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949A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949A
KR20070038949A KR1020067019540A KR20067019540A KR20070038949A KR 20070038949 A KR20070038949 A KR 20070038949A KR 1020067019540 A KR1020067019540 A KR 1020067019540A KR 20067019540 A KR20067019540 A KR 20067019540A KR 20070038949 A KR20070038949 A KR 2007003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nk
spring
members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348B1 (ko
Inventor
신이치로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켄 고우교
신이치로 나카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켄 고우교, 신이치로 나카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켄 고우교
Publication of KR2007003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Toys (AREA)

Abstract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후두부의 높이가 등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자동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위를 보고 누운 자세와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자동적으로 높이를 변화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한다. 머리 적재 부재(3)에 두부를 위를 보게 얹었을 때에 두부의 최하부와 바닥 부재(2)의 간격이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되도록 함몰되는 공동부(8)를 형성하고, 공동부에 압박 기구(9)를 배치한다. 압박 기구는 공동부(8) 내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X형 링크(11)를 구비한다. 각 X형 링크는 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1 링크 부재(12)와 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2 링크 부재(13)를 중간의 링크축(16)으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된다. 압박 기구는 또한 양 X형 링크의 제1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와, 양 X형 링크의 제2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와, 양 X형 링크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작용선을 따라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2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침구로서 이용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수면시의 자세에 의해 높이가 변화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수면시의 자세는 직립 상태 그대로 쓰러져 위를 보고 누운 상태가 가장 자연스럽고 바람직하다. 이 때, 두부(頭部) 내에서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후두부(後頭部)는 등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되지만, 경부(頸部)의 후배면은 후두부보다도 10 내지 50 mm 정도 높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침구로서 이용하는 베개는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를 취하고 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등보다 약간 높은 위치로 하는 동시에, 후두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경부를 적절한 세기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사람이 수면시에 몸을 뒤척여 옆을 보고 누운 자세가 된 경우에는, 두부는 견부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경우보다도 두부의 위치가 높아진다. 따라서, 베개는 수면시 위를 보고 눕거나 또는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 따라 높이가 자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 자동적으로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베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의 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머리 정상 부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 사람의 경부가 위치하는 측을 전측으로 하여, 바닥 부재와 머리 적재 부재 사이에, 우측이 올라가게 경사진 링크 부재와 좌측이 올라가게 경사진 링크 부재를 중간의 피봇 부착부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X형 링크를 구비하고, 각 링크 부재의 한쪽 단부를 바닥 부재 또는 머리 적재 부재에 피봇 지지하는 동시에, 각 링크 부재의 다른 쪽 단부를 머리 적재 부재 또는 바닥 부재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머리 적재 부재에 피봇 지지되는 한쪽 링크 부재의 상단부와 머리 적재 부재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다른 쪽 링크 부재의 상단부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설치하고, 인장 스프링에 의해 X형 링크가 상측의 신장측으로 압박되도록 한 베개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58-67214호 공보 참조).
상기 공보에는 사람이 수면시에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머리 적재 부재에 두부를 얹으면, 머리 적재 부재는 두부의 하중에 의해 인장 스프링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하강하고, 한편 사람이 몸을 뒤척여 옆을 보고 누운 자세가 되어, 두부가 견부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 적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머리 적재 부재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X형 링크를 사이에 두고 머리 적재 부재에 부여되는 상측에의 압박력에 의해 상승하고, 그 결과 사람의 수면시의 자세에 따라 자동적으로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취지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머리 적재 부재를 옆을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에 적합한 상승 위치에 두부의 하중에 대항하여 유지하기 위해서는, 머리 적재 부재에 그 상승 위치에서 부여하는 상방으로의 압박력을 두부의 하중에 해당하는 크기로 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어도 머리 적재 부재는 응답성 좋게 하강하지 않고,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베개는 머리 적재 부재가 두부의 하중에 의해 함몰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또한 X형 링크의 각 링크 부재가 수평으로 쓰러지는 머리 적재 부재의 최하강 위치에서도 머리 적재 부재와 바닥 부재 사이에 각 링크 부재의 상하 방향 폭 만큼의 간극이 비기 때문에,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머리 적재 부재에 두부를 얹었을 때에 후두부의 위치를 충분히 낮게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베개에서는 머리 적재 부재에 시종 상방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은 두부의 위치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항상 상기 압박력에 대항하고 있어야 함으로써, 경부에 부하가 가해져 어깨 결림, 두통, 손발 저림, 목 결림, 잠을 잘못 자서 생기는 목이나 어깻죽지의 통증 등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머리 적재 부재에 두부를 얹었을 때에 후두부의 높이가 등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되도록 자동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머리 적재 부재에 두부를 얹었을 때와,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두부를 얹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머리 적재 부재에 두부를 얹었을 때에 후두부의 높이를 충분히 낮게 하기 위해 쓸데없는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 부재와, 바닥 부재 상에 배치된 머리 적재 부재를 구비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의 두부를 위를 보게 얹었을 때에 상기 머리 적재 부재가 두부의 하중에 의해 함몰되어 상기 머리 적재 부재 상의 두부의 최하부와 상기 바닥 부재의 간격이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설치된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 내에 상기 머리 적재 부재를 상방으로 압박하도록 설치된 압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의 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머리 정상부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 사람의 경부가 위치하는 측을 전측으로 하여, 각각 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1 링크 부재와 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2 링크 부재를 중간의 피봇 부착부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는, 상기 공동부 내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X형 링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에 대하여 전후방향의 작용선을 따라 상기 각 X형 링크의 상기 양 링크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양 X형 링크가 상방의 신장측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 적재 부재 공동부의 상측 부분이 전측과 후측의 양 상부 연결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이 옆을 보고 누운 자세로 두부를 얹었을 때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양 X형 링크를 사이에 두고 머리 적재 부재에 작용하는 상방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는 비함몰 상태가 되며, 머리 적재 부재 공동부의 상측 부분은 옆을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에 적합한 위치로 상승한다. 여기서, X형 링크를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은 하중의 작용 부위에 따라 다르며, 하중의 작용 부위가 전측과 후측의 양 상부 연결 부재 사이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위치할 때는 크고, 각 상부 연결 부재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이것은 하중의 작용 부위가 각 상부 연결 부재에 가까워질수록 각 상부 연결 부재를 사이에 두고 X형 링크의 각 링크 부재에 작용하는 피봇 부착부 둘레의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이다. 사람이 취침 중에 몸을 뒤척여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면, 옆을 보고 누운 자세시에 머리 적재 부재가 비함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관계에 의해 경부보다 두부의 위치가 높아져 경부가 구부러지며, 경부의 근반력(筋反力)에 의해 경부가 얹어지는 머리 적재 부재의 전측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한다. 그리고, 머리 적재 부재의 전측 부분의 근방에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부의 근반력에 의한 하중 증가에 의해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응답성 좋게 움직여 머리 적재 부재가 함몰된다.
덧붙여서, 상기 종래예와 같이 우측이 올라가게 경사진 링크 부재와 좌측이 올라가게 경사진 링크 부재로 구성되는 X형 링크를 이용하는 경우는 양 링크 부재의 상단부 사이의 가로 방향 중간부가 두부 및 경부의 하중 작용 부위가 되며, 이 부분은 X형 링크를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이 가장 커지는 부위이기 때문에, 경부의 근반력에 의해 하중이 증가하여도 X형 링크는 하방의 축소측으로 응답성 좋게 움직이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 X형 링크의 한 쌍의 링크 부재에는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한 모멘트가 작용하고, 이 모멘트는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와 스프링력의 곱과 같다.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링크 부재와 스프링력의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하고, 이 감소에 따라 한 쌍의 링크 부재 사이의 전후 방향 거리가 증가하여 스프링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링크 부재와 스프링력의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가 비교적 작은 각도 범위에 들어가 있으면, 각도 감소에 의한 스프링력의 증가율은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피봇 부착부 사이의 거리의 감소율에 비하여 작아진다. 그 결과, 스프링력에 의해 링크 부재에 작용하는 모멘트, 즉 X형 링크에 부여되는 상방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은 X형 링크가 아래쪽으로 수축됨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경부의 근반력에 의한 하중 증가로 인해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X형 링크는 도중에 정지하지 않고 최대 수축 상태가 될 때까지 움직인다. 그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는 완전히 함몰되고, 두부의 최하부와 바닥 부재의 간격이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되며, 상기 최하부가 사람의 등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된다. 두부의 최하부가 상기 위치에 있으면, 직립 상태의 사람을 그대로 쓰러 뜨려 위를 보고 누운 상태가 되어, 수면시에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자세 변화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어 쾌적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두부를 머리 적재 부재에 얹었을 때, 두부의 최하부인 후두부는 일반적으로 머리 적재 부재 공동부의 상측 부분의 중앙부에 얹혀진다. 그리고, 공동부 내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X형 링크의 각 링크 부재 및 전측과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는 후두부가 얹히는 머리 적재 부재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위치하지 않고, 각 링크 부재 및 전측과 후측의 연결 부재가 머리 적재 부재 너머로 두부에 접촉하여 불쾌감이 생기게 되는 것은 방지된다.
여기서,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는 제1 링크 부재의 전후방향 중심 위치보다 후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와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의 전후 방향 거리가 길어지며,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에 가해지는 하방으로의 하중에 의해 링크 부재에 작용하는 피봇 부착부 둘레의 모멘트가 커진다. 따라서,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었을 때의 경부의 근반력에 의한 하중 증가에 의해 한층 더 응답성 좋게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여 자세 변경에 대한 베개의 높이 변화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각 X형 링크의 제1 링크 부재의 전단부가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에 가해지는 하방으로의 하중에 의해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X형 링크 전체를 후방이 올라가게 회전시키는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고,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로부터 부상한다. 여기서,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일 때는,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에 대하여 후측으로 변위되고, 이 변위에 대한 바닥 부재로부터의 저항을 받으면, X형 링크의 축소측으로의 움직임이 방해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로부터 부상하면, 바닥 부재로부터의 저항을 받지 않고서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에 대하여 후측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되며, X형 링크가 원활하게 축소측으로 움직인다.
또한, 스프링 부재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에 가로 방향의 간격을 두고 팽팽하게 설치한 복수의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머리 적재 부재 공동부의 상측 부분이 인장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사람이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머리 적재 부재가 비함몰 상태로 있을 때에, 사람의 두부가 얹히는 머리 적재 부재의 부분(공동부의 상측 부분의 중앙부)이 전후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에서 함몰되어 두부의 위치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사람이 옆을 보고 누운 자세일 때에 머리 적재 부재를 비함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X형 링크에 사람의 두부의 중량에 따른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부여해야 한다. 그리고, 두부의 중량이 무거운 사람에 맞추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하면, X형 링크의 수축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신장측의 압박력이 감소한다고 하여도 X형 링크의 최대 수축 상태(머리 적재 부재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은 충분히 작아지지 않고,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의 최대 함몰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 사이의 상하 방향 거리가 0이 되도록 하면, 머리 적재 부재의 최대 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은 0이 된다. 그러나, 이것에 의해서는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옆을 보고 누운 자세로 자세 변경하였을 때에 머리 적재 부재를 비함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의 완전 함몰 상태에서도 X형 링크에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되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면, 압박 기구는 머리 적재 부재의 함몰 도중에 스프링부재(이하, 제1 스프링 부재라고 함)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회전하여,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해 양 X형 링크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양 X형 링크를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의 신장측으로 힘을 압박하여, 제1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피봇 부착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키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머리 적재 부재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는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한 신장측으로의 압박력과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한 축소측의 압박력과의 차분의 압박력에 의해 X형 링크가 신장측으로 압박되게 된다. 그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소정의 압박력이 확보되도록 제1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하여도 머리 적재 부재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고,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옆을 보고 누운 자세로 자세 변경하여 두부가 견부에 지지되어 머리 적재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머리 적재 부재는 비함몰 상태로 확실하게 복귀한다.
이 경우, 제1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된 상태에서만 X형 링크에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한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되도록 제2 스프링 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양 X형 링크의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양 X형 링크의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상부 인장 스프링과,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하부 인장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부 인장 스프링과 하부 인장 스프링의 한쪽 인장 스프링으로 제1 스프링 부재가 구성되며, 다른 쪽 인장 스프링으로 제2 스프링 부재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각 X형 링크의 양 링크 부재의 피봇 부착부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기 전의 상태, 즉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제1 스프링 부재에 의한 압박력과 제2 스프링 부재에 의한 압박력의 합력에 의해 X형 링크가 신장측으로 압박되게 되며, 제1과 제2 양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을 비교적 약하게 하여도 머리 적재 부재를 비함몰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신장측으로의 소정의 압박력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각 상부 연결 부재 및 각 하부 연결 부재의 강성을 그다지 높게 하지 않아도 스프링력에 의한 이들 연결 부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 연결 부재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베개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축형 부재에 상기 인장 스프링 중 대응하는 인장 스프링의 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으면, 축형 부재를 회전 조절함으로써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변화시켜,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X형 링크에 부여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이용자의 두부 중량에 맞추어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양 X형 링크의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양 X형 링크의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하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전후 동일한 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사이에 가요성을 갖는 연장 부재가 팽팽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한쪽 연결 부재는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축형 부재에 연장 부재의 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으면, 축형 부재를 회전 조절함으로써,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부 연결 부재 사이의 간격, 즉 머리 적재 부재의 높이를 이용자에 맞추어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의 단부를 감아 고정하는 축형 부재나, 연장 부재의 단부를 감아 고정하는 축형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머리 적재 부재에, 축형 부재의 단부를 향하는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압박 기구를 공동부로부터 취출하지 않아도 공구 삽입 구멍에 공구를 삽입하여 축형 부재를 회전 조절할 수 있어 상기한 조절 작업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그런데, 링크 부재나 상하의 연결 부재인 압박 기구의 구성 부재가 머리 적재 부재나 바닥 부재에 접촉하면, 머리 적재 부재나 바닥 부재가 구성 부재에 의해 마찰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압박 기구가 신축 가능한 통 형상의 커버 부재에 싸여져 있으면, 압박 기구의 구성 부재가 머리 적재 부재나 바닥 부재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머리 적재 부재나 바닥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동부는 머리 적재 부재가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의 하중에 의해 함몰되었을 때에 머리 적재 부재의 표면과 사람의 귓불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머리 적재 부재가 함몰되어도 머리 적재 부재의 표면과 귓불 사이에는 간격이 있기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의 표면이 귓불에 접촉하거나, 귓불을 반전시키거나 하지 않고, 수면 중인 사람에게 불쾌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는 연질 수지, 예컨대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머리 적재 부재의 공동부 상측 부분에, 공동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면, 머리 적재 부재의 함몰시에 공동부 내의 공기가 연통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분출되어 두부에 시원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를 연질 수지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경우, 공동부의 전측 벽부는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단면 형상이 전측으로 볼록한 호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어 머리 적재 부재가 함몰되었을 때, 전측의 벽부가 사람의 경부 아래에서 전측으로 신장되도록 찌부러지고, 전측의 벽부에 의해 이상적인 상태로 경부 전체가 지지된다.
그런데, 머리 적재 부재가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옆을 보고 누운 자세나 엎드린 자세가 되어 얼굴이 머리 적재 부재에 닿으면, 공동부 내의 링크 부재나 연결 부재의 존재를 머리 적재 부재 너머로 감지하여 위화감을 느낀다. 이 경우, 머리 적재 부재의 공동부 천장면에 저반발 우레탄폼보다 경질인 탄성 재료, 예컨대 고무폼제의 이면판이 적층되어 있으면, 링크 부재나 연결 부재의 존재를 감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는 우모,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무기질 입자, 유기질입자, 유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료를 내장하는 주머니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으로 절단한 절단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으로 절단한 절단 평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베개에 설치된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베개에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두부를 얹었을 때의 베개의 절단 측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베개에 옆을 보고 누운 자세로 두부를 얹었을 때의 베개의 절단 측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의 베개에 위를 보고 누운 자세로 두부를 얹었을 때의 베개의 절단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베개의 절단 평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으로 절단한 절단 측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베개에 설치된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베개의 함몰 상태를 도시한 절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개
2 : 바닥 부재
3 : 머리 적재 부재
8 : 공동부
9 : 압박 기구
10 : 연통 구멍
11 : X형 링크
12 : 제1 링크 부재
13 : 제2 링크 부재
16 : 링크 축(피봇 부착부)
17 :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
18 :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
19 :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
20 :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
21 : 인장 스프링(스프링 부재)
23 : 판 스프링(제2 스프링 부재)
25 : 연장 부재
26 : 상부 인장 스프링
27 : 하부 인장 스프링
28, 29 : 공구 삽입 관통 구멍
30 : 커버 부재
31 : 전측 벽부
32 : 이면판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베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베개에 구비하는 압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제1 실시예의 베개의 작동을 도시하는 설명적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베개(1)는 펠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 부재(2)와, 바닥 부재(2) 상에 배치된 머리 적재 부재(3)를 구비하고, 또한, 바닥 부재(2)와 머리 적재 부재(3)는 외피천(4)으로 피복되어 있다. 머리 적재 부재(3)는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본 형상이 가로가 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머리 적재 부재(3)의 상부에는 머리 적재 부재(3)에 사람의 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머리 정상부가 위치하는 쪽을 후측, 사람의 경부가 위치하는 쪽을 전측으로 하여, 후측이 낮은 모서리부(5)와 전측이 높은 모서리부(6)가 형성되고, 이들 양 모서리부(5, 6) 사이가 안장부(7)로 되어 있다.
머리 적재 부재(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동부(8)를 구비한다. 그리고, 머리 적재 부재(3)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람의 두부(H)를 위를 향하게 얹었을 때에 머리 적재 부재(3)가 두부(H)의 하중에 의해 함몰되어 머리 적재 부재(3) 상의 두부(H)의 최하부인 후두부(B)와 바닥 부재(2)의 간격이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동부(8) 내에는 압박 기구(9)가 설치되고, 또한, 머리 적재 부재(3)의 공동부(8) 상측 부분에는 공동부(8)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 기구(9)는 공동부(8) 내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한 쌍의 X형 링크(11, 11)를 구비하고 있다. 각 X형 링크(11)는 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1 링크 부재(12)와 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2 링크 부재(13)를 양 링크 부재(12, 13)의 중간부에 설치한 베어링(14, 15)을 삽입 관통하는 가로 방향의 링크 축(16) 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각 X형 링크(11)를 공동부(8)의 가로 방향 각 측의 측벽면을 따르도록 배치하고 있다.
압박 기구(9)는 또한 양 X형 링크(11, 11)의 제1 링크 부재(12, 12)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와, 제1 링크 부재(12, 12)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와, 양 X형 링크(11, 11)의 제2 링크 부재(13, 13)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19)와, 제2 링크 부재(13, 13)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2, 12),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 및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는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1개 부품으로 구성되고, 제2 링크 부재(13, 13),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19) 및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도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된 1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측과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 19) 사이에는 제1 스프링 부재인 한 쌍의 인장 스프링(21, 21)이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리 하여, 양 인장 스프링(21, 21)에 의해 양 X형 링크(11, 11)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작용선에 따라 각 X형 링크(11)의 양 링크 부재(12, 13)를 전후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양 링크 부재(12, 13)에 스프링력에 의한 링크 축(16) 둘레의 모멘트가 작용하고, 이 모멘트에 의해 양 X형 링크(11, 11)에 상방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되어, 머리 적재 부재(3)의 공동부(8) 상측 부분이 전측과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 20)를 매개로 상측으로 압박된다.
또한, 압박 기구(9)는 머리 적재 부재(3)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함몰되었을 때, 함몰 도중에 인장 스프링(21)의 작용선과 각 X형 링크(11)의 양 링크 부재(12, 13)의 피봇 부착부인 링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어, 인장 스프링(21)에 의해 양 X형 링크(11, 11)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스프링(21)의 후단부를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에 부착하는 L자형의 브래킷(22)에 의해 상기 하부 연결 부재(17)보다 상측 위치에 걸려 있다. 그리고, X형 링크(11)의 신장 상태에서는 인장 스프링(21)의 중심선(스프링력의 작용선)이 링크 축(16)의 하측에 위치하지만, X형 링크(11)의 최대 수축 상태에서는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1)의 중심선이 거리(M)만큼 링크 축(16)의 상측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X형 링크(11)의 제2 링크 부재(13)의 전방부 상면에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대향하는 제2 스프링 부재인 판 스프링(23)을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X형 링크(11)가 신장 상태에 있을 때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가 판 스프링(23)으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인장 스프링(21)의 중심선과 링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었을 때에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9)가 판 스프링(23)에 접촉하여, 판 스프링(23)에 의해 X형 링크(11)가 인장 스프링(21)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의 신장측으로 압박되고, 인장 스프링(21)의 중심선과 링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재역전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측과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 20) 사이에는 공동부(8)의 천장에 접촉하는 팽팽한 천(24)이 부착되어 있다. 또 한, X형 링크(11)의 상방으로의 신장량은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와 상부 연결 부재(20) 사이에 설치한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을 갖는 연장 부재(25)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압박 기구(9)의 작동 및 사람의 취침시의 자세 변경에 의한 베개(1)의 높이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취침시에 사람이 옆을 보고 누운 자세가 되면(도 6 참조), 사람의 두부(H)가 견부(S)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 적재부(3)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 X형 링크(11)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1)에 의해 부여되는 상방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상방으로 신장된 상태가 되며, 머리 적재 부재(3)의 공동부(8) 상측 부분이 밀려 올려져 머리 적재 부재(3)는 도 6에 도시하는 비함몰 상태가 된다.
여기서, X형 링크(11)를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은 하중의 작용 부위마다 다르고, 하중의 작용 부위가 전후의 상부 연결 부재(18, 20) 사이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위치할 때는 크고, 각 상부 연결 부재(18, 20)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이것은 하중의 작용 부위가 각 상부 연결 부재(18, 20)에 가까워질수록, 각 상부 연결 부재(18, 20)를 매개로 두고 X형 링크(11)의 각 링크 부재(12, 13)에 작용하는 링크 축(16) 둘레의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이다. 옆을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H)의 하중 작용 부위는 전측과 후측의 양 상부 연결 부재(19, 21) 사이의 전후 방향 중간부이며, 이 부분에 두부의 하중이 작용하여도 이 부분에서는 X형 링크(11)를 하측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이 커지기 때문에 머리 적재부(3)는 비함몰 상태로 유지된다.
사람이 취침 중에 몸을 뒤척여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면, 옆을 보고 누운 자세시에 머리 적재 부재(3)가 비함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관계에 의해 경부보다 두부의 위치가 높아져 경부가 구부러지고, 경부의 근반력에 의해 경부가 얹어지는 머리 적재 부재(3)의 전측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한다. 그리고, 머리 적재 부재(3)의 전측 부분은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의해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경부의 근반력에 의한 하중 증가에 의해 제1 링크 부재(12)에 링크 축(16) 둘레의 큰 모멘트가 작용하고, X형 링크(11)가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의 축소측으로 응답성 좋게 움직여 머리 적재 부재(3)가 함몰된다.
여기서, 각 링크 부재(12, 13)와 인장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의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는 머리 적재 부재(3)가 비함몰 상태일 때에 20°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X형 링크(11)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링크 부재(12, 13)와 스프링력의 작용선이 이루는 각도가 감소하고, 이 감소에 따라 인장 스프링(21)이 신장되어 스프링력은 증가하지만, 20°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는 각도 감소에 의한 스프링력의 증가는 적어진다. 한편, 인장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 사이의 거리는 X형 링크(11)의 하방으로의 수축량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그 때문에, 링크 부재(12, 13)에 작용하는 모멘트[=스프링력×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 사이의 거리], 즉 X형 링크(11)에 부여되는 상방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은 X형 링크(11)가 아래쪽으로 수축됨에 따라 감소한다. 게다가, 머리 적재 부재(3)의 함몰 도중에 인장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 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기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3)의 함몰에 의해 경부의 근반력에 의해 하중이 감소하여도 X형 링크(11)는 도중에 정지하지 않고 도 4c에 도시하는 최대 수축 상태가 될 때까지 움직인다. 그 결과, 머리 적재 부재(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히 함몰되고, 두부(H)의 최하부인 후두부(B)와 바닥 부재(2)의 간격이 10 내지 30 mm, 예컨대 15 mm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23)에 의한 신장측으로의 압박력과 인장 스프링(21)에 의한 축소측의 압박력과의 차분의 압박력에 의해 X형 링크(11)가 신장측으로 압박되게 된다. 그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3)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소정의 압박력이 확보되도록 인장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을 강하게 하여도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H)의 하중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3)는 완전 함몰 상태로 유지되고, 후두부(B)와 바닥 부재(2)의 간격이 상기한 범위로 유지되어, 가장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사람의 경부(N)는 머리 적재 부재(3)의 높은 모서리부(6) 상에 있지만, 이 때 경부(N)에 작용하는 힘은 바닥 부재(2)와 머리 적재 부재(3)의 모서리부(6)와의 반발력이 작용하는 것을 넘지 않고, 후두부(B)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경부(N)가 적절한 세기로 지지된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3)가 함몰될 때는 공동부(8) 내의 공기가 연통 구멍(10)으로부터 외부로 분출한다. 그리고, 분출하는 공기에 의해 두부(H)에 시원한 느낌이 주어져 두한족열(頭寒足熱)로 할 수 있다. 또한, 공동부(8)의 크기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서 머리 적재 부재(3)의 표면(3a)과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H)의 귓불(Y)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3)가 함몰되어도 머리 적재 부재(3)의 표면(3a)이 귓불(Y)에 접촉하거나, 귓불(Y)을 뒤집지 않고, 수면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3)의 표면(3a)과 귓불(Y) 사이에 간격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공동부(8)는 사람의 좌우의 귓불(Y, Y) 사이의 길이의 1.5 내지 2.0배 정도, 구체적으로는 30 내지 40 cm의 범위의 가로 방향 길이와, 60 내지 80 cm의 범위의 높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이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몸을 뒤척여 옆을 보고 누운 자세가 되어, 두부(H)가 견부(S)에 의해 지지되어 머리 적재 부재(3)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서도 X형 링크(11)는 판 스프링(23)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신장측으로 압박되고 있기 때문에, X형 링크(11)가 상방의 신장측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21)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과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재역전되고, 이후에 인장 스프링(21)에 의해 X형 링크(11)에 부여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3)는 도 6에 도시하는 비함몰 상태로 복귀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베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상위점은 각 X형 링크(11)의 제1 및 제2 양 링크 부재(12, 13)의 피봇 부착부인 링크 축(16)이 제1 링크 부재(12)의 전후 방향 중심 위치보다 후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각 X형 링크(11)의 제1 링크 부재(12)의 전단부가 제2 링크 부재(13)의 전단부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크 축(16)을 후방으로 오프셋시키면, 링크 축(16)과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 사이의 전후 방향 거리가 길어지며,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 제1 링크 부재(12)에 링크 축(16) 둘레의 큰 모멘트가 작용하여, X형 링크(11)가 아래쪽으로 쉽게 수축되게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에서는, 제1 링크 부재(12)의 전단과 링크 축(16) 사이의 길이가 제2 링크 부재(13)의 후단과 링크 축(16) 사이의 길이의 1.5배로 되어 있으며, 이 X형 링크(11)를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의 전후 방향의 각각의 위치(각각의 위치의 간격은 20 mm)에 있어서의 값이 도 10a의 X형 링크(11)의 상측에 기입되어 있다. 이것으로 링크 축(16)의 바로 위의 근방에서의 하중은 7 kgf 정도가 되지만,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합치하는 위치에서는 하중이 2 kgf 정도로 감소하여 5.1 kgf가 된다. 여기서, 옆을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3)에 작용하는 하중은 4 kgf 정도이지만,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되었을 때는, 경부의 근반력에 의한 하중 증가에 의해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6 kgf 이상의 하중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X형 링크(11)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응답성 좋게 움직이고, 자세 변경에 대한 베개의 높이 변화의 추종성이 향상된다.
그런데, X형 링크(11)가 하방의 축소측으로 움직일 때는, 제1 링크 부재(12) 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2)에 대하여 후측으로 변위하고, 이 변위에 대한 바닥 부재(2)로부터의 저항을 받으면, X형 링크(11)의 축소측으로의 움직임이 방해된다. 여기서, 각 X형 링크(11)의 제1 링크 부재(12)의 전단부를 제2 링크 부재(13)의 전단부보다 전측에 위치시켜 놓으면,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가해지는 하방으로의 하중에 의해 제2 링크 부재(13)의 전단부[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19)]를 지지점으로 하여 X형 링크(11) 전체를 후방이 올라가게 회전시키는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고, 제1 링크 부재(12)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2)로부터 부상한다. 그 때문에, 바닥 부재(2)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고 제1 링크 부재(12)의 후단부가 바닥 부재(2)에 대하여 후측으로 변위될 수 있게 되며, X형 링크(11)가 원활하게 축소측으로 움직인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제2 상위점은 X형 링크(11)를 상방의 신장측으로 힘을 압박하는 스프링 부재로서, 전후의 상부 연결 부재(18, 20)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상부 인장 스프링(26)과, 전후의 하부 연결 부재(17, 19)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하부 인장 스프링(27)을 구비하고, 머리 적재 부재(3)의 함몰 도중에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중심선(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과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각 링크 부재(12, 13)는 측 모서리에 입상부(12a, 13a)를 갖는 단면 L 자형의 강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 링크 부재(12, 13)를 입상부(12a, 13a)에 있어서 링크 축(1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12)의 입상부(12a)의 후방부에는 X형 링크(11)의 최대 수축 상태에서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가 들어가는 오목 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 즉, X형 링크(11)의 최대 수축 상태에서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축(16)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었던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중심선이 거리(M)(예컨대 10 mm)만큼 링크 축(16) 아래쪽으로 변위하고, 상부 인장 스프링(26)에 의해 X형 링크(11)가 축소측으로 압박된다. 한편, 하부 인장 스프링(27)의 중심선과 링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는 역전되지 않고, X형 링크(11)에는 최대 수축 상태에 있어서도 하부 인장 스프링(27)에 의한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X형 링크(11)의 최대 수축 상태에서 하부 인장 스프링(27)에 의해 부여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상부 인장 스프링(26)에 의한 축소측의 압박력보다 크게 하여, 양 압박력의 차분의 압박력에 의해 X형 링크(11)가 신장측으로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a의 우측에는 X형 링크(11)의 신장측의 압박력에 의해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X형 링크(11)를 축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데 필요한 하중]의 상하 방향의 각각의 위치(각각의 위치의 간격은 10 mm)에 있어서의 값이 기입되어 있다. 상부 연결 부재(18)의 상승단 위치(높이 80 mm)에서의 밀어 올리는 힘은 5.1 kgf가 되지만, 하강단 위치에서의 밀어 올리는 힘은 0.75 kgf로 충분히 작아진다. 그 때문에,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를 보고 누운 자세에서 옆을 보고 누운 자세로 자세 변경하여, 두부가 견부에 지지되어 머리 적재 부재(3)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X형 링크(11)가 상측의 신장측으로 움직여, 머리 적재 부재(3)는 비함몰 상태로 확실하게 복귀한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3)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는 상부 인장 스프링(26)에 의한 압박력과 하부 인장 스프링(27)에 의한 압박력의 합력에 의해 X형 링크(11)가 신장측으로 압박되게 되고, 상부와 하부의 각 인장 스프링(26, 27)의 스프링력을 비교적 약하게 하여도 머리 적재 부재(3)를 비함몰 상태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신장측으로의 소정의 압박력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각 상부 연결 부재(18, 20) 및 각 하부 연결 부재(17, 19)의 강성을 그다지 높게 하지 않아도 스프링력에 의한 이들 연결 부재(17 내지 20)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들 연결 부재(17 내지 20)의 경량화, 나아가서는 베개(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머리 적재 부재(3)의 함몰 도중에 역전되는 스프링 부재를 상부 인장 스프링(26)으로 하였지만, 이 스프링 부재를 하부 인장 스프링(27)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각 인장 스프링(26, 27)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머리 적재 부재(3)의 공동부(8)의 상측 부분이 복수의 상부 인장 스프링(2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사람이 옆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머리 적재 부재(3)가 비함몰 상태로 있을 때에, 사람의 두부가 얹어지는 머리 적재 부재(3)의 부분[공동부(8)의 상측 부분의 중앙부]이 전후의 상부 연결 부재(18, 20) 사이에서 함몰되어 두부의 위치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링크 축(16)의 상하 방 향의 위치 관계를 재역전시키는 스프링 부재로서, 하부 인장 스프링(27) 대신에 제1 실시예의 판 스프링(23)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후의 하부 연결 부재(17, 19)는 없어도 좋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제3 상위점은 후측의 하부와 상부의 각 연결 부재(17, 20)가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축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이들 각 연결 부재(17, 20)는 대응하는 각 링크 부재(12, 13)의 입상부(12a, 1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 부재(17, 20)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 양측에서 사이에 각 링크(12, 13)의 입상부(12a, 13a)를 끼우는 너트(17a, 20a)를 부착하고, 상시(常時)에는 너트(17a, 20a)와 입상부(12a, 13a) 사이의 마찰력으로 각 연결 부재(17, 20)의 회전을 멈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의 가로 방향 일단부에 이것에 고정한 너트로 구성되는 공구용 결합부(17b)를 설치하는 동시에,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의 가로 방향 타단부에도 공구용 결합부(20b)를 설치하고, 또한 머리 적재 부재(3)의 공동부(8)의 가로 방향 양측의 측벽부에 각각 결합부(17b, 20b)를 향하는 공구 삽입 구멍(28, 29)을 형성하고 있다. 이리하여, 각 공구 삽입 구멍(28, 29)을 통해 각 결합부(17b, 20b)에 복스 렌치 등의 공구를 결합시켜,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와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를 회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에는 하부 인장 스프링(27)의 후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를 회전 조절함으로써 하부 인장 스프링(27)의 스프링력을 변화시켜 머리 적재 부재(3)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X형 링크(11)에 부여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이용자 두부의 중량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머리 적재 부재(17)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을 하부 인장 스프링(27)의 스프링력의 조절로 5.81 kgf, 5.31 kgf, 4.95 kgf, 4.46 kgf, 3.87 kgf로 변화시키는 경우,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은, 각각 0.92 kgf, 0.82 kgf, 0.75 kgf, 0.7 kgf, 0.55 kgf가 된다. 이와 같이 머리 적재 부재(17)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을 크게 변화시켜도,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머리 적재 부재(17)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을 두부의 중량이 큰 이용자에 맞추어 크게 하여도 머리 적재 부재(3)의 완전 함몰 상태에 있어서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18)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은 충분히 작아지며,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경부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에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에 하단부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건 가요성을 갖는 연장 부재(25)의 상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를 회전 조절함으로써, 머리 적재 부재(3)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하부 연결 부재(17)와 상부 연결 부재(20) 사이의 간격, 즉 머리 적재 부재(3)의 높이를 이용자에 맞추어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후단부는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걸리고, 이 연결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스프링력이 변화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X형 링크(11)에 부여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조절하고,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지만,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에 연장 부재(25)의 하단부를 감아 고정하는 동시에,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에 상부 인장 스프링(26)의 후단부를 감아 고정하여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17)의 회전에 의해 머리 적재 부재(3)의 높이를 조절하고,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20)의 회전에 의해 X형 링크(11)에 부여하는 신장측으로의 압박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측의 상부와 하부의 연결 부재(18, 19)를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 상부와 하부의 연결 부재(18, 19)의 한쪽 연결 부재에 대응하는 인장 스프링의 단부를 감아 고정하는 동시에, 다른 쪽 연결 부재에 양 연결 부재(18, 19)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연장 부재의 단부를 감아 고정하여도 좋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제4 상위점은 압박 기구(9)를 고무 등으로 형성된 신축 가능한 통 형상의 커버 부재(30)로 둘러싼 것이다. 이것에 의해, 압박 기구(9)의 구성 부재가 바닥 부재(2)나 머리 적재 부재(3)에 직접 닿아 바닥 부재(2)나 머리 적재 부재(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제5 상위점은 공동부(8) 전측의 벽부(31)를, 머리 적재 부재(3)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따른 단면 형상이 전측으로 볼록한 호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같이 공동부(8)의 전측이 수직인 벽부로 되어 있으면, 위를 보고 누운 자세가 된 경우, 이 벽부가 수직으로 압축되게 된다. 그 때문에, 머리 적재 부재(3)를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형성하여도 벽부의 반발력이 커져 경부가 압박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전측의 벽부(31)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호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위를 보고 누운 자세시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측의 벽부(31)가 경부 아래에서 전측으로 신장되도록 찌부러진다. 그 결과, 경부를 압박하지 않고 이상적인 상태로 경부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바닥 부재(2)를 머리 적재 부재(3)와 동일한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구성하고, 공동부(8)의 하반부가 바닥 부재(2) 주위의 벽부로 둘러싸이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동부(8) 전측의 벽부(31)는 머리 적재 부재(3)와 일체인 상반부(31a)와 바닥 부재(2)와 일체인 하반부(31b)를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전측의 벽부(31)를 하반부(31b)에 걸쳐 머리 적재 부재(3)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서는 바닥 부재(2)와 머리 적재 부재(3) 사이에 링크 부재(12, 13)의 입상부(12a, 13a) 높이만큼의 간극이 비어 있지만, 간극이 비는 것은 X형 링크(11)의 근방만이며, 두부가 얹혀지는 가로 방향 중간부(間部)에서는 바닥 부재(2)와 머리 적재 부재(3) 사이에 대략 간극은 발생하지 않고, 후두부와 바닥 부재(2)의 간격은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된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베개(1)의 제6 상위점은 머리 적재 부재(3) 의 공동부(8)의 천장면에, 머리 적재 부재(3)의 형성 재료인 저반발 우레탄폼보다 경질인 탄성 재료, 예컨대 고무폼제의 이면판(32)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머리 적재 부재(3)가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옆을 보고 누운 자세나 엎드린 자세가 되어 얼굴이 머리 적재 부재(3)에 닿으면, 공동부(8) 내의 링크 부재(12, 13)나 상부 연결 부재(18, 20)라는 압박 기구(9)의 구성 부재의 존재를 머리 적재 부재(3) 너머로 감지하여 위화감을 느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면판(32)을 설치함으로써, 압박 기구(9)의 구성 부재의 존재를 감지하기 어렵게 하여 이용자에게 위화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3) 공동부(8) 천장면의 중앙부에는 링크 부재(12, 13)나 상부 연결 부재(18, 20)가 닿지 않기 때문에, 이면판(32)을 사각형의 환형으로 형성하여 천장면의 중앙부에 이면판(32)이 적층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머리 적재 부재(3)가 저반발 우레탄폼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머리 적재 부재(3)는 통상의 우레탄폼, 고무폼 등의 다른 연질 수지제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머리 적재 부재(3)는 우모,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무기질 입자, 유기질 입자, 유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료를 내장하는 주머니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천연 섬유로서는 면, 판야 등의 식물성 섬유, 카멜 등의 동물성 섬유를 들 수 있고, 상기 합성 섬유로서는 합성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질 입자로서는 숯, 세라믹, 천연석 등의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유기질 입자로서는 메밀 껍질 등의 식물성 입자, 플라스틱 비드, 플라스틱 파이프 등의 합성 수지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로서는 물, 젤리, 냉각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머리 적재 부재(3)를 적어도 전측의 모서리부(6)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머리 적재 부재(3)는 공동부(8) 내에 압박 기구(9)를 구비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Claims (16)

  1. 바닥 부재와, 바닥 부재 상에 배치된 머리 적재 부재를 구비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의 두부(頭部)를 위를 보게 얹었을 때에 상기 머리 적재 부재가 두부의 하중에 의해 함몰되어 상기 머리 적재 부재 상의 두부의 최하부와 상기 바닥 부재의 간격이 10 내지 30 mm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설치된 공동부와,
    상기 공동부 내에 상기 머리 적재 부재를 상방으로 압박하도록 설치된 압박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 사람의 두부를 얹은 상태에서 머리 정상부가 위치하는 측을 후측, 사람의 경부(頸部)가 위치하는 측을 전측으로 하여, 각각 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1 링크 부재와 후방이 올라가게 경사진 제2 링크 부재를 중간의 피봇 부착부에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공동부 내에 가로 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된 한 쌍의 X형 링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작용선을 따라 상기 각 X형 링크의 상기 양 링크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접근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양 X형 링크가 상방의 신장측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X형 링크의 상기 양 링크 부재의 상기 피봇 부착부는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전후 방향 중심 위치보다 후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X형 링크의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 측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에 가로 방향의 간격을 두고 팽팽하게 설치한 복수의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기구는 상기 머리 적재 부재의 함몰 도중에 상기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상기 각 X형 링크의 상기 양 링크 부재의 상기 피봇 부착부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가 역전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양 X형 링크가 하측의 축소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양 X형 링크를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한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의 신장측으로 압박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선과 상기 피봇 부착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 관계를 재역전시키는 제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상부 인장 스프링과, 상기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하부 인장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부 인장 스프링과 하부 인장 스프링의 한쪽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스프링 부재가 구성되고, 다른 쪽 인장 스프링으로 상기 제2 스프링 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측의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는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축형 부재에 상기 인장 스프링 중의 대응하는 인장 스프링의 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후측의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양 X형 링크의 상기 제2 링크 부재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전측의 하부 연결 부재 중 적어도 한쪽 하부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전후 동일한 측의 상기 상부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 부재 사이에 가요성을 갖는 연장 부재가 팽팽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하부 연결 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 부재의 한쪽 연결 부재는 회전 조절 가능한 축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축형 부재에 상기 연장 부재의 단부가 감겨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에는 상기 축형 부재의 단부를 향하는 공구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기구는 신축 가능한 통 형상의 커버 부재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상기 머리 적재 부재가 위를 보고 누운 자세의 사람의 두부 하중에 의해 함몰되었을 때에 상기 머리 적재 부재의 표면과 사람의 귓불 사이에 간격이 확보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는 연질 수지제 성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의 상기 공동부의 상측 부분에, 상기 공동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의 전측 벽부는 상기 머리 적재 부재의 비함몰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전측으로 볼록한 호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수지는 저반발 우레탄폼이며, 상기 머리 적재 부재의 상기 공동부의 천장면에 저반발 우레탄폼보다 경질인 탄성 재료제의 이판(裏板)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적재 부재는 우모,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무기질 입자, 유기질 입자, 유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재료를 내장하는 주머니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1020067019540A 2004-08-04 2005-07-13 베개 KR100960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28068 2004-08-04
JP2004228068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949A true KR20070038949A (ko) 2007-04-11
KR100960348B1 KR100960348B1 (ko) 2010-05-28

Family

ID=3578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540A KR100960348B1 (ko) 2004-08-04 2005-07-13 베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68248B2 (ko)
JP (1) JP4116059B2 (ko)
KR (1) KR100960348B1 (ko)
CN (1) CN1937942A (ko)
TW (1) TW200719858A (ko)
WO (1) WO2006013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4033A1 (en) * 2009-10-28 2011-04-28 Zinus Inc. Anti-snore neck-support contour pillow
US7828760B2 (en) * 2008-04-29 2010-11-09 Jason M. Levine Weight driven neck traction unit and method
TW200946061A (en) * 2008-05-07 2009-11-16 hong-jian Zhou Pillow able to adjust the height
WO2010035360A1 (ja) * 2008-09-25 2010-04-01 株式会社医研工業
JP4328879B1 (ja) * 2008-12-11 2009-09-09 株式会社医研工業
US20110173754A1 (en) * 2010-01-20 2011-07-21 Artoon Pty Ltd Inflatable pillow
JP5264793B2 (ja) * 2010-01-28 2013-08-14 株式会社医研工業
CN201658125U (zh) * 2010-03-29 2010-12-01 杨金刚 一种枕头
TW201201748A (en) * 2010-07-02 2012-01-16 Zhou Zhe Yang Ergonomics pillow
US20120073057A1 (en) * 2010-09-29 2012-03-29 Sramek Roger A Pillow having structurally varying core and cover
US20130232694A1 (en) * 2010-10-25 2013-09-12 Tri-Cycle Pty Ltd. Head and/or neck support device and method
CN102090822B (zh) * 2011-03-10 2012-07-25 姜云杰 阻尼式高度自动调节枕头
US20130036554A1 (en) * 2011-08-09 2013-02-14 Elisa Steinmetz Pregnancy Sleep-Aid
US8769744B1 (en) * 2012-01-18 2014-07-08 Kelley Brown Neck support device
US8316489B1 (en) * 2012-06-20 2012-11-27 Silviano Leal Orthopaedic pillow frame
CN103190793B (zh) * 2013-04-20 2015-01-14 王林超 枕头
CN103330429B (zh) * 2013-07-17 2015-05-13 谢光福 多功能睡眠保健枕
JP5468706B1 (ja) * 2013-11-19 2014-04-09 株式会社医研工業
US10369068B2 (en) * 2014-02-28 2019-08-06 Alan SEXTON Head positioning device
KR101520390B1 (ko) * 2014-03-25 2015-05-21 김재걸 베개높이 자동조절장치
CN104188450B (zh) * 2014-09-18 2016-05-18 彭光远 保健枕
CN104545202B (zh) * 2015-01-13 2017-01-04 张超 设有柔软弹性层调节安装固定结构的枕头
CN105167955B (zh) * 2015-08-07 2018-07-10 吴青平 一种颈椎牵引枕
US10588810B2 (en) 2015-08-19 2020-03-17 Kelley Brown Lumbar traction device
CN105105585B (zh) * 2015-09-29 2017-08-25 黄子凡 枕头
CN105413098B (zh) * 2015-12-11 2018-08-2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抗阻式颈部肌肉锻炼装置
WO2017178867A1 (en) 2016-04-13 2017-10-19 Reddy Jordi Pillow
JP2018027303A (ja) * 2016-08-15 2018-02-22 ▲黄▼賢達Huang, Hsien−Ta 昇降式枕
CN107048900B (zh) * 2017-03-30 2019-01-01 李梦颖 一种改进的健康枕头
CN107121721B (zh) * 2017-04-21 2019-10-18 青岛骐骥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导光板的定位装置
KR101914113B1 (ko) * 2017-09-29 2018-11-01 김태진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USD898443S1 (en) 2019-06-10 2020-10-13 Ontel Products Corporation Leg pillow cushion
CN113208841B (zh) * 2021-04-29 2022-07-08 河南省人民医院 缓解胃食道反流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7103A (en) * 1915-11-12 1920-01-06 Knowles William Victor Creeper
US2668964A (en) * 1952-01-22 1954-02-16 Bert F Simmons Headrest mechanism for creepers
US3002201A (en) * 1959-01-28 1961-10-03 Milton T Nelson Head rest
JPS474263Y1 (ko) * 1967-12-29 1972-02-15
JPS474263U (ko) 1971-02-05 1972-09-09
JPS518069B2 (ko) 1973-07-30 1976-03-13
JPS5591317A (en) 1978-12-29 1980-07-10 Otsuka Hiroshi Automatic pillow
JPS5867214A (ja) 1981-10-17 1983-04-21 西山 理 自動的に高さの変る枕
JPH09276108A (ja) 1996-04-15 1997-10-28 Jitsukawa Seisaku Kk
KR200267403Y1 (ko) 2001-12-12 2002-03-12 문형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364717Y1 (ko) 2004-07-01 2004-10-12 이순녕 베게 높이 조절장치
KR100659356B1 (ko) 2005-11-08 2006-12-19 서점란 기능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8991A1 (en) 2007-05-31
WO2006013708A1 (ja) 2006-02-09
JP4116059B2 (ja) 2008-07-09
TW200719858A (en) 2007-06-01
US7568248B2 (en) 2009-08-04
CN1937942A (zh) 2007-03-28
KR100960348B1 (ko) 2010-05-28
JPWO2006013708A1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348B1 (ko) 베개
JP4286907B1 (ja)
AU2002237452B2 (en) Seat which converts into a bed
WO2007021302A3 (en) Circulation enhancing sleeve pillow or cushion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KR200390847Y1 (ko)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KR102100365B1 (ko) 매트리스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JP4282747B1 (ja)
KR200364717Y1 (ko) 베게 높이 조절장치
JP3699472B1 (ja)
KR20120117589A (ko)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베개
JP4328879B1 (ja)
JP3219589U (ja) 形状・高さ調節可能安眠枕
JP4253718B1 (ja)
JP4286902B1 (ja)
CN211673377U (zh) 一种带床垫电动床
JP2009207559A (ja) ソファー兼用ベッド
WO2010035360A1 (ja)
CN101199387A (zh) 哑铃形枕头
JP2003052489A (ja) 背もたれ装置
JP4282741B1 (ja)
JP4282742B1 (ja)
CN213075156U (zh) 一种双层弹筒记忆棉床垫
JP5264793B2 (ja)
EP1654961A2 (en) Frame for a lying or sitting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