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937A -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937A
KR20070032937A KR1020067017170A KR20067017170A KR20070032937A KR 20070032937 A KR20070032937 A KR 20070032937A KR 1020067017170 A KR1020067017170 A KR 1020067017170A KR 20067017170 A KR20067017170 A KR 20067017170A KR 20070032937 A KR20070032937 A KR 20070032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elevator
energy
inflow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요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서도, 장치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고 피트 깊이를 깊게 하지 않아도 좋으며,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승강 엘리베이터 또는 균형추의 충돌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충돌 에너지가 해제되면, 그 자신으로는 원상태로 복원할 수 없고, 복원 수단을 가진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예를 들면 유입 완충기)와, 이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와 직렬로 고정되고,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 충돌 에너지가 해제되어도, 그 자신으로 원상태로 복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SHOCK ABSORB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바닥부에 설치되고, 승강 엘리베이터 칸 혹은 균형추가 최하층을 지나쳐 하강했을 때, 충격을 완화하고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2)를 가지는 권상기(卷上機)(3)과 디플렉션 쉬브(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2)와 디플렉션 쉬브(4)에는 메인 로프(5)가 감아 걸려져 있다. 메인 로프(5)의 일단은 승강 엘리베이터 칸(6)에, 타단은 균형추(7)에 매달려 있다. 구동 쉬브(2)의 회전에 의해,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및 균형추(7)가 두레박식으로 승강한다.
엘리베이터는, 어떠한 이상이 생겼을 때, 승강 엘리베이터 칸(6) 혹은 균형추(7)가 최하층을 지나쳐 하강할 우려가 있다. 거기서, 이와 같은 이상시에서도, 승강 엘리베이터 칸(6) 혹은 균형추(7)와 승강로(1)의 바닥부(피트(pit))의 충돌에의한 충격을 완화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 승강로(1)의 바닥부에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인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8) 및 균형추 완충기(9)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는,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나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가 있다.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이 충돌 에너지가 해제되면, 그 자신에서는 원래 상태로 복원하지 못하고, 복원 수단이 병용(倂用)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유입(油入) 완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는, 고속 엘리베이터에서 비교적 큰 충돌 에너지에 대하여 이용된다.
종래의 유입 완충기에 있어서는, 승강로(1)의 바닥부에 세워 설치되고, 작동유(作動油)가 충전된 원통형의 실린더와, 실린더 내에 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삽입된 원통형의 플런져(plunger)와, 플런져의 바닥부에 형성된 오리피스(orifice) 구멍과, 오리피스 구멍에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실린더 바닥부에 세워 설치된 가늘고 긴 원추형 부재(제어봉(制御棒))와, 플런져를 탄성 지지 및 복원하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유입 완충기가 충돌했을 때의 충격,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플런져 정수리부에 완충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가 운행중, 어떠한 이상이 생겨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가 유입 완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완충재에 충돌하게 한다. 그렇게 하면, 플런져는 복귀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눌러 내려지고, 실린더 내의 작동유가 플런져의 하면(下面)으로 눌러져서, 오리피스 구멍으로부터 플런져 내에 분출 유입 한다. 이 때, 제어봉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굵어지는 테이퍼(taper)를 가지므로, 플런져가 하강하는데 수반하여, 오리피스 구멍의 작동유의 통과하는 면적은 작게 되 고, 작동유의 저항은 순차적으로 증대하여 하강 속도를 감속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이 후,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를 들어올려 하중이 제거되면, 압축된 복귀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플런져는 위쪽으로 밀려 원위치로 복귀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또, 그 외의 종래의 유입 완충기는, 작동유가 충전된 실린더 내에, 순차적으로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 복수의 플런져를 중합하고 작동유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며, 또한, 이것들 복수의 플런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런져가 다단으로 구성된 유입 완충기는, 상기의 1개의 플런져로 구성되는 유입 완충기에 대하여, 동일한 스트로크(stroke)로 유입 완충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상기는,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인 유입 완충기에 대한 것이지만, 또 다른 하나의 엘리베이터 완충 장치인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충돌 에너지가 해제되면, 그 자신으로 원래 상태로 복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프링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저속 엘리베이터에서 비교적 작은 충돌 에너지에 대하여 이용된다. 또,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는, 전체 높이의 80% 까지 압축 가능(즉 완충기의 스트로크가 전체 높이의 80%)으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의 충돌시, 전체 높이의 80%까지 스트로크(압축)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이 후, 승강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를 들어올려 하중이 제거되면, 압축된 탄성체는 원래의 높이(즉 전 체 높이)로 돌아온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평8-108984호 공보(제 4 ~ 5 페이지, 제 1 도)
특허문헌 2 : 특개평4-217577호 공보(제 4 ~ 6 페이지, 제 1 도)
특허문헌 3 : 특개평4-217577호 공보(제 2 ~ 5 페이지, 제 1 도)
비특허문헌 1 : E1astogran사 카탈로그「 Ce11asto A ce1111ar po1yurethane e1astomer」, P.1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정격(定格) 속도의 1.15배의 속도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가 충돌했을 때, 소정의 감속도로 안전하게 감속시키도록, 소정의 스트로크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격 속도가 고속으로 됨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스트로크는 길어진다.
정격 속도가 고속인 경우, 상기한 종래의 1개의 플런져로 구성된 유입 완충기에서는, 플런져의 길이는 유입 완충기의 스트로크 이상의 길이가 필요로 하고, 또, 실린더도 플런져의 진입을 받아 들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런져의 길이에 대략 상응한 길이가 필요하고, 따라서 유입 완충기의 높이는 높아진다. 이와 같이, 유입 완충기의 높이가 높아지면, 그만큼 승강로(1)의 피트 깊이는 깊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건축 공사의 경제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유입 완충기의 반입, 설치 공사에 있어서는 길이가 길어서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한 플런져가 다단으로 구성된 유입 완충기로는, 1개의 플런져로, 구성되는 유입 완충기에 대해서, 소정의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유입 완충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은 없지만, 복수의 플런져를 중합하고 작동유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되어 있었다.
또,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스트로크는 전체 높이의 80%이기 때문에, 소정의 스트로크를 확보하면서 완충기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예를 들면 유럽 법령인 EN코드(EN81-1:1 998)에서는, 정격 속도 60m/min 이하의 엘리베이터 밖에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이 있었다. 또한, EN코드에서는,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는, 정격 속도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정격 속도 60m/min를 넘은 것에 적용하면, 상기 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60m/min를 넘는 고속인 경우에서도, 장치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피트 깊이를 깊고 하지 않아도 되고,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는,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와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직렬로 고정하고, 조합시킨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와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직렬로 고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서도, 장치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어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유입 완충기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장치의 높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승강로
2 구동 쉬브
3 권상기
4 디플렉션 쉬브
5 메인 로프
6 승강 엘리베이터 칸
7 균형추
8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
9 균형추 완충기
10a, 10b, 10c 유입 완충기
11a, 11c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
12a, 12b 설치대
13a, 13b 작동유
14a, 14b 실린더
15a, 15b 플런져
16a, 16b 플랜지
17a, 17b 스프링 베어링
18a, 18b 바닥부 부재
19a, 19b 오리피스 구멍
20a, 20b 제어봉
21a, 21b 복귀 스프링
22, 23 완충재
24 설치대
25 제한체
26 부착판
27 볼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인 유입 완충기(10a)의 상단부에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를 직렬로 고정하고 있다. 다음에 유입 완충기(10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치대(12a) 위에는, 작동유(13a)가 충전된 원통형의 실린더(14a)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14a)에는, 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한 원통형의 플런져(15a)가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14a)의 상단부에는 플랜지(flange)(16a)가 고정되어 있다. 플런져(15a)의 상단부에는 스프링 베어링(17a)이 고정되어 있다.
플런져(15a)는, 바닥부를 막는 바닥부 부재(18a)를 가지고, 바닥부 부재(18a)의 중앙에는 오리피스 구멍(19a)이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 구멍(19a)에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대(12a)에 제어봉(20a)이 세워 설치되고 있다. 제어봉(20a)은 원추형상을 하고 있어, 아래쪽으로 향하여 굵어지고 있다.
플런져(15a)가 눌러져서 하강한 후, 원래의 상승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 수단으로서, 플랜지(16a)와 스프링 베어링(17a)의 사이에는, 실린더(14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플런져(15a)를 가압 및 탄성 지지하는 복귀 스프링(21a)이 배치되어 있다.
유입 완충기(10a)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이 유입 완충기(10a)의 상단부인 스프링 베어링(17a) 위에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가 세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고무체(예를 들면 폴리우레탄)를 일체로 성형한 것으로, 전체 높이의 80%까지 압축 가능하고, 이 압축량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가 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하고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도 1과 같이, 유입 완충기(10a) 및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각각 신장된 상태로 있다. 엘리베이터가 운행중, 어떠한 이상이 생겨,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가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충돌한다. 이 때,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은,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에 충돌하고,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압축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한편, 유입 완충기(10a)에서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압축과 함께, 플런져(15a)는 복귀 스프링(21a)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눌러 내려지고, 실린더(14a) 내의 작동유(13a)가 플런져(15a)의 바닥부 부재(18a)에 눌러져서, 오리피스 구멍(19a)으로부터 플런져(15a) 내로 분출 유입한다. 이 때, 제어봉(20a)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굵어지는 테이퍼를 가지므로, 플런져(15a)가 하강함에 수반하여, 오리피스 구멍(19a)의 작동유(13a)의 통과하는 면적은 작아지고, 작동유(13a)의 저항은 순차적으로 증대하여 하강 속도를 감속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이 후,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를 들어올려 하중이 제거되면, 고무체인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압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신장된 높이에 복원한다. 한편, 유입 완충기(10a)에서는, 압축된 복귀 스프링(21a)의 반발력에 의해, 플런져(15a)는 위쪽으로 밀려 원위치에 복귀함과 동시에, 작동유(13a)가 오리피스 구멍(19a)으로부터 실린더(14a) 내로 유입하여, 원래의 신장된 상태로 복원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1개의 플런져(15b)로 구성된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설치대(12b), 작동유(13b), 실린더(14b), 플런져(15b), 플랜지(16b), 스프링 베어링(17b), 플런져(15b)의 바닥부 부재(18b), 오리피스 구멍(19b), 제어봉(20b), 복귀 스프링(21b)는, 도 1의 상당히 부분을 나타내고,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유입 완충기(10b)가 충돌할 때에 금속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스프링 베어링(17b)의 상부에 완충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의 유입 완충기(10a)와 같다.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정격 속도의 1.15배의 속도로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가 충돌했을 때, 소정의 감속도로 안전하게 감속시키도록, 소정의 스트로크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금,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스트로크 를 S로 한다.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에 대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충재(22)가 스트로크하는 부분의 길이와, 바닥부 부재(18b)의 하면으로부터 설치대(12b)의 상면까지의 길이는 스트로크의 S로, 완충재(22)의 스트로크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플런져(15b)의 바닥부 부재(18b)의 하면까지의 길이를 a, 설치대(12b)의 두께를 b로 하면,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의 높이 L1은,
L1 = 2S + a + b
로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즉 압축량)와 유입 완충기(10a)의 스트로크를, 각각 완충 장치의 스트로크 S의 1/2 되도록,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형상(예를 들면 길이 혹은 지름의 크기)를 바꾸어 탄성 특성을 설정하고, 유입 완충기(10a)의 오리피스 구멍(19a)과 제어봉(17a)과 틈을 바꾸어 작동유의 저항을 설정한다. 이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즉 압축량)와, 스프링 베어링(17a)의 스트로크(즉 유입 완충기(10a)의 스트로크)는 각각 S/2로, 스프링 베어링(17a)의 스트로크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플런져(15a)의 바닥부 부재(18a)의 하면까지의 길이를 a, 설치대(12a)의 두께를 b,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압축시의 높이를 c로 하면,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 L2는
L2 = 3S / 2 + a + b + c
로 된다. 여기서,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상기한 바와 같이 80%까지 압축하므로, 압축시의 높이 c는,
c = S / 2 / 8
로 되고, 작은 값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의 높이 L1과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 L2와의 차이는, 개략 S/2(즉 스트로크의 반)가 되어, 이만큼,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는 낮아진다.
상기에서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즉 압축량)와 유입 완충기(10a)의 스트로크를, 동일하게 되도록(즉, 각각 완충 장치의 스트로크 S의 1/2이 된다) 하였지만,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형상(예를 들면 길이 혹은 지름의 크기)이나, 유입 완충기(10a)의 오리피스 구멍(19a)과 제어봉(17a)과의 틈 사이를 바꾸는 것으로, 각각 다른 스트로크로 하여도 좋고, 특히,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즉 압축량)를 크게 하는 쪽이,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의 높이는 낮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인 유입 완충기(10a)의 상단부에 간략한 구조의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를 직렬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1개의 플런져(15b)로 구성된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에 비해,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고 소형화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정격 속도가 60m/min를 넘는 고속인 경우에서도, 승강로(1)의 피트 깊이를 깊게 하지 않아도 괜찮게 되어, 건축 공사가 경제적이 된다.
또, 완충기 중 1개가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로 구성되므로, 장치의 구조 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유입 완충기(10b)에서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유입 완충기(10b)가 충돌했을 때에 금속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완충 부재(22)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무체인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에 충돌하기 때문에, 완충재(22)가 불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c)를 유입 완충기(10c)의 하부에 직렬로 고정한 것으로서, 도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유입 완충기(11c)가 충돌했을 때에 금속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스프링 베어링(17a)의 상부에 완충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c)의 바닥부에는, 설치대(24)가 고정되어 있다.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져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단,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유입 완충기(11c)가 충돌했을 때에 금속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완충재(23)가 필요하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를 소정의 양(예를 들면 허용 스트로크)에 규제하는 제한체(25)를 스프링 베어링(17a) 위에 설치한 것으로, 도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제한체(2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외측에 삽입하여 통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운행 중, 어떠한 이상이 생겨,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가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충돌했을 때,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압축되다.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전체 높이의 80%까지 압축 가능하고, 이 압축량이 허용 스트로크가 되며, 이 이상으로 압축하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엘리베이터의 속도 사양에 대해서 상정(想定)한 충돌 에너지에 대하여, 허용 스트로크 이하가 되도록 형상(예를 들면 길이 혹은 지름의 크기)을 바꾸어 탄성 특성을 설정하고 있지만, 충돌 에너지가 상정한 것보다 큰 경우, 허용 스트로크를 넘어 버린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한체(25)가 승강 엘리베이터 칸(6) 또는 균형추(7)와 간섭하여,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허용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되지 않는다. 그 외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상과 같이, 충돌 에너지가 큰 경우에 있어서도, 제한체(25)로 스트로크를 규제하고 있으므로,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허용 스트로크 이상으로 압축하지 않아, 파손되지 않는다. 또, 엘리베이터의 속도 사양에 대해서 상정한 충돌 에너지에 대하여,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는 허용 스트로크 이하가 되도록 형상(예를 들면 길이 혹은 지름의 크기)을 바꾸어 탄성 특성을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모든 속도 사양에 대하여, 탄성 특성을 설정하는 것은 다종다양하게 되어, 실질상, 곤란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한체(25)를 설치함 으로써,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한체(25)를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직사각형 모양, 원주 모양 등 어떤 형상이라도 좋고, 또, 이들을 복수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한체(25)를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외측에 삽입하여 통하도록 설치하였지만,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내부에 공동(空洞)부를 형성하고, 이 내부에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와 유입 완충기(10a)를 분할 가능한 구조로 한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의 하면에 부착판(26)을 고착하고, 설치판(26)은 스프링 베어링(17a)에 볼트(27)로 고정되어 있다. 그 외, 도 1과 동일한 부호인 것은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또, 동작에 대해서도 실시 형태 1과 같다.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가,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무체인 경우, 일반적으로 고무는 경년적(經年的)으로 탄성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유입 완충기마다 교환할 필요가 없고,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11a)만을 교환할 수 있어 교환 비용이 경제적이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 1에서 4는,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압축량이 전체 높이의 80%의 고무체로 구성했지만,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고, 압축량이 전체 높이 의 80%이상 혹은 80%이하에서도 좋다. 또, 고무체를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 혹은 원추형의 코일 스프링로 구성하여도 좋다. 특히 원추형의 코일 스프링은, 원통형의 코일 스프링보다 압축시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는, 승강 엘리베이터 칸(6) 혹은 균형추(7)가 최하층을 지나쳐 하강했을 때, 충격을 완화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데 적합하다.

Claims (5)

  1. 승강로의 바닥부에서, 한편, 승강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의 아래에 설치되고 승강 엘리베이터 칸 또는 균형추가 충돌했을 경우의 충격을 완화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와, 이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와 직렬로 고정된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의 상부에, 상기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를 직렬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에, 이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의 스트로크 양을 규제하는 제한체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와 상기 에너지 흡수형 완충기를 분할 가능한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축적형 완충기는, 고무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KR1020067017170A 2004-09-21 2004-09-21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KR20070032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3731 WO2006033135A1 (ja) 2004-09-21 2004-09-21 エレベータ用緩衝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37A true KR20070032937A (ko) 2007-03-23

Family

ID=3608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170A KR20070032937A (ko) 2004-09-21 2004-09-21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92866A4 (ko)
JP (1) JPWO2006033135A1 (ko)
KR (1) KR20070032937A (ko)
CN (1) CN1922091A (ko)
WO (1) WO2006033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79002B (zh) * 2007-08-31 2013-06-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油压缓冲器
ES2388565T3 (es) * 2007-11-30 2012-10-16 Otis Elevator Company Estabilizador magnético pasivo de cabina de ascensor
WO2010019145A1 (en) * 2008-08-14 2010-02-18 Otis Elevator Company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formable elevator buffers
CN103708319A (zh) * 2012-09-30 2014-04-09 凌怀宇 悬挂式电梯缓冲器
CN103241612A (zh) * 2013-05-20 2013-08-14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双轴减震压杆
CN104444695B (zh) * 2014-12-13 2017-08-25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梯适应性递进阻尼力的缓冲系统
CN108190683B (zh) * 2017-12-09 2019-07-19 上海中菱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用多级缓冲器
CN108116960A (zh) * 2017-12-19 2018-06-05 苏州市远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
CN109319626A (zh) * 2018-11-05 2019-02-12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一种新型电梯液压缓冲器
JP7034377B2 (ja) * 2019-03-27 202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バネ緩衝器
EP4201862A1 (en) * 2021-12-24 2023-06-28 Otis Elevator Company Buff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568U (ja) * 1983-07-18 1985-02-0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緩衝装置
JPS60137766U (ja) * 1984-12-20 1985-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油入緩衝器
JPH04217577A (ja) 1990-12-20 1992-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油入緩衝器
JPH06115848A (ja) * 1992-10-01 1994-04-2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緩衝器
JPH08108984A (ja) * 1994-10-12 1996-04-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油入緩衝器
JP2000302353A (ja) * 1999-04-22 2000-10-3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ばね緩衝器
JP2001151435A (ja) * 1999-11-25 2001-06-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およびエレベータ
JP3619110B2 (ja) 2000-03-01 2005-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昇降機用緩衝器
JP4301837B2 (ja) * 2002-05-21 2009-07-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2004018233A (ja) * 2002-06-19 2004-01-22 Hitachi Ltd 昇降機用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33135A1 (ja) 2008-05-15
EP1792866A4 (en) 2012-01-18
WO2006033135A1 (ja) 2006-03-30
EP1792866A1 (en) 2007-06-06
CN1922091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2270B1 (ko) 엘리베이터의 완충 장치
JP5081066B2 (ja) エレベーター用油圧緩衝器
KR101126955B1 (ko) 엘리베이터의 유압 완충기
KR20070032937A (ko) 엘리베이터용 완충 장치
EP2088111A1 (en) Buffer of elevator
JP3619110B2 (ja) 昇降機用緩衝器
JP2004324879A (ja) 油圧緩衝器
WO2005016812A1 (en) Shock absorbing hitch
JP505052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36828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53130B2 (ja) エレベータ用緩衝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904530B1 (ko) 다중 감쇄형 유압실린더 방식을 응용한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승강기
WO2004007331A2 (en) Conical spring buffer for an elevator
JPH04217577A (ja) エレベータ用油入緩衝器
CN209957175U (zh) 适用浅底坑高速电梯缓冲器
TWI246500B (en) Elevator buffer
CN109941861B (zh) 适用浅底坑高速电梯缓冲器及其工作方法
JP2001270667A (ja) エレベータ緩衝器
CN206783055U (zh) 一种套管压缩的泡沫铝电梯跌落缓冲机构
CN105060076A (zh) 一种具有双重减震效果的电梯轿底高效减震装置
KR20030085656A (ko) 저층 엘레베이터 2단 스크류 잭
JP5436340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100358497B1 (ko) 유압 잭의 기동 정지시 쇼크 감소를 위한 장치
US20060225967A1 (en) Conical spring buffer for an elevator
CN112279167A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丝杠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