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8406A - 방재 방범 기기 - Google Patents

방재 방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8406A
KR20070038406A KR1020060094176A KR20060094176A KR20070038406A KR 20070038406 A KR20070038406 A KR 20070038406A KR 1020060094176 A KR1020060094176 A KR 1020060094176A KR 20060094176 A KR20060094176 A KR 20060094176A KR 20070038406 A KR20070038406 A KR 20070038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main body
apparatus main
disaster preven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5681B1 (ko
Inventor
아키오 요코지마
Original Assignee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치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re Alarm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이 방재 방범 기기는,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회로를 수용하는 기기 본체와 ; 상기 기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와 ;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 기기 본체 또는 커버체의 대향면에 대략 직교하듯이 맞닿는 복수의 방수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재 방범 기기{EQUIPMENT FOR PREVENTING OF CRIME AND DISASTER}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경보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동일 경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부착 베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회로 기판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기 본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는 동일 기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동일 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배면측으로부터 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기기 본체의 평면 형상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 는 배수로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기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경보기를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경보기를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46990호
본 발명은, 감시 영역에 있어서의 이상 검출이나 이상 경보를 행하기 위한 방재 방범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재 방범 기기의 내부에 대한 빗물 등의 침입이 방지된 방재 방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감시 영역에 있어서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거나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그것을 외부에 경보하는 등의 각종 방재 방범 기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방재 방범 기기는, 일반적으로, 설치면에 고정되는 기기 본체와, 이 기기 본체를 외면으로부터 덮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 본체에는, 감시 영역에 있어서의 이상 유무 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이상이 수신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발하는 표시등이나 부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 영역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 수신부에서 수신되면, 표시등이나 부저를 이용해 경보가 출력된다.
이런 종류의 방재 방범 기기의 하나로, 일반 건물 등의 옥외 벽면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에서 화재나 침입자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그것을 옥외에 표시하는 옥외용 경보기 (표시기) 가 있다. 이러한 옥외용 경보기에는, 통상, 이 경보기가 빗물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도 그 기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이 경보기의 내부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방수 구조는, 기기 본체 및 커버체 간의 접합 개소에 방수 패킹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는, 케이스 본체의 양측 및 상부 가장 자리에 패킹을 고정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 구조는, JIS 규격의 보호 등급에 있어서의 4 급 (방말형(防沫型) : 어떤 방향으로부터의 물의 비말 (飛沫) 에 의해서도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을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했지만, 최근에는, 한층 더 위인 6 등급 (내수형 : 어떠한 방향으로부터의 물의 직접 분류를 입어도 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는다) 을 만족시킬 것이 요망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내수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특히, 종래와 같이 패킹에만 의존한 방수 구조에서는, 패킹을 케이스 본체에 설치할 때에 비틀림 등을 일으키게 하거나 패킹이 장기간 사용된 후에 열화되었을 경우에, 패킹과 케이스 본체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을 통하여 빗물 등이 방재 방범 기기 내부에 침입 가능하게 되어, 방수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패킹의 설치 미스나 열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수 구조를 구비한 방재 방범 기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의 방재 방범 기기는,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회로를 수용하는 기기 본체와 ; 상기 기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와 ;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 기기 본체 또는 커버체의 대향면에 대략 직교하듯이 맞닿는 복수의 방수벽을 구비한다.
이 방재 방범 기기에 의하면, 기기 본체 또는 커버체와 일체로 형성된 방수벽에 의해 방수 구조를 구축할 수 있고, 방수 패킹과 같이 장착 미스의 문제나 방수 부분만이 열화된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방수성을 안정적으로 또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방수벽을 복수 병설하고 있으므로, 1 개의 방수벽을 넘어 빗물 등이 침입했을 경우에도, 이것을 다음 방수벽에서 막을 수 있어, 방재 방범 기기의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수벽의 상호간, 또는, 상기 복수의 방수벽과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 상호간에,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커버체와의 상호간의 간극을 막는 탄성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방수벽에 의해 탄성 부재의 장착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장착용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방재 방범 기기를 한층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수벽 상호간의 공간부를,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연속하는 배수로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방수 벽면에 배수로를 형성했으므로, 이 배수로에 의해 배수 효과를 높여 빗물 등이 기기 본체의 내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수벽 기립 높이를,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커버체의 상호 접합 방향을 따라 순차로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커버체를 기기 본체에 설치할 때에, 커버체가 방수벽의 외주면을 따라 서서히 눌려 확대되면서 기기 본체에 부착되어 커버체의 부착이 한층 순조로워짐과 함께, 방수벽과 커버체 간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수벽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들 복수의 방수벽 외면을 서로 연접하는 연접벽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커버체를 기기 본체에 부착할 때에, 커버체가 연접벽의 외면을 따라 서서히 눌려 확대되면서 다음 방수벽에 도달하므로, 커버체의 설치가 한층 순조로워진다.
당해 방재 방범 기기를 소정의 제 1 설치 방향 및 당해 제 1 설치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설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방수벽 하부에, 소정의 배선을 끌어들이기 위한 배선용 개구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방재 방범 기기의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배선용 개구부가 항상 기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빗물 등이 배선용 개구부를 통하여 기기 본체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재 방범 기기의 1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I〕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 개념을 설명한 후,〔Ⅱ〕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Ⅲ〕마지막으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실시 형태만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 개념
우선, 본 실시 형태의 기본적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방재 방범 기기는, 임의의 설치면에 설치되어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소정 기능을 나타내는 방재 방범 기기이다. 설치면으로서 이하에서는 옥외의 벽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옥외나 벽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방재 방범 기기의 기본적인 방재 기능 또는 방화 기능의 구체적 내용은 임의이다. 방재 방범 기기는, 예를 들어, 화염 검출기, 인체 센서, 인체 라이트, 방범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방재 방범 기기가 옥외용 경보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재 방범 기기의 특징 중 하나는,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회로를 수용하는 기기 본체와 이 기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 사이에, 방수벽을 설치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이 방수벽은, 종래의 방수 패킹을 대신하여, 혹은, 종래의 방수 패킹에 더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물의 침수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 방수벽에 의해 기기 본체와 커버체 상호간의 간극을 막음으로써, 방재 방범 기기의 방수성을 향상시켜 JIS 6 등급 정도의 내수성을 확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방수벽은, 기기 본체나 커버체와 일체로 수지 성형되어 있으므로, 방수 패킹의 설치 미스나 열화를 일으키기 어렵기 때문에, 방수 패킹 상태에 상관없이, 높은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다.
〔Ⅱ〕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경보기 구성의 개요를 설명한 후, 방수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경보기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경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보기 (1) 는, 부착 베이스 (10) 와, 기기 본체 (20) 와 회로 기판 (30) 과 커버 (40) 를 갖추어 개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정면」 및 「전」이란, 기기 본체 (20) 측으로부터 커버 (40) 측으로 향하는 방향, 「배면」 및 「후」 란, 커버 (40) 측으로부터 기기 본체 (20) 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경보기 (1) 의 구성-부착 베이스 (10))
부착 베이스 (10) 는, 경보기 (1) 를 도시하지 않은 벽면 등의 소정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설치 수단이며,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부착 베이스 (10) 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부착 베이스 (10) 에는, 2 개의 관통 형상의 나사 구멍 (11, 12) 과 1 개의 오목 형상의 나사 구멍 (13) 과 4 개의 계지편 (14∼17) 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 (11) 은, 이른바 눈사람 형상 (타원에 대해서 이것보다 직경이 큰 대원을 조합 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나사 (2a) 를 이 나사 구멍 (11) 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부착 베이스 (10) 를 설치면에 임시 고정시킬 수 있다. 나사 구멍 (12) 은, 나사 구멍 (11)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른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설치면에 임시 고정한 부착 베이스 (10) 를, 나사 구멍 (11) 에 삽입 통과시킨 부착 나사 (2a)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킴으 로써, 그 부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조정이 끝난 시점에서, 부착 나사 (2b) 를, 나사 구멍 (12) 을 통하여 설치면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부착 베이스 (10) 를 설치면에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오목 형상의 나사 구멍 (13) 은, 커버 (40) 의 정면측으로부터 이들 커버 (40) 나 기기 본체 (20) 에 삽입 통과된 부착 나사 (2c) 를 비틀어 넣기 위한 구멍 부분으로서, 그 내주면에는, 이 부착 나사 (2c) 의 나사 홈에 나사식 결합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베이스 (10) 의 상부에 있는 계지편 (14∼16) 은, 기기 본체 (20) 를 향해 돌출하듯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지편 (14∼16) 은, 기기 본체 (20) 에 형성된 후술하는 설치 구멍 (21a∼21c) 에 삽입 통과되며, 계지편 (14, 16) 은 기기 본체 (20) 에, 계지편 (15) 은 커버 (40) 의 내측 상면에 각각 걸린다. 부착 베이스 (10) 하부의 계지편 (17) 은, 기기 본체 (20) 를 향해 돌출하듯이 형성되어 있고, 기기 본체 (20) 에 형성된 후술하는 설치 구멍 (21d) 에 삽입 통과되어 기기 본체 (20) 에 걸린다. 이들 계지편 (14∼17) 이 걸림으로써, 기기 본체 (20) 및 커버 (40) 가 부착 베이스 (10) 에 대해서 임시 고정된다.
(경보기 (1) 의 구성-기기 본체 (20))
기기 본체 (20) 는,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회로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21) 와 기립부 (22) 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 는 회로 기판 (30) 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기기 본체 (20) 의 확대 사시도, 도 5 는 기기 본체 (20) 의 평면도, 도 6 은 기기 본체 (20) 의 측면 도이다. 베이스부 (21) 는, 부착 베이스 (10) 에 대략 대응하는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체이며, 그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 베이스 (10) 의 계지편 (14∼17) 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 (21a∼21d) 이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 (22) (방수벽) 는, 베이스부 (21) 로부터 커버 (40) 를 향하여 기립하듯이 형성되고 있고, 그 정면 형상은, 베이스부 (21) 보다 약간 작은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가지는 둥근 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립부 (22) 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 (30) 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 (22a) 에는, 회로 기판 (30) 을 나사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고정부 (22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립부 (22) 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방수 리브 (23∼25)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방수 리브 (23∼25) 의 각각은, 기립부 (22) 로부터 커버 (40) 의 내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 횡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인 궤조체(軌條體)이며, 기립부 (22) 의 외주면 사방에 걸쳐 (단 후술하는 배선용 개구부 (29) 를 제외) 연속하듯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방수 리브 (23∼25) 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방수 리브 (23∼25) 중, 가장 베이스부 (21) 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방수 리브 (25) 는, 베이스부 (21) 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방수 리브 (25) 와 베이스부 (21) 사이에는, 방수 패킹 (탄성 부재) (26) 이 탈착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이들 방수 리브 (23∼25) 및 방수 패킹 (26) 기능의 상세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경보기 (1) 의 구성-회로 기판 (30))
도 2 에 나타내는 회로 기판 (30) 은, 경보기 (1) 의 전기적 구성 요소를 실장하기 위한 기판이다. 이 회로 기판 (30) 은, 기기 본체 (20) 의 기립부 (22) 내부의 공간부 (22a) 에 대략 대응하는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공간부 (22a) 내에 수용된다. 회로 기판 (30) 의 상하에는 나사 구멍 (30a, 30b) 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구멍 (30b) 은 도 2 에 있어서 도시 생략), 부착 나사 (2d, 2e) 를, 이 나사 구멍 (30a, 30b) 에 삽입 통과시켜 기기 본체 (20) 의 각 나사 고정부 (22b) 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회로 기판 (30) 을 기기 본체 (20) 에 대해서 고정시킬 수 있다. 회로 기판 (30) 에 실장되는 전기적 구성 요소의 구체적 내용은 임의이지만, 여기에서는, 적어도, 경보기 (1) 가 소정의 경보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그 취지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LED (Light Emittng Diode) 를 실장하고 있다.
(경보기 (1) 의 구성-커버 (40))
커버 (40) (커버체) 는, 기기 본체 (2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으로, 도 7 에, 커버 (40) 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커버 (40) 는, 외틀 (41) 의 내부에 내틀 (42) 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틀 (41) 은, 기기 본체 (20) 를 덮는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정면측에 곡면부 (43) 를 가진다. 곡면부 (43) 는, 회로 기판 (30) 에 실장된 발광 LED 의 광을 경보기 (1) 의 외부로 투광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인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틀 (41) 의 하부에는, 나사 구멍 (41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나사 구멍 (41a) 에 정면측으로부터 삽입 통과시킨 부착 나사 (2c) 를, 기기 본체 (20) 의 나사 구멍 (21d) 을 통하여 부착 베이스 (10) 의 나사 구멍 (13) 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들 커버 (40), 기기 본체 (20) 및 커버 (40) 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외틀 (41) 에 눈 가림판 (41b) 을 탈착 자유롭게 걸음으로써, 나사 구멍 (41a) 을 정면측으로부터 숨길 수 있다. 내틀 (42) 은, 그 내부에 기기 본체 (20) 의 기립부 (22) 와 회로 기판 (30) 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정면 형상은, 기립부 (22) 보다도 약간 큰 폭 치수 및 높이 치수와 둥근 각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방수 구조의 상세)
다음으로, 방수 구조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방수 패킹 (26) 및 커버 (40) 간의 맞닿음 구조와, 기기 본체 (20) 의 방수 리브 (23∼25) 와 커버 (40) 사이의 맞닿음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우선, 방수 패킹 (26) 에 의한 방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에, 기기 본체 (20) 의 평면 형상의 주요부 확대도를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계지편 (14∼16) 을 생략하고, 커버 (40) 를 2점 점선으로 나타낸다). 방수 패킹 (26) 은, 기기 본체 (20) 기립부 (22) 의 외형에 대략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이스부 (26a) 와 기립부 (26b) 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어 종단면 형상이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 (26a) 는, 방수 리브 (25) 및 베이스부 (21) 간의 간격에 대략 대응하는 폭 치수, 그리고 방수 리브 (25) 의 기립 높이 에 대략 대응하는 두께 치수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26a) 는, 방수 리브 (25) 와 베이스부 (21) 사이에 끼워넣어져 이들의 간극을 대략 막고 있다. 또, 기립부 (26b) 는, 방수 리브 (25) 및 베이스부 (21) 간의 간격보다도 작은 폭 치수와, 방수 리브 (25)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두께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40) 를 기기 본체 (20) 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외틀 (41) 의 배면이 베이스부 (21) 의 정면에 맞닿음과 함께, 내틀 (42) 의 배면이 기립부 (26b) 의 전면에 맞닿고, 이에 의해 기기 본체 (20) 및 커버 (40) 사이로의 빗물 등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특히, 방수 패킹 (26) 은 탄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커버 (40) 가 외력을 받아 변형되거나 하였을 경우에도, 이에 추종하여 방수 패킹 (26) 이 변형되어, 방수 구조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기기 본체 (20) 의 방수 리브 (23∼25) 와 커버 (40) 사이의 맞닿음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40) 의 내틀 (42) 은, 기기 본체 (20) 의 기립부 (22) 에 대략 대응하는 폭 치수 및 높이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40) 를 기기 본체 (20) 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각 방수 리브 (23∼25) 의 외주면의 대략 전체면이, 내틀 (42) 의 내면에 맞닿는다. 특히, 기립부 (22) 는, 내틀 (42) 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기립부 (22) 에 대해서 각 방수 리브 (23∼25) 가 대략 직교하듯이 돌출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 방수 리브 (23∼25) 는, 내틀 (42) 의 내면 (대향면) 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듯이 맞닿는다. 이 결과로, 방수 리브 (23∼2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 (20) 와 커버 (40) 체 사이에 있어서의 빗물 등의 침 수 방향 L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듯이 배치되게 되어, 빗물 등의 침입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효과는, 방수 패킹 (26) 을 장착함으로써도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지만, 여기에서는 방수 리브 (23∼25) 를 기기 본체 (20) 와 일체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방수 패킹 (26) 과 같이, 장착 미스의 문제나 방수 부분만이 열화된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방수성을 안정적 또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방수 리브 (23∼25) 를 복수 병설하고 있으므로, 1 개의 방수 리브 (25) 를 넘어 빗물 등이 침입해 왔을 경우에도, 이것을 다음의 방수 리브 (24, 23) 에서 순차로 막을 수 있어,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방수 리브 (25) 는, 단지 방수벽으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방수 패킹 (26) 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스페이스도 형성하고 있다. 즉, 방수 리브 (25) 를 베이스부 (21) 로부터 약간 거리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이들 방수 리브 (25) 와 베이스부 (21) 사이에 장착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 방수 패킹 (26) 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방수 패킹 (26) 은, 방수 리브 (25) 에 의해 그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므로, 방수 패킹 (26) 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된다. 또, 방수 리브 (25) 에 의해 방수 패킹 (26) 의 장착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장착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경보기 (1) 를 한층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각 방수 리브 (23∼25) 에는, 경보기 (1) 의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는 빗물 등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 (27)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배수로 (27) 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기기 본체 (20) 의 측면도이다. 각 방수 리브 (23∼25) 간에는, 홈 형상의 배수로 (27)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배수로 (27) 는, 기기 본체 (20) 의 상부에서 측부에 이르고, 추가로 하부에 이르도록, 중단되는 경우 없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 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빗물 등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방수 패킹 (26) 이나 방수 리브 (25) 를 넘었을 경우에도, 다음의 방수 리브 (24) 에 이르기 전에, 배수로 (27) 로 흘러 떨어져, 이 배수로 (27) 를 통해 기기 본체 (20) 의 하부에 이른다. 또, 도 9 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수 리브 (25) 및 베이스부 (21) 간에도 동일한 배수로 (27) 가 형성되어 있어, 방수 패킹 (26) 주위로 돌아서 흐른 빗물 등을, 배수로 (27) 를 통하여 기기 본체 (20) 의 하부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로 (27) 에 의해 배수 효과를 높여 빗물 등이 기기 본체 (20) 의 내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각 방수 리브 (23∼25) 는, 기기 본체 (20) 에 커버 (40) 를 달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즉,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정면측에 배치된 방수 리브 (23) 의 기립 높이 D1, 중앙에 배치된 방수 리브 (24) 의 기립 높이 D2, 가장 배면 측에 배치된 방수 리브 (25) 의 기립 높이 D3 는, 순차로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D1<D2<D3). 방수 리브 (25) 의 외주면이 다른 방수 리브 (23, 24) 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방수 리브 (24) 의 외주면이 방수 리브 (23) 의 외주면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버 (40) 를 기기 본체 (20) 에 설치할 때에, 커버 (40) 를 그 접합 방향을 따라 기기 본체 (20) 에 꽉 누 르면, 가장 외형 치수가 작은 방수 리브 (23) 가 최초로 커버 (40) 내틀 (42) 의 내부로 삽입되고, 다음에, 약간 큰 외형 치수를 가지는 방수 리브 (24, 25) 가 내틀 (42) 에 순차로 삽입되므로, 커버 (40) 가 방수 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서서히 눌려 확대되면서 기기 본체 (20) 에 설치된다. 그 결과, 커버 (40) 의 설치가 한층 순조롭게 됨과 함께, 방수 리브 (23∼25) 와 커버 (40)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가이드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방수 리브 (23) 와 방수 리브 (24) 는, 연접 리브 (28) 에 의해 서로 연접되고 있다. 이 연접 리브 (28) (연접벽) 는, 방수 리브 (23, 24) 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 (수평 방향) 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연접 리브 (28) 는, 그 전단부를 방수 리브 (23) 의 외주면과 대략 민면으로 함과 함께, 후단부를 방수 리브 (24) 의 외주면과 대략 민면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 (40) 를 기기 본체 (20) 에 설치할 때, 외형 치수가 작은 방수 리브 (23) 가 최초로 커버 (40) 의 내틀 (42) 내부에 삽입된 후, 커버 (40) 가 연접 리브 (28) 의 외면을 따라 서서히 눌려 확대되면서 다음의 방수 리브 (24) 에 이르므로, 커버 (40) 의 설치가 한층 순조로워 진다.
마지막으로, 방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배선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경보기 (1) 를 연직 방향을 따라 설치하였을 경우의 기기 본체 (20) 의 정면도, 도 11 은, 경보기 (1) 를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하였을 경우의 기기 본체 (20) 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 10, 11 에서는, 기기 본체 (20) 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이들 도 10,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본체 (20) 의 베이스부 (21) 에는, 배선용 개구부 (29)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선용 개구부 (29) 는, 소정의 외부 기기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배선 (3) 을, 경보기 (1) 의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구이며, 기립부 (22) 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용 개구부 (29) 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보기 (1) 를 연직 방향 (제 1 설치 방향) 을 따라 설치하였을 경우에도, 혹은, 경보기 (1) 를 수평 방향 (제 2 설치 방향) 을 따라 설치하였을 경우에도, 하부가 되는 공통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보기 (1) 의 설치 방향과 상관없이, 배선용 개구부 (29) 가 항상 기기 본체 (20) 의 하부에 위치하여, 빗물 등이 배선용 개구부 (29) 를 통하여 기기 본체 (20) 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방수 패킹 (26) 을 설치할 때의 장착 미스 문제나 방수 부분만이 열화된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방수성을 안정적으로 또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방수 리브 (23∼25) 를 복수 병설하고 있으므로, 방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 수단을 준비하는 경우 없이, 방수 리브 (25) 에 의해 방수 패킹 (26) 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경보기 (1) 를 한층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각 방수 리브 (23∼25) 간에 배수로 (27) 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회로 기판 (30) 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방수 리브 (23∼25) 나 연접 리브 (28) 를 형성함으로써, 커버 (40) 의 설치가 한층 순조로워짐과 함께, 이들 방수 리브 (23∼25) 와 커버 (40) 사이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추가로 경보기 (1) 의 설치 방향과 관계 없 이, 빗물 등이 배선용 개구부 (29) 를 통하여 기기 본체 (20) 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Ⅲ〕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수단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로 개변 및 개량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우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나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해, 상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과제를 해결하거나 상기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기재되어 있는 과제의 일부만을 해결하거나 기재되어 있는 효과의 일부만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와 동일한 정도의 방수성 밖에 발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종래와 다른 구조로 방수 구조가 구축되어 있는 한에서, 혹은, 경보기 (1) 내부로의 빗물 등의 침입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종래보다 약간이라도 방수성이 향상되어 있는 한에서, 본원의 과제가 해결되어 있다.
(방수 리브 (23∼25) 에 대하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본체 (20) 에 방수 리브 (23∼25) 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 방수 리브 (23∼25) 를 커버 (40) 중 내틀 (42) 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각 방수 리브 (23∼25) 를 기기 본체 (20) 의 외면을 향해 돌출 형성하고, 이 외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또는, 기기 본체 (20) 와 커버 (40) 의 쌍방에 방수 리브 (23∼25) 를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써 방수 구조를 구축해도 된다. 혹은, 기기 본체 (20) 의 기립부 (22) 내측에, 커버 (40) 의 외틀 (41) 을 넣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기기 본체 (20) 의 기립부 (22) 내주면이나, 커버 (40) 의 외틀 (41) 외주면에, 방수 리브 (23∼25) 를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방수 리브 (23∼25) 의 형성 위치는, 각 부품 형성시의 펀칭 용이성이나, 수지 변형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방수 패킹 (26) 에 대하여)
방수 패킹 (26) 의 장착 위치는, 방수 리브 (25) 와 베이스부 (21) 사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방수 리브 (23∼25) 사이이어도 된다. 또, 이들 방수 리브 (23∼25) 간의 각각의 위치에 방수 패킹 (26) 을 장착해도 된다. 또한, 방수 패킹 (26) 은, 탄성 부재이면 되고, 그 구체적인 재질은 임의이다.
(배수로 (27) 에 대하여)
배수로 (27) 에 의한 배수 효과를 한층 높이기 위해, 예를 들어, 커버 (40) 의 내틀 (42) 및 외틀 (41) 의 최하단에, 배수 구멍을 천공 형성해도 된다. 또, 연접 리브 (28) 에 세로 구멍을 형성하여, 이 연접 리브 (28) 의 내부를 지나 배수가 행하여지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재 방범 기기는, 경보기나 표시기 등의 각종 방재 방범 기기에 적용되어, 패킹의 설치 미스나 열화가 생겼을 경우에도 방 수성을 유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신뢰성이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방재용 또는 방범용의 회로를 수용하는 기기 본체와 ;
    상기 기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체와 ;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들 기기 본체 또는 커버체의 대향면에 대략 직교하듯이 맞닿는 복수의 방수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재 방범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수벽의 상호간, 또는, 상기 복수의 방수벽과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와의 상호간에,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커버체 상호간의 간극을 막는 탄성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재 방범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수벽 상호간의 공간부를, 상기 기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체의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연속하는 배수로로 하고 있는 방재 방범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수벽의 기립 높이를,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커버체의 상호 접합 방향을 따라 순차로 크게 하고 있는 방재 방범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수벽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들 복수의 방수벽의 외면을 서로 연접하는 연접벽을 구비하는 방재 방범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당해 방재 방범 기기를 소정의 제 1 설치 방향 및 당해 제 1 설치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설치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방수벽의 하부에, 소정의 배선을 인입하기 위한 배선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재 방범 기기.
KR1020060094176A 2005-10-05 2006-09-27 방재 방범 기기 KR100785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2663A JP4766670B2 (ja) 2005-10-05 2005-10-05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JPJP-P-2005-00292663 2005-10-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406A true KR20070038406A (ko) 2007-04-10
KR100785681B1 KR100785681B1 (ko) 2007-12-14

Family

ID=3802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176A KR100785681B1 (ko) 2005-10-05 2006-09-27 방재 방범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766670B2 (ko)
KR (1) KR100785681B1 (ko)
CN (1) CN1945198B (ko)
HK (1) HK1102836A1 (ko)
TW (1) TWI30706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19B1 (ko) * 2013-12-09 2014-09-26 (주)미래이앤아이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866B2 (ja) * 2012-06-20 2016-02-03 新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電気機器の水抜き構造
JP6898790B2 (ja) * 2017-06-21 2021-07-07 ホーチキ株式会社 表示灯付発信機
JP7084284B2 (ja) * 2018-11-28 2022-06-14 京セラ株式会社 電気機器用ケース及び電力制御装置
JP7464979B2 (ja) 2020-07-08 2024-04-10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屋外用検知装置
CN116189373B (zh) * 2023-04-27 2023-07-25 山东高元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消防报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26Y2 (ja) * 1989-10-04 1995-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ケース
JPH07146990A (ja) * 1993-09-29 1995-06-06 Sanyo Electric Co Ltd 防水構造の非常警報装置
JP3837904B2 (ja) * 1998-04-16 2006-10-25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の中継器
JP3285324B2 (ja) * 1998-04-28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ケース
JP4172983B2 (ja) 2001-12-10 2008-10-29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ンセント専用アレスタ
JP2003248876A (ja) 2002-02-25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煙感知器
JP4155057B2 (ja) 2003-02-25 2008-09-24 松下電工株式会社 屋外用感熱自動スイッチ
JP4065806B2 (ja) 2003-04-22 2008-03-26 ミネベア株式会社 火災感知器浸水防止プレート
JP4062215B2 (ja) 2003-08-26 2008-03-19 松下電工株式会社 防雨形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19B1 (ko) * 2013-12-09 2014-09-26 (주)미래이앤아이 커버가 부착된 방수형 발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1167A (en) 2007-08-16
JP2007102555A (ja) 2007-04-19
KR100785681B1 (ko) 2007-12-14
TWI307063B (en) 2009-03-01
CN1945198B (zh) 2012-09-26
HK1102836A1 (en) 2007-12-07
CN1945198A (zh) 2007-04-11
JP4766670B2 (ja)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81B1 (ko) 방재 방범 기기
AU2003233745B2 (en) Fire detector
CA2796976C (en) Smoke detector
JP2005276656A (ja) タンパースイッチ構造及びそのタンパースイッチ構造を備えた防犯用センサ
US20050191878A1 (en) Tamper detection for security system
JP6887898B2 (ja) 炎感知器
US7886868B2 (en) Self-draining grill and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11650096B2 (en) Device for sensing infrared radiation
JP6781022B2 (ja) 火災感知器
JP4885427B2 (ja) 炎検出器
JP6709725B2 (ja) 火災感知器
CN111077188A (zh) 一种凝露检测装置
JP5213141B2 (ja) 炎検出器
US3980998A (en) Intrusion alarms
JP2004326261A (ja) 火災感知器浸水防止プレート
JP2019197346A (ja) 火災感知器用遮蔽板
JPH10162269A (ja) 煙感知器
KR100635843B1 (ko) 침입검지용 센서
JP7122597B2 (ja) 照明装置
JP4321323B2 (ja) 防犯用検知ユニット
JP4466087B2 (ja) 縦樋用防犯装置
CN114400467A (zh) 一种防水型探测器底座
WO2000038125A1 (en) Intruder sensor housing and intruder sensor
JP3331905B2 (ja) 試験端子付き戸外表示器
JP4179187B2 (ja) 天井埋込型機器用の露出取付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