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556B1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556B1
KR100719556B1 KR1020050067077A KR20050067077A KR100719556B1 KR 100719556 B1 KR100719556 B1 KR 100719556B1 KR 1020050067077 A KR1020050067077 A KR 1020050067077A KR 20050067077 A KR20050067077 A KR 20050067077A KR 100719556 B1 KR100719556 B1 KR 100719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590A (ko
Inventor
신현수
모연곤
구재본
정재경
권세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5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1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가 휠 경우에도 탈착의 위험이 적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연결체의 패드부에 접합되어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지 않은 복수개의 제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2의 회로도를 구현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 5는 표시장치를 휘었을 경우, 표시장치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표시장치 2: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3: 이방성 도전 접착제 10: 표시부
14: 패드부 21: 단부
211: 제1단부 212: 제2단부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휠 경우에도 접착성이 양호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등 평판 표시장치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들 평판 표시장치는 외부 회로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접합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평판 표시장치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패드부에 이방성 도전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는 데, 패드부가 대략 평판 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형성되므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도 평판 표시장치의 일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평판 표시장치를 휠 경우, 구부릴 때 발생하는 응력 때문에 평판 표시장치로부터 떨어질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장치가 휠 경우에도 탈착의 위험이 적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연결체의 패드부에 접합되어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지 않은 복수개의 제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패드부를 구비하고,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패드부에 대응되는 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단부는,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어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지 않은 제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장치(1)와, 이에 접합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을 포함한다.
표시장치(1)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부(10)와 일측 가장자리에 패드부(14)를 구비한다.
표시부(10)는 다양한 표시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 데,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나,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 등이 적용 가능하며, 그 외에도 PM 유기 발광 표시장치, 무기 발광 표시장치 등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2는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픽셀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는 스위칭 TFT(M2)와, 구동 TFT(M1)의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칭 TFT(M2)는 스캔 라인(Scan)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에 의해 ON/OFF되어 데이터 라인(Data)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구동 TFT(M1)에 전달한다. 상기 구동 TFT(M1)는 스위칭 TFT(M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OLED)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결정한다. 상기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스위칭 TFT(M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를 한 프레임동안 저장한다.
도 2에 따른 회로도에서 구동 TFT(M1) 및 스위칭 TFT(M2)는 PMOS TFT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 TFT(M1) 및 스위칭 TFT(M2) 중 적어도 하나를 NMOS TFT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의 개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많은 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이러한 AM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111)상에 TFT(120) 및 유기 발광 소자(130)가 구비된다.
기판(111)은 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미라르(mylar) 기타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SUS, 텅스텡 등과 같은 금속 호일도 사용 가능하고, 글라스재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기판(111)으로는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이 바람직하다.
이 기판(111)의 상면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층(112) 상에 TFT(120)의 활성층(121)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13)이 형성된다. 활성층(121)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재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는 게이트 전극(122)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14) 상에는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이 구비되며, 이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115) 및 화소 정의막(116)이 순차로 구비된다.
이러한 게이트 전극(122),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은 Al, Mo, Au, Ag, Pt/Pd, Cu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금속이 분말상으로 포함된 수지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도 있으며,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113), 층간 절연막(114), 패시베이션막(115), 및 화소 정의막(116)은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TFT(120)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다양한 구조의 TFT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패시베이션막(115)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한 전극인 화소전극(131)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화소정의막(116)이 형성되며, 이 화소정의막(116)에 소정의 개구부(117)를 형성해 화소전극(131)을 노출시킨 후, 유기 발광 소자(130)의 유기 발광막(132)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130)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TFT의 소스 전극(123), 드레인 전극(124) 중 어느 한 전극에 연결된 화소 전극(131)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된 대향 전극(133), 및 이들 화소 전극(131)과 대향 전극(133)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막(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131)과 대향 전극(133)은 상기 유기 발광막(132)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막(132)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막(132)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 발광막(13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 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막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하며, 이를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소 전극(131)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133)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31)과 대향 전극(13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31)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133)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높고 투명한 ITO, IZO, In2O3, 및 ZnO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대향 전극(133)인 반사 전극은 일함수가 낮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의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31)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133)이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131)이 되는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133)이 되는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양면 발광형의 경우, 상기 화소 전극(131)과 대향 전극(133) 모두를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31) 및 대향 전극(133)은 반드시 전술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기물이나, Ag, Mg, Cu 등 도전입자들이 포함된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프린팅할 수 있으며, 프린팅 후에는 소성하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유기 발광 소자(130)를 형성한 후에는, 그 상부를 밀봉하여 외기로부터 차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표시부(10)로부터 각종 배선이 패드부(14)로 인출된다. 패드부(14)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표시부(10)의 외측에 구비되며, 표시장치(1)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다양한 도전 패턴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부(14)에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이 접합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은 상기 패드부(14)에 접합되는 측에 단부(21)를 구비한다.
이 단부(21)는 패드부(14)에 접합되어 패드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단부(211)와, 제1단부(2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단부(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1단부(211)는 패드부(14)에 접속되어 패드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단부(212)는 패드부(14)에 접속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2단부(212)는 상기 패드부(14) 외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장치(1)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단부(211)와 제2단부(212)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톱니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부(211)에는 상기 패드부(14)에 대응되는 도전패턴(21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단부(211)를 구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이방성 도전 접착제(3)에 의해 패드부(14)에 접합된다. 이 때, 제1단부(211)의 도전패턴(213)은 패드부(14)의 도전패턴(141)에 이방성 도전 접착제(3)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패드부(14)에 접합된 제1단부(211)는 패드부(14)와 접합되지 않은 제2단부(212)의 폭(W)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에 있어 패드부(14)와 접합된 부분이 제2단부(212)의 폭(W)만큼 떨어져 있게 되므로,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표시장치(1)를 휘어도 제2단부(212)가 완충역할을 해 줄 수 있어, 휨상태의 치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휨 상태에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의 탈착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이상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 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의 휨이 가능한 모든 평판 표시장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있어 패드부와 접합된 부분이 제2단부의 폭만큼 떨어져 있게 되므로, 표시장치를 휘어도 제2단부가 완충역할을 해 줄 수 있어, 휨상태의 치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휨 상태에서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탈착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단부 사이가 제2단부의 폭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패드부, 또는 표시장치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열전달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평판 표시장치 전체의 열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패드부를 구비하고, 화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플렉시블한 표시장치; 및
    상기 패드부에 대응되는 단부를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단부는,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어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패드부에 접합되지 않은 제2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부에는 상기 패드부에 대응되는 도전패턴이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단부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구비된 평판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는 상기 패드부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는 상기 표시장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 및 제2단부는 파상 또는 톱니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평판 표시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67077A 2005-07-23 2005-07-23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071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77A KR100719556B1 (ko) 2005-07-23 2005-07-23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77A KR100719556B1 (ko) 2005-07-23 2005-07-23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90A KR20070012590A (ko) 2007-01-26
KR100719556B1 true KR100719556B1 (ko) 2007-05-17

Family

ID=3801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077A KR100719556B1 (ko) 2005-07-23 2005-07-23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11B1 (ko) * 2007-05-18 2009-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회로패턴의 접착력 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449A (ja) * 1994-11-24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0209590A (ja) 1997-01-18 1998-08-07 Nippon Mektron Ltd くしば状端子を備えた可撓性回路基板
JPH10319876A (ja) 1997-05-15 1998-12-04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6449A (ja) * 1994-11-24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0209590A (ja) 1997-01-18 1998-08-07 Nippon Mektron Ltd くしば状端子を備えた可撓性回路基板
JPH10319876A (ja) 1997-05-15 1998-12-04 Citizen Watch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590A (ko) 200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152B1 (ko)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KR100730151B1 (ko) 평판 표시 장치
EP1796171B1 (en)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397179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reduced line resistance
US20050206828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409482B2 (ja) 平板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KR1008138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595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19556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US20070284760A1 (en) Chip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62608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47611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615248B1 (ko) 평판 표시장치
US857583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improved power supply lines
KR100669740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68374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95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47621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751317B1 (ko) 평판 표시장치
KR100741101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625996B1 (ko)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13842B1 (ko) 평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