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902A -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902A
KR20070041902A KR1020050097527A KR20050097527A KR20070041902A KR 20070041902 A KR20070041902 A KR 20070041902A KR 1020050097527 A KR1020050097527 A KR 1020050097527A KR 20050097527 A KR20050097527 A KR 20050097527A KR 20070041902 A KR20070041902 A KR 2007004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ituation mushroom
mushrooms
mushroom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문식
배민정
이연희
민경진
경진주
조희정
Original Assignee
서안동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안동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서안동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05009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902A/ko
Publication of KR2007004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이 함유된 천일염으로 절임을 하고, 상황버섯이 함유된 젓갈과 상황버섯이 함유된 양념으로 김치를 제조함에 따라, 균형된 영양공급과 체질개선 및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김치의 발효속도를 줄여 신선도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상황버섯, 김치, 신선도, 항암작용, 성인병

Description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Kimchi contained sanghwang mushroom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황버섯이 함유된 천일염으로 절임을 하고, 상황버섯이 함유된 젓갈과 상황버섯이 함유된 양념으로 김치를 제조함에 따라, 균형된 영양공급과 체질개선 및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김치의 발효속도를 줄여 신선도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영양성분과 발효식품인 김치가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러한 김치는 우리에게 친숙한 배추김치, 맛김치, 깍두기, 오이김치, 물김치, 총각김치, 갓김치, 고들빼기김치, 나박김치, 더덕김치, 열무김치 등이 있으며, 햇도라지김치, 부추젓김치, 홍어썩박지, 대구썩박지, 오징어썩박지, 통대구김치, 근대김치, 포도잎 절임, 무청젓버무리 등 다양한 김치가 있다.
특히, 이러한 김치는 주 원료로 사용되는 채소에 함유된 칼슘, 구리, 인, 철분, 소금 등은 인체에 필요한 염분과 무기질을 함유하므로 체질을 약 알카리성으로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물성 젓갈에서는 아미노산을 얻어 쌀을 비롯한 곡물류에서 부족한 단백질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김치가 익으면서 새우젓, 멸치젓, 황석이젓 등의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면서 뼈도 녹기 때문에 칼슘의 공급원이 되고, 다 익은 김치는 유기산, 알코올, 에스텔을 생산하여 유산균 발효 식품으로 식욕을 증진시키며, 익어가면서 번식된 유산균은 창자의 다른 유해균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으며,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B1(Thiamin)의 흡수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채소에 풍부한 섬유소를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 결장염 등의 질병을 억제하며, 각종 비타민을 공급하는데 특히 비타민C가 많고, 고추, 갓, 무우청, 파 같은 녹황색 채소가 많이 섞이면 비타민A가 많아진다.
따라서, 이를 종합해보면, 김치는 소화를 촉진시키고, 면역성을 강화시키며, 항균성, 소염성,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등의 질병예방이 있으며, 상처치료성, 혈중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질병회복 기능이 있고, 생체리듬을 조절하고 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한편, 상황버섯은 최근에 많이 알려진 약용버섯으로 종양저지율이 높은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진흙버섯류는 일반적으로 담자균문, 균심강, 민주름버섯목, 소나무 비늘버섯과에 속하는 진흙 버섯속(Phellinus)의 균류를 총칭하는 버섯으로 뽕나무 줄기에 자생하며, 황색을 띠움으로 상황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문헌에 나타나는 상황버섯의 일반성분은 수분 13.9%일 때, 조단백질이 18.4% 및 조지방은 9.0%였다.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당은 56.2g/100g 이었고, 환원당의 함량은 9.8g/100g 이었다. 무기질 함량을 보면, 칼륨(K)의 함량이 2.239g/kg, 인(P)이 1.006g/kg, 마그네슘(Mg), 칼슘(Ca) 순으로 나타났다.
망간(Mn), 아연(Zn), 알미늄(Al)은 미량 검출되었다. 이와 같이 무기질의 함량이 많으며 인체에 필요한 무기질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참고문헌 “암을 이기는 신비의 상황버섯 다당체”, 성낙계/성낙주/정영철. 북랜드,2005)
버섯(상황포함) 유래의 고분자 다당류들의 항암 및 면역 증강효과 등의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특이적 구조를 가지는 베타글루칸성 다당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은 40% 내외의 당과, 10~20%의 단백질로 구성되었으며, 다당류인 경우는 80~90%의 당과 10% 내외의 단백질로 조성되어 있으며, 구성당은 글루코모스가 주성분으로써 여러 가지 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의 경우는 아스필틴산, 글리신 및 글루타민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상황버섯의 약리 작용으로른 면역, 항암활성, 황산화 활성, 항돌연변이원심을 들 수 있다.(참고문헌 “ 암을 이기는 신비의 상황버섯 다당체”, 성낙계/성낙주/정영철. 북랜드,2005)
상기와 같이, 최근에는 김치의 효능을 해외에서도 인정을 받아, 김치의 해외 수출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점차로 중국산 수입김치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기능성 김치의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황버섯을 쉽게 복용할 수 있도록 상황버섯이 함유된 김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김치의 발효속도를 줄여 신선도를 오래도록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김치 주원료의 세척단계와; 상황버섯이 함유된 천일염으로 상기 김치 주원료를 소정의 시간동안 절이는 단계와; 상기 절여진 김치 주원료를 재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진 김치 주원료를 자연 탈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김치 주원료를 상황버섯이 함유된 젓갈과 상황버섯이 함유된 양념 및 상황버섯 찹쌀죽을 혼합하여 버무리는 단계와; 양념된 김치 주원료를 0℃~5℃의 온도에서 저온숙성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황버섯 찹쌀죽은 상황버섯 원형 그대로 또는 상황버섯 분말 또는 미세분말을 열처리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어느 하나에 찹쌀가루를 섞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황버섯의 함유량은 0.00001~50% 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김치 주원료는 일반적인 김치의 주원료가 모두 해당이 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예시해 보면, 배추, 무, 오이, 씀바귀, 돗나물, 더덕, 양파, 파, 쪽파, 미나리, 콩나물, 쑥갓, 호박, 고추, 가지, 고구마순, 가지, 고들빼기, 박, 마늘줄기, 생강, 고춧잎, 순무, 콩잎, 우엉, 근대, 무말랭이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제조하고자 하는 김치의 주원료를 먼저 선정한 후, 이를 깨끗이 세척을 하는 바, 흙과 먹을 수 없는 겉잎 및 뿌리부분 등의 이물질은 미리 제거한다. 이때, 세척은 보통 3회 이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척된 김치 주원료를 상황버섯이 함유된 천일염으로 일반적인 김치 제조방법과 같이 소정의 시간동안 절이게 되며, 절여진 김치 주원료는 숨이 죽고, 삼투압 작용에 의해 염분과 상황버섯의 유용성분이 김치 주원료 속으로 침투하게 된다.
절여진 김치 주원료는 다시 재차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때는 김치 주원료 표면에 묻어 있는 염분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세척된 김치 주원료는 자연 탈수를 시켜 물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이렇게 준비된 김치 주원료에 상황버섯이 함유된 젓갈과, 상황버섯이 함유된 양념 및 상황버섯이 함유된 찹쌀죽을 혼합한 김치속을 만들어 버무림으로써, 본 발명의 김치를 제조한다.
상기 젓갈은 상황버섯을 함유하는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굴젓, 새우액젓, 오징어젓, 대구아가미젓 등을 사용하며, 양념은 고춧가루, 생새우, 마늘, 생강, 쪽파, 건고추, 무채 등에 상황버섯을 함유하며, 찹쌀죽은 찹쌀 또는 찹쌀가루와 상황버섯을 잘 섞어 제조한다.
이때, 상기 상황버섯의 혼합량은 약 0.00001~50% 정도가 바람직한 바, 상황버섯이 너무 적으면 상황버섯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없으며, 너무 진하면 김치 고유의 맛과 향이 감소하고 숙성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황버섯을 첨가하는 방법으로는 상황버섯을 원형 그대로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거나, 분말화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거나, 분말 또는 미세분말을 열처리하여 추출한 추출액 등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황버섯 추출액과 찹쌀가루를 잘 섞어 혼합하여 찹쌀죽을 만들고, 상기 찹쌀죽을 여러 양념과 섞어 혼합한 후, 이를 김치 주원료에 잘 버무림으로써, 각종 양념성분과 상황버섯의 기능성분이 잘 흡수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김치를 약 0℃~5℃의 온도에서 저온숙성을 실시하여 김치의 맛과 신선도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김치 고유의 영양성분 이외에 단백질, 고분자 다당류(글루칸), 칼륨(K), 인(P), 마그네슘(Mg), 칼슘(Ca), 망간(Mn), 아연(Zn), 알미늄(Al)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 상황버섯을 함유함으로써, 발암물질, 방사선물질과 중금속의 제거작용, 임의 전이 억제,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흡수억제와 조정, 혈압 강하 작용, 빈혈개선, 신기능개선 작용, 칼슘 흡수 촉진 작용, 류마티스, 교원병의 개선 작용, 뇨신 대사조절, 통풍방지 작용, 항균 구취방지 작용을 하는 기능성 김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김치의 발효속도를 느리게 해주므로서 김치의 신선도를 좀 더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4)

  1. 김치 주원료의 세척단계와;
    상황버섯이 함유된 천일염으로 상기 김치 주원료를 소정의 시간동안 절이는 단계와;
    상기 절여진 김치 주원료를 재차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진 김치 주원료를 자연 탈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수된 김치 주원료를 상황버섯이 함유된 젓갈과 상황버섯이 함유된 양념 및 상황버섯 찹쌀죽을 혼합하여 버무리는 단계와;
    양념된 김치 주원료를 0℃~5℃의 온도에서 저온숙성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찹쌀죽은 상황버섯 원형 그대로 또는 상황버섯 분말 또는 미세분말을 열처리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어느 하나에 찹쌀가루를 섞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의 함유량은 0.0000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KR1020050097527A 2005-10-17 2005-10-17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1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27A KR20070041902A (ko) 2005-10-17 2005-10-17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527A KR20070041902A (ko) 2005-10-17 2005-10-17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902A true KR20070041902A (ko) 2007-04-20

Family

ID=3817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527A KR20070041902A (ko) 2005-10-17 2005-10-17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9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95B1 (ko) * 2007-12-20 2008-08-13 서안동농업협동조합 상황버섯 추출액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101039589B1 (ko) * 2010-10-12 2011-06-13 권태선 통풍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895B1 (ko) * 2007-12-20 2008-08-13 서안동농업협동조합 상황버섯 추출액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101039589B1 (ko) * 2010-10-12 2011-06-13 권태선 통풍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654B1 (ko)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KR20130128580A (ko) 마늘 발효 효소를 이용한 김치제조 방법
KR101699823B1 (ko) 장기간 보관 가능한 김치 제조방법
KR100971525B1 (ko) 황태채가 포함된 김치양념 및 이를 이용한 황태김치
KR101342092B1 (ko) 천연물 추출액을 사용한 오리 훈연제품의 제조 방법
KR20110116444A (ko) 다이어트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688B1 (ko) 우엉이 첨가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6252B1 (ko) 연근을 사용한 김치 제조 방법
KR20160067347A (ko) 매운탕용 양념의 제조방법
KR20070041902A (ko) 상황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4893A (ko) 가공 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2560B1 (ko) 어린이용 배추김치와 그 제조방법
US2018013999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ushroom kimchi, and the mushroom kimchi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1427359B1 (ko) 상황버섯과 헛개나무 및 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김치속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KR101702744B1 (ko) 영양성분이 향상된 김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김치
JP5715286B1 (ja) 無塩梅干しの製造方法
KR100895409B1 (ko) 버섯 육수를 이용한 버섯김치의 제조방법
KR20110123905A (ko) 해산물을 이용한 김치양념 조성물
KR100869408B1 (ko) 매실을 첨가한 호두 고추장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201987B1 (ko) 다시마 밥을 제조하기 위한 기능성 다시마 제품 제조방법
KR101582669B1 (ko) 라면용 홍게 육수의 제조방법 및 그 라면용 홍게 육수
KR20070042813A (ko) 우렁이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31198B1 (ko) 대게를 포함하는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0042A (ko) 저장성이 강화된 저염 김치의 제조방법
KR101130623B1 (ko) 전복김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