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427A -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 Google Patents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427A
KR20070032427A KR1020050086619A KR20050086619A KR20070032427A KR 20070032427 A KR20070032427 A KR 20070032427A KR 1020050086619 A KR1020050086619 A KR 1020050086619A KR 20050086619 A KR20050086619 A KR 20050086619A KR 20070032427 A KR20070032427 A KR 2007003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enable signal
nwe
write enable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410B1 (ko
Inventor
이광진
김두응
강상범
조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410B1/ko
Priority to US11/319,373 priority patent/US7471553B2/en
Priority to JP2006246069A priority patent/JP2007087568A/ja
Priority to CN2006101322915A priority patent/CN1933023B/zh
Publication of KR2007003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410B1/ko
Priority to US12/168,742 priority patent/US77512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5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 G11C11/5678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storage elements with more than two stable states represented by steps, e.g. of voltage, current, phase, frequency u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storage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8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96Write circuits, e.g. I/O line write dri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69Writing or programming circuits or methods
    • G11C2013/0078Write using current through the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 변화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쓰기 드라이버와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펌프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회로는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프로그램 동작 전에는 보조 펌프만을 동작시키고, 프로그램 동작 시에는 보조 펌프와 메인 펌프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쓰기 드라이버에 펌프회로를 사용하더라도 프로그램 시간이 길어지지 않고,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THEREOF}
도 1은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을 보여준다.
도 2는 상 변화 물질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기 드라이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모리 셀 어레이 200: 어드레스 디코더
300: 비트라인 선택회로 400: 쓰기 드라이버
410: 셋 전류 발생회로 420: 리셋 전류 발생회로
430: 펄스 폭 조절회로 440: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
500: 펌프회로 510: 보조 펌프
520: 메인 펌프 530: 펌프 컨트롤러
600: 데이터 입력 버퍼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phase change memory device)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꺼내어 읽어볼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크게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ROM은 전원이 끊어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이다. ROM에는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등이 있다. RAM은 전원이 끊어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는 소위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이다. RAM에는 Dynamic RAM(DRAM)과 Static RAM(SRAM) 등이 있다.
그외에 DRAM의 커패시터를 불휘발성을 지닌 물질로 대체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이용한 강유전체 램(ferroelectric RAM; FRAM), 티엠알(TMR; tunneling magneto-resistive) 막을 이용한 마그네틱 램(magnetic RAM; MRAM), 그리고 칼코겐 화합물(chalcogenide alloys)을 이용한 상 변화 메모리 장치(phase change memory device) 등이 있다. 특히,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며, 그 제조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저가로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메모리 셀(10)은 가변 저항체(C)와 액세스 트랜지스터(M)로 구성된다. 가변 저항체(C)는 비트 라인(BL)에 연결된다. 액세스 트랜지스터(M)는 가변 저항체(C)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액세스 트랜지스터(M)의 게이트에는 워드라인(WL)이 연결된다. 워드 라인(WL)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액세스 트랜지스터(M)는 턴 온(turn on) 된다. 액세스 트랜지스터(M)가 턴 온(turn on) 되면, 가변 저항체(C)는 비트 라인(BL)을 통해 전류를 공급받는다.
가변 저항체(C)는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상 변화 물질은 온도에 따라 2개의 안정된 상태, 즉 결정 상태(crystal state) 및 비정질 상태(amorphous state) 중 어느 하나를 갖는다. 상 변화 물질은 비트 라인(BL)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결정 상태(crystal state) 또는 비정질 상태(amorphous state)로 변한다.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 변화 물질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프로그램한다.
도 2는 상 변화 물질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1은 상 변화 물질이 비정질 상태(amorphous state)로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참조 번호 2는 결정 상태(crystal state)로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 변화 물질(GST)은 전류 공급에 의해 T1 동안 용융 온도(melting temperature; Tm)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한 뒤 급속히 냉각(quenching)하 면 비정질 상태(amorphous state)로 된다. 비정질 상태는 보통 리셋 상태(reset state)라고 부르며, 데이터 '1'을 저장한다. 이와는 달리, 상 변화 물질은 결정화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보다 높고 용융 온도(Tm)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T1 보다 긴 T2 동안 가열한 뒤 서서히 냉각하면 결정 상태(crystal state)로 된다. 결정 상태는 보통 셋 상태(set state)라고도 부르며, 데이터 '0'을 저장한다. 메모리 셀은 상 변화 물질의 비정질 양(amorphous volume)에 따라 저항(resistance)이 달라진다. 메모리 셀의 저항은 비정질 상태일 때 가장 높고, 결정 상태일 때 가장 낮다.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 변화 물질(GST)에 프로그램 전류(program current)를 공급하기 위해 쓰기 드라이버(Write Driver)를 포함한다. 쓰기 드라이버는 외부에서 제공된 전원전압(예를 들면, 2.5V 이상)을 이용하여,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 즉, 셋 전류 또는 리셋 전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셋 전류(set current)란 메모리 셀의 상 변화 물질(GST)를 셋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류이며, 리셋 전류(reset current)는 리셋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전류이다.
그러나 상 변화 메모리 장치가 고집적화되고 외부 전원전압이 일정 전압(예를 들면, 1.8V)이하로 낮아지면서, 쓰기 드라이버는 외부 전원전압만으로 메모리 셀에 충분한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할 수 없게 되었다.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높이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펌프회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위해 펌프회로를 사용할 경우, 프로그램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펌프회로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전압 레벨 까지 셋업(setup)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동작 시에 쓰기 드라이버용 펌프회로가 사용될 경우, 펌프회로의 셋업 시간으로 인해 전체 프로그램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높이기 위해 펌프회로를 사용하되, 프로그램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상 변화 물질을 갖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쓰기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펌프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회로는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그램 동작 전에 미리 동작한다. 상기 펌프회로는 프로그램 동작 전에 동작하는 보조 펌프; 프로그램 동작 시에 동작하는 메인 펌프; 및 상기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제어신호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이다.
실시예로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킨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 (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인에이블될 때 제 1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펄스 발생회로;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제 2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펄스 발생회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제 3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3 펄스 발생회로; 상기 제 1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1 래치회로; 및 상기 제 2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2 래치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회로는 상기 제 3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킨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i는 자연수)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j는 자연수, j>i)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킨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시간을 카운트하는 내부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제 1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펄스 발생회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제 2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펄스 발생회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제 3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3 펄스 발생회로; 상기 제 1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1 래치회로; 및 상기 제 2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2 래치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회로는 상기 제 3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상기 제 1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 번째 천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가 발생한 다음에,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을 카운트하는 내부 타이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에 있어서,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쓰기 드라이버; 및 상기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펌프회로를 포함한다.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은 프로그램 동작 전에 상기 펌프회로의 보조 펌프를 미리 동작시키는 펌프 셋업 단계; 및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펌프회로의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쓰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메모리 셀로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펌프_액티브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방법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가 동작하고;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메인 펌프가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방법은 상기 펌프_액티브 단계 다음에,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하는 펌프_오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방법은 상기 보조 펌프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i는 자연수) 번째 천이에 동기 되어 동작하고; 상기 메인 펌프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j는 자연수, j>i) 번째 천이에 동기 되어 동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방법은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 다음에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하는 펌프_오프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어레이(100), 어드레스 디코더(200), 비트라인 선택회로(300), 쓰기 드라이버(400), 펌프회로(500), 그리고 데이터 입력버퍼(600)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 변화 메모리 셀(10)로 구성된다. 상 변화 메모리 셀(10)은 워드 라인(WL) 및 비트 라인(BL)에 연결된다. 어드레스 디코더(200)는 행 어드레스(Row Address)를 입력받고 복수의 워드 라인 중 하나의 워드 라인을 액세스한다. 또한, 어드레스 디코더(200)는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를 입력받고 비트라인 선택신호를 비트라인 선택회로(300)에 제공한다. 비트라인 선택회로(300)는 비트라인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을 선택된 비트 라인에 연결한다.
쓰기 드라이버(400)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데이터 입력 버퍼(600)로부터 데이터(Data)를 입력받고, 메모리 셀에 공급할 프로그램 전류(program current), 즉 셋 전류(i_SET) 또는 리셋 전류(i_RST)를 발생한다. 또한, 쓰기 드라이버(400)는 펌프 회로(500)로부터 전원전압(예를 들면, 1.8V)보다 높은 고전압(VPP)을 입력받아서 동작한다. 쓰기 드라이버(400)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원리는 후술하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펌프회로(500)는 보조 펌프(510), 메인 펌프(520), 그리고 펌프 컨트롤러(530)를 포함한다. 보조 펌프(510)는 펌프 셋업 시간(Pump Setup time)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에 동작한다. 그리고 메인 펌프(520)는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 동작 시에 동작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 동작 시에는 메인 펌프(520) 뿐만 아니라 보조 펌프(510)도 동작한다.
펌프 컨트롤러(530)는 외부 제어신호(예를 들면, nWE, nCE)에 응답하여 보조 펌프(510) 및 메인 펌프(5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펌프 컨트롤러(530)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보조 펌프(510)에 제공한다. 그리고 펌프 컨트롤러(530)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제 1 및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 (Pump_Act 1, Pump_Act 2)를 보조 펌프(510) 및 메인 펌프(520)에 각각 제공한다. 펌프 컨트롤러(530)의 내부 구성 및 동작 원리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쓰기 드라이버(400)의 전류 공급 능력을 높이기 위해 펌프회로(500)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펌프회로(500)의 셋업 시간을 줄이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 전에 보조 펌프(510)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충분한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보조 펌프(510) 및 메인 펌프(520)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쓰기 드라이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쓰기 드라이버(400)는 셋 전류 발생회로(410), 리셋 전류 발생회로(420), 펄스 폭 조절회로(430), 그리고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를 포함한다.
셋 전류 발생회로(410)는 고전압(VPP)을 입력받고, 셋 전압 제어신호(SET_VDD)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셋 전류(i_SET)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고전압(VPP)은 펌프회로(도 3 참조, 500)로부터 제공되며, 셋 전압 제어신호(SET_VDD)는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로부터 제공된다. 셋 전류 발생회로(410)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PM1, PM2)와 1개의 NMOS 트랜지스터(NM1)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PM1, PM2)는 전류 미러(current mirror)를 형성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M1)는 전원단자와 제 1 NMOS 트랜지스터(NM1) 사이에 연결되며, 제 2 PMOS 트랜지스터(PM2)는 전원단자와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연결된다. 제 1 MOS 트랜지스터(NM1)는 셋 전압 제어신호(SET_VDD)에 의해 제어되며, 제 1 PMOS 트랜지스터(PM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리셋 전류 발생회로(420)는 고전압(VPP)을 입력받고, 리셋 전압 제어신호(RST_VDD)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에 리셋 전류(i_RST)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리셋 전압 제어신호(RST_VDD)는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로부터 제공된다. 리셋 전류 발생회로(420)는 1개의 PMOS 트랜지스터(PM3)를 갖는다. 제 3 PMOS 트랜지스터(PM3)는 리셋 전압 제어신호(RST_VDD)에 의해 제어되며, 전원단자와 데이터 라인(DL) 사이에 연결된다.
펄스 폭 조절회로(430)는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에 응답하여 셋 전류(i_SET) 또는 리셋 전류(i_RST)의 펄스 폭을 조절한다. 여기에서,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는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로부터 제공된다. 펄스 폭 조절회로(430)는 1개의 NMOS 트랜지스터(NM2)를 갖는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NM2)는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에 의해 제어되며, 데이터 라인(DL)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는 데이터 입력 버퍼(도 3 참조, 60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일정한 크기와 폭을 갖는 셋 전류(i_SET)와 리셋 전류(i_RST)를 발생하기 위한 셋 전압 제어신호(SET_VDD), 리셋 전압 제어신호(RST_VDD), 그리고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를 발생한다. 즉,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는 데이터 '1'을 입력받으면, 일정한 크기와 폭을 갖는 리셋 전류(i_RST, 441)를 발생하기 위해 리셋 전압 제어신호(RST_VDD)와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를 발생한다. 그리고 쓰기 드라이버 컨트롤러(440)는 데이터 '0'을 입력받으면, 일정한 크기와 폭을 갖는 셋 전류(i_SET)를 발생하기 위한 셋 전압 제어신호(SET_VDD)와 펄스 폭 조절신호(PUL_WID)를 발생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펌프회로(500a)는 보조 펌프(510), 메인 펌프(520), 그리고 펌프 컨트롤러(530a)를 포함한다. 보조 펌프(510)는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메인 펌프(520)는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펌프 컨트롤러(530a)는 제 1 펄스 발생회로(531a), 제 2 펄스 발생회로(532a), 제 3 펄스 발생회로(533a), 제 1 래치회로(534), 그리고 제 2 래치회로(535)를 포함한다.
제 1 펄스 발생회로(531a)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에 응답하여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제 1 펄스 신호(PUL_1a)를 발생한다. 제 1 펄스 발생회로(531a)는 제 1 NOR 게이트(NOR1)와 제 1 펄스 발생기(51)를 포함한다. 제 1 NOR 게이트(NOR1)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를 입력받는 제 1 입력단과 접지 단자에 연결된 제 2 입력단을 갖는다. 제 1 펄스 발생기(51)는 제 1 NOR 게이트(NOR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제 1 펄스 신호(PUL_1a)를 발생한다.
제 2 펄스 발생회로(532a)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제 2 펄스 신호(PUL_2a)를 발생한다. 제 2 펄스 발생회로(532a)는 제 2 NOR 게이트(NOR2)와 제 2 펄스 발생기(52)를 포함한다. 제 2 NOR 게이트(NOR2)는 쓰기 인에이 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를 입력받는다. 제 2 펄스 발생기(52)는 제 2 NOR 게이트(NOR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제 2 펄스 신호(PUL_2a)를 발생한다.
제 3 펄스 발생회로(533a)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 Pump_Act 2)를 디스에이블 하기 위한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발생한다. 제 3 펄스 발생회로(533a)는 OR 게이트(OR)와 제 3 펄스 발생기(53)를 포함한다. OR 게이트(OR)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를 입력받는다. 제 3 펄스 발생기(53)는 OR 게이트(OR)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발생한다. 여기에서, 제 1 내지 제 3 펄스 발생기(51, 52, 53)는 입력신호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일정한 펄스 폭을 갖는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 1 내지 제 3 펄스 발생기(51, 52, 53)의 출력신호는 초기에 로우 레벨 상태에 있으며, 입력신호의 변화에 응답하여 펄스 신호를 발생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래치회로(534)는 제 3 및 제 4 NOR 게이트(NOR3, NOR4)를 포함한다. 제 1 래치회로(534)는 제 1 펄스 신호(PUL_1a)를 입력받고,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인에이블 한다.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가 인에이블 상태에 있는 동안, 보조 펌프(510)는 펌핑(pumping)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 1 래치회로(534)는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입력받고,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디스에이블 한다.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가 디스에이블 상태로 되면, 보조 펌프(510)는 펌핑 동작을 중단한다.
제 2 래치회로(535)는 제 5 및 제 6 NOR 게이트(NOR5, NOR6)를 포함한다. 제 2 래치회로(535)는 제 2 펄스 신호(PUL_2a)를 입력받고,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를 인에이블 한다.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가 인에이블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펌프(520)는 펌핑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래치회로(535)는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입력받고,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를 디스에이블 한다.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가 디스에이블 상태로 되면, 메인 펌프(210)는 펌핑 동작을 중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펌프회로(500a)는 펌프_오프 모드(Pump_Off mode), 펌프_셋업 모드(Pump_Setup mode), 그리고 펌프_액티브 모드(Pump_Active mode)를 갖는다. 펌프_오프 모드에서 펌프회로(500a)는 완전히 오프(off)되며, 보조 펌프(510)와 메인 펌프(520)가 동작하지 않는다. 펌프_셋업 모드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수행되며, 보조 펌프(510)만 동작하고 메인 펌프(520)는 동작하지 않는다. 펌프_액티브 모드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수행되며, 보조 펌프(510) 및 메인 펌프(520)가 동시에 동작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펌프회로(500a)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펌프회로(500a)를 포함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경우, 칩 인에이블 신호(nCE)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보다 늦게 인에이블 된다.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뀌면, 펌프회로(500a)는 펌프_셋업 모드로 진입한다. 펌프_셋업 모드가 되면, 제 1 펄스 발생회로(531a)는 제 1 펄스 신호(PUL_1a)를 발생한다.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하 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뀔 때, 제 1 NOR 게이트(NOR1)의 출력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때, 제 1 펄스 발생기(51)는 제 1 펄스 신호(PUL_1a)를 발생한다. 제 1 펄스 신호(PUL_1a)가 발생하면, 제 1 래치회로(534)의 제 3 NOR 게이트(NOR3)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되고, 제 4 NOR 게이트(NOR4)의 출력은 하이 레벨로 된다.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뀌면, 펌프회로(500a)는 펌프_액티브 모드로 진입한다. 펌프_액티브 모드가 되면, 제 2 펄스 발생회로(532a)는 제 2 펄스 신호(PUL_2a)를 발생한다.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로우 레벨인 상태에서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바뀔 때, 제 2 NOR 게이트(NOR2)의 출력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때, 제 2 펄스 발생기(52)는 제 2 펄스 신호(PUL_2a)를 발생한다. 제 2 펄스 신호(PUL_2a)가 발생하면, 제 2 래치회로(535)의 제 5 NOR 게이트(NOR5)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되고, 제 6 NOR 게이트(NOR6)의 출력은 하이 레벨로 된다.
펌프_액티브 모드에서는 실제로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된다. 즉,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시에 보조 펌프(510) 뿐만 아니라 메인 펌프(520)를 동작시켜, 선택된 메모리 셀에 충분한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한다.
다음으로,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뀌면, 펌프회로(500a)는 다시 펌프_오프 모드로 진입한다. 펌프_오프 모드가 되면, 제 3 펄스 발생회로(533a)는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발생한다.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OR 게이트(OR)의 출력은 로우 레벨 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때 제 3 펄스 발생기(53)는 제 3 펄스 신호(PUL_Fa)를 발생한다. 제 3 펄스 신호(PUL_Fa)가 발생하면, 제 1 래치회로(534)의 제 4 NOR 게이트(NOR4)의 출력 및 제 2 래치회로(535)의 제 6 NOR 게이트(NOR6)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된다. 즉,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제 1 및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 Pump_Act 2)는 디스에이블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펌프회로(500a)를 포함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면, SRAM과 같은 형태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전에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를 활성화하여 보조 펌프만을 동작시키고, 프로그램 동작 시에 칩 인에이블 신호(nCE)를 활성화하여 보조 펌프 및 메인 펌프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동작 전에 미리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 시에 프로그램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_셋업 모드에서, 메인 펌프는 동작하지 않고 보조 펌프만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펌프회로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펌프회로(500b)는 보조 펌프(510), 메인 펌프(520), 그리고 펌프 컨트롤러(530b)를 포함한다. 보조 펌프(510) 및 메인 펌프(520)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펌프 컨트롤러(530b)는 제 1 펄스 발생회로(531b), 제 2 펄스 발생회로(532b), 제 3 펄스 발생회로(533b), 제 1 래치회로(534), 그리고 제 2 래치회로(535)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래치회로(534, 535)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 1 펄스 발생회로(531b)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제 1 펄스 신호(PUL_1b)를 발생한다. 제 1 펄스 발생회로(531a)는 제 1 검출기(61), 제 1 인버터(INV1), 제 1 AND 게이트(AND1), 그리고 제 1 펄스 발생기(51)를 포함한다.
제 2 펄스 발생회로(532b)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를 인에이블 하기 위한 제 2 펄스 신호(PUL_2b)를 발생한다. 제 2 펄스 발생회로(532b)는 제 2 검출기(62), 제 2 인버터(INV2), 제 2 AND 게이트(AND2), 그리고 제 2 펄스 발생기(52)를 포함한다.
제 3 펄스 발생회로(533b)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에 응답하여 제 1 및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 Pump_Act 2)를 디스에이블 하기 위한 제 3 펄스 신호(PUL_Fb)를 발생한다. 제 3 펄스 발생회로(533b)는 내부 타이머(71)와 제 3 펄스 발생기(53)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펄스 발생기(51, 52, 53)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펌프회로(500b)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펌프회로(500b)의 동작이 설명된다.
펌프_셋업 모드에서,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토글(toggle)하면, 제 1 펄 스 발생회로(531b)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i 천이(예를 들면, i=1. 이하에서는 i=1이라고 가정한다.)를 검출하여 제 1 펄스 신호(PUL_1b)를 발생한다. 즉, 제 1 검출기(61)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1 천이를 검출하고, 제 1 천이 검출신호(nWE_1st)를 발생한다. 제 1 천이 검출신호(nWE_1st)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제 1 AND 게이트(AND1)의 출력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때 제 1 펄스 발생기(51)는 제 1 펄스 신호(PUL_1b)를 발생한다. 제 1 펄스 신호(PUL_1b)가 하이 레벨로 될 때, 제 1 래치회로(534)는 제 1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를 인에이블 한다. 펌프_셋업 모드에서는 보조 펌프(510)만 동작한다.
펌프_액티브 모드에서, 제 2 펄스 발생회로(532b)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j 천이(예를 들면, j=4. 이하에서는 j=4라고 가정한다.)를 검출하여 제 2 펄스 신호(PUL_2b)를 발생한다. 즉, 제 2 검출기(62)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4 천이를 검출하고, 제 4 천이 검출신호(nWE_4th)를 발생한다. 제 4 천이 검출신호(nWE_4th)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뀔 때, 제 2 AND 게이트(AND2)의 출력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바뀐다. 이때 제 2 펄스 발생기(52)는 제 2 펄스 신호(PUL_2b)를 발생한다. 제 2 펄스 신호(PUL_2b)가 하이 레벨로 될 때, 제 2 래치회로(535)는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2)를 인에이블 한다. 펌프_액티브 모드에서는 보조 펌프(510)와 메인 펌프(520)가 동시에 동작한다.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펌프_액티브 모드 동안에 데이터를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한다.
펌프_액티브 모드로 진입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Tpgm)이 지난 다음에, 제 3 펄스 발생회로(533b)는 제 3 펄스 신호(PUL_Fb)를 발생한다. 즉, 내부 타이머(71)는 제 4 천이 검출신호(nWE_4th)의 발생 시점부터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Tpgm)을 카운트한다. 내부 타이머(71)는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Tpgm)이 지난 다음에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 3 펄스 발생기(53)는 제 3 펄스 신호(PUL_Fb)를 발생한다. 제 3 펄스 신호(PUL_Fb)가 발생하면, 제 1 래치회로(534)의 제 4 NOR 게이트(NOR4)의 출력 및 제 2 래치회로(535)의 제 6 NOR 게이트(NOR6)의 출력은 로우 레벨로 된다. 즉, 제 4 천이 검출신호(nWE_4th)가 발생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Tpgm)이 지날 때, 제 1 및 제 2 펌프 액티브 신호(Pump_Act 1, Pump_Act 2)는 디스에이블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펌프회로(500b)를 포함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면, 노어 플래시 메모리(NOR Flash Memory)와 같은 형태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프로그램 동작 전에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1 천이를 검출하여 보조 펌프를 동작하고, 프로그램 동작 시에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제 4 천이를 검출하여 보조 펌프뿐만 아니라 메인 펌프도 동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동작 전에 이미 보조 펌프를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 시에 프로그램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_셋업 모드에서, 메인 펌프는 동작하지 않고 보조 펌프만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 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 동작 전에 이미 보조 펌프를 동작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 시에 프로그램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_셋업 모드에서, 메인 펌프는 동작하지 않고 보조 펌프만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23)

  1. 상 변화 물질을 갖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쓰기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펌프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회로는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그램 동작 전에 미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회로는,
    상기 프로그램 동작 전에 동작하는 보조 펌프;
    상기 프로그램 동작 시에 동작하는 메인 펌프; 및
    상기 외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동작 전에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고,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보조 펌프와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어신호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인에이블될 때 제 1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펄스 발생회로;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제 2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펄스 발생회로;
    상기 제 1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1 래치회로; 및
    상기 제 2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2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제 3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3 펄스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회로는 상기 제 3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i는 자연수)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j는 자연수, j>i)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램 시간을 카운트하는 내부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제 1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펄스 발생회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여 제 2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펄스 발생회로;
    상기 제 1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1 래치회 로; 및
    상기 제 2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는 제 2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컨트롤러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고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제 3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제 3 펄스 발생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래치회로는 상기 제 3 펄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 번째 천이를 검출하는 제 1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를 검출하는 제 2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펄스 발생회로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가 발생한 다음에,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을 카운트하는 내부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17. 메모리 셀에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쓰기 드라이버; 및 상기 쓰기 드라이버의 전류 공급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펌프회로를 포함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동작 전에 상기 펌프회로의 보조 펌프를 미리 동작시키는 펌프 셋업 단계; 및
    프로그램 동작 시에 상기 펌프회로의 메인 펌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쓰기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메모리 셀로 프로그램 전류를 공급하는 펌프_액티브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_액티브 단계에서 상기 보조 펌프와 상기 메인 펌프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는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 및 칩 인에이블 신호(nCE)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가 동작하고;
    상기 칩 인에이블 신호(nCE)가 인에이블될 때 상기 메인 펌프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_액티브 단계 다음에,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가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하는 펌프_오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펌프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i(i는 자연수) 번째 천이에 동기 되어 동작하고; 상기 메인 펌프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j는 자연수, j>i) 번째 천이에 동기 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nWE)의 j 번째 천이 다음에 소정의 프로그램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보조 펌프 및 상기 메인 펌프의 동작을 중단하는 펌프_오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방법.
KR1020050086619A 2005-09-16 2005-09-16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KR10075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19A KR100757410B1 (ko) 2005-09-16 2005-09-16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11/319,373 US7471553B2 (en) 2005-09-16 2005-12-29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thereof
JP2006246069A JP2007087568A (ja) 2005-09-16 2006-09-11 相変化メモリ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方法
CN2006101322915A CN1933023B (zh) 2005-09-16 2006-09-18 相变存储装置及其编程方法
US12/168,742 US7751234B2 (en) 2005-09-16 2008-07-07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program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619A KR100757410B1 (ko) 2005-09-16 2005-09-16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427A true KR20070032427A (ko) 2007-03-22
KR100757410B1 KR100757410B1 (ko) 2007-09-11

Family

ID=3787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619A KR100757410B1 (ko) 2005-09-16 2005-09-16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71553B2 (ko)
JP (1) JP2007087568A (ko)
KR (1) KR100757410B1 (ko)
CN (1) CN1933023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4619B2 (en) 2007-11-13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te driver circuit for phase-change memory, memory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KR101004679B1 (ko) * 2008-11-11 2011-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래밍 전류 검증방법
US8194447B2 (en) 2007-12-14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ance element with an improved write performance
US8456913B2 (en) 2010-09-03 2013-06-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ming current pulse
US8842484B2 (en) 2010-09-1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genera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voltage generator
US8964488B2 (en) 2007-12-14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ance element with an improved write performance
KR20190027193A (ko) * 2017-09-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사이즈를 감소한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738B1 (ko) * 2006-08-3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상변화 메모리 장치
TWI331343B (en) * 2007-03-28 2010-10-01 Nanya Technology Corp A compensation circuit and a memory with the compensation circuit
JP5503102B2 (ja) * 2007-07-04 2014-05-28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相変化メモリ装置
KR100882119B1 (ko) * 2007-07-24 2009-0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구동 방법
US7916544B2 (en) 2008-01-25 2011-03-29 Micron Technology, Inc. Random telegraph signal noise reduction scheme for semiconductor memories
JP2010123209A (ja) * 2008-11-20 2010-06-03 Elpida Memory Inc メモリ装置及びその書き込み方法
KR101086858B1 (ko) * 2009-04-15 2011-11-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라이트 전압을 생성하는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회로
JP2010283992A (ja) * 2009-06-04 2010-12-16 Elpida Memory Inc 電源電圧生成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1131552B1 (ko) 2010-02-24 2012-04-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 변화 메모리 장치
KR101866293B1 (ko) 2011-08-23 2018-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트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 그 구동 방법
US9053784B2 (en) * 2012-04-12 2015-06-09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t and reset voltages at the same time
CN112102858B (zh) 2019-02-27 2023-02-03 北京时代全芯存储技术股份有限公司 记忆体写入方法
KR20220151748A (ko) * 2021-05-07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420A (en) 1992-10-02 1994-01-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harge pump which operates on a low voltage power supply
US5412257A (en) 1992-10-20 1995-05-02 United Memories, Inc. High efficiency N-channel charge pump having a primary pump and a non-cascaded secondary pump
JPH06309868A (ja) 1993-04-26 1994-11-04 Hitachi Ltd 半導体記憶装置
KR0173934B1 (ko) * 1995-12-29 1999-04-01 김광호 내부전원전압 공급장치
US6359947B1 (en) * 1999-08-31 2002-03-19 Intel Corporation Split clock buffers for a negative charge pump
JP2001207960A (ja) * 2000-01-25 2001-08-0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空気調和装置
JP3835968B2 (ja) * 2000-03-06 2006-10-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3973857B2 (ja) * 2001-04-16 2007-09-12 日鉱金属株式会社 マンガン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TW559814B (en) * 2001-05-31 2003-11-01 Semiconductor Energy Lab Nonvolatile memor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6567296B1 (en) * 2001-10-24 2003-05-20 Stmicroelectronics S.R.L. Memory device
US6597603B2 (en) * 2001-11-06 2003-07-22 Atmel Corporation Dual mode high voltage power supply for providing increased speed in programming during testing of low voltage non-volatile memories
JP4249992B2 (ja) * 2002-12-04 2009-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メモリセルの書き込み並びに消去方法
WO2004084228A1 (en) * 2003-03-18 2004-09-30 Kabushiki Kaisha Toshiba Phase change memory device
KR100549345B1 (ko) 2003-08-25 2006-0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전압 공급 회로 및 고전압 공급 방법
EP1548744A1 (en) * 2003-12-23 2005-06-29 STMicroelectronics S.r.l. Fast reading, low power consumption memory device and reading method thereof
KR100674992B1 (ko) * 2005-09-08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4619B2 (en) 2007-11-13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te driver circuit for phase-change memory, memory including the same, and associated methods
US8194447B2 (en) 2007-12-14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ance element with an improved write performance
US8964488B2 (en) 2007-12-14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variable resistance element with an improved write performance
KR101004679B1 (ko) * 2008-11-11 2011-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래밍 전류 검증방법
US8456913B2 (en) 2010-09-03 2013-06-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ming current pulse
US8842484B2 (en) 2010-09-10 2014-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generator,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voltage generator
KR20190027193A (ko) * 2017-09-06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사이즈를 감소한 저항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87568A (ja) 2007-04-05
US7471553B2 (en) 2008-12-30
CN1933023B (zh) 2011-11-09
US20090003049A1 (en) 2009-01-01
KR100757410B1 (ko) 2007-09-11
US7751234B2 (en) 2010-07-06
US20070064473A1 (en) 2007-03-22
CN1933023A (zh) 200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10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KR100773095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7349245B2 (en) Non-volatile 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associated program-suspend-read operation
US8199603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variable-resistance memory cells and methods of programming the same
US8644061B2 (en)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performing program and verification operation
US7656719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generating program current and method thereof
KR100773398B1 (ko) 오티피 셀 어레이를 구비한 상 변화 메모리 장치
KR100745601B1 (ko)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읽기 방법
EP2387786B1 (en) Dynamic leakage control for memory arrays
US7511993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related programming method
JP7174596B2 (ja) メモリ装置、これを含むシステムオンチップ、及びメモリ装置の動作方法
US7352616B2 (en)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boosting charge pump and method of generating write driving voltage
US8223529B2 (en) Resistive memory devices, memory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input and output operations of the same
US20060066386A1 (en) Temperature compensated self-refresh circuit
KR20070008216A (ko) 구동전압 레벨을 변경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US9257177B2 (en) Write control circuits and write control methods
US6704237B2 (en) Circuits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supply voltages provided to memory arrays based on requested operations and methods of operating
KR20140028612A (ko) 라이트 드라이버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102051B1 (ko) 자동 부분 어레이 셀프 리프레쉬 장치
KR100327591B1 (ko) 프로그래머블 셀프리프레쉬 기능을 갖는 동기식 디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