653A1 (ko)
TR (1) TR200604882A2 (ko)
TW (1) TW2007285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27B1 (ko) * 2007-06-14 2015-03-03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20150080483A (ko) * 2012-09-24 2015-07-09 레인하르드 쾨니그 이중 접힘 연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9870A1 (de) 2007-08-21 2009-02-26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Fasermaterial zwischen einem Streckwerk und einer maschenbildenden Maschine und damit ausgerüstete Rundstrickmaschine
DE102011053396B3 (de) * 2011-09-08 2012-08-23 Terro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727B1 (ko) * 2007-06-14 2015-03-03 레인하르드 쾨니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섬유 재료를 이용하여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KR20150080483A (ko) * 2012-09-24 2015-07-09 레인하르드 쾨니그 이중 접힘 연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8536A (en) 2007-08-01
TR200604882A3 (tr) 2007-04-24
DE102005044082A1 (de) 2007-03-15
CN1928183A (zh) 2007-03-14
JP2007070795A (ja) 2007-03-22
ITMI20061653A1 (it) 2007-03-09
TR200604882A2 (tr)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060B1 (en) Method and spinn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ore yarn
US937160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US20080190089A1 (en) Airjet Spinning Arrangement
JP2013049932A (ja) 紡績機
KR20060136324A (ko) 편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70000354A (ko) 편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70029097A (ko)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6207369B2 (ja) 空気紡績装置
TWI472657B (zh) 針織機以及從粗紗產生針織物的方法
EP3156526B1 (en) Hollow guide shaft, air-jet spinning device, and textile machinery
US6298523B1 (en) Apparatus for condensing a fiber strand and a method of making yarn using same
JP4163480B2 (ja) コアヤーンを製造するための精紡機
JP2008174895A (ja) 繊維バンドリング装置のための吸引チャネル
KR101393360B1 (ko) 편직물 제조장치
CN110791843A (zh) 用于纺纱机的牵伸系统单元和牵伸系统
KR100555188B1 (ko) 방사 기계의 섬유속 집속 장치
EP2151514A1 (en) Fiber bundle collecting device for spinning machine
JP2016030887A (ja) 空気紡績された糸を製造する方法
US8695169B2 (en) Drawing frame having a guide table for a guide apron
JPH11315423A (ja) 糸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精紡機
KR20040025574A (ko) 방사기의 섬유속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링 방사 프레임
US7328569B2 (en) Arrangement for producing a spun thread from a staple fiber strand
CN111465728B (zh) 用于纺纱机的具有集聚机构的牵伸装置
US4175371A (en) Broken end-collect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486061B2 (en) Compa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