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130A -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130A
KR20070041130A KR1020050096939A KR20050096939A KR20070041130A KR 20070041130 A KR20070041130 A KR 20070041130A KR 1020050096939 A KR1020050096939 A KR 1020050096939A KR 20050096939 A KR20050096939 A KR 20050096939A KR 20070041130 A KR20070041130 A KR 2007004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unit
driving circuit
display area
scan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0152B1 (ko
Inventor
정재경
구재본
신현수
권세열
모연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152B1/ko
Priority to JP2006187174A priority patent/JP2007108674A/ja
Priority to US11/523,607 priority patent/US7593086B2/en
Priority to CN2006101359286A priority patent/CN1949309B/zh
Priority to EP06255303.7A priority patent/EP1775773B1/en
Publication of KR2007004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가 휠 경우에도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구동IC 등이 탈착되지 않는 플렉시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평행한 제1변 및 제2변, 상기 제1변 및 제2변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제3변 및 제4변을 갖고, 상기 제3변 및 제4변이 밴딩되도록 구비된 플렉시블 표시유닛과, 상기 플렉시블 표시유닛의 제1변 및 제2변 중 적어도 한 변에 위치한 전자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변에는 어떠한 전자유닛들도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Flexible flat panel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표시영역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픽셀들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2의 회로도를 구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은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밴딩된 상황에서도 구동IC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등 전자유닛이 탈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등 평판 표시장치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들 평판 표시장치는 외부 회로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접합되거나, 기판에 직접 구동IC를 장착한다.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나, 구동 IC는 평판 표시장치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패드부에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데, 장방형 평판 표시장치의 장변에 부착되거나, 서로 인접한 장변 및 단변에 부착된다.
한편,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고, 이렇게 구부러진 상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컨대, 원기둥 등에 부착되도록 특정방향으로 밴딩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이렇게 표시장치를 구부러뜨릴 경우, 구부러지는 변에 위치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나, 구동IC 등은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탈착될 위험이 매우 크다. 평판 표시장치가 구부러질 때,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나, 구동IC 등이 표시장치로부터 탈착되어 전기적으로 오픈되면,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블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장치가 휠 경우에도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구동IC 등이 탈착되지 않는 플렉시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평행한 제1변 및 제2변, 상기 제1변 및 제2변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제3변 및 제4변을 갖고, 상기 제3변 및 제4변이 밴딩되도록 구비된 플렉시블 표시유닛과, 상기 플렉시블 표시유닛의 제1변 및 제2변 중 적어도 한 변에 위치한 전자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변에는 어떠한 전자유닛들도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방향으로 밴딩가능하고,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배선들과,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지 않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배선들 및 제2배선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의 평 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는 플렉시블 표시유닛(1)과, 이에 접합되는 제1전자 유닛(2) 및 제2전자 유닛(3)을 포함한다.
플렉시블 표시유닛(1)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서로 평행한 단변들인 제1변(12a) 및 제2변(12b)을 구비하고, 서로 평행한 장변들인 제3변(12c) 및 제4변(12d)을 구비한다.
상기 플렉시블 표시유닛(1)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밴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구비되는 데,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의 밴딩이 가능하다. 즉, 상기 플렉시블 표시유닛(1)은 제1변(12a) 내지 제4변(12d)이 모두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한 상태로 형성되는 데, 사용 시에는 장변들인 제3변(12c) 및 제4변(12d)의 밴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표시유닛(1)의 대략 중앙부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영역(10)이 구비된다.
이 표시 영역(10)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는 스위칭 TFT(M2)와, 구동 TFT(M1)의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TFT(M2)는 스캔 라인(Scan)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ON/OFF되어 데이터 라인(Data)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구동 TFT(M1)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TFT(M1)는 스위칭 TFT(M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Vdd 라인으로부터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결정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스위칭 TFT(M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한 프레임동안 저장한다.
도 2에 따른 회로도에서 구동 TFT(M1) 및 스위칭 TFT(M2)는 PMOS TFT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 TFT(M1) 및 스위칭 TFT(M2) 중 적어도 하나를 NMOS TFT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많은 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이러한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01)상에 구동 TFT(M1) 및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된다. 도3에는 스위칭 TFT(M2)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 TFT(M1)와 동일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1)은 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미라르(mylar) 기타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US, 텅스텡 등과 같은 금속 호일도 사용 가능하고, 글라스재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기판(101)으로는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이 사용된다.
이 기판(101)의 상면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층(102) 상에 구동TFT(M1)의 활성층(107)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03)이 형성된다. 활성층(107)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재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03) 상에는 게이트 전극(108)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04) 상에는 소스/드레인 전극(109)이 구비되며, 이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105) 및 화소 정의막(106)이 순차로 구비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108), 소스/드레인 전극(109)은 Al, Mo, Au, Ag, Pt/Pd, Cu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금속이 분말상으로 포함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도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03), 층간 절연막(104), 패시베이션막(105), 및 화소 정의막(106)은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TFT(M1)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TFT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05)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한 전극인 화소전극(110)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화소정의막(106)이 형성되며, 이 화소정의막 (106)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해 화소전극(110)을 노출시킨 후,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막(111)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구동 TFT(M1)의 소스/드레인 전극(109) 중 어느 한 전극에 연결된 화소 전극(110)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된 대향 전극(112), 및 이들 화소 전극(110)과 대향 전극(112)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막(111)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110)과 대향 전극(112)은 상기 유기 발광막(111)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막(111)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막(111)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 발광막(111)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막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소 전극(110)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112)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10)과 대향 전극(112)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10)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112)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높고 투명한 ITO, IZO, In2O3, 및 ZnO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대향 전극(112)인 반사 전극은 일함수가 낮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의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10)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112)이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110)이 되는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112)이 되는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양면 발광형의 경우, 상기 화소 전극(110)과 대향 전극(112) 모두를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10) 및 대향 전극(112)은 반드시 전술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기물이나, Ag, Mg, Cu 등 도전입자들이 포함된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프린팅할 수 있으며, 프린팅 후에는 소성하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형성한 후에는, 그 상부를 밀봉하여 외기로부터 차단한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는 스캔 라인(Scan)은 도 1에서 볼 때, 표시영역(10) 외측으로 연장되어 스캔 배선(14)에 연결되며, 데이터 라인(Data)은 표시 영역(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데이터 배선(16)에 연결된다.
상기 스캔 배선(14) 및 데이터 배선(16)은 플렉시블 표시유닛(1)의 밴딩되는 방향, 즉, 밴딩되는 변을 따라 연장된다. 즉, 스캔 배선(14)은 제3변(12c) 및 제4변(12d)을 향해 상기 표시영역(10) 밖으로 나온 후, 제3변(12c) 및 제4변(12d)을 따라 연장되어 제2변(12b)에서 스캔 패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배선(16)은 제1변(12a)으로 연장되어 제1변(12a)에서 데이터 패드를 형성한다.
제1변(12a)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에는 제1전자유닛(2)이 접속되고, 제2변(12b)에 형성된 스캔 패드에는 제2전자유닛(2)이 접속된다. 제1전자유닛(2)은 데이 터 구동IC(21), 이 데이터 구동IC(21)가 탑재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2), 및 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2)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패드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2)이 접합될 수 있다. 제2전자유닛(3)은 스캔 구동IC(31), 이 스캔 구동IC(31)가 탑재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2), 및 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2)에 연결된 인쇄회로기판(33)을 포함한다. 스캔 패드에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32)이 접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Vdd 배선을 포함한 다른 신호 배선들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들 신호 배선들도 밴딩되는 방향, 즉, 밴딩되는 변을 따라 연장되어 제1변(12a) 및 제2변(12b)에 패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자유닛(2) 및 제2전자유닛(3) 또는 별도의 전자유닛에 접속되어 신호 및 전류를 공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밴딩되는 변인 제3변(12c) 및 제4변(12d)에는 어떠한 전자유닛도 접속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렉시블 표시 유닛(1)이 밴딩될 경우에도 제1전자유닛(2) 및 제2전자유닛(3)은 플렉시블화에 따른 응력을 받지 않게 되며, 이들 전자유닛들이 플렉시블 표시유닛(1)으로부터 탈착될 염려도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에서 볼 때 스캔 배선(14)의 길이가 길어져 픽셀마다 응답속도가 차이가 나게 될 염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표시 영역(10)의 스캔 구역을 두 구역으로 나누어 하나의 스캔 구역은 제1스캔배선(14a)을 따라 제1변(12a)까지 연장되어 제4전자유닛(5)의 제1스캔구동IC(51)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스캔 구역은 제2스캔 배선(14b)을 따 라 제2변(12b)까지 연장되어 제6전자 유닛(7)의 제2스캔 구동IC(71)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 스탠 구동IC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한 픽셀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픽셀간의 거리차를 다소 줄일 수 있어 스캔라인에서의 IR 드롭이나, 응답속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데이터 라인도 일부는 제1변(12a)으로 연장되어 제3전자유닛(4)의 제1데이터 구동IC(41)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제2변(12b)으로 연장되어 제5전자유닛(6)의 제2데이터 구동IC(61)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42, 52, 62, 72는 각각 제3전자유닛(4), 제4전자유닛(5), 제5전자유닛(6), 제6전자유닛(7)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도면부호 43, 53, 63, 73는 각각 제3전자유닛(4), 제4전자유닛(5), 제5전자유닛(6), 제6전자유닛(7)의 인쇄회로기판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전자유닛은 스캔 구동IC, 또는 데이터 구동IC 등을 탑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또는 인쇄회로기판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 상에 증착 및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스캔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전자유닛(2)이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24)로 구비될 수 있고,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제2전자유닛(3)이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스캔 구동부(3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24) 및 스캔 구동부(34)는 복수개의 PMOS TFT, NMOS TFT, 또는 CMOS TFT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그림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전자유닛 및 제2전자유닛이 모두 각각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스 캔 구동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구조에서, 제3전자유닛(4) 및 제5전자유닛(6)이 각각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 구동부(44) 및 제2데이터 구동부(64)로 구비될 수 있고, 제4전자유닛(5) 및 제6전자유닛(7)이 각각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제1스캔 구동부(54) 및 제2스캔 구동부(74)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비록 그림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전자유닛 내지 제6전자유닛이 모두 각각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스캔 구동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 외에도 스캔 구동IC, 데이터 구동IC 등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연결된 구조가 아닌 직접 플렉시블 표시유닛(1)의 제1변(12a) 및/또는 제2변(12b)에 장착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이상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의 휨이 가능한 모든 평판 표시장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에 있어 밴딩되는 변에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나 구동IC 등의 전자유닛이 장착되지 않도록 하고, 이 전자유닛을 밴딩되는 변에 수직한 변에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 표시 유닛이 밴딩될 경우에도 전자유닛이 플렉시블화에 따른 응력을 받지 않게 되며, 이들 전자유닛들이 플렉시블 표시유닛으로부터 탈착되는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평행한 제1변 및 제2변, 상기 제1변 및 제2변에 수직하고 서로 평행한 제3변 및 제4변을 갖고, 상기 제3변 및 제4변이 밴딩되도록 구비된 플렉시블 표시유닛; 및
    상기 플렉시블 표시유닛의 제1변 및 제2변 중 적어도 한 변에 위치한 전자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변에는 어떠한 전자유닛들도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스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된 스캔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변에 패터닝된 스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된 데이터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변에 패터닝된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1변에 접합된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2변에 접합된 플렉시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제1스캔 구동회로 및 제1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1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된 제1스캔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1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변에 패터닝된 제1스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1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된 제1데이터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1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1변에 패터닝된 제1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제2스캔 구동회로 및 제2데이터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2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된 제2스캔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2스캔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변에 패터닝된 제2스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2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된 제2데이터 구동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에 위치한 전자 유닛은, 상기 제2데이터 구동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변에 패터닝된 제2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20. 적어도 일방향으로 밴딩가능하고,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영역;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배선들; 및
    상기 표시영역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지 않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2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배선들 및 제2배선들은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변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배선들과 제2배선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배선들과 제2배선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의 외측에서, 상기 제1배선들과 제2배선들 중 일부는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변의 방향 중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배선들과 제2배선들 중 나머지는 상기 표시영역의 밴딩되는 방향 중 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KR1020050096939A 2005-10-14 2005-10-14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KR10073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939A KR100730152B1 (ko) 2005-10-14 2005-10-14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JP2006187174A JP2007108674A (ja) 2005-10-14 2006-07-06 フレキシブル平板表示装置
US11/523,607 US7593086B2 (en) 2005-10-14 2006-09-20 Flexible flat panel display
CN2006101359286A CN1949309B (zh) 2005-10-14 2006-10-13 柔性平板显示器
EP06255303.7A EP1775773B1 (en) 2005-10-14 2006-10-16 Flexible flat pane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939A KR100730152B1 (ko) 2005-10-14 2005-10-14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130A true KR20070041130A (ko) 2007-04-18
KR100730152B1 KR100730152B1 (ko) 2007-06-19

Family

ID=3768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39A KR100730152B1 (ko) 2005-10-14 2005-10-14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3086B2 (ko)
EP (1) EP1775773B1 (ko)
JP (1) JP2007108674A (ko)
KR (1) KR100730152B1 (ko)
CN (1) CN1949309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691B2 (en) 2010-05-07 2013-1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50197B2 (en) 2014-08-08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80129007A (ko) * 2017-05-24 2018-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514A (ko) * 2007-06-08 2010-02-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1681579B (zh) * 2007-06-15 2014-10-2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
CN101910966B (zh) * 2007-11-29 2013-01-23 创造者科技有限公司 包括具有不可变形有源区域的可折叠显示器的电子设备
US8886334B2 (en) 2008-10-07 2014-11-11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WO2010042653A1 (en) 2008-10-07 2010-04-15 Mc10, Inc. Catheter balloon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and sensor array
US9123614B2 (en) 2008-10-07 2015-09-01 Mc10, Inc. Methods and applications of non-planar imaging arrays
US8372726B2 (en) 2008-10-07 2013-02-12 Mc10, Inc. Methods and applications of non-planar imaging arrays
US8389862B2 (en) * 2008-10-07 2013-03-05 Mc10, Inc. Extremely stretchable electronics
US8097926B2 (en) 2008-10-07 2012-01-17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CN104597651B (zh) 2009-05-02 2017-12-0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
US9723122B2 (en) 2009-10-01 2017-08-01 Mc10, Inc. Protective cas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KR101078899B1 (ko) * 2010-01-29 2011-11-0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위치 제어 장치
US8716932B2 (en)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WO2012166686A2 (en) 2011-05-27 2012-12-06 Mc10, Inc. Electronic, optical and/or mechanical apparatu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US8804347B2 (en) 2011-09-09 2014-08-12 Apple Inc. Reducing the border area of a device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US9110320B2 (en) 2012-08-14 2015-08-18 Apple Inc.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US9195108B2 (en) 2012-08-21 2015-11-24 Apple Inc. Displays with bent signal lines
US9171794B2 (en) 2012-10-09 2015-10-27 Mc10, Inc. Embedding thin chips in polymer
US9601557B2 (en) 2012-11-16 2017-03-21 Apple Inc. Flexible display
US9209207B2 (en) 2013-04-09 2015-12-08 Apple Inc. Flexible display with bent edge regions
USD735715S1 (en) 2013-07-18 2015-08-04 Samsung Display Co., Ltd. Portable display device
US9575382B2 (en) * 2013-08-20 2017-02-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with split driver ledges
CN105023513A (zh) * 2014-04-16 2015-11-04 宏碁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9600112B2 (en) 2014-10-10 2017-03-21 Apple Inc. Signal trace patterns for flexible substrates
KR101933818B1 (ko) * 2014-12-31 2018-12-28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US9689844B2 (en) 2015-07-27 2017-06-27 The Boeing Company Ultrasonic inspection using flexible two-dimensional array applied on surface of article
KR20180000771A (ko) * 2016-06-23 2018-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574094B (zh) * 2016-07-28 2017-03-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20180075733A (ko) 2016-12-26 2018-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19537053A (ja) * 2016-12-30 2019-12-19 深▲セン▼市柔宇科技有限公司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10916221B2 (en) * 2017-05-03 2021-02-09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3485A (ja) * 1985-03-05 1986-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ツトマトリツクス液晶表示装置
JPS63106628A (ja) 1986-10-23 1988-05-11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3152397B2 (ja) * 1990-11-14 2001-04-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小型の端末装置および小型のコンピュータ
JP3276557B2 (ja) * 1996-05-23 2002-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1272205A (ja) * 1998-03-19 1999-10-08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00284342B1 (ko) * 1998-05-30 2001-03-02 김순택 플렉시블한액정표시소자를구비한휴대용액정표시장치
JP2001228489A (ja) * 2000-02-18 2001-08-2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2056284A1 (fr) * 2001-01-15 2002-07-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ossier de papier electronique et systeme de reglage de reperes
JP2003142875A (ja) * 2001-11-07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シールド付きのフレキシブル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3280546A (ja)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3963772B2 (ja) 2002-05-07 2007-08-22 関西電力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表示ユニットおよびフレキシブル電光表示板
JP2003337541A (ja) * 2002-05-17 2003-11-2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着用型表示装置
US20040041520A1 (en) 2002-08-27 2004-03-04 Ritdisplay Corporation Pane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U2003272033A1 (en) * 2002-11-21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JP3896542B2 (ja) * 2002-11-29 2007-03-22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走査駆動用集積回路
JP2004252178A (ja) 2003-02-20 2004-09-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40085779A (ko) * 2003-04-01 2004-10-08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유기 el 모듈
JP2005235403A (ja) 2004-02-17 2005-09-02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JP2005234335A (ja) * 2004-02-20 2005-09-02 Advanced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2005251845A (ja) * 2004-03-02 2005-09-15 Seiko Epson Corp 非線形素子の製造方法、非線形素子、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KR100615214B1 (ko) 2004-03-29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691B2 (en) 2010-05-07 2013-1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450197B2 (en) 2014-08-08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80129007A (ko) * 2017-05-24 2018-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75773B1 (en) 2017-11-22
CN1949309A (zh) 2007-04-18
EP1775773A2 (en) 2007-04-18
US7593086B2 (en) 2009-09-22
KR100730152B1 (ko) 2007-06-19
EP1775773A3 (en) 2010-09-15
JP2007108674A (ja) 2007-04-26
US20070085961A1 (en) 2007-04-19
CN1949309B (zh)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152B1 (ko)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EP3525254B1 (en) Display device
CN110364549B (zh) 显示设备
US791991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70154943A1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384650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53745B1 (ko) 평판표시장치
US20050206828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64149B1 (ko) 양면 발광형 표시장치
KR1008138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4409482B2 (ja) 平板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KR1006260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19556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0647611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615248B1 (ko) 평판 표시장치
CN112018259A (zh) 显示装置
KR102136635B1 (ko) 다중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8374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1317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7195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54527B1 (ko)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2490267A (zh) 显示装置
KR100669749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7026A (ko)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