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668B1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668B1
KR101199668B1 KR1020050100426A KR20050100426A KR101199668B1 KR 101199668 B1 KR101199668 B1 KR 101199668B1 KR 1020050100426 A KR1020050100426 A KR 1020050100426A KR 20050100426 A KR20050100426 A KR 20050100426A KR 101199668 B1 KR101199668 B1 KR 10119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ction panel
suction
protrusion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299A (ko
Inventor
조형근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6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패널의 회동시에 여러 각도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며, 흡입패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는, 실내기(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일측에 전면흡입통로(155)가 성형되어 실내 공기가 관통되도록 안내하는 흡입패널(150)과; 상기 흡입패널(150)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면이 차폐되고,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는 전면패널(130)과;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흡입패널(150) 회동시에 서로 다수 곳을 간섭하여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패널결합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결합수단(200)은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의 탈거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의하면 필터의 청소 수행이 용이하며,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흡입패널, 패널결합수단, 탄성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Inlet-panel open and shut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흡입패널의 개폐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 후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전면패널의 후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이 차폐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 널이 소정 각도로 개방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의 완전 개방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패널결합수단에 의해 흡입패널의 회동이 간섭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메인샤시
112. 고정브라켓 114. 고정단
118. 전장부 130. 전면패널
130'. 상면흡입그릴 132. 디스플레이창
134. 필터프레임 136. 흡입구
138. 토출구 139. 컨트롤러커버
139'. 커버삽입구 150. 흡입패널
155. 전면흡입통로 160. 고성능필터
170. 열교환기 172. 횡류팬
174. 팬모터 176. 모터커버
180. 토출그릴 182. 토출유로
184. 베인 186. 루버
188. 보조베인 200. 패널결합수단
220. 흡입패널결합부 222. 몸체
224. 차폐돌기 226. 개방돌기
228. 완충돌기 229. 이탈방지돌기
229'. 경사면 240. 전면패널결합부
242. 삽입안내홀 244. 회동안내편
244'. 차폐유지홈 246. 완충편
248. 돌기간섭편 F . 필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패널의 회동시에 여러 각도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 가능하며, 흡입패널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 다. 특히 최근에는 소음과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메인샤시(1)에 의해서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샤시(1)의 전면에는 전면패널(3)이 장착되어 실내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3)이 장착되는 메인샤시(1)는 실내의 벽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패널(3)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패널(3)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3)의 전방에는 전면흡입그릴(5)이 형성된 흡입패널(7)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7)은 전면패널(3)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면패널(3)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9')의 청소는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흡입그릴(5)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흡입패널(7)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3)의 상면에도 좌우로 길게 상면흡입그릴(3')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상면흡입그릴(3')은 상기 전면패널(3)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분리 구비된 다.
상기 전면패널(3)의 후방에는 열교환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9)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의 후방에는 횡류팬(10)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메인샤시(1)의 내측에 일체로 더 형성된다.
상기 횡류팬(10)의 좌측에는 고정브라켓(8)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8)은 횡류팬(10)의 좌측단을 지지하여 횡류팬(1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되며,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9)의 좌측단부가 비스듬하게 삽입되어 고정브라켓(8)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의 우측단부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고정단(8')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단(8')은 메인샤시(1)의 우측에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시(1)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성형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패널 (3)의 하단에는 토출그릴(11)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11)의 내부에는 상기 횡류팬(10)을 거쳐나온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미도시)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5)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6)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1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6)는 링크(17)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3)의 하단부 대략 중앙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흡입패널의 개폐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흡입패널의 개폐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패널(7)은 전면패널(3)의 상부 일측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것은 상기 필터(9')를 청소하고자 할 때 필터(9') 전방을 개방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7)의 내면 하측에는 힌지편(20)이 돌출 성형된다. 상기 힌지편(20)은 흡입패널(7)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패널(7)의 회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편(20)의 좌측면에 돌출 성형된 힌지돌기(22)에 의해서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돌기(22)는 회동이 용이하도록 원기둥모양을 가지며 상기 힌지편(20)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돌기(22)는 흡입패널(7)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편(20)과 일체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3)의 전면 상부에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힌지편(22)이 삽입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안내부(3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안내부(30)의 좌측 벽면에는 상기 힌지돌기(22)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힌지돌기(22)가 삽입되는 삽입안내홀(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편(22)이 회동안내부(30)에 삽입된 후에 상기 힌지돌기(22)가 삽입안내홀(32)에 삽입되면, 상기 흡입패널(7)은 힌지돌기(2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안내부(30)는 힌지편(20)의 두께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흡입패널(7)을 전면패널(3)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상기 힌지편(20)을 회동안내부(3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힌지편(20)의 좌측면은 흡입패널(7)을 전면패널(3)에 장착하고자 할 때 상기 회동안내부(30)의 좌측벽면과 동일한 수평면상에 놓이며, 상기 힌지돌기(22)를 삽입안내홀(32)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힌지편(20)을 오른쪽으로 벌려서 탄성력이 발생된 상태로 상기 회동안내부(30)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돌기(22)가 삽입안내홀(32)에 삽입되면 상기 힌지편(22)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상으로 회복되어 상기 삽입안내홀(32)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삽입안내홀(32)의 이격된 전방,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동안내부의 좌우측 벽면에는 간섭돌기(34)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간섭돌기(34)는 상기 흡입패널(7)이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힌지편(20)의 상면(도 2에서 볼 때)을 간섭하게 된다.
즉, 상기 한쌍의 간섭돌기(34)는 회동안내부(30) 내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며, 서로 이격된 거리가 상기 힌지편(20)의 폭보다 조금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돌기(22)가 삽입안내홀(32)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편(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힌지편(20)의 전면 좌우측 모서리는 상기 한쌍의 회동안내부(34)에 각각 간섭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7)은 전면패널(3)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패널(7)이 개방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강하게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편(20)의 좌우측면은 상기 간섭돌기(34)의 마주보는 면과 마찰된 후에 간섭이 해지되어 상기 흡입패널(7)은 전면패널(3) 전방을 차폐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7)을 개방 또는 차폐하게 되면 상기 간섭돌기와 힌지편은 서로 마찰력을 발생시켜 점차적으로 마모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7)의 개폐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힌지편(20)은 두께가 감소하게 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9')를 전면패널(3)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를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흡입패널(7)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패널(7)은 간섭돌기 (34)와 힌지편(20)을 간섭시킴으로써 고정되는 단일의 개방각도로만 정지된다.
따라서, 필터 청소 수행시에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간섭돌기(34)와 힌지편(20)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힌지돌기(22)가 삽입안내홀(32)에서 빠져나와 상기 흡입패널(7)이 탈거됨으로써 안전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패널을 들어올렸을 때 전면패널 일측과 다수회 간섭되도록 하여 흡입패널이 여러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패널이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흡입패널의 탈거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패널 개폐구조는,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일측에 전면흡입통로가 성형되어 실내 공기가 관통되도록 안내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면이 차폐되고,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흡입패널과 전면패널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흡입패널 회동시에 서로 다수 곳을 간섭하여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패널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결합수단은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흡입패널의 탈거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결합수단은, 상기 흡입패널 후면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면패널 일측을 관통하고, 관통된 후에는 탄성 복원되어 상기 흡입패널의 이탈을 규제하는 흡입패널결합부와; 상기 전면패널 후면 일측에서 돌출 성형되고 상기 흡입패널결합부의 다수곳을 간섭하여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전면패널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는 차폐돌기와 개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편은 회동안내편과 돌기간섭편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패널이 제 1 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차폐돌기가 상기 회동안내편과 접촉하고, 상기 흡입패널이 제 2 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개방돌기가 상기 돌기간섭편과 접촉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패널결합부는, 라운드지게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면패널결합부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 전면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차폐돌기와, 상기 몸체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방돌기와, 상기 몸체 하면 일측에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면패널결합부 일측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기 흡입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돌기와, 상기 몸체 측면 일측에 상기 개방돌기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결합부는, 상기 전면패널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흡입패널결합부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홀과, 상기 삽입안내홀의 상측에 하면이 라운드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흡입패널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편과, 상기 삽입안내홀의 하단부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돌기에 탄성을 전달하는 완충편과, 상기 삽입안내홀의 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방돌기 및 이탈방지돌기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돌기간섭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안내편의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어 상기 차폐돌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유지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측면이 상기 돌기간섭편과 접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의하면, 필터의 청소 수행이 용이하고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메인샤시(110)와 전면패널(130) 그리고 흡입패널(15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패널(150)은 전면패널(130)의 전면을 차폐시에 하단부가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흡입패널(150)의 하단부는 좌우측단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 사이에 형성된 틈은 전면흡입 통로(155)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0)는 실내 공기를 상측으로도 흡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130)의 상면에는 상면흡입그릴(130')이 형성되어, 공기조화 공간 상측의 공기를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한다.
상기 전면패널(130)의 전면 하측에는 디스플레이창(132)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32)은 실내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isplay)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32)의 하측에는 좌우로 길게 천공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38)가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시(110)는 실내기(100)의 근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함몰되어 있으며, 그 배면은 실내 즉,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벽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전술한 메인샤시(110)와 전면패널(130)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110)와 전면패널(13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기(100)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메인샤시(110)의 좌측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70) 및 횡류팬(172)의 좌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는 열교환기(170)와 횡류팬(172)의 우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단(11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의 전방에는 흡입구(13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36)는 상기 전면흡입통로(155)를 지나온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필터프레임(134)이 좌우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34)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성능필터(16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36)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가로지르는 중앙분리대(P)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앙분리대(P)의 좌우에 필터프레임(13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34)에는 고성능필터(160)가 장착된다. 상기 고성능필터(160)는 단일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연기나 각종 냄새 등을 탈취하는 암모니아 탈취필터(162)나,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164) 및 휘발성 유기물의 냄새를 탈취하는 톨루엔(VOC) 탈취필터(166)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130)과 흡입패널(150) 사이에는 필터(F)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필터(F)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36)를 전 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필터(F)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면패널(130)의 전면은 물론 후면의 상단부에 이르는 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의 후방에는 열교환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흡입구(136)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F)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70)의 후방에는 횡류팬(172)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72)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횡류팬(172)은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3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138)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상기 횡류팬(172)의 우측에는 횡류팬(172)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74)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174)는 모터커버(176)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메인샤시(110)의 내부 우측에 장착되며, 상기 팬모터(174)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횡류팬(172) 역시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샤시(110)의 내부 벽면은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횡류팬(17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샤시(110)의 우측 내부공간 즉, 전장부(118)에는 컨트롤러조 립체(19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는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으로서 실내기(100) 및 실외기(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피씨비(PCB,192)와, 상기 피씨비(192)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192)가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는 케이스(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피씨비(192)가 전장부(118)에 삽입된 후에 상기 케이스(194)가 장착되면, 상기 피씨비(192)는 케이스(194)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전면패널(130)의 하단부 내측에는 토출그릴(18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에는 실내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18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에는 상기 토출유로(18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84)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8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루버(18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86)는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의 우측단에는 상기 베인(184)과 더불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보조베인(188)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베인(188)의 일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보조베인(188)의 회동을 강제하는 모터(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베인(188)의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30)의 우측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트롤러조립 체(190)의 이격된 전방에는 컨트롤러커버(139)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커버(139)는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패널(130) 우측에 천공 성형된 커버삽입구(139')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에 고장이 발생되어 서비스가 필요시에는 상기 컨트롤러커버(139)를 커버삽입구(139')로부터 분리하여 컨트롤러조립체(190) 전방을 개구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의 후면에는 본 발명의 요부를 구성하는 패널결합수단(200)이 구비된다. 상기 패널결합수단(200)은 탄성력에 의한 원상 복귀에 의해서 상기 흡입패널(150)의 탈거를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패널(150) 및 전면패널(130)에 각각 한쌍씩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패널결합수단(200)은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 후면 좌우측에서 각각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 성형되며, 상기 흡입패널(150) 회동시에 서로 다수 곳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흡입패널결합부(220)와, 전면패널결합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와 전면패널결합부(24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의 후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전면패널(130)의 후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흡입패널(150) 후면 상부의 좌우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안내홀(242)을 관통한 후에는 상기 흡입패널(150)의 회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삽입안내홀(242)에 삽입시에 일측이 간섭되어 탄성력이 발생되며, 삽입안내홀(242)을 관통한 후에는 탄성 복원되어 상기 흡입패널(150) 전면패널(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라운드지게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222)와, 상기 몸체(222) 후면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 전면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차폐돌기(224)와, 상기 몸체(222)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방돌기(226)와, 상기 몸체(222)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 일측에 의해서 탄성지지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돌기(228)와, 상기 몸체(222) 우측면 상부에 상기 개방돌기(226)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2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22)는 상/하면이 동심원을 이루며 하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상기 흡입패널(150)은 몸체(222)가 전면패널결합부(240)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몸체(222)의 상면은 흡입패널(150)의 회전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몸체(222)의 후면 상단에는 상기한 차폐돌기(224)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차폐돌기(224)는 전면패널(130)의 전면이 흡입패널(150)에 의해서 차폐된 상태에서 외부충격에 의해 흡입패널(150)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유지홈(244')에 삽입되어 간섭된다.
즉, 상기 차폐돌기(224)는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근접한 때(차폐된 때)에는 차폐유지홈(244')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흡입패널(150)이 개방되면 상기 차폐돌기(224)는 차폐유지홈(244')으로부터 이탈되어 간섭이 해지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돌기(224)는 차폐유지홈(244') 내부에 삽입될 때 간섭량이 적게 발생되며, 이탈될 때에는 간섭량이 증가하도록 후단부가 상단부보다 급격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폐돌기(224)의 상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차폐유지홈(244')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하단부는 상단부보다는 급격한 경사로 성형됨으로써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차폐돌기(224)가 차폐유지홈(24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에는 우측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개방돌기(226) 돌 출 성형된다. 상기 개방돌기(226)는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에 대하여 일정각도 만큼 개방됐을 때 아래에서 설명할 돌기간섭편(248)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섭된다.
상기 개방돌기(226)는 흡입패널(150)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즉,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에 대하여 일정각도만큼 개방됐을 때 상기 개방돌기(226)의 전면은 돌기간섭편(248)의 선단과 접촉하여 간섭되며, 이러한 간섭에 의해서 상기 흡입패널(15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패널(150)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개방돌기(226)의 라운드진 우측면 후단은 돌기간섭편(248)과 간섭되며, 이때 상기 흡입패널(150)을 강하게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좌측으로 벌어져 상기 개방돌기(226)는 돌기간섭편(248)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돌기(226)와 돌기간섭편(248) 전방으로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어 결국 상기 개방돌기(226)의 라운드진 전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안내홀(242)의 외측 테두리에 의해서 간섭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15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222)의 하면에는 상기 완충돌기(228)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완충돌기(228)는 흡입패널(150)이 상기 개방돌기(226)와 돌기간섭편(248)의 간섭에 의해서 하방향(차폐되는 방향) 회동이 규제될 때 상기 흡입패널(15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완충편(246)과 접촉하도록 하방향 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150)이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돌기(228)는 완충편(246)의 탄성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이러한 탄성 지지에 의해서 상기 개방돌기(226)와 삽입안내홀(242)의 테두리는 강한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돌기(228)는 완충편(246)과의 마찰을 줄이면서 간섭될 수 있도록 전후면이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22)의 측면 상부에는 이탈방지돌기(229)가 돌출 성형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29)는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돌기간섭편(248)의 선단에 의해서 간섭됨으로써 흡입패널(1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방돌기(226)와 돌기간섭편(248)의 간섭이 해지되면 돌기간섭편(248) 선단은 상기 이탈방지돌기(229)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흡입패널(150)의 회동 및 이탈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29)의 전면에는 경사면(229')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9')은 흡입패널결합부(220)를 전면패널결합부(240)에 결합시킬 때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를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안내홀(242)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경사면(229')은 삽입안내홀(242)의 외측 테두리에 의해서 간섭되며, 상기 몸체(222)는 우측 측면 중에서 차폐돌기(22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방향)으로 벌어져 탄성력이 발생된 상태로 삽입안내홀(242)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29)가 돌기간섭편(248)을 지나게 되면 상기 몸체(22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29)의 후면은 상기 돌기간섭편(248)의 전면에 의해서 간섭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의 이탈을 규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와 전면패널결합부(240)에 형성되는 다수의 편이 접촉하는 부분이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형성하는 각도를 제 1 각도라 한다. 상기 제 1 각도에서는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의 차폐돌기(224)와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의 회동안내편(244)이 접촉한다.
또한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고 있을 때,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형성하는 각도를 제 2 각도라 한다. 상기 제 2 각도에서는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의 개방돌기(226)와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의 돌기간섭편(248)이 접촉한다.
또한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흡입패널(150)과 전면패널(130)이 형성하는 각도를 제 3 각도라 한다. 상기 제 3 각도에서는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의 이탈방지돌기(229)와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의 돌기간섭편(248)이 접촉한다.
즉,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는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를 내부에 수용한 후에 다수곳을 간섭하여 상기 흡입패널(150)의 이탈 및 낙하를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는 흡입패널결합부(220)에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돌기(229)와, 개방돌기(226) 및 차폐돌기(224)를 순차적으로 간섭하도록 다수개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패널결합부(240)는 상기 전면패널(130) 일측에 천공되어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홀(242)과,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상측에 하면이 라운드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의 회동을 안내하는 회동안내편(244)과,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하단부에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완충돌기(228)에 탄성을 전달하는 완충편(246)과,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방돌기(226) 및 이탈방지돌기(229)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돌기간섭편(2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안내홀(242)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으로 천공되며, 상기 몸체 (222)의 종단면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222)가 삽입안내홀(242) 내부로 걸림없이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22)와 동일한 직사각형모양을 가지며, 상기 몸체(222)보다 조금 더 큰 종단면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안내홀(242)은 그 천공된 위치가 상기 흡입패널(150)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에서 좌측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과 삽입안내홀(242)의 우측테두리가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결합부(220)가 삽입안내홀(242)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229)의 경사면(229')은 삽입안내홀(242)의 우측 테두리와 간섭되며, 상기 몸체(222)는 탄성력이 발생된 상태로 좌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돌기(229)가 삽입안내홀(242)을 관통한 후 돌기간섭편(248)을 완전히 지나게 되면 상기 몸체(222)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우측으로 복원되어 몸체(222)의 우측면과 돌기간섭편(248)의 내부벽면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패널(130)의 후면에서 볼 때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상부테두리로부터 상측에는 상기한 회동안내편(244)이 전방(도 6에서 볼 때)으로 돌출 성형된다.
상기 회동안내편(244)은 몸체(222)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안내편(244)의 하면은 상기 몸체(222)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150)을 들어올리게 되면 몸체(222)의 상면은 상기 회동안내편(244)의 하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회동된다.
상기 회동안내편(244)의 선단 즉, 라운드진 하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차폐유지홈(244')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유지홈(244')은 상기 차폐돌기(224)를 내부에 수용하여 흡입패널(15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차폐돌기(22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150)이 전면패널(130) 전면을 완전히 차폐하게 되면 상기 차폐유지홈(244') 내부에는 상기 차폐돌기(224)가 삽입되어 유동이 구속되며, 상기 흡입패널(150)은 사용자가 강제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개방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하단부에는 전방(도 6에서 볼 때)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된 완충편(246)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편(246)은 흡입패널(150)이 개방돌기(226)와 돌기간섭편(248)의 간섭에 의해서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돌기(228)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패널(150)을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다가 힘을 제거하여 상기 개방돌기(226)와 돌기간섭편(248)의 간섭(충격)에 의해 상기 흡입패널(150)의 회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상기 완충편(246)의 상면은 완충돌기(228)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어 상기 완충편(246)을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도 9참조).
따라서, 상기 흡입패널(150)이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돌기(226)에 큰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완충편(246)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좌우측단에는 전술한 돌기간섭편(248)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간섭편(248)은 대략 사각판 모양으로 전방 돌출되며,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개방돌기(226) 및 이탈방지돌기(229)를 선택적으로 간섭하게 된다.
즉,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돌기간섭편(248) 사이에 몸체(222)가 삽입되면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은 한 쌍의 돌기간섭편(248) 중에서 우측에 형성된 내부면과 접촉하게 됨은 전술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222)의 우측면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상기 이탈방지돌기(229) 및 개방돌기(226)는 상기 돌기간섭편(248)의 선단부와 간섭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작동시의 작용을 도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팬모터(174)가 동작하여 회전동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팬모터(174)의 회전동력은 상기 횡류팬(172)에 전달되어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횡류팬(172)이 회전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즉 상기 전면흡입통로(155)와 상면흡입그릴(130')을 통해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F)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에 열교환기(170)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열교환이 일어난다.
상기 열교환기(17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된다. 즉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메인샤시(1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138)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에 많은 이물이 적재되어 청소가 요구될 때 흡입패널(150)을 분해하는 과정을 도 3 및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이 차폐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이 소정 각도로 개방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흡입패널의 완전 개방시에 패널결합수단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서 패널결합수단에 의해 흡입패널의 회동이 간섭된 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3과 같이 상기 전면패널(130) 전면이 흡입패널(150)에 의해서 차폐된 상태(상기 차폐유지홈(244')에 차폐돌기(224)가 삽입되어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패널(150)을 상방향(시계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22)도 동시에 시계방향(도 7에서 볼 때)으로 회동하며, 상기 차폐돌기(224)는 차폐유지홈(244')으로부터 이탈되어 간섭이 해지된다. 상기 차폐돌기(224)가 간섭으로부터 해지됨에 따라 상기 흡입패널(150)은 자연스러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흡입패널(150)을 조금 더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개방돌기(226)의 전면은 도 8과 같이 돌기간섭편(248)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간섭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150)을 상방향으로 강하게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개방돌기(226) 의 라운드진 좌측단부는 돌기간섭편(248)의 우측면을 슬라이딩하여 도 9와 같이 상기 삽입안내홀(242)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흡입패널(150)에 가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흡입패널(15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삽입안내홀(242)의 전면 우측 테두리에 상기 개방돌기(226)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흡입패널(150)은 더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게 된다. 즉,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9참조)
또한, 사용자가 흡입패널(150)을 강하게 회동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완충돌기(228)는 완충편(246)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상기 개방돌기(226)에는 큰 충격이 전달되지 않고 완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흡입패널(150)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전면패널(130)로부터 필터를 분리하여 이물 제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도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패널(150)을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돌기간섭편(248)은 이탈방지돌기(229)의 후면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150)의 이탈은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의하면, 흡입패널결합부와 전면패널결합부가 다수 곳에서 간섭되도록 함으로써 흡입패널이 전면패널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필터를 공기조화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전면패널 전면을 개방시키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기를 형성하여 흡입패널이 견고하게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흡입패널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성 차원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탈방지돌기의 단부에 경사면을 더 형성하고 몸체가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흡입패널 장착시에 흡입패널결합부를 삽입안내홀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장착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의 탄성에 의해서 흡입패널결합부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고, 일측에 전면흡입통로가 성형되어 실내 공기가 관통되도록 안내하는 흡입패널과;
    상기 흡입패널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전면이 차폐되고, 후면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도록 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흡입패널과 전면패널 일측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패널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패널결합수단은,
    상기 흡입패널 후면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면패널 일측을 관통하며, 다수의 돌기가 여러 면에 돌출 형성되는 흡입패널결합부와,
    상기 전면패널 후면 일측에서 돌출 성형되고, 상기 흡입패널결합부의 돌기를 간섭하는 다수의 편이 돌출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에 대하여 여러 각도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전면패널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기는 차폐돌기와 개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편은 회동안내편과 돌기간섭편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패널이 제 1 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차폐돌기가 상기 회동안내편과 접촉하고, 상기 흡입패널이 제 2 각도에 위치할 때, 상기 개방돌기가 상기 돌기간섭편과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결합부는,
    라운드지게 돌출 성형되고 상기 전면패널결합부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몸체의 상부, 측면,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전면패널결합부 일측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상기 흡입패널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돌기와,
    상기 개방돌기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흡입패널이 전면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돌기가 상기 회동안내편과 접촉하면,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전면패널 전면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개방돌기가 상기 돌기간섭편과 접촉하면, 상기 흡입패널이 상기 전면패널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편은,
    상기 완충돌기에 탄성을 전달하는 완충편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안내편의 일측에는 함몰 성형되어 상기 차폐돌기를 선택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흡입패널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유지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이 제 3 각도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돌기간섭편과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20050100426A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119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26A KR101199668B1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26A KR101199668B1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99A KR20070044299A (ko) 2007-04-27
KR101199668B1 true KR101199668B1 (ko) 2012-11-08

Family

ID=3817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26A KR101199668B1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161B1 (ko) * 2008-10-21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596952B1 (ko) * 2008-10-21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EP2347187A4 (en) * 2008-10-21 2017-08-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1717187B1 (ko) * 2012-08-22 2017-03-16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99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45B1 (ko) 공기조화기
KR20150041340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833303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99668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KR20090078477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70921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300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09257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604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러커버 구조
KR10113716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030045442A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개폐장치
KR10110157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36224B1 (ko) 환기시스템의 댐퍼장치
KR20070053548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
KR2006012604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34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루버모터 장착구조
KR2008006278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29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