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382A - 브레이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382A
KR20070041382A KR1020060099727A KR20060099727A KR20070041382A KR 20070041382 A KR20070041382 A KR 20070041382A KR 1020060099727 A KR1020060099727 A KR 1020060099727A KR 20060099727 A KR20060099727 A KR 20060099727A KR 20070041382 A KR20070041382 A KR 2007004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lock
block
solenoid valve
commercia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251B1 (ko
Inventor
마사타미 야마나카
카주노리 모리모토
오사무 아카마쯔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01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B60T8/1705Braking or traction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60T13/36Compressed-air systems direct, i.e. brakes applied directly by compressed air
    • B60T13/365Compressed-air systems direct, i.e. brakes applied directly by compressed air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36Other control devices or valves characterised by definite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35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제1유입 포트와 제2유입 포트와 공급 포트를 갖는 관 시트 블록(66)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제1유입 포트를 통과한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중계 밸브를 갖는 중계 밸브 블록(70)과, 중계 밸브를 제어하는 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72)과, 중계 밸브로부터의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와 제2유입 포트로부터의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를 공급 포트에 선택적으로 유통시키는 복식 체크밸브를 갖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68)과, 상용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94)를 구비한다. 관 시트 블록(66)에,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중계 밸브 블록(70) 및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제어장치{BREAK CONTROL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구성부품마다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설치되는 압축공기회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 4는, 개폐 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 차량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는, 브레이크 지령신호(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제어부와, 그 브레이크 지령신호에 따른 브레이크 지령압(공기압)을 출력하는 전자밸브와, 이 전자밸브가 출력하는 브레이크 지령압을 제어압으로 하 여, 이것에 기초하는 용량 증폭을 행하여 브레이크 실린더에 출력하는 중계 밸브를, 상용 브레이크 계통으로서 구비하고, 또한, 비상용 브레이크 계통으로서, 승객의 중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체 중량에 따른 압력변화를 발생시켜, 그 출력을 상기 중계 밸브에 제공하는 가변하중밸브(variable load valve)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0-272501호 공보 참조).
상기 공보에 개시된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밸브(101)의 밸브 본체(102)의 상측에 전자밸브(104)가 배치되고, 또한 그 상방에 압력제어부(10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압력제어부(106)는, 중계 밸브(101)의 밸브 본체(102)에 부착된 설치용 부재(10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는, 전자밸브(104)의 상방에 압력제어부(106)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자밸브(104)의 보수관리시에는 우선 압력제어부(106)를 떼어내어야만 하고, 이 때문에, 이 브레이크 제어장치에서는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가령 압력제어부(106)를 전자밸브(104)의 측방에 배치하거나 하여, 전자밸브(104)의 보수관리시에 압력제어부(106)를 떼어내지 않아도 되게 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한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하고, 또한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이 억제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 및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를 브레이크 실린더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로서, 상기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 포트와, 상기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 포트와,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통되는 공급 포트를 갖는 관 시트 블록과, 상기 제1유입 포트를 통과한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중계 밸브를 갖는 중계 밸브 블록과, 상기 중계 밸브를 제어하는 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과, 상기 중계 밸브로부터의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와 상기 제2유입 포트로부터의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 포트에 선택적으로 유통시키는 복식 체크밸브를 갖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과, 상기 상용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10)는, 철도 차량을 제동하기 위한 제어장치이고, 각 차축마다 설치되는 브레이크 실린더(12,12)(도 3 참조)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통을 제어한다. 이 브레이크 제어장치(10)에서는, 1개의 대차에 설치되는 2개의 차축을 제동하기 위해 이용되므로, 이 제어장치(10)에서는, 2개 의 브레이크 실린더(12,12)로의 압축공기의 유통 제어가 개별적으로 행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제어장치(10)는, 각이 진 통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싱(14)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4)에 있어서의 앞쪽측의 개구부(16)는, 개폐 덮개(17)(도 5 참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케이싱(14)에 있어서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측을 앞쪽측이라고 칭하고, 개구부(16)에 대향하는 쪽을 안쪽측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케이싱(14)에는, 앞쪽측으로부터 안쪽측에 걸쳐 연장되도록 연결 걸이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걸이부(18)는 케이싱(14)의 상면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 걸이부(18)를 체결부재에 의해 차량(도시생략)의 프레임 등에 체결함으로써, 케이싱(14)을 차량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싱(14) 내에는, 각종의 밸브 블록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각 밸브 블록에는, 압축공기의 유통 조정 등을 행하기 위한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축공기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원으로서의 탱크(20)로부터 압축공기회로(24)를 통해서 상기 양 브레이크 실린더(12,12)에 공급된다. 우선, 이 압축공기회로(24)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축공기회로(24)는, 탱크(20)로부터의 압축공기(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 포트(26)와,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 포트(28)와, 압축공기를 브레이크 실린더(12,12)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포트(30,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압축공기회로(24)는, 공기 스프링(32,32)으로부터 가변하중신호압으로서의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가변하중용 포트(34,34)를 구비하 고 있다.
압축공기회로(24)에는, 브레이크 실린더 수에 대응하도록 중계 밸브(36)와 복식 체크밸브(38)와 상용 전자밸브(40)가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계 밸브(36)는, 대응하는 브레이크 실린더(12)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량(압축공기압)을 조정하는 것이고, 각 중계 밸브(36)에는 제1유입 포트(26)에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용 유입 통로(42)를 통해서 공급된다.
상기 상용 전자밸브(40)는, 중계 밸브(36)의 밸브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일럿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상용 전자밸브(40)는 중계 밸브(36)마다 설치되어 있다. 상용 전자밸브(40)와 중계 밸브(36)는 제1접속로(4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복식 체크밸브(38)는, 보안용 유입통로(46)를 통해서 상기 제2유입 포트(28)와 접속됨과 아울러, 제2접속로(48)를 통해서 중계 밸브(36)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식 체크밸브(38)는 유출 통로(50)를 통해서 상기 공급 포트(30)에 접속되어 있다. 복식 체크밸브(38)는,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와 중계 밸브(36)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 포트(30)에 선택적으로 유통시킨다.
압축공기회로(24)에는, 가변하중밸브(52)와 증압용 전자밸브(54)와 비상용 전자밸브(56)와 전환용 전자밸브(58)가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가변하중밸브(52)는, 가변하중용 통로(60,60)를 통해서 상기 가변하중용 포트(34,34)와 접속되어 있다. 가변하중밸브(52)는, 승객의 중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체 중량에 따른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공기 스프링(32)으로부터의 가변하중신호압에 따라, 비상 제어압을 출력한다. 또한 가변하중밸브(52)에는 상기 증압용 전자밸브(54)가 접속되 어 있고, 가변하중밸브(52)는 비상 제어압을 증폭한다.
상기 전환용 전자밸브(58)는, 상기 비상용 전자밸브(56)를 통해서 가변하중밸브(52)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3접속로(62)를 통해서 제1유입 포트(26)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전환용 전자밸브(58)는, 가변하중밸브(52)로부터의 비상 제어압과 제1유입 포트(26)로부터의 상용 제어압을 외부신호에 의해 전환한다. 상기 상용 전자밸브(40)에 의한 파일럿압은, 전환용 전자밸브(58)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제어된다.
압축공기회로(24)는, 상술한 케이싱(14) 내에 각종 밸브 블록, 관 시트 블록(66) 등을 소정 위치에 맞붙임으로써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밸브 블록으로서, 복식 체크밸브(38)가 설치된 복식 체크밸브 블록(68)과, 중계 밸브(36)가 설치된 중계 밸브 블록(70)과, 상용 전자밸브(40)가 설치된 상용 전자밸브 블록(72)과, 가변하중밸브(52)가 설치된 가변하중밸브 블록(74)과, 비상용 전자밸브(56)가 설치된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과, 증압용 전자밸브(54)가 설치된 증압 전자밸브 블록(78)과, 전환용 전자밸브(58)가 설치된 전환 전자밸브 블록(80)이 설치되어 있다.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중계 밸브 블록(70) 및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은, 모두 2개씩 설치되고, 그 이외의 블록은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환 전자밸브 블록(80),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 및 증압 전자밸브 블록(78)은, 도 4의 좌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 순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 시트 블록(66)은, 앞에서 바라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블록형상 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관 시트 블록(66)은 케이싱(14)의 안쪽측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관 시트 블록(66)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안쪽측에 상기 제1유입 포트(26), 제2유입 포트(28), 공급 포트(30,30) 및 가변하중용 포트(34,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관 시트 블록(66)은, 도시 생략한 배관에 의해 이들 포트를 통해서 상기 탱크(20), 공기 스프링(32,32) 및 브레이크 실린더(12,12)와 상기 안쪽측에서 접속된다.
관 시트 블록(66)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볼트는 앞쪽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들 볼트는, 관 시트 블록(66)의 중간높이위치에 설치되는 제1볼트군을 구성하는 볼트(82)와, 이 제1볼트군보다 하방으로 설치되는 제2볼트군을 구성하는 볼트(83)로 나누어진다.
제1볼트군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중계 밸브 블록(70)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중계 밸브 블록(70)에는, 앞쪽측면과 안쪽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통과구멍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제1볼트군을 구성하는 볼트(82)를 삽입통과시켜, 관 시트 블록(66)으로부터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중계 밸브 블록(70)을 이 순서로 적층되도록 겹치고, 너트(84)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이들 블록(68,70)이 관 시트 블록(66)에 맞붙여져 있다.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은, 상기 볼트와는 별개인, 볼트(82)보다 가느다란 볼트(85)에 의해 중계 밸브 블록(70)에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중계 밸브 블록(70) 등의 체결 상태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써 중계 밸브 블록(70) 등과 비교해서 중량이 가벼운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중계 밸브 블록(70)의 앞쪽측면에 볼트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에는 앞쪽측면과 안쪽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트 삽입통과구멍을 관통한 볼트(85)를 중계 밸브 블록(70)의 볼트 체결 구멍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용 전자밸브 블록(72)과 중계 밸브 블록(70)이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중계 밸브 블록(70)의 앞쪽측에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배치되고, 이 결과, 관 시트 블록(66)에,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중계 밸브 블록(70) 및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이 순서로 적층되게 된다. 이들을 편의적으로 제1적층열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 시트 블록(66)에 복식 체크밸브 블록(68)이 접합되면, 양 블록(66,68) 사이에 도 3에 나타내는 보안용 유입통로(46)와 유출 통로(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식 체크밸브 블록(68)에 중계 밸브 블록(70)이 접합되면, 중계 밸브(36) 및 복식 체크밸브(38) 사이에 제2접속로(48)가 형성된다. 또한 관 시트 블록(66)에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중계 밸브 블록(70)이 이 순서로 접합되면, 중계 밸브(36) 및 제1유입 포트(26) 사이에 상용 유입 통로(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계 밸브 블록(70)과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접합되면, 중계 밸브(36) 및 상용 전자밸브(40) 사이에 제1접속로(44)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중계 밸브(36) 및 상용 전자밸브(40)에는 각각 배출로(7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로(79)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내를 통과해서 관 시트 블록(66) 내에 연결되어 있다. 관 시트 블록(66)에는 소음기(73)(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배출로(79)로부터의 배출 공기는, 이 소음기(7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볼트군는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은, 블록 본체(74a)와, 이 블록 본체(7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연장부(74b)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의 블록 본체(74a)에는, 앞쪽측면과 안쪽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2볼트군을 구성하는 볼트(83)를 이 볼트 삽입통과구멍에 삽입통과시켜 너트(86)를 나사결합함으로써, 관 시트 블록(66)의 앞쪽측면에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을 접합시킬 수 있다.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의 연장부(74b)에는 볼트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에는 앞쪽측면과 안쪽측면 사이를 관통하는 볼트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볼트 삽입통과구멍을 관통한 볼트(87)를 연장부(74b)의 볼트 체결 구멍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가변하중밸브 블록(74)과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이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관 시트 블록(66)에는, 제1적층열과는 별개로, 가변하중밸브 블록(74)과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 적층열을 편의상 제2적층열이라고 칭한다.
증압 전자밸브 블록(78) 및 전환 전자밸브 블록(80)은, 비상용 전자밸브 블 록(76)과 마찬가지로 볼트(83)보다 가느다란 볼트(87)에 의해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의 연장부(74b)에 체결된다.
관 시트 블록(66)에 가변하중밸브 블록(74)이 접합되면, 도 3에 나타내는 제1유입 포트(26)와 가변하중밸브(52)가 연통되고, 또한 가변하중용 포트(34,34) 및 가변하중밸브(52) 사이에 가변하중용 통로(60,6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변하중밸브 블록(74)에 증압 전자밸브 블록(78)이 접합됨으로써, 가변하중밸브(52)와 증압용 전자밸브(54)가 연통된다. 또한 가변하중밸브 블록(74)에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 및 전환 전자밸브 블록(80)이 접합됨으로써, 비상용 전자밸브(56) 및 전환용 전자밸브(58)가 가변하중밸브(52)와 연통된다. 이 때 전환 전자밸브 블록(80)과 관 시트 블록(66)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고, 전환용 전자밸브(58)는 제1유입 포트(26) 및 상용 전자밸브(40)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관 시트 블록(66)에 각 밸브 블록(68,70,72,74,76,78,80)이 맞붙여짐으로써, 케이싱(14) 내에 압축공기회로(24)가 형성된다.
또한, 증압용 전자밸브(54) 및 비상용 전자밸브(56)에 배출로(7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로(79)로부터의 배출 공기는, 관 시트 블록(66)의 소음기(7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케이싱(14) 내에는 센서류와 제어 보드(94)가 배치되어 있다. 센서류에는 압축공기회로(24)에 설치되는 압력센서(88,89,90) 등이 포함된다. 이 압력센서로서는, 유출 통로(50)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1센서(88), 제1접속로(44)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2센서(89), 및 가변하중용 통로(60)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제3센서(90) 를 들 수 있다. 이들 압력센서(88,89,90)는 설치용 부재(92)(도 4 참조)에 의해 케이싱(14)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제어 보드(94)는, 센서류 등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고, 전자밸브(40,54,‥)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보드(94)는, 상기 제1, 제2적층열의 구성품을 떼어낼 때에 방해로 되지 않는, 앞쪽측으로부터 바라봐서 케이싱(14) 내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브래킷(96)에 의해 케이싱(14) 내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14) 내로의 배선의 도입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도입부(97)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 보드(94)는 상기 제1, 제2적층열의 구성품을 떼어낼 때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위치이면, 좌측, 상측, 하측이나 앞쪽측이어도 상관없다. 단, 제어 보드(94)가 상기 적층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적층열의 상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서, 전자밸브(40,54,‥)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제어 보드(94)는, 상기 적층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전자밸브(40,54,‥)에 의해 따뜻하게 되어 상승된 공기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실시형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10)에서는, 운전석에 설치된 도시 생략된 브레이크 조작기의 조작에 의해, 상용 전자밸브(40,40)가 작동하면, 제1유입 포트(26)를 통과한 압축공기가 중계 밸브(36,36)에 의해 조정되어서, 브레이크 실린더(12,12)가 작동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조작기의 조작시에 있어서, 비상브레이크 지령에 의해 공기 스프링(32,32)에 의한 가변하중신호압에 따라 가변하중밸브(52)가 작동한다. 그리고, 가변하중밸브(52)로부터의 비상 제어압에 의해 상용 전자밸브(40,40)가 작동하면, 중계 밸브(36,36)에 의한 압축공기의 조정이 행해져 브레이크 실린더(12,12)가 작동한다. 또한 보안 브레이크 지령을 수신하면, 제2유입 포트(28)를 통해서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브레이크 실린더(12,12)를 작동시킨다.
본 브레이크 제어장치(10)의 보수관리시에 있어서, 예컨대 상용 전자밸브(40)만을 보수관리할 경우에는, 우선 개폐 덮개(17)를 개방하고, 그 위에서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85)를 떼어낸다. 이 때 상용 전자밸브 블록(72)만을 떼어내면 되므로, 상용 전자밸브(40)의 보수관리 작업이 편해진다. 또한 중계 밸브(36)에 대해서도 보수관리할 때에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떼어냄과 아울러, 중계 밸브 블록(70)을 고정하고 있는 제1볼트군을 구성하는 볼트(82)를 떼어내면 된다.
한편, 증압용 전자밸브(54), 비상용 전자밸브(56), 전환용 전자밸브(58) 등의 보수관리시에는, 이들 전자밸브(54,56,58)의 전자밸브 블록(78,76,80)만을 떼어내면 되므로, 이들 전자밸브의 보수관리도 번잡하게 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관 시트 블록(66)으로부터 순서대로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것이 배치된다. 즉, 가장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복식 체크밸브(38)가 설치되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복식 체크밸브(38)보다는 보수관리 빈도가 높은 중계 밸브(36)가 설치되는 중계 밸브 블록(70), 또한 그것보다 보수관리 빈도가 높은 상용 전자밸브(40)가 설치되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관 시트 블록(66)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용 전자밸브(40)의 보수관리만을 행할 때에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수관리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블록(78,76,80)이 적층됨으로써, 이들간의 배관 접속이 간소하게 되고, 브레이크 제어장치(10)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78,76,80)을 상기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적층열과는 별개로 가변하중밸브 블록(74)과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76)을 이 순서로 적층하고 있으므로, 배관 접속이 간소하게 되고, 가변하중밸브(52) 및 비상용 전자밸브(56)를 구비해도 콤팩트한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변하중밸브(52) 및 비상용 전자밸브(56)를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순서로 관 시트 블록(66)측에서부터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축의 독립된 브레이크 계통을 1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내에 집약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하는 장치를 1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통합해서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2개의 중계 밸브(36,36)를 각각 별개의 중계 밸브 블록(70,70)에 설치하도록 했으므로, 양 중계 밸브 블록(70,70)을 각각 별개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중계 밸브(36,36)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72)과 중계 밸브 블록(70)을 체결하는 볼트(85)를,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상기 중계 밸브 블록(70)을 상기 관 시트 블록(66)에 체결하는 제1볼트군의 볼트(82)와는 별개로 했으므로,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을 고정하는 볼트(85)를 떼어내도, 다른 블록(68,70)은 고정 된 채로 유지된다. 이 결과, 상용 전자밸브(40)의 보수관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6)로부터 케이싱(14) 내의 안쪽을 향해 상용 전자밸브 블록(72), 중계 밸브 블록(70), 복식 체크밸브 블록(68) 및 관 시트 블록(66)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용 전자밸브 블록(72)이 개구부(16)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블록(72,70,68)이 케이싱(14) 내에 배치될 경우이여도 보수관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14)의 측면에 개구부(16)가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구부(16)가 케이싱(14)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14)이 통형상으로 구성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 대신에, 케이싱은, 한쪽의 면이 개구되는 상자형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안쪽측의 면을 따르도록 관 시트 블록(66)이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케이싱(14)의 안쪽측의 면에, 배관을 도입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적층열이 제2적층열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소음기(73)가 정면으로부터 바라봐서 케이싱(14)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적층열이 이것과 반대로 배치되어도 되고, 또는 양 적층열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유입 포트(26)에 대하여 양 중계 밸브(36,36)를 병렬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한쪽의 중계 밸브(36)가 제1유입 포트(26)와 접속됨과 아울러, 이 한쪽의 중계 밸브(36)와 다른쪽의 중계 밸브(36)를 연통하는 통로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양 중계 밸브 블록(70,70)을 일체의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케이싱(14)을 생략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 시트 블록으로부터 순서대로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것부터 배치된다. 즉, 가장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복식 체크밸브를 갖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 복식 체크밸브보다는 보수관리 빈도가 높은 중계 밸브를 갖는 중계 밸브 블록, 또한 그것보다 보수관리 빈도가 높은 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관 시트 블록측에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용 전자밸브의 보수관리만을 행할 때에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만을 떼어내는 것만으로 되므로, 보수관리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즉, 이들 블록이 적층됨으로써, 이들간의 배관 접속이 간소하게 되어,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을 상기 순서로 배치함으로써,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있어서, 가변하중밸브를 갖는 가변하중밸브 블록과, 비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을 구비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전자밸브 블록의 적층열과는 별개로,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상기 가변하중밸브 블록과 상기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가변하중밸브 블록과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적층되므로, 배관 접속이 간소하게 되고, 가변하중밸브 및 비상용 전자밸브를 구비해도 콤팩트한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밸브 블록 등의 적층열과는 별개로 가변하중밸브 블록 등을 적층하고, 가변하중밸브 및 비상용 전자밸브를 보수관리 빈도가 낮은 순서로 관 시트 블록측에서부터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해도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밸브 블록이 2개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이 서로 별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밸브는, 상기 중계 밸브 블록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2축의 독립된 브레이크 계통을 1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내에 집약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를 행하는 장치를 1개로 통합하여 콤팩트화를 도모해도, 양 중계 밸브 블록을 각각 별개로 떼어낼 수 있게 되므로, 중계 밸브의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은,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및 상기 중계 밸브 블록을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체결하는 볼트와는 별개인 볼트로 상기 중계 밸브 블록에 체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을 고정하는 볼트를 떼어내도, 다른 블록 은 고정된 채로 유지되므로, 상용 전자밸브의 보수관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보드는, 적층된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보드가 상기 블록의 적층열의 상방에 배치될 경우에 비해서, 이 형태에서는, 제어 보드가 상용 전자밸브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의 안쪽을 향해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및 상기 관 시트 블록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서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개구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블록이 케이싱 내에 배치될 경우이여도 보수관리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브레이크 제어장치가 콤팩트화되고, 또한 보수관리 작업이 번잡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 및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를 브레이크 실린더에 공급하는 제어를 행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로서,
    상기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 포트와, 상기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 포트와, 상기 브레이크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통되는 공급 포트를 갖는 관 시트 블록;
    상기 제1유입 포트를 통과한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중계 밸브를 갖는 중계 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를 제어하는 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상용 전자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로부터의 상용 브레이크용 압축공기와 상기 제2유입 포트로부터의 보안 브레이크용 압축공기를, 상기 공급 포트에 선택적으로 유통시키는 복식 체크밸브를 갖는 복식 체크밸브 블록; 및
    상기 상용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보드를 구비하고: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변하중밸브를 갖는 가변하중밸브 블록; 및
    비상용 전자밸브를 갖는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전자밸브 블록의 적층열과는 별개로,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상기 가변하중밸브 블록과 상기 비상용 전자밸브 블록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밸브 블록은, 2개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이 서로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중계 밸브는 상기 중계 밸브 블록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은,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및 상기 중계 밸브 블록을 상기 관 시트 블록에 체결하는 볼트와는 별개인 볼트로 상기 중계 밸브 블록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는, 적층된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및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케이싱 내의 안쪽을 향해 상기 상용 전자밸브 블록, 상기 중계 밸브 블록, 상기 복식 체크밸브 블록 및 상기 관 시트 블록이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20060099727A 2005-10-14 2006-10-13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0770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9782A JP4435727B2 (ja) 2005-10-14 2005-10-14 ブレーキ制御装置
JPJP-P-2005-00299782 2005-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382A true KR20070041382A (ko) 2007-04-18
KR100770251B1 KR100770251B1 (ko) 2007-10-25

Family

ID=3801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727A KR100770251B1 (ko) 2005-10-14 2006-10-13 브레이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35727B2 (ko)
KR (1) KR100770251B1 (ko)
CN (1) CN100509511C (ko)
HK (1) HK1100548A1 (ko)
TW (1) TW2007266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8960B2 (ja) * 2009-08-24 2013-10-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2470852B (zh) * 2009-08-24 2014-06-11 纳博特斯克株式会社 制动压力控制阀以及制动控制装置
JP5308959B2 (ja) * 2009-08-24 2013-10-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ブレーキ圧力制御弁及びブレーキ制御装置
DE102009045174A1 (de) * 2009-09-30 2011-04-07 Robert Bosch Gmbh Magnetstack für hochdynamische Ventile
WO2011064851A1 (ja) 2009-11-25 2011-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GB201007458D0 (en) * 2010-05-05 2010-06-16 Camcon Ltd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switching devices and methods of actuation thereof
JP5514653B2 (ja) * 2010-07-05 2014-06-04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新幹線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JP5456009B2 (ja) * 2011-11-30 2014-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JP5456008B2 (ja) 2011-11-30 2014-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US9994201B2 (en) * 2014-05-28 2018-06-12 FAIVELEY TRANSPORT ITALIA S. p. A. Electro-pneumatic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WO2019015757A1 (en) * 2017-07-20 2019-01-24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BRAKE CONTROL UNIT WITH REDUCED SIZE BRAKE
EP3981657A4 (en) * 2019-06-07 2023-08-23 HL Mando Corporation CONSTRUCTION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BRAK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501A (ja) * 1999-03-25 2000-10-03 Railway Technical Res Inst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35727B2 (ja) 2010-03-24
TWI302885B (ko) 2008-11-11
CN100509511C (zh) 2009-07-08
CN1948064A (zh) 2007-04-18
JP2007106287A (ja) 2007-04-26
TW200726681A (en) 2007-07-16
HK1100548A1 (en) 2007-09-21
KR100770251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251B1 (ko)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1430829B1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CN101500872B (zh) 用于电气动制动控制装置的阀单元
JP3333199B2 (ja) 気体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1072318B2 (en) Hydraulic unit of electronic control brake system
CN113924234B (zh) 制动系统的控制装置结构
CN100381317C (zh) 制动控制装置
JP2011518065A (ja) 車両用制動システム
CN106573608B (zh) 用于在压缩空气制动设备中进行压力调制的阀单元
US20100038571A1 (en) Valve control unit, particularly pilot control unit for a pressure modulator of a commercial vehicle
CN102164795B (zh) 机动车的气动的制动设备的制动装置布置以及辅助装置布置
US111241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 modular railroad retarder control system
US11440520B2 (en) Braking system for a commercial vehicle, compressed air processing unit and use of a compressed air processing unit
KR101413828B1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KR20140107326A (ko) 휠 압력 센서 접속부 또는 마스터 브레이크 실린더 압력 센서 접속부를 구비한 자동차 유압 어셈블리용 펌프 하우징
US11460055B2 (en) Air preparation device for motor vehicles
JP7340662B1 (ja) ブレーキ制御装置及びブレーキ制御装置の接続方法
EP3787943B1 (en) Redundant braking unit for a braking system and system using same
KR20210049908A (ko) 설정 모듈
US9834191B2 (en) Relay valve, valve device, and vehicle therewith
JP7188215B2 (ja) 圧力装置及び車両
JP7179761B2 (ja) 圧力制御弁装置及び圧力制御弁装置の製造方法
JP5220124B2 (ja) 鉄道車輌用ブレーキ制御装置
CN110884521A (zh) 城轨车辆制动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