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901B1 - 이동식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901B1
KR101328901B1 KR1020070007786A KR20070007786A KR101328901B1 KR 101328901 B1 KR101328901 B1 KR 101328901B1 KR 1020070007786 A KR1020070007786 A KR 1020070007786A KR 20070007786 A KR20070007786 A KR 20070007786A KR 101328901 B1 KR101328901 B1 KR 10132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air conditioner
ai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140A (ko
Inventor
이종호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90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이물을 다수회 정화하는 필터조립체가 구비되고, 필터조립체는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가 이격 수납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프레임의 개방 범위를 제한하는 개방가이드가 제공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흡입그릴;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가이드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측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회전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돌기안내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내부로 이물 유입이 차단되어 고장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식, 공기조화기, 베이스팬, 파워코드, 고정구

Description

이동식 공기조화기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 구성을 보인 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을 보인 후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가 후방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가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작동시에 공기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의 흐름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방프레임 110. 토출루버
200. 전면판넬 210. 토출구
300. 후방프레임 302. 외기유입구
304. 안착부 306. 체결구멍
310. 흡입그릴 313. 턱트수용홈
316. 그릴체결후크 317. 그릴체결돌기
330. 하부그릴 340. 손잡이
360. 그릴장착부 370. 프레임체결돌기
372. 탈거홈 400. 배기안내수단
500. 베이스팬 502. 이동바퀴
510. 제1열교환기 520. 압축기
530. 어큐뮬레이터 540. 응축수감지장치
550. 응축수펌프 560. 응축수배관
570. 브레이스 580. 지지앵글
600. 하부오리피스 620. 하부에어가이드
630. 하부팬 640. 하우징홈
650. 배기가이드 660. 하부모터
670. 하모터지지대 700. 메인드레인팬
750. 보조드레인팬 800. 상부에어가이드
810. 상부팬하우징 820. 상부모터
830. 상모터지지대 840. 상부팬
850. 상부오리피스 860. 제2열교환기
900. 필터조립체 910. 체결보스
920. 필터 940. 수납프레임
942. 수납공간 944. 이탈방지부
946. 이격돌기 948. 개방손잡이
960. 지지프레임 962. 프레임수용공간
964. 회전가이드 964'. 회전돌기
964". 돌기삽입홈 966. 개방가이드
966'. 가이드돌기 966".돌기안내홀
본 발명은 이동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이물을 다수회 정화하는 필터조립체가 구비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주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별도의 설치 장소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 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이동식 공기조화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의 중앙에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상부실(12) 및 하부실(13)로 구획하는 분할판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실(13)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4)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14)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곳에는 압축기(14)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15)가 직립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5)의 하측에는 응축수(W)가 집수되는 저장탱크(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저장탱크(16)내에는 집수된 응축수(W)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우트(도시안됨)와, 이 플로우트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수중펌프(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15)의 우측 상단에는 살수기(19)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살수기(19)는 상기 수중펌프(18)와 호스(20)로 연결되어 응축수(W)가 공급되면 일측에 형성된 다수의 살수공(도시안됨)에 의해 살수를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할판(11)에는 하측에 설치된 블로워 팬(2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M)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의 상부실(12)에는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2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후 실내측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크로스플로우 팬(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플로우 팬(23)은 그 일측에 설치된 모터(도시안됨)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2)의 하측에는 응축수를 일시적으로 모으기 위한 물받이(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물받이(24)의 일측에는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저장탱크(16)로 보내기 위한 배수호스(2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실(12)과 하부실(13)의 우측면에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흡입구(32) 및 제2흡입구(34)가 각각 천공 형성된다. 상기 제1흡입구(32)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상부실(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2흡입구(34)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부실(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10)에는 제1흡입구(12)와 제2흡입구(13)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물이 그대로 유입되어 적체되므로 부품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에 적체된 이물은 다시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어 비산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외기유입구 일측에 필터조립체를 구비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이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조립체가 다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다수 회 필터링하여 공기 정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는,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가 이격 수납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프레임의 개방 범위를 제한하는 개방가이드가 제공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흡입그릴;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가이드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측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회전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돌기안내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 필터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 필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기와,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에 수납된 다수 필터의 이 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안내홀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수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되어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안내홀은 상기 돌기삽입홈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방과 후방 외관을 보인 사 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프레임(100)과 전면판넬(200) 그리고, 후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프레임(3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개략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전반부의 골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판넬(120)이 구비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후면 외관은 물론, 상면 및 좌우 측면의 외관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후방프레임(300)에는 열교환 된 공기를 외부(특히,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안내수단(4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한 전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프레임(100)은 측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단 부근에는 그릴설치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설치구(102)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버(1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은 전방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조작판넬(120) 등이 설치되는 판넬구(104)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판넬구(104)는 조작판넬(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면판넬(200)은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전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전면판넬(2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같이 중앙부가 상단 및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라운드진 형상(원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그릴설치구(102)에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의 외부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루버(11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루버(110)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토출루버 등이 구비되어 공기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판넬구(104)에는 조작판넬(120)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판넬(12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다수의 버튼 등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조작판넬(120)의 하측에는 한 쌍의 버튼조립체(122)가 구비되며, 이러한 버튼조립체(122)에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이 상기 조작판넬(12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하측에는 조작피시비(PCB)(12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피시비(124)는 상기 버튼조립체(122)의 버튼 동작을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작피시비(124)는 조작프레임(126)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피시비(124)의 외측은 직사각 박스 형상의 피시비케이스(128)가 감싸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200)의 상단 부근에는 토출구(21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10)는 공기조화(냉방 또는 난방)가 이루어진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선단부는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좌우 측면 후단부와 대응되게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라운드지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외기유입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외부(실내)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며,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선단부 외측 테두리에는 안착부(304)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304)는 외기유입구(302)의 내측 방향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 가지고 돌출된 것으로(도 5참조),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필터조립체(900)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4)에는 필터조립체(900)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멍(306)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외기유입구(302)는 흡입그릴(310)에 의해 차폐된다. 외기(실내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은, 상기 외기유입구(30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다수의 그릴리브(312)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를 통해 공기의 흡입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그릴리브(312) 사이의 틈새는 그물망이나 망사 등에 의해 차폐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그릴리브(31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그릴(310)에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일부가 수용되는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그릴(310)의 좌측부분에는 전방으로 함몰된 덕트수용홈(313)이 형성되며, 이러한 덕트수용홈(313)의 하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전면과 대응되는 반원홈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덕트수용홈(313)에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반부가 수용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에는 한 쌍의 그릴체결후크(316)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후크(316)는 상기 흡입그릴(310) 상단부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단 좌우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아래에서 설명할 그릴후크체결홀(도 5의 도면부호 374)에 체결되면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부는 후방프레임(300)의 후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구속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의 하단에는 그릴체결돌기(317)가 더 형성된다. 상기 그릴체결돌기(317)는 흡입그릴(310)의 하단 좌우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그릴돌기삽입홀(도 5의 도면부호 354)의 폭과 대응되는 좌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그릴돌기삽입홀(35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외기유입구(302) 내부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필터조립체(9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900)는 외기유입구(302)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는 하부그릴(3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은 공기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손잡이(34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측면 상단부 근처에는 손잡이공(342)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손잡이공(342)에 손잡이(34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34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쉽게 들어올려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에는 배기안내수단(40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기안 내수단(400)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공기를 외부(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내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그리고 프레임커넥터(430)와 노즐커넥터(4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원통 형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배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배기노즐(420)은 상기 배기덕트(410)를 통해 유동되는 배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끝단부이다. 상기 배기덕트(41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벤딩(be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커넥터(430)는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상기 배기덕트(4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하단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노즐커넥터(440)는 상기 배기덕트(410)와 배기노즐(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410) 상단에 상기 배기노즐(420)이 체결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하부 외관은 베이스팬(50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은 상기 전방프레임(100)과 후방프레임(300) 하단과 결합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동바퀴(502)가 설치된다. 상기 이 동바퀴(502)는 공기조화기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상기 베이스팬(500) 각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제1열교환기(5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중앙부분에 제1열교환기(510)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를 냉각(또는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제1열교환기(51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하게 되고,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외부(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에는 압축기(52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52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부분 후단부에 설치되며, 삼각 형상의 압축프레임(522)에 의해 지지되고, 이러한 압축프레임(522)이 상기 베이스팬(500)에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520)의 옆에는 어큐뮬레이터(5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는 액 냉매를 걸러내어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5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520)의 전방에는 응축수감지장치(54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40)는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에 고이는 응축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응축수펌프(5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펌프(550)는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인 응축수를 펌핑(pumping)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응축수펌프(550)에는 응축수배관(56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배관(560)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응축수를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으로 안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배관(560)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연결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드레인팬(750)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팬(500)의 우측단에는 브레이스(5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스(57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팬(500)의 상면 우측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단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에는 지지앵글(580)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즉, 상기 베이스팬(500)의 선단 우측 부분에는 지지앵글(580)이 상하로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지지앵글(580)은 아래에서 설명할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좌우에 쌍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좌측에는 하부오리피스(60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오리피스(850) 및 상부에어가이드(800)와 같은 다수의 부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열교환기(510)을 통과한 공기를 좌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의 하오리피스공(6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에는 하부에어가이드(62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는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한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하부팬(630)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에는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홈(640)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의 좌측면과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우측면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하우징홈(6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홈(640)은 상기 하부팬(630)의 외경 크기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630)을 감싼다.
상기 하부오리피스(600)와 하부에어가이드(620)의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배기가이드(65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는 상기 하우징홈(64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기가이드(650) 내측 상단부에는 원형의 배기그릴(652)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배기그릴(652)은 상기 배기가이드(650)의 하측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중앙부분에는 하모터공(622)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하모터공(622)에 하부모터(660)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부모터(66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하부팬(63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의 좌측에는 하모터지지대(6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모터지지대(670)는 상기 하부에어가이드(620)에 장착되는 상기 하부모터(66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은 상기 베이스팬(500)에 접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00)의 중앙 후측에는 메인드레인팬(7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열교환기(86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며, 공기조화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이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내부를 실외측과 실내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중심으로 하측에는 실외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외측(방열측)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실내기(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에 해당하는 실내측(흡열측)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에는 보조드레인팬(75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 및 상기 응축수펌프(550)에 의해 공급 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분배되는 부분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은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에 고이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내려와 집수되며, 상기 베이스팬(500)에 고이는 응축수도 상기 응축수배관(560)을 통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보조드레인팬(750)으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 상단에 골고루 뿌려져 증발된다.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는 상부에어가이드(80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에 좌우로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에는 상부팬하우징(81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은 상부팬(8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팬(840)에 의해 강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안내구(814)로 유동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중앙 부분에는 상모터공(8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모터공(812)에는 상부모터(82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상부모터(820)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팬(84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상단부에는 토출안내구(814)가 관통 설치된다. 상기 토출안내구(814)는 상기 토출루버(110)과 대응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안내구(814)를 통 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모터(820)의 하측에는 상모터지지대(8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상모터지지대(830)는 상기에서 설명한 하모터지지대(670)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상부모터(8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모터지지대(830)의 하단은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선단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 내측에는 상부팬(840)이 수용 설치된다. 상기 상부팬(84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모터(820)의 후단에 체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후측에는 상부오리피스(85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는 사각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공기가 유동 가능한 원형의 상오리피스공(85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오리피스(850)의 후측에는 제2열교환기(8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은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후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우측 선단부에는 컨트롤박스(870)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87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는 곳으로,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870)의 상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반부는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후방프레임(3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가 후방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은 단차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전후 길이는 상반부와 후반부가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후길이는 상반부의 전후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중앙부분에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관통 형성되는 외기유입구(302) 하측에는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면(3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350)에는 덕트연결구(352)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의 하단이 체결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구성하는 프레임커넥터(43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덕트연결구(352)는 상기 프레임커넥터(430)의 하단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면(350)의 좌우 측단부에는 그릴돌기삽입홀(3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돌기삽입홀(354)은 상기한 흡입그릴(310)의 그릴체결돌기(317)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단차면(350)의 상측에는 그릴장착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장착부(360)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외기유입구(302)의 후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단차면(350)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하부그릴(330)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우측부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10)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호환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실제로는 우측부분(도 5에서는 좌측부분)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고, 좌측부분(도 5에서는 우측부분)은 내부가 차폐되어 있어서 공기의 유동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하부그릴(330)을 후방프레임(300)의 우측 부분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부그릴(330)를 통해 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열교환기(510)의 우측으로 유입되어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배관공(36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관공(364)은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선단에는 상기 전방프레임(100)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체결돌기(370)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체결돌기(370)는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부분으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및 선단부 및 상단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좌우 선단부의 중앙과 상단 및 하단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단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체 결돌기(370)에 스크류(screw)가 삽입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00)에 체결되면 상기 후방프레임(300)과 전방프레임(100)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측면 상단의 후단에는 탈거홈(372)이 형성된다. 상기 탈거홈(372)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부분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길이는 사람의 손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거홈(372)은 사용자가 상기 흡입그릴(310)의 상부 좌/우측을 전방으로 당겨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후면 상단부에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그릴후크체결홀(374)은 그릴체결후크(316)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그릴체결후크(316)의 선단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그릴장착부(360)의 상단부 좌우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그릴후크체결홀(374)이 형성되며, 이러한 그릴후크체결홀(374)은 상기 그릴체결후크(316)가 관통 가능한 크기를 가진다.
상기 외기유입구(302) 내부에는 필터조립체(90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900)는 내부로 공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세로가 긴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900)의 네 모서리 후단부에는 체결보스(91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스(910)는 상기 체결구멍(306)과 대응되는 수량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안착부(304)에 안착 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 필터조립체(9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가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된 모습을 보인 사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조립체(900)는 크게 다수 필터(920)와 상기 다수 필터(920)가 수납되는 수납프레임(940)과, 상기 후방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프레임(94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9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920)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각각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기유입구(302)를 통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필터(920)를 다수 차례에 걸쳐 정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920)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의 미세 이물을 걸러내는 집진필터를 포함하여 담배연기나 각종 냄새 등을 탈취하는 암모니아 탈취필터나,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 및 휘발성 유기물의 냄새를 탈취하는 톨루엔(VOC) 탈취필터 중에서 두 개 이상을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다수 필터(9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납공간(9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942)에 수납된 필터(920)는 수납공간(942)에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상부가 개구 형성되고, 전면에는 얇은 폭을 가지는 이탈방지부(94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942)에 수납된 다수 필터(920)는 이탈방지부(944)에 의해 간섭되어 전방으로 이탈이 방지되며 상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인출/입된다.
상기 수납공간(942)의 내부에는 이격돌기(946)가 다수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946)는 수납공간(942)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다수 필터(920)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 필터(920)의 두께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전면 상단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개방손잡이(948)가 구비된다. 상기 개방손잡이(948)는 사용자가 필터(920)를 교체하거나 세척을 위해 상기 필터(920)를 인출하고자 할 때 파지하여 상기 수납프레임(940)을 지지프레임(960)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좌/우측 후단에는 간섭돌기(949)가 구비된다. 상기 간섭돌기는 가장 후측에 설치된 필터(920)의 후면 테두리부를 간섭하여 필터(920)의 후방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9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프레임(940)을 지지함은 물론 상기 다수 필터(920)가 수용된 수납프레임(94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960)의 내부에는 수납프레임(940)의 외관과 대응되는 크기의 프레임수용공간(962)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수용공간(962)은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960) 내부에 수용된 수납프레임(940)은 프레임수용공간(962)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프레임수용공간(962)으로부터 회전하여 인/출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수납프레임(940)과 지지프레임(960)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964)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가이드(964)는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좌/우측면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기(964')와, 상기 지지프레임(960)의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돌기삽입홈(9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돌기(964')의 외경과 상기 돌기삽입홈(964")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돌출 높이 및 함몰 깊이 또한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돌기(964')와 돌기삽입홈(964")이 서로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손잡이(948)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회전돌기(964')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가 프레임수용공간(962)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회전돌기(964')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할 때 일정 각도만큼만 인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프레임(940)과 지지프레임(96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개방범위를 제한하는 개방가 이드(966)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개방가이드(966)는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측면 중앙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966')와, 상기 지지프레임(960)의 측면 중앙부에서 천공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966')가 삽입되는 돌기안내홀(9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66')는 돌기안내홀(966")의 폭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측면 중앙부 후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안내홀(966")은 프레임수용공간(962)의 측면 중앙부 후단에서 전단부까지 일정 곡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안내홀(966")은 돌기삽입홈(964")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수납프레임(940)이 회전돌기(964')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966') 역시 동시에 회전하여 원호를 그리게 되며, 이때 그리는 원호는 상기 돌기안내홀(966")을 중심으로 하는 원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966')의 선단부가 돌기안내홀(966")의 선단부와 도 7과 같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일정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작동시에 공기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공기의 흐름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사용 가능하나,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51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20)와 제1열교환기(510) 및 제2열교환기(860)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냉매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520)로부터 기체 냉매가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510)로 유입되면, 상기 제1열교환기(510)에서는 외측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된다.
그런 다음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한다. 따라서, 냉매는 기체상태가 되는데, 이때 액체상태의 냉매도 잔류하게 되어 실제로는 2상의 냉매가 혼재한다.
이러한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530)를 통과한 후에 다시 상기 압축기(520)에 보내져 냉매의 순환사이클(cycle)을 완성하게 된다.
이하 상기 메인드레인팬(700)의 하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7007571315-pat00001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하부모터(66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하부모터(66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하부팬(63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하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후방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하부그릴(330)을 통해 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방향을 전환하여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510)를 통과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응축기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2열교환기(86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공기는 고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는 상기 하오리피스공(602)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팬(630) 중앙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팬(63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유동되어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안내되어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배기가이드(650)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배기안내수단(400)을 통해 건물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된다.
다음으로, 메인드레인팬(700)의 상측 부분에서 일어나는 공기의 유동(도면에서는 '
Figure 112007007571315-pat00002
'로 표시됨)을 살펴본다. 이때의 공기 유동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팬(840)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모터(820)가 구동하게 되면, 이러한 상부모터(82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상부팬(840)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후방프레임(300)의 상반부에 형성된 흡입그릴(310)을 통해 내부(전방)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그릴(310)을 통해 유입되 는 공기는 상기 다수 필터(92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악취가 제거된다.
이후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860)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860)를 통과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상오리피스공(852)을 통해 전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팬(840) 중앙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팬(840)의 회전에 의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팬하우징(810)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상부에어가이드(800)의 토출안내구(814)를 통해 전방으로 나와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한다.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는 상기 토출구(210)의 전방으로 배출되어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루버(110)를 통과하는 공기는 토출루버(110)에 형성된 다수의 리브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조립체(900)로부터 필터(920)를 분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상기 후방프레임(300)으로부터 흡입그릴(310)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조립체(900)는 체결보스(910)와 체결구멍(306)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필터조립체(900)의 후면 테두리는 안착부(304)와 면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개방손잡이(948)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 다. 상기 개방손잡이(948)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상기 수납프레임(940)의 상부는 회전돌기(964')와 돌기삽입홈(964")에 의해 안내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966')는 수납프레임(9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프레임(940)이 회전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966')는 돌기안내홀(96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가이드돌기(966')의 선단부가 상기 돌기안내홀(966")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돌기(966')의 시계방향 회전이 간섭되면, 상기 수납프레임(940)은 수납공간(942) 내부에 다수 필터(920)를 수용한 상태로 도 7과 같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교체 또는 세척이 요구되는 필터(920)를 전방 상향으로 잡아당겨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필터(920)는 이격돌기(946)에 의해 인출 방향이 안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에서는, 실내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외기유입구 일측에 필터조립체가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 내부로 이물 유입이 차단되어 공기조화기 내부에 설치된 다수 전장부품의 고장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로 구성되므로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다수회 필터링하게 되어 공기 정화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다수 필터는 수납프레임에 이격된 상태로 수납되며, 수납프레임은 회전가이드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필터의 교체 및 세척을 위해 인출하는 과정이 간소화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고, 실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다수의 필터가 이격 수납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면서, 상기 수납프레임의 개방 범위를 제한하는 개방가이드가 제공되는 필터조립체; 및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흡입그릴;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가이드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측면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회전 곡률과 동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돌기안내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다수 필터와,
    상기 다수 필터가 수납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납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 필터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 필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돌기와,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에 수납된 다수 필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안내홀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수납프레임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함몰되어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안내홀은 상기 돌기삽입홈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20070007786A 2007-01-25 2007-01-25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32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86A KR101328901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식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86A KR101328901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식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140A KR20080070140A (ko) 2008-07-30
KR101328901B1 true KR101328901B1 (ko) 2013-11-13

Family

ID=3982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86A KR101328901B1 (ko) 2007-01-25 2007-01-25 이동식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41A (ko)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64B1 (ko) * 2019-07-14 2020-04-07 김철오 대용량 선별이 가능한 세라믹 볼 선별기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볼 선별 방법
US20210293446A1 (en) * 2020-03-19 2021-09-23 Carrier Corporation Baffle for directing refrigerant leaks
KR102512197B1 (ko) * 2021-09-16 2023-03-21 김의진 모듈화된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81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입 장치
KR20020018337A (ko) * 2000-09-01 2002-03-08 구자홍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제습기
JP2003185241A (ja) 2001-12-25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3821144B2 (ja) 2004-08-25 2006-09-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型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581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입 장치
KR20020018337A (ko) * 2000-09-01 2002-03-08 구자홍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제습기
JP2003185241A (ja) 2001-12-25 2003-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3821144B2 (ja) 2004-08-25 2006-09-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型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41A (ko) 2014-08-18 2016-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140A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657B1 (en) Air conditioner
EP1876396B1 (en) Air conditioner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101328901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KR101335748B1 (ko) 공기조화기
EP1876399B1 (en) Air conditioner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5A (ko) 공기조화기
US20080000252A1 (en) Air conditioner
KR20090022098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50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00921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10420A (ko)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KR20080041062A (ko) 공기조화기
CN113007813A (zh) 一体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0474049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924B1 (ko) 공기조화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KR101314915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61A (ko) 공기조화기
KR20080041071A (ko) 공기조화기
CN214791536U (zh) 一体式空调器
KR100758947B1 (ko) 제습기의 베이스
KR10138489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