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743A -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743A
KR20070041743A KR1020077003094A KR20077003094A KR20070041743A KR 20070041743 A KR20070041743 A KR 20070041743A KR 1020077003094 A KR1020077003094 A KR 1020077003094A KR 20077003094 A KR20077003094 A KR 20077003094A KR 20070041743 A KR20070041743 A KR 2007004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levator
unit
door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612B1 (ko
Inventor
토시오 마스다
마사히로 시카이
히로유키 가와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에는,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장치는, 피검출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처리부를 가지고 있다. 측정부는, 발광부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와,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결상 위치 검출부를 가지고 있다. 처리부는, 측정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검출 영역에 있어서의 피검출체의 유무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DOORWAY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승강장의 승객 등을 검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폐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승객이 가까워진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발신기(發信器)가 한쪽 도어에 설치되고, 수신기가 다른 한쪽 도어에 설치된 것이 있다. 발신기는, 적외선 광을 승강장 측으로 조사(照射)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기는, 발신기로부터의 적외선 광이 승강장의 승객에 의해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을 받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수신기가 받는 광량이 설정치를 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로의 승객의 접근이 검출된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허 제308893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예를 들면 의복 등에 의해 승객의 반사율이 낮은 경우에는, 승객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접근하여도, 승객으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량이 부족하여,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로의 승객의 접근을 검출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또, 수신기는 승객으로부터의 반사광뿐만이 아니라 외란광(外亂光)도 받으므로, 외란광에 의해 수신기가 받는 광량이 증대해 버려, 오작동해 버리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피(被)검출체를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는, 발광부(發光部)와,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을 결상(結像)하기 위한 결상 광학계와,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결상 위치 검출부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된 측정부, 및 결상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피검출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가 탑재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폭 방향에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개폐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1)에 탑재된 도어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왕복 운동된다.
각 층에는, 한 쌍의 승강장의 도어(5)에 의해 개폐되는 승강장 출입구(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의 도어(5)는, 엘리베이터 칸(2)의 각 층으로의 착상(着 床)시에, 맞물림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대해서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승강장의 도어(5)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와의 맞물림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와 함께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승강장의 도어(5)는, 승강장 출입구(6)의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승강장 출입구(6)는, 각 승강장의 도어(5)의 왕복 운동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2)의 착상시에 엘리베이터 칸(2) 내 및 승강장(8)을 서로 연통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 및 승강장 출입구(6)를 가지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를 개폐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10)는,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 및 승강장의 도어(5)를 가지고 있다.
한 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힘 쪽 단부에는, 피검출체인 승객(11)을 비접촉으로 검출 가능한 검출 장치(거리 센서)(12)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장치(12)는, 승객(11)이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승객(11)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정의 검출 영역은, 승강장(8)에 설정되어 있다.
검출 장치(12)는, 승객(11)과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13)와 측정부(13)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승객(11)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부(14)를 가지고 있다.
측정부(13)는, 예를 들면 적외선이나 가시 광선 등의 광을 측정광(15)으로 하여 승강장(8) 측으로 조사하는 발광 소자인 발광부(16)와, 발광부(16)로부터의 광이 승객(11)에 의해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17)을 결상하기 위한 결상 광학계인 렌즈(18)와, 반사광(17)이 렌즈(18)에 의해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된 결상 위치 검출부(19)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발광부(16)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나 반도체 레이저, 혹은 발광 다이오드(또는 반도체 레이저)와 렌즈를 조합한 조사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또, 결상 위치 검출부(19)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검출 소자, 촬상 소자 혹은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array) 등을 들 수 있다. 측정광(15)은, 발광부(16)로부터 승강장(8) 측으로 상시 조사되고 있다. 또, 측정광(15)의 조사 방향은, 거의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다.
렌즈(18)는, 발광부(16)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한, 결상 위치 검출부(19)의 승강장(8) 측에 배치되어 있다. 승객(11)으로부터의 반사광(17)은, 렌즈(18)에 의해서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있어서의 반사광(17)의 결상점의 위치는, 승객(11)의 측정부(13)에 대한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결상 위치 검출부(19)는, 반사광(17)의 렌즈(18)에 의한 결상점의 위치를 검출하고,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검출 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있다. 즉, 결상 위치 검출부(19)는, 승객(11)의 측정부(13)에 대한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를 발생하게 되어 있다. 또, 결상 위치 검출부(19)는, 처리부(1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결상 위치 검출부(19)에서 발생하는 검출 신호는, 처리부(14)에 출력된다.
처리부(14)에는, 결상 위치 검출부(12)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위치 정보로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14)는, 입력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발광부(16)와 승객(11)과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치로서 구하는 연산부(20)와,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승객(11)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20)는, 결상 위치 검출부(19) 및 판정부(2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판정부(21)는,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이하일 때, 승객(11)이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연산치가 설정치를 넘어 있을 때, 승객(11)이 소정의 검출 영역 외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게 되어 있다. 판정부(21)는, 연산부(20)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 승객(11)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판정 정보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탑재되어 있다. 판정부(21)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는, 판정부(21)로부터의 판정 정보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승객(11)의 위치가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다라는 판정 정보를 판정부(21)로부터 받았을 때,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한다. 또,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승객(11)의 위치가 소정의 검출 영역 외에 있다라는 판정 정보를 판정부(21)로부터 받았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10)가 통상의 개폐 동작을 실시하도록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발광부(16)에서는, 측정광(15)이 승강장(8) 측으로 상시 조사되어 있다. 승객(11)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 광(15)이 승객(11)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은, 렌즈(18)에 의해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때의 반사광(17)의 결상점의 위치는, 승객(11)의 발광부(16)에 대한 위치에 따른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후, 반사광(17)의 결상점의 위치가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고,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위치 정보로서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연산부(20)에 출력된다. 이 후, 연산부(20)에서는,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되고, 발광부(16)와 승객(11)과의 사이의 거리가 연산치로서 구해진다. 이 후, 연산치의 정보가 연산부(20)로부터 판정부(21)에 출력된다.
이 후, 연산치의 정보가 판정부(21)에 입력된다. 판정부(21)에서는, 연산치가 설정치 이하인지 아닌지에 관하여 판정된다. 판정부(21)에서는, 연산치가 설정치 이하일 때, 승객(11)의 위치가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다고 판정되고, 연산치가 설정치를 넘어 있을 때, 승객(11)의 위치가 소정의 검출 영역 외에 있다고 판정된다.
이 후, 판정부(21)에 의해서 판정된 판정 정보는, 판정부(21)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출력된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승객(11)으로부터의 반사광(17)이 렌즈(18)에 의해 결상되고, 반사광(17)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를 결상 위치 검출부(19)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반사광(17)의 광량에 관계없이, 반사광(17)의 결상점의 위치에 근거하여 승객(1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것 에 의해, 승객(11)의 반사율이 낮고, 승객(11)으로부터 받는 반사광(17)의 광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도, 피검출체인 승객(11)을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렌즈(18)는, 발광부(1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서로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의 검출 장치인 상부 검출 장치(31) 및 하부 검출 장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검출 장치(31)는, 하부 검출 장치(3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검출 장치(31)는, 승강장(8)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고위(高位)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부 검출 장치(32)는, 고위 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저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높이 방향에 대한 검출 영역은, 상부 검출 장치(31)와 하부 검출 장치(32)로 서로 차이가 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고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는 침대(寢臺)(33)로 여겨지고, 저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는 대차(臺車)(34)로 되어 있다.
상부 검출 장치(31)는, 측정부(35)와, 측정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처리부(36)를 가지고 있다. 또, 하부 검출 장치(32)는, 측정부(37)와, 측정부(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처리부(38)를 가지고 있다.
측정부(35) 및 측정부(37)의 각각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의 측정부(13)의 구 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각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의 조사 방향만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즉, 측정광 15a는, 측정부(35)의 발광부(16)로부터 아래쪽으로 조사되고, 측정광 15b는, 측정부(37)의 발광부(16)로부터 아래쪽으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는, 측정광(15a)이 침대(33)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17a)이 결상된다. 측정부(35)에서는,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가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고,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검출 신호)가 위치 정보로서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6)에 출력된다.
처리부(36)는, 입력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발광부(16)와 침대(33)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는 연산부(20)와,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상부 검출 장치(31)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침대(33)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처리부(36)의 판정부(21)는, 입력된 연산치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이하일 때, 침대(33)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연산치가 설정치를 넘고 있을 때, 침대(33)가 소정의 검출 영역 외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36)의 판정부(21)는, 연산부(20)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 침대(33)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고위 판정 정보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측정부(37)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는, 측정광(15b)이 대차(34)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17b)이 결상된다. 측정부(37)에서는,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가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고,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검출 신호)가 위치 정보로서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8)에 출력된다.
처리부(38)는, 입력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발광부(16)와 대차(34)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는 연산부(20)와,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하부 검출 장치(32)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대차(34)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처리부(38)의 판정부(21)는, 입력된 연산치가 미리 설정된 설정치 이하일 때, 대차(34)가 소정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연산치가 설정치를 넘고 있을 때, 대차(34)가 소정의 검출 영역 외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38)의 판정부(21)는, 연산부(20)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 대차(34)의 유무에 대한 저위 판정 정보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처리부(36) 및 처리부(38)의 각각의 판정부(21)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처리부(36)로부터의 고위 판정 정보, 및 처리부(38)로부터의 저위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침대(33)만이 상부 검출 장치(31)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대차(34)만이 하부 검출 장치(32)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혹은 침대(33) 및 대차(34)의 각각이 상부 검출 장치(31) 및 하부 검출 장치(32)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에,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 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검출 장치(31)의 발광부(16)에서부터는 측정광(15a)이, 하부 검출 장치(32)의 발광부(16)에서부터는 측정광(15b)이 각각 승강장(8) 측의 아래쪽으로 상시 조사되고 있다.
침대(33)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a)이 침대(33)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a)은, 렌즈(18)에 의해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때의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는, 상부 검출 장치(31)의 발광부(16)에 대한 침대(33)의 위치에 따른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후, 측정부(35)에서는,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가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고,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6)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6)에서는,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실시 형태 1의 처리부(14)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침대(33)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고위 판정 정보가 처리부(36)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출력된다.
대차(34)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b)이 대차(34)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b)은, 렌즈(18)에 의해 측정부(37)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때의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는, 하부 검출 장치(32)의 발광부(16)에 대한 대차(34)의 위치에 따른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후, 측정부(37)에서는,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가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고,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8)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8)에서는, 측정부(37)의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실시 형태 1의 처리부(14)와 마찬가지로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대차(34)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저위 판정 정보가 처리부(38)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출력된다.
이 후, 고위 판정 정보 및 저위 판정 정보가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입력되면, 도어 구동 장치가 고위 판정 정보 및 저위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가 행해진다. 즉, 침대(33) 및 대차(34)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검출되었을 때,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는,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상부 검출 장치(31) 및 하부 검출 장치(32)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침대(33) 및 대차(34)와 같이 피검출체의 높이가 크게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침대(33) 및 대차(34)의 각각을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측정광(15a)이 상부 검출 장치(31)의 발광부(16)로부터 상시 조사되고, 측정광(15b)이 하부 검출 장치(32)의 발광부(16)로부터 상시 조사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부 검출 장치(31)의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15a)과, 하부 검출 장치(32)의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15b)이 도어 개폐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의 상부에는, 검출 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장치(41)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의 상부 검출 장치(31)의 구성과 같다. 즉, 검출 장치(41)는, 측정부(35) 및 처리부(36)를 가지고 있다.
측정부(35)의 발광부(16)는, 고위 검출 영역을 지난 후에 저위 검출 영역을 지나도록 측정광(15)을 조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 장치(41)는, 승강장(8)의 바닥면과 발광부(16)와의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고위 검출 영역, 및 고위 검출 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저위 검출 영역의 각각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검출체인 침대(33)가 고위 검출 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측정광(15)은 침대(33)에 의해 차폐(遮蔽)되고, 저위 검출 영역에는 이르지 않는다. 또, 측정부(35)의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15)은, 고위 검출 영역에 침대(33)가 있을 때, 침대(33)에 의해 반사광(17a)으로서 반사되고, 저위 검출 영역에만 피검출체인 대차(34)가 있을 때, 고위 검출 영역을 통과하여, 대차(34)에 의해 반사광(17b)으로서 반사된다. 반사광 17a 및 반사광 17b는,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는, 반사광 17a 및, 반사광 17b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를 위치 정보로서 처리부(36)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36)의 연산부(20)는,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하여 연산치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36)의 판정부(21)는,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고위 검출 영역 내 및 저위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피검출체(이 예에서는, 침대(33) 및 대차(34)의 어느 쪽이든)의 유무를 판정하고, 피검출체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판정 정보를 도어 개폐 제어 장치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출 장치(41)의 발광부(16)에서는, 측정광(15)이 승강장(8) 측의 아래쪽으로 상시 조사되어 있다.
침대(33)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이 침대(33)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a)이 렌즈(18)에 의해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또, 대차(34)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이 대차(34)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b)이 렌즈(18)에 의해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후,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위치 정보로서 측정부(35)의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6)에 출력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15)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조사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침대(33) 및 대차(34)와 같이 피검출체의 높이가 크게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침대(33) 및 대차(34)에 의해 측정광(15)을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침대(33) 및 대차(34)의 각각을 보다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고위 검출 영역의 침대(33) 및 저위 검출 영역의 대차(34)를 공통의 검출 장치(41)에 의해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장치(41)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 조 코스트를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이프티 슈(safety shoe)(51)가 설치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51)에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스위치는, 예를 들면 피검출체인 승객(11) 등이 세이프티 슈(51)에 맞닿으면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에 의해, 조작 신호가 스위치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출력된다. 도어 개폐 제어 장치는, 조작 신호의 입력에 의해,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51) 내에는, 실시 형태 1과 같은 구성의 검출 장치(12)가 탑재되어 있다. 세이프티 슈(51)의 승강장(8) 측의 부분은, 발광부(16)로부터의 측정광(15)이 승강장(8) 측으로 조사되도록 투명판으로 되어 있다. 투명판은, 플라스틱이나 유리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검출 장치(12)가 세이프티 슈(51) 내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검출 장치(12)에 의한 승객(11)의 검출에 더하여, 세이프티 슈(51)의 검출에 의해 승객(11)을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 는 종단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검출 장치(61)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장치(61)는, 측정부(62)와, 측정부(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처리부(36)를 가지고 있다. 측정부(62) 및 처리부(36)는,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고정된 공통의 지지체(66)에 설치되어 있다. 측정부(62)는, 복수의 발광부인 제 1 발광부(63) 및 제 2 발광부(64)와, 렌즈(18)와 결상 위치 검출부(19)를 가지고 있다.
렌즈(18), 결상 위치 검출부(19) 및 처리부(36)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렌즈(18), 결상 위치 검출부(19) 및 처리부(36)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발광부(63, 64)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발광부(16)와 동일한 발광 소자가 각각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발광부(63)는, 제 2 발광부(64)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제어장치)(5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발광부(63), 제 2 발광부(64) 및 처리부(36)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장치(65)는, 제 1 및 제 2 발광부(63, 64)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의 제어는, 제 1 발광부(63)를 발광시키고, 한편 제 2 발광부(64)의 발광을 정지시키는 제 1 제어 모드와, 제 2 발광부(64)를 발광시키고, 한편 제 1 발광부(63)의 발광을 정지시키는 제 2 제어 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발광부(63)가 발광하면, 제 1 발광부(63)로부터 승강장(8) 측으로 측정 광(15a)이 조사된다. 또, 제 2 발광부(64)가 발광하면, 제 2 발광부(64)로부터 승강장(8) 측으로 측정광(15b)이 조사된다.
검출 장치(61)는, 승강장(8)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고위 영역과, 고위 영역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저위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검출 장치(61)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고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저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검출 장치(61)의 높이 방향에 대한 검출 영역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로, 서로 차이가 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고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는 침대(33)로 여겨지고, 저위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는 대차(34)로 되어 있다.
또, 측정광(15a)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17a)과, 측정광(15b)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17b)은, 공통의 렌즈(18)에 의해 결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사광 17a의 결상점의 위치와, 반사광 17b의 결상점의 위치는, 공통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결상 위치 검출부(19)는, 반사광(17a) 및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검출 신호)를 위치 정보로서 처리부(36)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처리부(36)는, 연산부(20)와 판정부(21)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20)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입력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 여 제 1 발광부(63)와 피검출체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입력된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 2 발광부(64)와 피검출체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도록 되어 있다.
판정부(21)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고위 영역 내에 있어서의 침대(피검출체)(33)의 유무를 판정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저위 영역 내에 있어서의 대차(피검출체)(34)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판정부(21)는, 연산부(20)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한 피검출체의 검출의 유무에 대한 판정 정보를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출력하게 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장치(65)는, 판정부(21)로부터의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개폐 제어장치(65)는,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침대(33)가 고위 영역 내에 배치되었을 경우, 및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대차(34)가 저위 영역 내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도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의 제어에 의해 제 1 발광부(63)만이 발광하여, 측정광(15a)이 제 1 발광부(63)로부터 승강장(8) 측으로 조사된다.
침대(33)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a)이 침대(33)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a)은, 렌즈(18)에 의해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때의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는, 제 1 발광부(63)에 대한 침대(33)의 위치에 따른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후,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서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가 검출되고, 반사광(17a)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6)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6)에 있어서,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고위 영역에 있어서의 침대(33)의 유무에 대한 판정 정보(침대(33)가 고위 영역 내에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가 처리부(36)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6)로부터의 판정 정보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입력되고, 도어 구동장치가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의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 동작이 제어되고, 침대(33)가 고위 영역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된다.
한편,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는 경우,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의 제어에 의해 제 2 발광부(64)만이 발광하여, 측정광(15b)이 제 2 발광부(64)로부터 승강장(8) 측으로 조사된다.
대차(34)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에 가까워져, 측정광(15b)이 대차(34)에 의해 반사되면, 반사광(17b)은, 렌즈(18)에 의해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결상된다. 이 때의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는, 제 2 발광부(64)에 대한 대차(34)의 위치에 따른 위치로 되어 있다.
이 후,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서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가 검출되고,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검출 신호가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 처리부(36)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6)에 있어서,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이것에 의해, 저위 영역에 있어서의 대차(34)의 유무에 대한 판정 정보(대차(34)가 저위 영역 내에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정보)가 처리부(36)로부터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출력된다.
이 후, 처리부(36)로부터의 판정 정보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입력되고, 도어 구동장치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에 의해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 동작이 제어되고, 대차(34)가 저위 영역 내에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가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복수의 발광부(63, 64)가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설치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각 발광부(63, 64)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어, 각 발광부(63, 64)로부터의 광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 반사광의 결상을 공통의 렌즈(18)에 의해 실시하고,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의 검출을 공통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발광부(63, 64)의 발광에 의해 복수의 검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검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렌즈(18) 및 결상 위치 검출부(19)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6.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5에서는, 제 1 발광부(63)와 제 2 발광부(64)가 공통의 지지체(66)에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발광부(63)와 제 2 발광부(64)를 각각 별개의 지지체에 설치하여도 좋다. 즉, 도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제 1 지지체(67)와, 제 1 지지체(67)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제 2 지지체(6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체(67)에는, 제 1 발광부(63), 렌즈(18), 결상 위치 검출부(19) 및 처리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지지체(68)에는, 제 2 발광부(64)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도, 복수의 검출 영역을 확보하는 것에 의해 전체의 검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렌즈(18) 및 결상 위치 검출부(19)를 공통화하는 것에 의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6에서는, 제 1 지지체(67)와 제 2 지지체(68)가 공통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고정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제 1 지지체(67) 및 제 2 지지체(68)를 각각 고정하여도 좋다. 즉, 도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제 1 지지체(67)이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는, 제 2 지지체(6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체(67) 및 제 2 지지체(68)는, 승강장(8)의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높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1 지지체(67)에는, 제 1 발광부(63), 렌즈(18), 결상 위치 검출부(19) 및 처리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지지체(68)에는, 제 2 발광부(64)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장치(61)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 늘어서 설정된 오른쪽 폭 영역 및, 왼쪽 폭 영역의 각각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검출 장치(61)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제 1 발광부(63)만이 발광할 때)에, 오른쪽 폭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제 2 발광부(64)만이 발광할 때)에, 왼쪽 폭 영역에 배치되는 피검출체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폭 방향에 대한 검출 장치(61)의 검출 영역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와,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서, 서로 차이가 난다. 또한, 이 예에서는, 피검출체는, 침대(3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발광부(64) 및 렌즈(18)는,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발광부(64)의 렌즈(18)에 대한 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 동작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제 2 발광부(64)로부터의 측정광(15b)이 침대(33)에서 반사되었을 때, 침대(33)가 정지하고 있어도, 반사광(17b)의 결상점의 위치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 사이의 간격에 따라 변 화한다. 이것으로부터, 이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 사이의 거리를 도어 사이 거리 측정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측정하도록 하고, 각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 사이의 거리의 정보를 보정 정보로서 도어 사이 거리 측정 장치로부터 연산부(20)에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즉, 연산부(20)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발광부(63)와 피검출체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결상 위치 검출부(19)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도어 사이 거리 측정 장치로부터의 보정 정보의 각각에 기초하여 제 2 발광부(64)와 피검출체와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구하도록 되어 있다.
판정부(21)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오른쪽 폭 영역 내에 있어서의 침대(33)의 유무를 판정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연산부(20)에 의해 구해진 연산치에 근거하여 왼쪽 폭 영역 내에 있어서의 침대(33)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어 개폐 제어장치(65)는, 판정부(21)로부터의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개폐 제어장치(65)는, 제 1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침대(33)가 오른쪽 폭 영역 내에 배치되었을 경우, 및 제 2 제어 모드로 되어 있을 때 침대(33)가 왼쪽 폭 영역 내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도어 닫음 동작 중의 엘리베이터 도어(10)를 도어 열림 방향으로 반전 시키도록 도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서는, 복수의 발광부(63, 64)가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 개폐 제어장치(65)가 각 발광부(63, 64)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어, 각 발광부(63, 64)로부터의 광이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 반사광의 결상을 공통의 렌즈(18)에 의해 실시하고,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의 검출을 공통의 결상 위치 검출부(19)에 의해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발광부(63, 64)의 발광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출입구(9)의 폭 방향에 대한 복수의 검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검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렌즈(18) 및 결상 위치 검출부(19)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 5 ~ 7에서는, 발광부의 수는 2개로 되어 있지만, 발광부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검출 영역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전체의 검출 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또, 검출 영역의 세분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어, 피검출체를 더욱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설치되고 있지만, 승강장의 도어(5)에 검출 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 장치의 측정부 및 처리부가 일체로 되어 있지만, 처리부를 측정부에 대해서 분리하여도 좋다. 또, 측정부만을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4)에 설치하고, 처리부는 도어 개폐 제어 장치에 탑재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승강장의 승객 등을 검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승강장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피(被)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광을 결상(結像)하기 위한 결상 광학계와, 상기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결상 위치 검출부를 가지고,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된 측정부, 및
    상기 결상 위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검출 영역 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출체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측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은, 아래쪽으로 향하여 조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닫음 측 단부에 설치된 세이프 티 슈(safety shoe)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발광부가 공통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설치되고,
    각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며,
    각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 공통의 상기 결상 광학계가 상기 반사광을 결상하고, 공통의 상기 결상 위치 검출부가 상기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는, 복수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발광부가 서로 다른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에 각각 설치되며,
    각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
    각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상기 피검출체에서 반사되었을 때, 공통의 상기 결상 광학계가 상기 반사광을 결상하고, 공통의 상기 결상 위치 검출부가 상기 반사광의 결상점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KR1020077003094A 2004-08-18 2005-05-13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KR100869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4/011829 2004-08-18
PCT/JP2004/011829 WO2006018869A1 (ja) 2004-08-18 2004-08-18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743A true KR20070041743A (ko) 2007-04-19
KR100869612B1 KR100869612B1 (ko) 2008-11-21

Family

ID=3590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094A KR100869612B1 (ko) 2004-08-18 2005-05-13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69612B1 (ko)
CN (1) CN1984835A (ko)
WO (2) WO20060188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1753B (zh) * 2017-03-27 2021-11-05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监控电梯轿厢门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5291A (ja) * 1986-02-12 1987-08-13 Fujitsu Ltd 磁気テ−プ位置付け制御方式
JPS62185691A (ja) * 1986-02-13 1987-08-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ドアの安全装置
DE58904310D1 (de) * 1988-06-03 1993-06-17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tuerstellung einer automatischen tuer.
JPH0710440A (ja) * 1993-06-24 1995-01-13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間隔検出装置
US5925858A (en) * 1997-06-23 1999-07-20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US6626268B1 (en) * 2000-08-23 2003-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JP2002187685A (ja) * 2000-12-08 2002-07-02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JP4917203B2 (ja) * 2000-12-27 2012-04-1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検知ゾーン内にある物体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8920A1 (ja) 2006-02-23
WO2006018869A1 (ja) 2006-02-23
CN1984835A (zh) 2007-06-20
KR100869612B1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828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US8833524B2 (en) Monitoring device for safeguarding a driven element
EP1849740B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ift system
US8976125B2 (en) Oper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or control apparatus with improved approach sensing
KR10120876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CN107487676A (zh) 用于电梯操作的检测和控制系统
KR10121732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KR100869612B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구 장치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101210016B1 (ko) 슬라이드 도어장치 및 엘리베이터
JP3372887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JP4994841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2011037580A (ja)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KR101901411B1 (ko) 도어 어셈블리
JP633275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14199517A1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JP2009012940A (ja) 二重扉における障害物検出装置
JP2023179977A (ja) エレベータ
JP2016020253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停止位置判断方法
WO2024022868A1 (en)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system
JP2010048036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0118926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