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087A - 상치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상치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087A
KR20070034087A KR1020077002889A KR20077002889A KR20070034087A KR 20070034087 A KR20070034087 A KR 20070034087A KR 1020077002889 A KR1020077002889 A KR 1020077002889A KR 20077002889 A KR20077002889 A KR 20077002889A KR 20070034087 A KR20070034087 A KR 2007003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anel
safety
air conditio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066B1 (ko
Inventor
토시유키 이마나카
카즈야 하라구치
타카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필터를 보수할 때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에어 필터(11)를 통하여 조화 전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화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이고, 팬(3)과 케이싱(4)과 전면(前面) 하부 패널(9)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4)은 내부에 팬(3)을 수용한다. 전면 하부 패널(9)은 케이싱(4)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고, 케이싱(4)에 대하여 외측을 향하여 열린다. 또한, 전면 하부 패널(9)은 에어 필터(11)를 수납하는 필터 수납부(91)와, 안전 리브부(97)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필터 수납부(91)는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리는 것에 의하여 에어 필터(11)의 착탈(着脫)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 리브부(97)는 필터 수납부(9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려 케이싱(4)과 필터 수납부(91)의 사이에 공간(S)이 생겼을 때에, 공간(S)을 통한 케이싱(4)의 외부로부터 팬(3)으로의 접근을 막는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 필터, 송풍기, 케이싱, 패널

Description

상치형 공기 조화기{FLOOR STANDING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 특히 필터를 통하여 조화 전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화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송풍기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필터를 통하여 먼지 등을 저감시키며, 열교환 등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조정된 조화 공기를 실내로 송출하고 있다. 여기서, 필터는 공기 조화기를 구동시킴에 따라 서서히 더러워져가며 막히게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사용자에 의한 정기적인 필터의 청소·교환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필터의 정기적인 청소 작업 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필터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한 구조의 패널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가 고안되었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를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청소·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 문헌 1,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의 수납이 가능한 흡입 패널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200) 본체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흡입 패널(191, 291)은 하단부(下端部)에 경첩(hinge)을 이용함으로써 본체에 장착되고, 본체의 외측을 향하여 회동(回動, 정방형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시킴으로써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입 패널(191, 291)이 열린 상태에서 내부 에 수납되어 있는 필터(111, 211)를 꺼내어, 각 사용자에 의한 필터의 청소·교환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필터의 근방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런 안전상의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흡입 패널을 연 상태에서 회전 중인 송풍기로의 접근 가능성을 남겨 버린다. 즉, 흡입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는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기로의 접근 가능성이 남아 버리기 때문에, 공조 관계자와 비교하여 공조기 구조 등의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 등이 실수로 회전중의 송풍기에 손가락이나 손 등을 접촉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본원의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기(103) 자체에 접촉 방지용 망(197)을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필터(111, 211)의 착탈 등이 안전하게 행해지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200)에서는 흡입 패널(291)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리미트 스위치(297)는,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200)의 본체 측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 패널(291)이 열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흡입 패널(291)이 열린 상태에서 리미트 스위치(297)가 이것을 감지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송풍기(203)의 회전을 멈추는 제어를 행하게 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200)에서는, 공기 조화기 본체 에 대하여 흡입 패널(191, 291)이 열린 상태에서의 안전성 확보의 관점에서 접촉 방지용 망(197) 또는 리미트 스위치(297) 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3732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200)에서는, 접촉 방지용 망(197) 또는 리미트 스위치(297) 등이 흡입 패널(191, 291)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200)의 제조에 있어서, 흡입 패널(191, 291)은 별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부품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안전성 확보의 각 부품 자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부품 제조 비용이나 그 소요 시간, 나아가 그러한 부품 끼리를 조합하기 위한 제조 장치나 제조 공정에 필요로 하는 조립 비용이나 그 소용 시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필터를 보수할 때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필터를 통하여 조화 전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화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이고, 송풍기와 케이싱과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은 내부에 송풍기를 수용한다. 패널은 케이싱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되고, 케이싱에 대하여 외측을 향하여 열린다. 또한, 패널은 필터를 수납하는 필터 수납부와, 안전부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필터 수납부는 패널이 열리는 것에 의하여 필터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부는 필터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패널이 열려 케이싱과 필터 수납부의 사이에 공간이 생겼을 때에 공간을 통한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송풍기로의 접근을 막는다. 덧붙여, 여기서의 패널의 개폐는, 예를 들면, 패널의 측단부가 경첩으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경우나 패널 전체가 케이싱에 대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개폐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종래와 같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보수 시에 있어서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송풍기에 대하여 접촉 방지용 망을 설치하거나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의 송풍기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등, 패널과는 별개의 부품이 필요하다. 한편, 접촉 방지용 망이나 리미트 스위치 등을 설치하는 것에 의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책은 불가결하다.
이것에 대하여, 제1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보수 등을 위하여 케이싱에 대하여 패널을 연 상태인데도 필터 수납부와 케이싱의 사이의 공간을 통한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송풍기로의 접근을 안전부에 의하여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을 연 상태에서 필터의 보수를 행하는 경우인데도 보수하는 사람의 손 등이 회전 중의 송풍기에 접촉해 버리는 위험성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부는 필터를 수납하는 필터 수납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부를 필터 수납부와 일체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는 패널이 열리는 방향인 열림 방향의 폭보다도 필터 수납부의 단부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폭 쪽이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안전부는 패널의 열림 방향의 폭보다도 필터 수납부의 단부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폭 쪽이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에 대한 필터 수납부의 열림 공간의 폭이 안전부의 열림 방향의 폭과 동일한 정도인 경우에 있어서, 필터 수납부와 케이싱의 사이에 생기는 열림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케이싱에 대한 필터 수납부의 열림 공간의 폭이 안전부의 열림 방향의 폭과 동일한 정도인 경우에 있어서, 송풍기로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안전부가 필터를 착탈하는데 필요로 하는 필터 수납부의 열림 공간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폭을 열림 방향의 폭으로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필터의 착탈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안전성 확보의 양방(兩方)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부의 열림 방향의 폭으로는 필터를 착탈하는데 필요로 하는 필터 수납부의 열림 공간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폭을 구비하고 있으면 족하게 되고, 안전부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부를 컴팩트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는, 패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케이싱의 외측에서 패널이 열리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송풍기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패널을 열 때에 생기는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송풍기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안전부는 패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의 외측에서 패널이 열리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송풍기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부는 패널을 연 상태에서 생기는 열림 공간 중 송풍기와 케이싱 외부의 사이에 등장할 수 있어 송풍기 주변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패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패널을 열 때에 생기는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아 송풍기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부는 패널을 연 상태에서 생기는 열림 공간 중 필터 수납부와 케이싱의 사이에 등장할 수 있어 송풍기로의 접근을 보다 확실하게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는 패널의 열림 방향과는 대략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필터 수납부로부터 연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패널이 열려 케이싱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긴 상태에서 공간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안전부는 패널의 열림 방향과는 대략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필터 수납부로부터 연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패널을 연 상태에서 생기는 공간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안전부는 패널이 열리는 것에 의하여 생기는 열림 공간에서 송풍기로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케이싱은 계지(係止) 수단을 가지고 있다. 안전부는, 케이싱에 대한 패널의 열림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계지 수단과 계지되는 피계지 수단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의 계지 수단이나 피계지 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케이싱이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고 안전부가 그것에 대응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계지하는 경우나, 케이싱이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고 안전부가 그것에 대응한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계지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케이싱이 가지고 있는 계지 수단과 안전부가 가지고 있는 피계지 수단이 서로 계지함으로써, 케이싱에 대한 패널의 열림 정도를 규제한다. 이 때문에, 안전부에 의하여 송풍기로의 접근을 억제하는 관점뿐만 아니라, 패널이 케이싱에 대하여 과도하게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5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은 적어도 패널이 열렸을 때에 생기는 안전부의 궤도에 대응하도록 안전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긴 구멍이다. 또한, 케이싱의 계지 수단은 긴 구멍에 대하여 안전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키면서 케이싱에 고정되는 관통재이다.
여기에서는,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은 안전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긴 구멍이다. 그리고, 케이싱에 고정되는 관통재가 이 긴 구멍을 관통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긴 구멍은 적어도 패널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안전부의 궤도에 대응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이 열릴 때에는 패널이 관통재에 의하여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과 케이싱의 계지 수단이 계지한다. 이 때문에, 안전성을 확실하게 하면서, 패널의 개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긴 구멍이 패널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안전부의 궤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널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과 케이싱의 계지 수단이 계지될 뿐만 아니라, 열 때에 관통재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하여 열 수 있게 된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6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관통재는 와셔(washer)를 가지는 와셔붙이 나사이다. 또한, 와셔의 직경은 패널이 열렸을 때에 생기는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상에서 안전부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의 긴 구멍의 폭보다도 길다. 여기서의 와셔붙이 나사는 와셔 부분과 나사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무방하고, 또한 와셔와 나사가 각각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와셔붙이 나사로 상기 긴 구멍의 폭보다도 긴 직경의 와셔를 가지는 와셔붙이 나사를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안전부의 긴 구멍 근방 부분을, 케이싱 중 나사가 고정되어 있는 근방 부분과 와셔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개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5 발명 내지 제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은 필터 수납부 및 안전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패널에 관하여 안전부가 필터 수납부에 대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에 더하여 나아가 안전부의 피계지 수단도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부품 점수를 보다 삭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는 패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송풍기의 외측에 있어서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패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안전부는 송풍기의 외측에 있어서 케이싱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패널을 닫았을 때에 안전부를 케이싱의 측면과 송풍기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을 닫았을 때에 안전부를 케이싱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 내지 제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패널은 일단이 경첩으로 이루어져 케이싱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필터 수납부의 일단이 경첩으로 이루어져 케이싱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에 대하여 회동시켜 패널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제10 발명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안전부는 필터 수납부가 열린 상태에서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안전부와 케이싱이 적어도 일부에서 패널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패널이 열린 상태인데도, 패널과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가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 겹치고, 안전부는 안전부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패널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일부가 연속하여 보이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패널이 열린 상태인데도, 필터 수납부와 케이싱의 사이에 생기는 열림 공간 중, 당해 연속하여 보이는 부분을 통한 송풍기로의 접근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부를 패널과 일체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케이싱에 대한 패널의 열림폭이 안전부의 열림 방향의 폭과 동일한 정도의 경우에 있어서 송풍기로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안전부에 의하여 송풍기로의 접근을 억제하는 관점 뿐만 아니라, 패널이 케이싱에 대하여 과도하게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안전성을 확실하게 하면서, 패널의 개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안전부의 긴 구멍 근방 부분을, 케이싱 중 나사가 고정되어 있는 근방 부분과 와셔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개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부품 점수를 보다 삭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을 닫았을 때에 안전부를 케이싱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케이싱에 대하여 회동시켜 패널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1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의 정면도.
도 2는 팬(3)의 근방에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 상면도.
도 4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하방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 측면도.
도 6은 전면 하부 패널의 닫힘 상태에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7은 전면 하부 패널의 열림 상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전면 하부 패널로부터 에어 필터를 착탈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전면 하부 패널의 열림 계지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전면 하부 패널의 열림 계지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접촉 방지용 망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도면.
도 12는 종래의 리미트 스위치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치형 공기 조화기
3 : 송풍기(시로코 팬, 터보 팬, 크로스 플로우 팬)
4 : 케이싱
9 : 패널(전면 하부 패널)
11 : 필터
91 : 필터 수납부
97 : 안전부
46 : 계지 수단, 와셔붙이 나사
46a : 와셔, 와셔부
47 : 계지 수단, 관통재, 관통 부재
98h, 99h : 피계지 수단, 긴 구멍
OS : 공간(열림 공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대하여, 이하, 도 1 ~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개략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외관의 정면도를 도 1에 도시한다. 또한, 팬(3)의 근방에서의 개략 구성을 도 2에, 상면도를 도 3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하방(下方)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를 도 4에, 측면도를 도 5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를 도 6에 각각 도시한다. 이하,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는 도 1 및 도 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상하 방향, 즉 실내에서의 높이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하고(실선 화살표 D2 참조), 「좌우 방향」 또는 「횡 방향」이라고 할 때는 도 1 및 도 2의 정면에서 볼 때의 좌우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실선 화살표 D1 참조). 또한, 「전후 방향」이라고 할 때는 도 3, 도 4 등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 D3으로 도시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바닥(F) 위에 배치되고, 주로 열교환기(2), 팬(3), 케이싱(4), 전면(前面) 하부 패널(9)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2)는 케이싱(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케이싱(4)내로 받아들여진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열교환기(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반분(上半分)의 위치를 차지하고, 취출부(5)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2)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도 1에서 도시하는 B-B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上方)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배면(背面, 41)측으로 경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팬>
팬(3)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팬(3)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내의 공기를 흡입부(6)로부터 에어 필터(11)(도 7 및 도 8 참조)에 통과시키면서 케이싱(4)내로 흡입한 후, 열교환기(2)를 통하여 취출부(5)로 보낸다. 팬(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시로코 팬(sirocco fan)이고,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2)의 하방에 설치된다. 또한, 팬(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도 1에서 도시하는 A-A 단면도)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부(6, 후술한다)의 근방에서 리브 수납 가이드(48, 49, 후술한다)의 사이에 배치된다. 팬(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 케이싱(30)에 수용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을 따라 팬(3)의 원주의 약 4분의 3을 둘러싸는 원호상(圓弧狀)의 측면(32)을 가지고 있고, 팬(3)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의 좌반분(左半分)과 우측의 하반분(下半分)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팬 케이싱(30)에는 개구(開口, 33)가 설치되어 있고, 팬 로터(34)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내부로 받아들인다. 또한, 팬 케이싱(30)에는 팬 케이싱 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 출구(31)는 팬(3)으로부터 상방의 열교환기(2)를 향하여 공기가 나가는 부분이고, 팬 케이싱(30)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팬(3)의 우측의 상반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 출구(31)는 팬(3)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된다. 덧붙여, 팬(3)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교환기(2)로 공기를 보낸다(도 2의 백색 화살표 A1 및 실선 화살표 A2 참조).
<케이싱>
케이싱(4)은 열교환기(2)나 팬(3) 등을 수용하는, 상하 방향(D2)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다. 케이싱(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본체 케이싱(40)과 전면 상부 패널(4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40)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41)과 좌측면(42)과 우측면(43)과 리브 수납 가이드(48, 49)가 일체로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다. 배면(41)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배면측의 상하 방향 전반을 덮고 있다. 좌측면(42)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에서 본 좌측면의 배면측의 상하 방향 전반을 덮고 있다. 우측면(4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에서 본 우측면의 배면측의 상하 방향 전반을 덮고 있다. 리브 수납 가이드(49)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의 배면(41)의 우단부(右端部) 근방으로부터 전방(前方)을 향하여 연장하는 판상(板狀) 부재이고, 우측면(43)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우측면(43)과의 사이에서 리브 수납 공간(S)을 형성한다. 이 리브 수납 가이드(49)는 본체 케이싱(40)의 하단면으로부터 전면 하부 패널(9)과 동등한 높이까지 연장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 수납 가이드(49)에는,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붙이 나사(46)가 나착(螺着)되는 관통 부재(47)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부재(47)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의 안전 리브부(97)의 긴 구멍(98h, 99h)을 좌우 방향(D1,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와셔붙이 나사(46)가 나착된다. 이 와셔붙이 나사(46)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부(46b)와 와셔부(46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와셔부(46a)로는 긴 구멍(98h, 99h)의 폭보다도 긴 직경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안전 리브부(97)의 긴 구멍(98h, 99h) 근방 부분을 리브 수납 가이드(48, 49)와 와셔부(46a)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전 리브부(97)는 리브 수납 가이드(48, 49)보다도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고, 와셔부(46a)보다도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전면 하부 패널(9)의 개폐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에서 본 좌측의 리브 수납 가이드(48)도 리브 수납 가이드(49)와 같고, 정면에서 볼 때의 배면(41)의 좌단부(左端部) 근방에 설치되며, 리브 수납 가이드(49)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면 상부 패널(45)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4)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면 상부 패널(4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부(5), 수평 플랩부(7) 및 수직 플랩부(8)를 구비하고 있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수평 플랩부(7) 및 수직 플랩부(8)에 의하여 조화된 공기의 취출 방향을 정하고 있다. 전면 상부 패널(45)은 케이싱(4)의 전면 상부에 있어서 케이싱(4)의 상하 방향(D2)의 대체로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는 평탄한 부분이다. 또한, 전면 상 부 패널(45)의 상부에는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5)는 실내 온도, 실외 온도나 운전의 설정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홈부(44)는 전면 상부 패널(45)의 측단을 따라 설치된 상하 방향(D2)으로 긴 홈이고, 전면 상부 패널(45)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면 하부 패널>
전면 하부 패널(9)은 필터 수납부(91)와 안전 리브부(97)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필터 수납부(91)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전면(92), 홈부(93), 경사면(94), 좌측면 부분(95), 우측면 부분(9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92)은 필터 수납부(91)의 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D2)의 대체로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평탄한 부분이다. 홈부(93)는 전면 하부 패널(9)의 전면(92)의 측단을 따라 설치된 상하 방향(D2)으로 긴 홈이고, 전면 하부 패널(9)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홈부(93)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930)과 곡면(93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측면(930)과 곡면(931)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1 흡입구(61) 및 제2 흡입구(62)가 설치되어 있고, 이곳으로부터 실내 공기를 상치형 공기 조화기(1) 내부로 받아들일 수 있다. 경사면(94)은, 홈부(93)의 측방(側方)에 인접하고 전면(前面)의 상하 방향(D2) 전체에 걸쳐서 설치된 경사한 면이다. 경사면(94)은 전면 하부 패널(9)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측면 부분(95)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의 정면에서 본 좌측을 구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측면 흡입구(66)를 구비한다.
또한, 좌측면 부분(95)에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11)를 수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필터 수납 가이드(95g)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면 부분(96)은 좌측면 부분(95)과 같고, 전면 하부 패널(9)의 정면에서 본 우측을 구성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측면 흡입구(67)를 구비한다. 또한, 우측면 부분(96)에도,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11)를 수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필터 수납 가이드(95g)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에어 필터(11)를 필터 수납부(91)에 대하여 착탈하는 경우에는, 필터 수납부(91)의 필터 수납 가이드(95g)와 필터 수납 가이드(96g)가 상호작용하여, 에어 필터(11)를 필터 수납부(91)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수납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하부 패널(9)은 케이싱(4)의 전면 하단에 대하여 장착됨으로써, 케이싱(4)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하는 경첩을 하단 부분에 형성한다. 즉, 전면 하부 패널(9)은 경첩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움직이기 시작하여, 외측을 향하여 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린 상태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과 케이싱(4)의 사이에 열림 공간(OS)이 생긴다.
안전 리브부(97)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에 의하여 필터 수납부(91)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좌 안전 리브(98)와 우 안전 리브(99)로 구성되어 있다.
좌 안전 리브(98)는 좌측면 부분(95)으로부터 후방(後方, D3)으로 연장하고 있는 판상 부재이다. 이 좌 안전 리브(98)는 후방을 향함에 따라 좌우 방향(D1)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4)에 대한 전면 하부 패널(9)의 전후 방 향(D3)에서의 열림 폭의 최대가 안전 리브부(97)의 전후 방향(D3)의 폭과 동일한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하부 패널(9)이 케이싱(4)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서의 우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7, 에어 필터(11)의 착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8 및 안전 리브부(97)의 긴 구멍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9에서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 안전 리브(98)는, 좌측면에서 볼 때에, 전면 하부 패널(9)의 경첩 부분을 지점으로 한 대략 원호 형상의 긴 구멍(98h)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 하부 패널(9)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와셔붙이 나사(46) 및 관통 부재(47)의 통과 궤도를 따르도록, 좌 안전 리브(98)에 긴 구멍(98h)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긴 구멍(98h)은 좌 안전 리브(98)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케이싱(4)의 관통 부재(47)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구멍(98h)에 대하여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킴으로써, 안전 리브부(97)의 가동 범위를 규제하여 케이싱(4)에 대한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開度)를 제한한다. 또한, 관통 부재(47) 및 와셔붙이 나사(46)의 단면도(도 7에서 도시하는 C-C 단면도)인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셔붙이 나사(46)가 관통 부재(47)에 대하여 나착되는 것에 의하여, 좌 안전 리브(98)는 와셔부(46a)와 리브 수납 가이드(48)의 사이에 위치되고, 좌우 방향(D1)의 움직임이 규제되며, 전면 하부 패널(9)의 개폐 동작을 안정화시키고 있다. 또한, 전면 하부 패널(9)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 안전 리브(98)는 상술한 리브 수납 공간(S)에 수납된다.
우 안전 리브(99)는 좌 안전 리브(98)와 같으며, 우측면 부분(96)으로부터 후방(D3)으로 연장하고 있는 판상 부재이다. 이 우 안전 리브(99)에도, 우측면에 서 볼 때에, 전면 하부 패널(9)의 경첩 부분을 지점으로 한 대략 원호 형상의 긴 구멍(99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관통 부재(47) 및 와셔붙이 나사(46)에 대해서도 좌 안전 리브(98)와 같다. 전면 하부 패널(9)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 안전 리브(99)도 상술한 리브 수납 공간(S)에 수납된다.
덧붙여, 전면 하부 패널(9)과 케이싱(4)의 계지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취출부>
취출부(5)는 케이싱(4)의 전면 상부 패널(45)에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2)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불어낸다. 취출부(5)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전면 상부 패널(45)의 양측단을 따라 설치된 높이 방향(D2)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전면 상반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상부 패널(45)과 홈부(44)를 사이에 두고, 좌측에 제1 취출구(51)가 설치되고 우측에 제2 취출구(52)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취출부(5)를 구성하는 취출구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횡 방향(D1)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취출구여도 무방하다.
<흡입부>
흡입부(6)는 실내의 공기를 케이싱(4) 내로 흡입하는 부분이고, 도 1,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4 및 외관 측면도인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6)는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는 홈부(93)의 측면(930)에 설치된 개구이고, 좌측의 홈부(93)에 제1 흡입구(61)가, 우측의 홈부(93)에 제2 흡입구(6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61)는, 도 6 및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개구(62a, 62b, 62c)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측면 흡입구(66, 67)는 각각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전면 하부 패널(9)에 각각 설치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하 방향(D2)으로 긴 개구이다. 측면 흡입구(66, 67)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D3)으로 표현하면 팬(3)과 전면(9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덧붙여, 도 5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의 우측면 부분(96)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 흡입구(67)를 도시하고 있지만, 좌측의 좌측면 부분(95)에 설치되는 측면 흡입구(6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제1 흡입구, 제2 흡입구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대향하여 케이싱(4)의 하방을 덮는 에어 필터(11)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과 패널의 계지 기구>
도 7, 도 9 및 도 10에서는, 케이싱(4)의 좌측면에서 볼 때의 계지 기구를 도시하고 있지만, 우측면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린 상태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과 케이싱(4)의 사이에는, 열림 공간(OS)이 생긴다. 이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린 상태에서는, 케이싱(4)과 전면 하부 패널(9)에 의한 계지 기구에 의하여, 상술한 안전 리브부(97)를 열림 공간(OS)에 위치시킬 수 있어 케이싱(4)의 외부로부터 팬(3)으로의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케이싱(4)과 전면 하부 패널(9)에 의한 계지 기구에서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안전 리브부(97)가 열림 공간(OS)에 위치하고, 관통 부재(47)의 외측 일단 부분과 대응하는 긴 구멍(98h, 99h)의 단부가 전면 하부 패널(9)의 개폐 방향(DO)으로 계지되어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를 제한한다. 덧붙여, 안전 리브부(97)에 설치되는 긴 구멍(98h, 99h)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하부 패널(9)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안전 리브부(97)와 케이싱(4)의 우측면(43)이 측면에서 볼 때에 전후 방향(D3)을 향하여 연속하여 보이는 부분이 생기는 배치로 되도록 긴 구멍(98h, 99h)의 길이·형상을 조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긴 구멍(98h, 99h)은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를 규제할 뿐만 아니라, 관통 부재(47)를 관통하고 있는 부분을 따르게 함으로써, 개폐의 가이드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다. 덧붙여, 안전 리브부(97)에 설치되는 긴 구멍(98h, 99h)의 위치는 안전 리브부(97) 중 경첩 부분에 가까운 쪽에 배치시킬수록, 긴 구멍(98h, 99h)의 열림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특징>
(1)
종래와 같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에어 필터를 보수할 때에 패널을 연 상태에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팬에 대하여 접촉 방지용 망을 설치하거나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의 팬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패널과는 별개의 부품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부품 자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부품 제조 비용이나 그 소요 시간, 나아가 그러한 부품 끼리를 조합하기 위한 제조 장치나 제조 공정에 필요로 하는 조립 비용이나 그 소용 시간이 필요하여, 생산성의 향상에 제동을 거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술한 접촉 방지 망이나 리미트 스위치 등을 장착시키는 제조 공정에서는, 복잡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거나 생산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보다 한층 곤란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에어 필터(11)의 보수 등을 위하여 전면 하부 패널(9)을 연 상태인데도 전면 하부 패널(9)과 케이싱(4)의 사이의 열림 공간(S)을 통한 케이싱(4)의 외부로부터 팬(3)으로의 접근을 안전 리브부(97)에 의하여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면 하부 패널(9)을 열어 에어 필터(11)를 보수할 때에도 보수하는 사람의 손 등이 회전 중인 팬(3)에 접촉해 버리는 위험성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전 리브부(97)는 에어 필터(11)를 수납하고 있는 필터 수납부(9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안 전 리브부(97)를 필터 수납부(91)와 일체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상술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안전 리브부(97)는 전면 하부 패널(9)을 닫은 상태에서 전후 방향(D3)의 폭보다도 상하 방향(D2)의 폭 쪽이 길어지는 형상으로 필터 수납부(9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싱(4)에 대한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폭이 안전 리브부(97)의 전후 방향(D3)의 폭과 동일한 정도로 되도록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열림 공간(S)을 보다 확실하게 커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팬(3)으로의 접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
상술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케이싱(4)의 리브 수납 가이드(48, 49)가 가지고 있는 관통 부재(47) 및 와셔붙이 나사(46)와, 안전 리브부(97)가 가지고 있는 긴 구멍(98h, 99h)이 서로 계지함으로써, 케이싱(4)에 대한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정도를 규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면 하부 패널(9)이 열린 상태에서 안전 리브부(97)가 팬(3)으로의 접근을 억제한다는 관점뿐만 아니라, 전면 하부 패널(9)이 케이싱(4)에 대하여 과도하게 열려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에어 필터(11)를 착탈하는데 필요로 하는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폭과 동일한 정도의 폭을 안전 리브부(97)가 전후 방향(D3)의 폭으로서 구비하고 있으면, 에어 필터(11)의 착탈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안전성의 확보의 양방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안전 리브부(97)는 전후 방향(D3)의 폭으로서 에어 필터(11)의 착탈에 필요로 하는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폭과 동일한 정도의 폭을 구비하고 있으면 족하고, 안전 리브부(97)가 필요 이상의 크기로 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4)
또한, 안전 리브부(97)는 전면 하부 패널(9)의 필터 수납부(91) 중, 정면에서 볼 때에 양측 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방(D3)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고, 전면 하부 패널(9)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케이싱(4)에 설치된 리브 수납 공간(S)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케이싱(4) 및 전면 하부 패널(9)의 횡 방향(D1)의 폭의 확대화를 억제하여 상치형 공기 조화기(1)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5)
또한, 안전 리브부(97)의 긴 구멍(98h, 99h)은 전면 하부 패널(9)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안전 리브부(97)와 케이싱(4)의 우측면(43)(좌측면(42)도 같음)와의 적어도 일부가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겹치고, 안전 리브부(97)는 안전 리브부(97)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전후 방향(D3)을 향하여 일부가 연속하여 보이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 때문에, 전면 하부 패널(9)이 완전히 열린 상태인데도 전면 하부 패널(9)과 케이싱(4)의 사이에 생기는 열림 공간(S) 중, 상기 겹침 부분 근방에서는 팬(3)으로의 접근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를 규제하는 계지 기능의 일례로서, 와셔붙이 나사(46) 및 관통 부재(47)와, 이들의 개폐 시의 궤도를 따르도록 안전 리브부(97)에 설치된 긴 구멍(98h, 99h)에 의한 계지 기구에 대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안전 리브부(97)에 설치되는 긴 구멍(98h, 99h)으로는,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와셔부(46a)의 외경(外徑)이나 내경(內徑), 나사부(46b)의 크기(굵기)에 따라 전면 하부 패널(9)의 개폐 동작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히 개폐 궤도를 따라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 규제를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덧붙여, 필터 수납부(91)에 대하여 안전 리브부(97)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필터 수납부(91)와 안전 리브부(97)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전면 하부 패널(9) 자체의 강도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고장이나 파손 등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B)
상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케이싱(4)과 전면 하부 패널(9)의 계지 기구로서, 케이싱(4)의 리브 수납 가이드(48, 49)의 관통 부재(47)에 대하여 나착 된 와셔붙이 나사(46)와, 안전 리브부(97)에 형성된 긴 구멍(98h, 99h)에 의한 계지 기구에 대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여기서의 계지 기구로서는 케이싱(4)에 대한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의 규제가 가능한 기구이고, 부품 점수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기구이면,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의 계지 기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예로서 케이싱(4)의 리브 수납 가이드(48, 49)에 열림 궤도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는 볼록 형상부를 설치하고, 안전 리브부(97)에 케이싱(4)의 볼록 형상부에 대응한 오목 형상이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궤도를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호상 오목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안전성 확보와 부품 점수 삭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에어 필터(11)의 교환 시에 있어서, 개폐부가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2 예로서 안전 리브부(97)에 열림 궤도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는 볼록 형상부를 설치하고, 케이싱(4)의 리브 수납 가이드(48, 49)에 안전 리브부(97)의 볼록 형상부에 대응한 오목 형상이 전면 하부 패널(9)의 열림 궤도를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호상 오목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제1 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1 예 및 제2 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안전 리브부(97) 는, 필터 수납부(91)에 일체 형성되어 경첩 근방 부분을 하나의 정점으로 하고 있는 대략 삼각 형상의 리브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대략 삼각 형상의 리브여도 케이싱(4)의 외부로부터 상기 열림 공간(S)을 통한 팬(3)으로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서 도시하는 케이싱(4)의 좌측면(43)이나 우측면(42)에 대하여 나착되고, 안전 리브부(97)의 긴 구멍(98h, 99h)과 계지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관통 부재(47)를 설치하는 일없이, 리브 수납 가이드(48, 49), 케이싱(4)의 좌측면(43)이나 우측면(42)에 대하여 와셔붙이 나사(46)를 직접 나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면 하부 패널(9)의 개도를 규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도 1 ~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직방체 형상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형상으로는 이와 같은 직방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원기둥 형상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하부 패널이 하방에서 방사상(放射狀)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실내 공기를 방사상으로 복수 개소로부터 흡입하고, 조화된 공기가 상방의 패널 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부 패널이 방사상 외측을 향하여 열려, 에어 필터(11)의 착탈을 행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덧붙여, 각 하부 패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안전 리브부(97), 관통 부재(47) 및 와셔붙이 나사(46)에 의한 계지 기구와 같은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하부 패널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
상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 시로코 팬)이 케이싱(4)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대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여기서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설치되는 팬(3)으로는, 특히 종류를 한정할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터보 팬이나 크로스 플로우 팬 등이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와셔붙이 나사(46)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부(46b)와 와셔부(46a)가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와셔와 나사부가 각각인 와셔붙이 나사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필터를 보수할 때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부품 점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필터를 통하여 조화 전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화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의 적용이 특히 유용하다.

Claims (11)

  1. 필터(11)를 통하여 조화 전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화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이고,
    송풍기(3)와,
    상기 송풍기(3)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4)과,
    상기 케이싱(4)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4)에 대하여 외측으로 열리는 패널(9)
    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9)은 상기 필터(11)를 수납하는 필터 수납부(91)와, 안전부(97)를 가지고 있고,
    상기 필터 수납부(91)는 상기 패널(9)이 열리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필터(11)의 착탈(着脫)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필터 수납부(9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9)이 열려 상기 케이싱(4)과 상기 필터 수납부(91)의 사이에 공간(OS)이 생겼을 때에 상기 공간(OS)을 통한 상기 케이싱(4)의 외부로부터 상기 송풍기(3)로의 접근을 막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패널(9)이 열리는 방향인 열림 방향의 폭보다도 상기 필터 수납부(91)의 단부에 대략 평행한 방향의 폭 쪽이 긴
    상치형 공기 조화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패널(9)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싱(4)의 외측에서 상기 패널(9)이 열리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송풍기(3)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있고, 상기 패널(9)을 열 때에 생기는 상기 안전부(97)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송풍기(3)와 적어도 일부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패널(9)의 열림 방향과는 대략 반대의 방향을 향하여 상기 필터 수납부(91)로부터 연장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패널(9)이 열려 상기 케이싱(4)과의 사이에 공간(OS)이 생긴 상태에서 상기 공간(OS)에 위치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은 계지 수단(46, 47)을 가지고 있고,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케이싱(4)에 대한 상기 패널(9)의 열림 정도를 규제하기 위한, 상기 계지 수단(46, 47)과 계지되는 피계지 수단(98h, 99h)을 가지고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의 피계지 수단(98h, 99h)은 적어도 상기 패널(9)이 열릴 때에 생기는 상기 안전부(97)의 궤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안전부(97)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긴 구멍(98h, 99h)이고,
    상기 케이싱(4)의 계지 수단(46, 47)은 상기 긴 구멍(98h, 99h)에 대하여 상기 안전부(97)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키면서 상기 케이싱(4)에 고정되는 관통재(46, 47)인
    상치형 공기 조화기(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재(46)는 와셔(46a)를 가지는 와셔붙이 나사(46)이고,
    상기 와셔(46a)의 직경은 상기 패널(9)이 열렸을 때에 생기는 상기 안전부(97)의 열림 궤도 평면상에서, 상기 안전부(97)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에서의 상기 긴 구멍(98h, 99h)의 폭보다도 긴
    상치형 공기 조화기(1).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의 피계지 수단(98h, 99h)은 상기 필터 수납부(91) 및 상기 안전부(97)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패널(9)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기(3)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4)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9)은 일단이 경첩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4)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97)는 상기 패널(9)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안전부(97)의 열림 궤도 평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안전부(97)와 상기 케 이싱(4)이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패널(9)의 열림 방향을 향하여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
KR1020077002889A 2004-08-25 2005-08-03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840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5363A JP3821144B2 (ja) 2004-08-25 2004-08-25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JP-P-2004-00245363 2004-08-25
PCT/JP2005/014186 WO2006022129A1 (ja) 2004-08-25 2005-08-03 床置き型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087A true KR20070034087A (ko) 2007-03-27
KR100840066B1 KR100840066B1 (ko) 2008-06-19

Family

ID=3596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889A KR100840066B1 (ko) 2004-08-25 2005-08-03 상치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21144B2 (ko)
KR (1) KR100840066B1 (ko)
CN (1) CN1993588B (ko)
WO (1) WO2006022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379B1 (ko) 2006-09-18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328901B1 (ko) 2007-01-25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
JP4977484B2 (ja) * 2007-01-30 2012-07-18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置型空気調和機
KR101478705B1 (ko) 2008-08-26 2015-01-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CN101726086A (zh) * 2008-10-29 2010-06-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柜式空调器的过滤网支架结构
WO2011055704A1 (ja) * 2009-11-04 2011-05-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649302B2 (ja) * 2009-12-25 2015-01-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158629B2 (ja) * 2013-07-30 2017-07-05 ヤンマー株式会社 小旋回作業車
JP2015169389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524316B (zh) * 2016-12-30 2022-04-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离心风轮、组合离心风轮及空调器
WO2019180782A1 (ja) * 2018-03-19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IT201800010687A1 (it) * 2018-11-29 2020-05-29 Aermec Spa Ventilconvettore
CN112747369B (zh) * 2021-01-29 2024-06-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5885A (en) * 1986-12-22 1988-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graylevel image compression system
KR0112949Y1 (ko) * 1994-12-10 1998-04-10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취부장치
JP2002054344A (ja) * 2000-08-08 2002-02-20 Nec Ibaraki Ltd 扉開閉機構
JP6915569B2 (ja) * 2018-03-05 2021-08-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保存装置、通信システム、保存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3588B (zh) 2010-04-21
JP3821144B2 (ja) 2006-09-13
KR100840066B1 (ko) 2008-06-19
CN1993588A (zh) 2007-07-04
JP2006064216A (ja) 2006-03-09
WO2006022129A1 (ja)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066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166237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U2005301867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6090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4111012A (zh) 导风结构及空调器
KR2008000343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WO201810065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040144117A1 (en) Air conditioner
CN107084580B (zh) 一种风冷冰箱的分风装置及其控制方法、风冷冰箱
CN215983036U (zh) 面板开合装置及排风扇
JP2015124977A (ja) 室内機
KR101199668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CN108019835B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CN109827315B (zh) 面板组件和空气处理设备
CN100516730C (zh) 具有空气净化器的冰箱
CN108151275B (zh) 空调器的面板组件及空调器
KR20220021764A (ko) 공기청정기
CN210220181U (zh) 导风板驱动机构及空调器
KR20070044294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 구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1953003U (zh) 一种空调室内机
CN216346478U (zh) 油烟机
CN218763927U (zh) 空调器
KR101880481B1 (ko) 공기 토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