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64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641A
KR20160021641A KR1020140107192A KR20140107192A KR20160021641A KR 20160021641 A KR20160021641 A KR 20160021641A KR 1020140107192 A KR1020140107192 A KR 1020140107192A KR 20140107192 A KR20140107192 A KR 20140107192A KR 20160021641 A KR20160021641 A KR 20160021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mode
purifying
air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김하영
한성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1641A/ko
Publication of KR2016002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제1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제1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정화유닛과; 정화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유닛을 마주보는 제2흡입구가 형성되며, 정화유닛과 제1흡입구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3흡입구가 형성된 무빙바디와; 무빙바디를 제3흡입구가 은닉되는 제1위치로 무빙시키거나 제3흡입구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무빙시키는 무빙기구를 포함하여, 공기청정이 중요하지 않는 모드일 때,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제3흡입구로 흡입되어 정화유닛을 통과하지 않고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정화유닛에 의한 흡입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화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난방 시키는 장치로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설치할 경우, 실내를 정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공기조화기에는 열교환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정화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또는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화유닛이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정화유닛을 항상 통과하여 열교환기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기는 정화유닛을 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정화유닛에서 정화된 후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공조시킬 수 있다.
KR 10-1328901호(2013년11월13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이 중요한 운전모드 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운전모드의 경우에도 공기가 정화유닛을 항상 통과하여 공기 청정이 중요하지 않는 모드의 흡입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제1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정화유닛과; 상기 정화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유닛을 마주보는 제2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정화유닛과 제1흡입구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3흡입구가 형성된 무빙바디와; 상기 무빙바디를 상기 제3흡입구가 은닉되는 제1위치로 무빙시키거나 상기 제3흡입구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무빙시키는 무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2흡입구와 제3흡입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3흡입구는 상기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무빙바디는 상기 제2흡입구와 제1흡입구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제2흡입구가 상기 제1흡입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무빙바디를 전진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제2흡입구가 상기 제1흡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무빙바디를 후퇴시키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파워모드와 공기청정모드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무빙바디를 제1위치로 무빙시키는 제1모드로 상기 무빙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무빙바디를 제2위치로 무빙시키는 제2모드로 상기 무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복수개 정화유닛과;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이 설치된 무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거나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일부가 상기 흡입구를 마주보지 않는 제2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무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바디는 상기 흡입구의 공기 흡입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은,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정화유닛은 상기 흡입구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단수개인 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제1모드 보다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적고, 상기 제2모드 보다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많은 제3위치로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3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은 제1정화유닛과; 상기 제1정화유닛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정화유닛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2정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은 상기 제2정화유닛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정화유닛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3정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토출구를 향해 송풍되는 공기를 청정시키고 공기 유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정화유닛과;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을 위치시키거나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일부가 상기 토출구를 마주보지 않는 제2위치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을 위치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을 모두 지지하는 공용 지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를 공조시키는 운전 모드별로 공기가 정화유닛을 통과하는 개수를 가변할 수 있어, 각 운전 모드별 최적의 운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공기가 통과하는 정화유닛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청정이 중요하지 않는 모드일 때,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제3흡입구로 흡입되어 정화유닛을 통과하지 않고 열교환기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정화유닛에 의한 흡입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횡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3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무빙 바디 및 무빙기구가 도시된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3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횡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제1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바디(10)와; 제1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20)와; 정화유닛(30)과; 정화유닛(30)이 설치되고 무빙 가능하게 배치된 무빙바디(40)를 포함한다.
흡입바디(10)는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를 포함할 수 있고, 흡입바디(10)는 케이스(3)의 일부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4)(6)가 형성된 토출바디(5)(7)를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5)(7)는 흡입바디(10)와 같이, 케이스(3)의 일부 구성이 되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3)와 별도로 구성되어 케이스(3)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20)는 케이스(3)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바디(10)를 통해 케이스(3)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공기-냉매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적어도 일부가 제1흡입구(2)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고, 제1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한 후 공기토출구(4)(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한기(20)는 제1흡입구(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흡입구(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20)를 통과시키는 송풍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22)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토출구(4)(6)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22)는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2)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열교환기(20)와 공기토출구(4)(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1흡입구(2)와 열교환기(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송풍기(22)는 열교환기(20)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2)는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정화유닛(30)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되는 필터일 수 있다. 정화유닛(30)은 비교적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나, 탈취나 항균 기능을 주로 갖는 탈취필터나, 공기 중의 먼지 입자를 대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나, 미세 입자를 거르는 고성능 필터인 헤파 필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정화유닛(30)은 무빙바디(40)에 설치되어 무빙바디(40)와 함께 무빙될 수 있고, 정화유닛(30)은 그 위치가 가변되는 위치 가변 정화유닛이 될 수 있다. 정화유닛(30)은 무빙바디(40)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은 무빙바디(40)와 함께 무빙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은 그 종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무빙바디(40)에 3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이 설치될 경우, 공기조화기는 3개의 필터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제1정화유닛(30A)과, 제2정화유닛(30B)과, 제3정화유닛(30C)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바디(40)에는 비교적 큰 먼지를 거를 수 있는 제1정화유닛(30A)과, 탈취나 항균 등의 특수 기능을 갖는 제2정화유닛(30B)과, 제1정화유닛(30A)나 제2정화유닛(30B)에서 걸러지지 못한 작은 먼지를 거를 수 있는 제3정화유닛(3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정화유닛(30A)는 비교적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정화유닛(30B)는 탈취나 항균 기능을 주로 갖는 탈취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정화유닛(30C)은 전기집진필터나 헤파필터일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정화유닛(30)을 마주보는 제2흡입구(42)가 형성되며, 정화유닛(30)과 제1흡입구(2)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3흡입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42)는 정화유닛(3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구일 수 있다. 제2흡입구(42)는 정화유닛 전용 흡입구일 수 있다. 제2흡입구(42)로 흡입된 공기는 정화유닛(30)을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공기가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고 제1흡입구(2)로 흡입되게 형성된 흡입구일 수 있다. 제3흡입구(44)로 흡입된 공기는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고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비정화 흡입구일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공기가 정화유닛(30)을 바이패스하여 제1흡입구(2)로 흡입되는 정화유닛 바이패스 흡입구일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제2흡입구(42)와 연속되지 않고, 제2흡입구(42)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개폐되는 흡입구일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공기청정기능이 중요한 모드일 경우 폐쇄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는 정화유닛(30)을 통과한 후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공기청정기능이 중요하지 모드일 경우, 개방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는 적어도 일부가 제3흡입구(44)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2흡입구(42)와 제3흡입구(44)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제1흡입구(2)와 제2흡입구(42)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흡입구(42)가 무빙 바디(40)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경우, 제3흡입구(44)는 무빙 바디(40)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로 흡입되는 공기는 제1흡입구(2)와 정화유닛(30) 사이의 공간(S)으로 흡입될 수 있고, 공간(S)에서 제1흡입구(2)로 유동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42)와 제1흡입구(2) 사이의 거리(L)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적어도 일부가 제1흡입구(2)로 삽입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1흡입구(2)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1흡입구(2)를 개폐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1흡입구(2)를 향해 전진되어 제1흡입구(2)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흡입구(2)의 반대 방향으로 후퇴되어 제1흡입구(2)를 개방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42)가 개방 형성된 제2흡입구 형성부을 포함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 형성부에 연결되고 흡입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 형성부와 연결부 이외에 제3흡입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연결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연결부의 사이에 제3흡입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구(2)는 흡입바디(10)의 배면측에 형성된 리어 고정 흡입구일 수 있다. 제1흡입구(2)는 흡입바디(10)의 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42)는 무빙바디(40)에 배면측에 형성된 리어 무빙 흡입구일 수 있다. 제2흡입구(42)는 무빙바디(40)의 리어 바디(46)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무빙바디(40)의 측면과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무빙 흡입구일 수 있다. 제3흡입구(44)는 무빙바디(40)의 측판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거나, 무빙바디(40)의 어퍼 바디(47)와 로어 바디(48)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리어 바디(46)를 포함할 수 있고, 어퍼 바디(47)와 로어 바디(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어퍼 바디(47)와 로어 바디(48)는 제1흡입구(2)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일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어퍼 바디(47)와 로어 바디(48) 사이에 제3흡입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리어 바디(46)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판(미도시)과 우측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리어 바디(46)는 제2흡입구(42)가 형성된 제2흡입구 형성부일 수 있고, 좌측판과 우측판은 적어도 일부가 제1흡입구(2)로 삽입될 수 있는 연결부일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제3흡입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3흡입구(44)가 은닉되는 제1위치(P1)로 무빙되거나 제3흡입구(44)가 개방되는 제2위치(P2)로 무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는 무빙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제3흡입구(44)가 은닉되는 제1위치(P1)로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거나 제3흡입구(44)가 개방되는 제2위치(P2)로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킬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제2흡입구(42)가 제1흡입구(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무빙바디(40)를 전진시키는 제1모드와, 제2흡입구(42)가 제1흡입구(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무빙바디(40)를 후퇴시키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1모드는 제3흡입구(44)가 케이스(3)의 내부로 이동되어 제3흡입구(44)가 은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모드는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 모두가 정화유닛(30)을 통과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1모드는 제2흡입구(42)가 제1흡입구(2)를 향해 전전되어 제1흡입구(2)에 위치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모드는 제3흡입구(44)가 케이스(3)의 외부로 이동되어 제3흡입구(44)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모드는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제2모드는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제3흡입구(44)를 통과하는 모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모드시, 제2흡입구(42)를 폐쇄하여 공기가 제3흡입구(44)만을 통해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제2흡입구(42)를 개폐할 수 있는 제2흡입구 개폐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모드시 공기가 제2흡입구(42)와 제3흡입구(44)로 분산되어 공기조화기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모드시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일부가 제2흡입구(42)와 정화유닛(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흡입구(2)로 흡입되고,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 중 나머지가 제3흡입구(44)와, 제1흡입구(42)와 정화유닛(30)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흡입구(2)로 흡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모드시 제2흡입구(42)와 정화유닛(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와, 제3흡입구(44)를 통과한 공기는 제1흡입구(2)와 정화유닛(30) 사이의 공간(S)에서 합쳐질 수 있고, 제1흡입구(2)로 함께 흡입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구동원(52)과, 구동원(52)의 구동력을 무빙바디(40)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54)(5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원(52)은 흡입바디(10)와 무빙바디(40) 중 하나에 설치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52)(54)는 모터에 설치된 제1기어(54)와, 제1기어(54)와 치합된 제2기어(5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모터가 흡입바디(10)에 설치되고, 제1기어(54)가 모터에 치합된 피니언일 수 있으며, 제2기어(56)가 피니언이 치합되고 무빙바디(40)에 무빙바디(40)의 무빙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기구(50)는 모터가 무빙바디(40)에 설치되고, 제1기어(54)가 모터에 치합된 피니언일 수 있으며, 제2기어(56)가 피니언이 치합되고 흡입바디(10)에 무빙바디(40)의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는 상기와 같은 기어 방식 이외에 벨트 방식 등의 타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공기조화기는 제3흡입구(44)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이너 정화유닛(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흡입구(44)가 개방인 모드로 공기조화기가 운전될 경우, 제1흡입구(2)에는 무빙바디(40)에 설치된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는 먼지가 유입될 수 있고, 이너 정화유닛(58)은 무빙바디(40)에 설치된 정화유닛(30)에 의해 정화되지 못한 공기 중의 먼지가 거를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필터의 여러 종류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프리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무빙바디(40)의 모드별 위치와 무관하게 케이스(3)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흡입바디(1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무빙바디(40) 중 케이스(3)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너 정화유닛(58)은 정화유닛(30)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고, 이너 정화유닛(58)과 정화유닛(30)의 사이에는 제3흡입구(44)로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제3흡입구(33)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너 정화유닛(58)은 정화유닛(30)과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정화유닛(58)은 제3흡입구(33)에 위치될 경우, 무빙바디(40)의 측면에 위치되는 사이드 정화유닛일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이너 정화유닛(58)과 함께 또는 이너 정화유닛(58)과 별도로 제3흡입구(44)에 제3흡입구 그릴(미도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공기조화기는 제1모드시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모든 정화유닛(30)(58)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제2모드시 공기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일부 정화유닛(58)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제1모드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제2모드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무빙바디(40)가 무빙되는 위치에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1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공기조화기는 파워모드와 공기청정모드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부(60)와; 입력부(60)의 입력에 따라 무빙기구(5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파워모드와 공기청정모드 이외에 다양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는 케이스(3)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컨트롤 패널로 구성되거나, 공기조화기와 이격되어 공기조화기를 원격조작하는 원격 조작기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는 음성인식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파워모드는 송풍모드가 강풍 모드이거나 강풍 모드 보다 센 파워풍 모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 등과 같이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모드시, 송풍기(22)가 파워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파워모드는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이나 제상운전 등의 운전에서, 고풍량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는 냉매가 공기를 열교환시키지 않고, 공기청정을 주목적으로 하는 모드일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는 냉방운전이나 난방운전이나 제습운전이 실시되지 않고, 단독으로 공기를 청정시키는 단독 공기정정모드일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시 송풍기(22)는 구동될 수 있고, 실내열교환기(20)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는 구동되지 않고 정지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공기청정모드가 입력되면 무빙바디(40)를 제1위치(P1)로 무빙시키는 제1모드로 무빙기구(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무빙바디(40)를 제1위치(P1)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송풍기(22)를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파워모드가 입력되면 무빙바디(40)를 제2위치(P2)로 무빙시키는 제2모드로 무빙기구(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무빙바디(40)를 제2위치(P2)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송풍기(22)를 구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시, 제어부(70)는 무빙기구(50)를 제1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제1모드시 무빙바디(40)의 제2흡입구(42)가 제1흡입구(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무빙바디(40)를 이동시킬 수 있고, 무빙바디(40)는 제3흡입구(44)가 흡입바디(10)의 내부에 위치되어 은닉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42)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제2흡입구(42)와 제3흡입구(44) 중 제3흡입구(44)로 흡입되지 않고 제2흡입구(42)로 흡입될 수 있다.
송풍기(22)의 구동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제2흡입구(42)를 향해 유동되어 제2흡입구(42)를 통과할 수 있고, 정화유닛(30)을 통과할 수 있다. 정화유닛(30)을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20)를 열교환 없이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22)에 의해 공기토출구(4)(6)로 송풍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4)(6)를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시,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는 정화유닛(30)에 의해 최대한 정화된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파워모드시, 제어부(70)는 무빙기구(50)를 제2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제2흡입구(42)가 제1흡입구(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무빙바디(40)를 이동시킬 수 있고, 무빙바디(40)는 제3흡입구(44)가 흡입바디(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3흡입구(44)는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제2흡입구(42)와 제3흡입구(44) 모두가 공기조화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고,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제2흡입구(42)와 제3흡입구(44)의 각각으로 흡입될 수 있다.
송풍기(22)의 구동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제2흡입구(42)를 향해 유동되어 제2흡입구(42)를 통과할 수 있고, 제3흡입구(44)를 향해 유동되어 제3흡입구(44)를 통과할 수 있다. 제2흡입구(42)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유닛(30)을 통과한 제1흡입구(2)와 정화유닛(30) 사이의 공간(S)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3흡입구(44)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고 제1흡입구(2)와 정화유닛(30) 사이의 공간(S)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흡입구(42)와 정화유닛(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정화된 공기는 제3흡입구(44)를 통과한 공기와 공간(S)에서 합쳐질 수 있고, 제1흡입구(2)를 통과할 수 있다. 제1흡입구(2)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기(22)에 의해 공기토출구(4)(6)로 송풍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4)(6)을 통해 공기조화기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시, 공기조화기는 제3흡입구(44)로 흡입되는 공기가 정화유닛(30)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정화유닛(30)에 의한 흡입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가 제3모드일 때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2실시예의 무빙 바디및 무빙기구가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는 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바디(10)와; 흡입구(2')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20)와;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과;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이 설치된 무빙바디(40')와,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는 무빙기구(50')를 포함할 수 있고, 무빙기구(50')는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모두가 흡입구(2')와 마주보는 제1위치(P1')로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거나 복수개 정화유닛 일부가 흡입구(2')를 마주보지 않는 제2위치(P2')로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킬 수 있다.
흡입구(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흡입구(2)와 기능이 동일할 수 있고, 흡입바디(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은 서로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정화유닛(30C')은 흡입구(2')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은 제1정화유닛(30A')과, 제1정화유닛(30A')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1정화유닛(30A')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2정화유닛(30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은 제2정화유닛(30B')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2정화유닛(30B')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3정화유닛(3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정화유닛(30A')은 비교적 큰 먼지를 거를 수 있는 정화유닛일 수 있고, 프리필터일 수 있다.
제2정화유닛(30B')은 탈취나 항균 등의 특수 기능을 갖는 정화유닛일 수 있고, 탈취필터일 수 있다.
제3정화유닛(30C')은 제1정화유닛(31)나 제2정화유닛(32)에서 걸러지지 못한 작은 먼지를 거를 수 있는 정화유닛일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나 헤파필터일 수 있다.
무빙바디(40)는 흡입구(2')의 공기 흡입 방향(X)과 직교한 방향(Y)으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모두가 흡입구(2')와 마주보는 제1위치(P1')로 무빙바디(50)를 무빙시키는 제1모드를 갖을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흡입구(2)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단수개인 위치(P2')로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제1모드 보다 흡입구(2')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적고, 제2모드 보다 흡입구(2')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많은 제3위치(P2')로 무빙바디(50')를 무빙시키는 제3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공기청정모드시, 무빙기구(50')가 제1모드로 구동될 수 있고, 파워모드시, 무빙기구(50')가 제2모드 또는 제3모드로 구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무빙기구(50')가 제2모드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파워모드와 공기청정모드 이외의 제3운전모드시 무빙기구(50')가 제3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운전모드는 파워모드가 아니고 공기청정모드도 아닌 타 운전모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비파워 냉방운전이나 절전운전 등일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구동원(52)과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54)(5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기구(50')는 무빙바디(40')를 무빙시키는 방향만 본 발명 제1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고, 무빙 방식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1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2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가 제3모드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3실시예의 주요부 구성이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6")가 형성된 케이스(3")과; 토출구(6")를 향해 송풍되는 공기를 청정시키고 공기 유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와;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모두가 토출구(6")와 마주보는 제1모드로 복수개 정화유닛을 위치시키거나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일부가 토출구를 마주보지 않는 제2모드로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을 위치시키는 회전기구(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는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 토출구(6")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토출구(6")가 형성된 토출바디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고 케이스(3")의 일부 구성이 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나의 케이스(3")에 흡입구와 토출구(6")가 함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3")는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공기를 흡입구로 흡입하여 케이스(3") 내부를 통과시킨 후 토출구(6")로 송풍하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송풍기는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는 하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는 축류팬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송풍기는 하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케이스(3") 내둘레면으로 송풍하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케이스(3")의 내둘레면으로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3")의 내둘레면에 안내되어 상측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같이 열교환기(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열교환기(20) 대신에 공기를 가습할 수 있는 가습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는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3') 내부의 위치에 따라 공기의 통과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와 같이, 그 기능이 상이한 정화유닛이 함께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기구(50")는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 모두가 토출구(6")와 마주보게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을 위치시키는 제1모드를 갖을 수 있다. 회전기구(50")는 토출구(6")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단수개가 되게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을 위치시키는 제2모드를 갖을 수 있다.
회전기구(50")는 제1모드 보다 토출구(6)와 마주보는 정화유닛(30A")(30B")(30C")의 개수가 더 적고, 제2모드 보다 토출구(6")와 마주보는 정화유닛(30A")(30B")(30C")의 개수가 더 많은 제3위치로 복수개 정화유닛(30A")(30B")(30C")을 위치시키는 제3모드를 더 갖을 수 있다.
회전기구(50")는 공기 유동방향으로 공기토출구(6")와 가장 먼 제1정화유닛(30A")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50A")와, 공기 유동방향으로 제1정화유닛(30A") 이후에 위치하는 제2정화유닛(30B")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50B")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제2정화유닛(30B") 이후에 위치하는 제3정화유닛(30C")을 회전시키는 제3회전기구(50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기구(50")는 제1,2,3 회전기구(50A")(50B")(50C")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할 수 있고, 제1정화유닛(30A")과 제2회전기구(50B") 및 제3정화유닛(50C")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50A")는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된 제1구동원(52A")와, 제1구동원(52A")의 구동력을 제1정화유닛(30A")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54A")(5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기구(50B")는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된 제2구동원(52B")와, 제2구동원(52B")의 구동력을 제2정화유닛(30B")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54B")(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회전기구(50C")는 케이스(3") 내부에 설치된 제3구동원(52C")와, 제3구동원(52C")의 구동력을 제3정화유닛(30C")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54C")(5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3 회전기구(50A")(50B")(50C") 각각의 구동원은 회전축을 갖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제1,2,3 회전기구(50A")(50B")(50C") 각각의 동력전달부재는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기어와, 정화유닛(30A")(30B")(30C")의 각각에 형성된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을 모두 지지하는 공용 지지축(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정화유닛(30A")(30B")(30C")의 각각에는 공용 지지축(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축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 제1흡입구 3: 케이스
10: 흡입바디 20: 열교환기
22: 송풍기 30: 정화유닛
30A: 제1정화유닛 30B: 제2정화유닛
30C: 제3정화유닛 40: 무빙바디
50: 무빙기구

Claims (16)

  1. 제1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제1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정화유닛과;
    상기 정화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유닛을 마주보는 제2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정화유닛과 제1흡입구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3흡입구가 형성된 무빙바디와;
    상기 무빙바디를 상기 제3흡입구가 은닉되는 제1위치로 무빙시키거나 상기 제3흡입구가 개방되는 제2위치로 무빙시키는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구와 제3흡입구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흡입구는 상기 제1흡입구와 제2흡입구 사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바디는 상기 제2흡입구와 제1흡입구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제2흡입구가 상기 제1흡입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무빙바디를 전진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제2흡입구가 상기 제1흡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무빙바디를 후퇴시키는 제2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파워모드와 공기청정모드가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무빙바디를 제1위치로 무빙시키는 제1모드로 상기 무빙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파워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무빙바디를 제2위치로 무빙시키는 제2모드로 상기 무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바디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와;
    복수개 정화유닛과;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이 설치된 무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거나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일부가 상기 흡입구를 마주보지 않는 제2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무빙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바디는 상기 흡입구의 공기 흡입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은 서로 크기가 상이한 공기조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정화유닛은 상기 흡입구 보다 크기가 큰 공기조화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1모드와,
    상기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단수개인 위치로 상기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2모드를 갖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기구는 상기 제1모드 보다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적고, 상기 제2모드 보다 흡입구와 마주보는 정화유닛의 개수가 더 많은 제3위치로 무빙바디를 무빙시키는 제3모드를 더 갖는 공기조화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은
    제1정화유닛과,
    상기 제1정화유닛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정화유닛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2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은
    상기 제2정화유닛 보다 크기가 작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정화유닛의 이후에 위치하는 제3정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토출구를 향해 송풍되는 공기를 청정시키고 공기 유동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정화유닛과;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모두가 상기 토출구와 마주보는 제1위치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을 위치시키거나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 일부가 상기 토출구를 마주보지 않는 제2위치로 상기 복수개 정화유닛을 위치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정화유닛을 모두 지지하는 공용 지지축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107192A 2014-08-18 2014-08-18 공기조화기 KR20160021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192A KR20160021641A (ko) 2014-08-18 2014-08-18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192A KR20160021641A (ko) 2014-08-18 2014-08-18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641A true KR20160021641A (ko) 2016-02-26

Family

ID=5544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192A KR20160021641A (ko) 2014-08-18 2014-08-18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16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0587A (ja) * 2017-09-01 2019-04-18 山東栄安電子科技有限公司Shandong Rongan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環境制御装置
CN111442411A (zh) * 2020-03-25 2020-07-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其除尘模块的清洁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01B1 (ko) 2007-01-25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01B1 (ko) 2007-01-25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0587A (ja) * 2017-09-01 2019-04-18 山東栄安電子科技有限公司Shandong Rongan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環境制御装置
CN111442411A (zh) * 2020-03-25 2020-07-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其除尘模块的清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5501A1 (zh)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空调器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JP6272489B2 (ja) 除湿機
JP2016183794A (ja) 空気調和機
CN213713289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20160021641A (ko) 공기조화기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KR100737448B1 (ko) 공기조화기
JP4198650B2 (ja) 空気調和機
JP7054814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84473A (ko) 공기조화기
KR101460716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059131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6078159A (ja) 空気調和機
KR100606268B1 (ko) 에어콘의 수납형 공기청정장치
CN100455910C (zh) 空调器的室内机
KR101306127B1 (ko) 공기조화기
CN101089487B (zh) 具有防尘隔板的立式空调器
KR20090022103A (ko) 공기조화기
KR1006882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06078160A (ja) 空気調和機
CN100441962C (zh) 空调器的室内机
KR1013452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