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4296A -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4296A
KR20070044296A KR1020050100423A KR20050100423A KR20070044296A KR 20070044296 A KR20070044296 A KR 20070044296A KR 1020050100423 A KR1020050100423 A KR 1020050100423A KR 20050100423 A KR20050100423 A KR 20050100423A KR 20070044296 A KR20070044296 A KR 20070044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front grill
grill
suppor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4296A/ko
Publication of KR2007004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그릴에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전면그릴의 상부 일측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는,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에 있어서, 다수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전면그릴(130)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전면그릴(130)의 일측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전면그릴(130)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지지수단(200)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지지수단(200)의 다수곳을 구속하여 상기 지지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에 의하면 전면그릴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처짐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그릴, 처짐방지, 지지수단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Front grill bend prevention structur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외관 구성을 보인 단품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이 전면그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이 전면그릴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이 전면그릴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10. 메인샤시
112. 고정브라켓 114. 고정단
118. 전장부 130. 전면그릴
130'. 상면흡입그릴 130". 상면흡입구
132. 디스플레이창 134. 필터프레임
134'. 필터가이드 136. 흡입구
138. 토출구 139. 컨트롤러커버
139'. 커버삽입구 150. 흡입패널
155. 전면흡입그릴 160. 고성능필터
170. 열교환기 172. 횡류팬
174. 팬모터 176. 모터커버
180. 토출그릴 182. 토출유로
184. 베인 186. 루버
188. 보조베인 200. 지지수단
220. 지지바디 240. 걸림편
260. 지지편 262. 구속공
300. 구속수단 320. 수용부
340. 삽입돌기 F . 필터
P . 중앙분리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그릴에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전면그릴의 상부 일측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면, 여름과 같이 실내가 고온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온도의 바람을 송풍하여 실내를 냉방시키고, 겨울에는 높은 온도의 따뜻한 바람을 송풍하여 난방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전체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이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소음과 공기조화기의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가 널리 사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메인샤시(1)에 의해서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샤시(1)의 전면에는 전면그릴(3)이 장착되어 실내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그릴(3)이 장착되는 메인샤시(1)는 실내의 벽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샤시(1)가 실내의 벽면에 장착되면 상기 실내기는 벽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상태가 되며,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그릴(3)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그릴(3)의 전면에는 전면흡입구(3')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흡입구(3')는 실내기 전방의 공기가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는 상기 전면흡입구(3')를 관통하여 전면그릴(3)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3)의 전방에는 전면흡입그릴(5)이 형성된 흡입패널(7)이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패널(7)은 전면그릴(3)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면그릴(3)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9')의 청소는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흡입그릴(5)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되며, 상기 흡입패널(7)과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는 상면으로도 실내 공기가 유입된다. 즉, 상기 전면그릴(3)의 상면에는 좌우로 길게 상면흡입그릴(4)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흡입그릴(4)은 실내기 상측의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상면흡입그릴(4)의 전면(全面)에는 상면흡입구(4')가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흡입구(4')는 실내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 수개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면그릴(3)의 후방에는 열교환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전면흡입그릴(5)과 상면흡입그릴(4)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9)의 전면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9')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9)의 후방에는 횡류팬(10)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0)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상기 메인샤시(1)의 내측에 일체로 더 형성된다.
상기 횡류팬(10)의 좌측에는 고정브라켓(8)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브라켓(8)은 횡류팬(10)의 좌측단을 지지하여 횡류팬(10)의 회전을 안내하게 되며, 상측에는 상기 열교환기(9)의 좌측단부가 비스듬하게 삽입되어 고정브라켓(8)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10)의 우측에는 횡류팬(10)의 우측단부의 이탈을 차단하기 위한 고정단(8')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단(8')은 메인샤시(1)의 우측에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샤시(1)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도록 성형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0)에 의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샤시(1)와 전면그릴 (3)의 하단에는 토출그릴(11)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그릴(11)의 내부에는 상기 횡류팬(10)을 거쳐나온 공기를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미도시)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5)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6)가 설치된다. 상기 루버(1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6)는 링크(17)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전면그릴(3)의 하단부 대략 중앙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면그릴(3)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전면 및 상면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흡입그릴(4)의 선단부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상하방향의 힘에 대하여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를 운반 및 설치중에 상기 상면흡입그릴(4)에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면흡입그릴(4)의 선단부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외관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상기 상면흡입그릴(4)은 쉽게 파손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만족도 저하를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면흡입그릴의 하면 선단에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면그릴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그릴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면그릴의 파손 및 변형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는,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에 있어서, 다수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전면그릴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전면그릴의 일측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전면그릴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지지수단의 다수곳을 구속하여 상기 지지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구속수단의 일측과 상면이 면접촉하여 접촉된 부위가 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수단 일측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걸림편과, 상기 지지바디의 좌우측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수단은 일부가 상기 지지편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편의 삽입을 안내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일측면에 돌출 성형되고 상기 구속편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편은 전면그릴 상면에 천공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상면흡입구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되어 삽입돌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삽입돌기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 의하면, 전면그릴의 파손 및 변형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메인샤시(110)와 전면그릴(130) 그리고 흡입패널(15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패널(150) 전면에는 전면흡입그릴(155)이 형성되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는 실내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위해 상기 전면흡입그릴(155)은 상기 흡입패널(15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그릴(130)의 상면에도 상면흡입그릴(130')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흡입그릴(130')은 실내기(100) 상측의 실내 공기를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면에는 상면흡입구(130")가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흡입구(130")를 통해서 상기 실내기(100)의 상측에 존재하는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전면 하측에는 디스플레이창(132)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32)은 실내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Display)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창(132)의 하측에는 좌우로 길게 천공되어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38)가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내기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시(110)는 실내기(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후방으로 함몰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그 배면은 실내 즉, 공기조화 를 위한 공간의 벽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실내기(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의 외관은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메인샤시(110)와 전면그릴(130)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샤시(110)의 좌측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열교환기(170) 및 횡류팬(172)의 좌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우측단부에는 열교환기(170)와 횡류팬(172)의 우측단이 고정되는 고정단(11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전방에는 흡입구(13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36)는 상기 전면흡입그릴(155)을 지나온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필터프레임(134)이 좌우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34)은 아래에서 설명할 고성능필터(16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36)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가로지르는 중앙분리대(P)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앙분리대(P)의 좌우에 필터프레임(134)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분리대(P)의 상부에서 후방으로는 상기 필터프레임(134)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필터가이드(134')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가이드(134')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F)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필터가이드(134')는 상면흡입그릴(130') 하측에 필터(F)가 라 운드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
Figure 112005060339998-PAT00001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도3의 우측에서 볼 때), 상기 필터(F)의 후면 좌우측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36)의 좌우측 상부에도 필터가이드(134')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프레임(134)에는 고성능필터(160)가 장착된다. 상기 고성능필터(160)는 단일 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담배연기나 각종 냄새 등을 탈취하는 암모니아 탈취필터(162)나,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포름알데히드 탈취필터(164) 및 휘발성 유기물의 냄새를 탈취하는 톨루엔(VOC) 탈취필터(166)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그릴(130)과 흡입패널(150) 사이에는 필터(F)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필터(F)는 이물이 포함된 공기중에서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36)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필터(F)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면그릴(130)의 전면은 물론 후면의 상단부에 이르는 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후방에는 열교환기(170)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상기 흡입구(136)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F)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170)의 후방에는 횡류팬(172)이 설치된다. 상기 횡류팬(172)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횡류팬(172)은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36)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138)를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유 동을 강제한다.
상기 횡류팬(172)의 우측에는 횡류팬(172)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74)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174)는 모터커버(176)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메인샤시(110)의 내부 우측에 장착되며, 상기 팬모터(174)가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횡류팬(172) 역시 연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샤시(110)의 내부 벽면은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횡류팬(17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샤시(110)의 우측 내부공간 즉, 전장부(118)에는 컨트롤러조립체(19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는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으로서 실내기(100) 및 실외기(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피씨비(PCB,192)와, 상기 피씨비(192)를 내부에 수용하여 피씨비(192)가 외부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하는 케이스(1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피씨비(192)가 전장부(118)에 삽입된 후에 상기 케이스(194)가 장착되면, 상기 피씨비(192)는 케이스(194)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하단부 내측에는 토출그릴(18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에는 실내기(100)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18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에는 상기 토출유로(18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베인(184)과, 좌우로 조절하는 루버(18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루버(186)는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개의 루버(186)는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된다.
상기 토출그릴(180)의 우측단에는 상기 베인(184)과 더불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보조베인(188)이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베인(188)의 일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보조베인(188)의 회동을 강제하는 모터(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베인(188)의 상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우측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의 이격된 전방에는 컨트롤러커버(139)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커버(139)는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그릴(130) 우측에 천공 성형된 커버삽입구(139')에 선택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에 고장이 발생되어 서비스가 필요시에는 상기 컨트롤러커버(139)를 커버삽입구(139')로부터 분리하여 컨트롤러조립체(190) 전방을 개구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조립체(190)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그릴의 처짐방지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그릴(13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는, 다수회 절곡 형성되 고 상기 전면그릴(130) 일측과 상면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전면그릴(130)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200)과, 상기 전면그릴(13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200)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지지수단(200)의 다수곳을 구속하여 지지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수단(300)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수단(200)은 비교적 강도가 강한 재질 예컨대 철판 등을 다수회 절곡하여 전방에서 볼 때 '
Figure 112005060339998-PAT00002
'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200)이 구속수단(300) 내부에 삽입되면, 지지수단(200)의 상면은 상기 상면흡입그릴(130')의 전반부 하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00)의 좌우측면 상하단부는 상기 지지수단(200)의 일측과 선접촉하여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이 규제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의 중앙부가 상면흡입그릴(130')을 상방향으로 견고하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지수단(200)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2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단품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0)은 구속수단(300)의 일측과 상면이 면접촉하여 접촉된 부위가 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디(220)와, 상기 지지바디(220) 상부 일측에 돌출되고, 상기 지지수단(200) 일측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걸림편(240)과, 상기 지지바디(220)의 좌우측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300)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디(22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편(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디(220)는 지지수단(200)의 요부 구성으로서 상기 상면흡입그릴(130')의 하면을 상면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지지바디(220)는 좌우로 긴 직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대략 '
Figure 112005060339998-PAT00003
'모양의 종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디(220)가 구속수단(300)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바디(220)의 상면은 상면흡입그릴(130')의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며, 상기 지지수단(200)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부분은지지바디(220) 상면의 굽힘강도를 보완하게 되어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바디(220)의 상면 후단부에는 상기한 걸림편(240)이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240)은 지지수단(200)이 구속수단(300)에 삽입된 후에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상면흡입구(130")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된다.
즉, 상기 걸림편(240)은 지지바디(220)의 상면에서 후방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며 상기 상면흡입구(130")의 좌우 길이보다 조금 먼 거리만큼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40)의 좌우 길이는 상면흡입구(13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240)의 두께는 상면흡입구(130")의 전후방향 폭보다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200)이 구속수단(300)에 장착되면 상기 걸림편(240)은 실내기(100) 좌우측 상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각각 5칸 형성된 상면흡입구(130") 에 1칸 건너 삽입된다(도 2 참조).
상기 지지바디(220)의 좌우측에는 대략 '
Figure 112005060339998-PAT00004
'모양의 지지편(26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수용부(320)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디(22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상하단부가 수용부(320)의 내부 천장과 바닥면에 각각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지바디(220)를 지지 및 낙하 방지를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디(220)의 하면이 전면그릴(130)의 어떠한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이격되더라도 상기 지지바디(220)는 하방향으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상면흡입그릴(130')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편(260)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구속공(262)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공(262)은 상기 지지수단(200)이 구속수단(300)으로부터 구속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삽입돌기(34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구속공(262)은 삽입돌기(340)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천공되며, 상기 지지편(260)이 수용부(320)에 삽입될 때 삽입돌기(340)와 지지편(260)의 간섭으로 중심방향(길이의 중심)으로 이동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삽입돌기(340)와 형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260)은 삽입돌기(340)와의 간섭 발생시에 후단부를 기준으로 전반부가 내측으로 휘어져 모이더라도 상기 구속공(262)과 삽입돌기(340)가 형합됐을 때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 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300)은 내부에 상기 지지수단(200)을 수용한 상태로 여러곳을 구속하여 상기 지지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도 3을 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수단(300)은 상면흡입그릴(130')의 하측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속수단(300)은 전술한 필터가이드(134')의 상면과 상면흡입그릴(130')의 하면에 의해서 형성되어진 공간에 구비된다.
상기 구속수단(300)은 상기 지지편(260)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편(260)의 삽입을 안내하는 수용부(320)와, 상기 수용부(320) 벽면에 돌출 성형되고 구속공(26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수단(200)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돌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320)는 전면그릴(130)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볼 때 상기 지지편(26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320) 내부에 지지편(260)이 삽입되면 상기 지지편(260)의 상면은 상면흡입그릴(13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지지편(260)의 하면은 필터가이드(134')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편(260)의 상하방향 유동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320)의 좌측벽면에는 삽입돌기(3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수단(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돌기(340)는 상방(도 3의 확대도 기준)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5060339998-PAT00005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200)을 구속수단(300)에 장착시에 상기 지지바디(220)의 후면이 삽입돌기(34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60)이 삽입돌기(340)의 경사진 전면(前面)과 간섭되면서 후방으로 진행할 때 상기 지지편(26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져 탄성력이 발생되며, 상기 삽입돌기(340)와 구속공(262)의 간섭이 해지되면 상기 지지편(260)은 탄성 복원되어 원상으로 회복 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은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100)가 냉방모드로 작동시의 작용을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팬모터(174)가 동작하여 회전동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팬모터(174)의 회전동력은 상기 횡류팬(172)에 전달되어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횡류팬(172)이 회전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즉 상기 전면흡입그릴(155)과 상면흡입그릴(130')을 통해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F)에 의해서 필터링된 후에 열교환기(170)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열교환이 일어난다.
상기 열교환기(17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된다. 즉 상기 횡류팬(172)에 의해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메인샤시 (110)의 내부 벽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138)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그릴(130)의 처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200)을 구속수단(30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200)이 전면그릴(130)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200)이 전면그릴(130)에 삽입되는 과정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지지수단(200)이 전면그릴(130)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5와 같이 전면그릴(130)로부터 분리된 지지수단(2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수단(200)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조금 눕힌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320)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200)이 수용부(320) 내부에 삽입되는 과정중에 상기 삽입돌기(340)의 전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디(220)의 후면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260)의 후면(도 6에서 볼 때)은 상기 삽입돌기(340)의 뾰족한 단부와 접촉하면서 우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260)은 삽입돌기(340)와 간섭되어 탄성복원력이 발생된 상태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200)을 우측방향으로 더 밀어넣게 되면, 상기 걸림편(240)은 제일 왼쪽에 형성된 상면흡입구(130")에 삽입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구속공(262) 내부에는 삽입돌기(34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은 구속수단(3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편(240)은 상면흡입구(130")의 내부 좌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지수단(200)의 좌측방향 유동을 규제하게 되며, 상기 지지바디(220)의 상하면은 상면흡입그릴(130')의 하면과 필터가이드(134')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속수단(300)의 구속에 의해서 상기 지지수단(200)의 장착은 완료되며, 상기 필터가이드(134')에 의해서 상방향으로 지지된 지지수단(200)은 상기 상면흡입그릴(130')의 좌측단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40)은 상면흡입구(130") 중에서 가장 좌측에 형성된 상면흡입구(130")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200)은 수용부(320) 내부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속공은 지지수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는 전면그릴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위치를 반대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는, 상면흡입그릴의 하면 선단에 별도로 구비된 지지수단을 삽입 장착함으로써 전면그릴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내기의 운반 및 설치중에 전면그릴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면흡입그릴의 하방향 처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그릴의 하방향 처짐이 방지됨으로써 상면흡입그릴의 파손 및 변형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므로 바람직하다.

Claims (6)

  1. 실내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에 있어서,
    다수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전면그릴 상부에 일측이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전면그릴의 일측이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전면그릴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지지수단의 다수곳을 구속하여 상기 지지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구속수단의 일측과 상면이 면접촉하여 접촉된 부위가 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디와,
    상기 지지바디 상부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지지수단 일측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걸림편과,
    상기 지지바디의 좌우측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수단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 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일부가 상기 지지편의 종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편의 삽입을 안내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일측면에 돌출 성형되고 상기 구속편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수단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전면그릴 상면에 천공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상면흡입구에 삽입되어 걸림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천공되어 삽입돌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삽입돌기의 유동을 구속하는 구속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KR1020050100423A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KR20070044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23A KR20070044296A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23A KR20070044296A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296A true KR20070044296A (ko) 2007-04-27

Family

ID=3817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423A KR20070044296A (ko) 2005-10-24 2005-10-24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4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1340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060053824A1 (en) Air Conditioner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99668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KR10056444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29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전면그릴 처짐방지구조
KR10134221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242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구조
KR101250159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134504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300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개폐구조
KR20060027535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메인샤시구조
KR10062644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1101576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538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604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러커버 구조
KR2008006278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604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7360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905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장착구조
KR20070053548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컨트롤박스
KR100794830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