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817A -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817A
KR20070037817A KR1020050092868A KR20050092868A KR20070037817A KR 20070037817 A KR20070037817 A KR 20070037817A KR 1020050092868 A KR1020050092868 A KR 1020050092868A KR 20050092868 A KR20050092868 A KR 20050092868A KR 20070037817 A KR20070037817 A KR 2007003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fastening device
block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7266B1 (ko
Inventor
라기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2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6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with electric or pneumatic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1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comprising lifting or alig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사람의 작업자가 두 개의 휠너트(5)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작업시에는 타이어(3)의 회전에 상관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wheel nut}
도 1은 종래의 휠너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휠너트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유동방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휠너트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밸런스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휠너트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로드결합수단 및 로터리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휠너트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툴브라켓과 슬라이드브라켓 및 브라켓트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휠너트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타이어 4 - 휠
5 - 휠너트 10 - 대차
20 - 스프링밸런스 30 - 밸런스블록
40 - 밸런스로드 50 - 로드결합수단
60 - 로터리브라켓 70 - 툴브라켓
80 - 슬라이드브라켓 90 - 너트런너
100 - 브라켓이동수단 110 - 회전방지수단
본 발명은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타이어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휠과 디스크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휠과 디스크는 차체의 조립공정에서 다수개의 휠너트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휠의 종래 조립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디스크(1)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볼트(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1)에 결합되기 위한 타이어(3)의 휠(4)에는 상기 볼트(2)가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볼트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타이어(3)를 디스크(1)의 일측으로 밀착시켜 휠(4)의 볼트 구멍(4a)으로 볼트(2)가 관통되도록 한 다음, 볼트구멍(4a)을 통해 돌출된 볼트(2)의 선단에 휠너트(5)를 각각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1)와 휠(4)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휠너트(5)의 체결을 위해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너트런너(6)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7은 휠너트의 체결을 위해 너트런너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소켓(7)이고, 미설명 부호 8은 너트런너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호스(7)이며, 미설명 부호 9는 너트런너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9)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너트런너(6)를 이용해 휠너트(5)를 체결시킬 때에는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되고 또한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한 개의 너트런너(6)당 한 개의 휠너트(5)만을 체결시키는 구조로서, 소켓(7)의 강한 회전력이 휠너트(5)를 통해 볼트(2)에 전달되면 디스크(1) 및 타이어(3)가 소켓(7)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휠너트(5)를 체결하는 작업자가 한 사람일 경우에는 타이어(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타이어(3)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너트런너(6)를 조작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되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두 사람일 경우에는 한 사람은 타이어(3)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은 너트런너(6)를 조작하여 휠너트(5)를 체결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의 편 의성은 향상되나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비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휠너트의 체결작업시 두 개의 휠너트를 한번에 체결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장치를 마련하여, 한 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하더라도 타이어의 회전에 구애받지 않고 수월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휠너트 체결장치는, 캐스터와 바닥고정수단을 구비한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상부프레임을 연결하는 외곽프레임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대차와; 상기 대차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프레임의 프레임브라켓에 상부걸고리가 걸려져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밸런스와; 상기 스프링밸런스의 하부걸고리에 걸려져 결합되는 밸런스블록과; 상기 대차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밸런스블록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밸런스로드와; 상기 밸런스블록사이에 위치하는 밸런스로드에 결합되는 로드결합수단과; 타이어와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상기 로드결합수단에 결합되는 로터리브라켓과; 상기 로터리브라켓에 고정 결합되면서 사각형상의 제1,2가이드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툴브라켓과; 상기 제1,2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툴브라켓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의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편 압축공기를 이용해 휠너트를 체결 시키도록 작동하는 한 쌍의 너트런너와; 상기 툴브라켓의 양측에서 각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을 제1,2가이드홈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하는 브라켓이동수단과; 양단이 상기 너트런너의 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한 쌍의 너트런너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러트런너를 이용한 휠너트의 체결시 상기 로터리브라켓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11)와 바닥고정수단(12)을 구비한 하부프레임(13)과 상부프레임(14) 및 하,상부프레임(13,14)을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5)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대차(10)와, 상기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프레임(14)의 프레임브라켓(14a)에 상부걸고리(21)가 걸려져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밸런스(20)와, 상기 스프링밸런스(20)의 하부걸고리(22)에 걸려져 결합되는 밸런스블록(30)과, 상기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밸런스블록(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밸런스로드(40)와, 상기 밸런스블록(30)사이에 위치하는 밸런스로드(40)에 결합되는 로드결합수단(50)과, 타이어(3)와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상기 로드결합수단(50)에 결합 되는 로터리브라켓(60)과, 상기 로터리브라켓(60)에 고정 결합되면서 사각형상의 제1,2가이드홈(71,7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툴브라켓(70)과, 상기 제1,2가이드홈(71,72)을 따라 각각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툴브라켓(7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브라켓(80)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편 압축공기를 이용해 휠너트를 체결시키도록 작동하는 한 쌍의 너트런너(90)와, 상기 툴브라켓(70)의 양측에서 각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을 제1,2가이드홈(71,72)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하는 브라켓이동수단(100)과, 양단이 상기 너트런너(90)의 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한 쌍의 너트런너(9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러트런너(90)를 이용한 휠너트(5)의 체결시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1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차(10)는 강성확보를 위해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15)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보강바(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바(16)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유동방지블록(121)과,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선단이 보강바(16)를 가압하여 상기 보강바(16)와 유동방지블록(121)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상부조임나사(122)와, 상기 밸런스블록(30)의 측면에서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123)와, 상기 유동방지돌기(123)가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유동방지블록 (121)에 형성된 돌기홈(124)과,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선단이 돌기홈(124)에 끼워진 유동방지돌기(123)를 가압하여 상기 유동방지블록(121)과 유동방지돌기(123)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하부조임나사(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대차(10)의 이동 중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을 포함한 너트런너(9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126은 보강바(16)가 관통되도록 유동방지블록(121)에 형성된 관통구멍(126)이다.
한편, 상기 바닥고정수단(12)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3)에 고정 결합된 서브브라켓(12a)과, 상기 서브브라켓(12a)의 밑면에 고정 결합되면서 레버(12b)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로드(12c)를 구비한 실린더(12d)와, 상기 로드(12c)의 선단에 결합된 흡착판(12e)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12e)은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블록(30)은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밸런스(20)의 하부걸고리(22)가 걸려지는 걸고리브라켓(31a)이 그 윗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을 향하는 일측면에는 유동방지돌기(123)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밸런스로드(40)의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일부분 감싸는 상부블록(31)과, 상기 상부블록(31)에 의해 감싸여지지 못한 밸런스로드(40)의 나머지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상부블록(31)과 다수개의 볼트(32)로 결합되어지는 하부블록(3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결합수단(50)은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블록(30)사이에 위치하는 밸런스로드(40)의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일부분 감싸는 상부홀더(51)와, 상기 상부홀더(51)에 의해 감싸여지지 못한 밸런스로드(40)의 나머지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상부홀더(51)와 다수개의 볼트(52)로 결합되어지는 하부홀더(53)와, 상기 하부홀더(53)의 전후면에 덧대여져 볼트(54a)를 매개로 결합되는 홀더브라켓(54)과, 상기 하부홀더(53)의 밑에서 상기 홀더브라켓(54)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롤러핀(5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서로 마주 대하면서 이격 설치되는 롤러유니트(5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은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띠 모양의 판으로 형성되면서 바깥의 테두리에는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플랜지(61)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플랜지(61)는 홀더브라켓(54)사이로 삽입되어 그 밑면이 롤러유니트(56)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툴브라켓(70)은 도 2와 도 3 및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 중앙부위가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62)와 스테이브라켓(73)에 의해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의 양측부위는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양끝단과 그 사이에 부시(74)를 개재하여 볼트(75)를 매개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툴브라켓(70)에 형성된 제1,2가이드홈(71,7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0)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가로방향의 길이(L1,L2)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홈(71)의 길이(L1)가 제2가이드홈(72)의 길이(L2)보다 더 길게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상하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홈(71,72)의 윗면과 아래면이 끼워지도록 각각 결합홈(81)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너트런너(90)가 관통되는 런너구멍(8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너트런너(90)는 도 2와 도 3 및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에 형성된 런너구멍(82)을 관통하면서 일체로 구비된 스핀들브라켓(91a)이 상기 런너구멍(82) 주변부위의 슬라이드브라켓(80)과 다수개의 볼트(91b)에 의해 결합되는 몸통뭉치(91)와, 휠너트(5)의 체결을 위해 타이어(3)를 향하는 상기 몸통뭉치(91)의 일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소켓결합뭉치(92)와, 상기 몸통뭉치(91)의 측면에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해 공기호스(93a)가 연결되는 손잡이뭉치(9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이동수단(100)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툴브라켓(70)의 양측면에 고정 결합된 스크류브라켓(101)과, 상기 툴브라켓(70)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상기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크류브라켓(101)에 고정 결합되는 어저스트너트(103)와, 상기 어저스트너트(103)에 체결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스크류브라켓(101)을 관통하여 어저스트브라켓(102)내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암수 결합되어 설치되는 어저스트볼트(104)와, 상기 어저스트볼트(104)에 결합되는 핸들(105)로 구성된 다.
여기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101a는 스크류브라켓(101)을 툴브라켓(7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01a)이고, 미설명 부호 102a는 어저스트브라켓(102)을 슬라이드브라켓(80)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102a)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수단(110)은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런너(90)의 손잡이뭉치(93)와 간섭되지 않도록 몸통뭉치(91)의 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2결합프레임(111,112)과, 일단은 상기 제1결합프레임(111)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결합프레임(112)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1연결원통(113)과, 일단은 상기 제2결합프레임(112)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원통(113)의 선단을 내측 공간에 수용하면서 상기 제1연결원통(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원통(11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대차(10)는 외곽프레임(15)에 대차(10)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대차(10)를 이동시킬 때에는 스프링밸런스(20)의 체인(C)높이와 유동방지블록(121)의 위치를 조절하여 유동방지돌기(123)를 돌기홈(124)으로 끼운 다음, 상,하부조임나사(122,125)를 조여 로터리브라켓(60)을 포함한 너트런너(90)의 유동을 방지한다.
대차(10)가 휠너트 체결위치로 이동된 후에는 상,하부조임나사(122,125)를 풀어주고, 돌기홈(124)으로부터 유동방지돌기(123)를 빼내준 후 스프링밸런스(20)를 조절하여 너트런너(90)를 포함한 로터리브라켓(60)의 밸런스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너트런너(90)를 이용하여 두 개의 휠너트(5)를 동시에 체결시켜 줄 수 있는 구성이므로, 휠너트(5)가 체결되는 디스크(1)의 두 개의 볼트(2)의 간격에 맞도록 브라켓트이동수단(100)을 조정하여 슬라이드브라켓(80)의 간격을 조절시켜 준다.
즉, 슬라이드브라켓(80)의 간격조절을 통해 너트런너(90)를 구성하는 소켓결합뭉치(92)의 선단을 휠(4)의 볼트구멍(4a)을 관통한 두 개의 볼트(2)의 간격과 동일하도록 맞춰준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간격조절은 핸들(105)을 회전시켜 스크류브라켓(101)의 측방으로 돌출된 어저스트볼트(10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1가이드홈(71)에 설치된 슬라이드브라켓(80)을 이동시킴으로써 간격조절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홈(71)에 설치된 슬라이드브라켓(80)이 제2가이드홈(72)쪽으로 최대한 이동되었을 때에는 두 개의 너트런너(90)의 소켓결합뭉치(92)가 그 간격이 최대한 좁게 위치한 상태로서 이때에는 두 개의 간격이 좁게 위치한 볼트(2)에 휠너트(5)를 체결할 때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1가이드홈(71)에 설치된 슬라이드브라켓(80)이 제2가이드홈(72)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동되었을 때에는 두 개의 너트런너(90)의 소켓결합뭉치(92)가 그 간격이 최대한 넓게 위치한 상태로서 이때에는 두 개의 간격이 넓게 볼트(2)에 휠너트(5)를 체결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브라켓(80)의 간격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너트런너(90)의 손잡이뭉치(93)를 잡고 두 개의 소켓결합뭉치(92)에 각각 결합된 휠너트(5)를 휠(4)의 볼트구멍(4a)을 관통한 두 개의 볼트(2)에 맞춰준 후, 스위치(도시않됨)를 눌러 압축공기를 이용해 두 개의 휠너트(5)를 동시에 체결시켜 주게 된다.
한편, 휠너트(5)의 체결 작업시 휠(4)의 볼트구멍(4a)을 관통한 두 개의 볼트(2)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는 로터리브라켓(60)을 적절하게 회전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로터리브라켓(60)의 외측플랜지(61)가 롤러유니트(56)에 얹혀진 상태이므로, 너트런너(90)의 손잡이뭉치(93)를 잡은 작업자의 힘에 의해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휠너트(5)의 체결시 두 개의 소켓결합뭉치(92)에 각각의 휠너트(5)를 통해 두 개의 볼트(2)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고, 동시에 회전방지수단(110)에 의해 두 개의 너트런너(9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휠너트(5)의 강한 회전력이 볼트(2)를 통해 디스크(1)에 전달되더라도 디스크(1) 및 타이어(3)가 휠너트(5)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사람의 작업자가 두 개의 휠너트(5)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작업시에는 타이어(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타이어(3)를 잡지 않아도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휠너트 체결장치는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너트 체결장치는, 한 사람의 작업자가 두 개의 휠너트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작업시에는 타이어의 회전에 상관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3)

  1. 캐스터(11)와 바닥고정수단(12)을 구비한 하부프레임(13)과 상부프레임(14) 및 하,상부프레임(13,14)을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5)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대차(10)와;
    상기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된 상부프레임(14)의 프레임브라켓(14a)에 상부걸고리(21)가 걸려져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밸런스(20)와;
    상기 스프링밸런스(20)의 하부걸고리(22)에 걸려져 결합되는 밸런스블록(30)과;
    상기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밸런스블록(3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밸런스로드(40)와;
    상기 밸런스블록(30)사이에 위치하는 밸런스로드(40)에 결합되는 로드결합수단(50)과;
    타이어(3)와 동일한 회전방향을 갖도록 상기 로드결합수단(50)에 결합되는 로터리브라켓(60)과;
    상기 로터리브라켓(60)에 고정 결합되면서 사각형상의 제1,2가이드홈(71,72)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툴브라켓(70)과;
    상기 제1,2가이드홈(71,72)을 따라 각각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툴브라켓(7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브라켓(80)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전후면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편 압축공기를 이용해 휠너트를 체결시키도록 작동하는 한 쌍의 너트런너(90)와;
    상기 툴브라켓(70)의 양측에서 각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을 제1,2가이드홈(71,72)을 따라 직선 이동시키도록 하는 브라켓이동수단(100)과;
    양단이 상기 너트런너(90)의 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한 쌍의 너트런너(9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러트런너(90)를 이용한 휠너트(5)의 체결시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110);
    으로 구성된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강성확보를 위해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15)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보강바(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0)의 이동 중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을 포함한 너트런너(9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강바(16)에 관통되어 끼워지는 유동방지블록(121)과,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선단이 보강바(16)를 가압하여 상기 보강바(16)와 유동방지블록(121)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상부조임나사(122)와,
    상기 밸런스블록(30)의 측면에서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유동방지돌기(123)와,
    상기 유동방지돌기(123)가 끼워져 삽입되도록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에 형성된 돌기홈(124)과,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선단이 돌기홈(124)에 끼워진 유동방지돌기(123)를 가압하여 상기 유동방지블록(121)과 유동방지돌기(123)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하부조임나사(1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고정수단(12)은,
    상기 하부프레임(13)에 고정 결합된 서브브라켓(12a)과,
    상기 서브브라켓(12a)의 밑면에 고정 결합되면서 레버(12b)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하강하는 로드(12c)를 구비한 실린더(12d)와,
    상기 로드(12c)의 선단에 결합된 흡착판(12e)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블록(30)은,
    상기 스프링밸런스(20)의 하부걸고리(22)가 걸려지는 걸고리브라켓(31a)이 그 윗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블록(121)을 향하는 일측면에는 유동방지돌기(123)가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밸런스로드(40)의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일부분 감싸는 상부블록(31)과,
    상기 상부블록(31)에 의해 감싸여지지 못한 밸런스로드(40)의 나머지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상부블록(31)과 다수개의 볼트(32)로 결합되어지는 하부블록(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결합수단(50)은,
    상기 밸런스블록(30)사이에 위치하는 밸런스로드(40)의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일부분 감싸는 상부홀더(51)와,
    상기 상부홀더(51)에 의해 감싸여지지 못한 밸런스로드(40)의 나머지 바깥면을 원주방향으로 감싸면서 상기 상부홀더(51)와 다수개의 볼트(52)로 결합되어지는 하부홀더(53)와,
    상기 하부홀더(53)의 전후면에 덧대여져 결합되는 홀더브라켓(54)과,
    상기 하부홀더(53)의 밑에서 상기 홀더브라켓(54)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롤러핀(55)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서로 마주 대하면서 이격 설치되는 롤러유니트(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은 원형띠 모양의 판으로 형성되면서 바깥의 테두리에는 대차(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플랜지(61)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플랜지(61)는 홀더브라켓(54)사이로 삽입되어 그 밑면이 롤러유니트(56)상에 얹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툴브라켓(70)은 그 상단 중앙부위가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62)와 스테이브라켓(73)에 의해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하단의 양측부위는 상기 로터리브라켓(60)의 양끝단과 그 사이에 부시(74)를 개재하여 볼트(75)를 매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2가이드홈(71,72)은 대차(10)의 좌우방향을 향하는 가로방향의 길이(L1,L2)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상하면에는 상기 제1,2가이드홈(71,72)의 윗면과 아래면이 끼워지도록 각각 결합홈(81)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상기 너트런너(90)가 관통되는 런너구멍(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런너(9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에 형성된 런너구멍(82)을 관통하면서 일체로 구비된 스핀들브라켓(91a)이 상기 런너구멍(82) 주변부위의 슬라이드브라켓(80)과 다수개의 볼트(91b)에 의해 결합되는 몸통뭉치(91)와,
    휠너트(5)의 체결을 위해 타이어(3)를 향하는 상기 몸통뭉치(91)의 일단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소켓결합뭉치(92)와,
    상기 몸통뭉치(91)의 측면에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됨과 더 불어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해 공기호스(93a)가 연결되는 손잡이뭉치(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동수단(100)은,
    상기 툴브라켓(70)의 양측면에 고정 결합된 스크류브라켓(101)과,
    상기 툴브라켓(70)과 마주 대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브라켓(8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상기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크류브라켓(101)에 고정 결합되는 어저스트너트(103)와,
    상기 어저스트너트(103)에 체결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스크류브라켓(101)을 관통하여 어저스트브라켓(102)내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어저스트브라켓(102)과 암수 결합되어 설치되는 어저스트볼트(104)와,
    상기 어저스트볼트(104)에 결합되는 핸들(10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110)은,
    상기 너트런너(90)의 손잡이뭉치(93)와 간섭되지 않도록 몸통뭉치(91)의 끝단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제1,2결합프레임(111,112)과,
    일단은 상기 제1결합프레임(111)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결합프레임(112)을 향하도록 설치된 제1연결원통(113)과,
    일단은 상기 제2결합프레임(112)의 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원통(113)의 선단을 내측 공간에 수용하면서 상기 제1연결원통(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연결원통(1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5)에는 대차(10)의 이동을 위한 손잡이(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KR1020050092868A 2005-10-04 2005-10-04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KR10074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868A KR100747266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868A KR100747266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817A true KR20070037817A (ko) 2007-04-09
KR100747266B1 KR100747266B1 (ko) 2007-08-07

Family

ID=3815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868A KR100747266B1 (ko) 2005-10-04 2005-10-04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19A (ko) * 2015-11-13 2017-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술로봇의 브레이크 시스템
CN109849587A (zh) * 2019-01-08 2019-06-07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CN110316284A (zh) * 2019-06-06 2019-10-11 叶连波 一种汽车轮胎一体化自动装配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15B1 (ko) * 2021-01-04 2022-10-27 김윤진 이동식 다관절 로봇 시스템 너트 러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254B2 (ja) * 2001-05-28 2004-06-07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ナット締付装置
KR100471274B1 (ko) * 2002-11-14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런너 운용 시스템
JP2004160610A (ja) * 2002-11-14 2004-06-10 Isuzu Motors Ltd ディスクホイール締付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19A (ko) * 2015-11-13 2017-05-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술로봇의 브레이크 시스템
CN109849587A (zh) * 2019-01-08 2019-06-07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CN109849587B (zh) * 2019-01-08 2024-02-13 湖南御途汽车科技发展有限公司 爆胎应急安全装置手动压胎工具
CN110316284A (zh) * 2019-06-06 2019-10-11 叶连波 一种汽车轮胎一体化自动装配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266B1 (ko)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84561B1 (en) Hand driving device for a bicycle
KR100747266B1 (ko)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CN103144084B (zh) 一种防止工艺紧固点螺栓跟转的辅助工装
CA2651834C (en) Apparatus for applying and removing rail clips onto rail ties
KR101163701B1 (ko)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CN211028796U (zh) 一种用于叉车车架焊接的变位工装
JP2004322238A (ja) レール穿孔機
JP4773611B2 (ja) エスカレーターステップのシャフト軸受構造
JP6657134B2 (ja) トラクタ
US7124615B1 (en) Tool for straightening the frame surrounding a vehicle windshield, window or door opening
JP2539588Y2 (ja) カンチレバー形キャリパーブレーキ
JP4573448B2 (ja) 自動二輪車のドライブチェーン緊張調整具
CN110550228B (zh) 纯电动手推式六自由度飞机换轮机器人
JP2004209493A (ja) 着脱式レストバー装置
US20040089120A1 (en) Power-operated tool holder
JP2009202289A (ja) 両頭研削盤
KR102631768B1 (ko) 차량용 시트 체결 시스템
CN219728460U (zh) 制动把手装置及自行车
CN220262971U (zh) 制动把手装置及自行车
CN219854187U (zh) 一种重型维修工具辅助装置
CN210592305U (zh) 一种自行车v型闸
CN217943179U (zh) 一种车床的卡盘与刀架一体化棘轮扳手
CN216755386U (zh) 一种玩具车的车轮安装装置
JPH01202594A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JP7362567B2 (ja) 移動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