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23A - 고주파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23A
KR20070031223A KR1020060086155A KR20060086155A KR20070031223A KR 20070031223 A KR20070031223 A KR 20070031223A KR 1020060086155 A KR1020060086155 A KR 1020060086155A KR 20060086155 A KR20060086155 A KR 20060086155A KR 20070031223 A KR20070031223 A KR 2007003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output
inpu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우메다
아츠히토 데라오
모토요시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8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223A/ko
Publication of KR2007003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H04B2001/305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using dc offset compens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가 공급됨과 더불어, 이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미리 정해진 역치를 비교하는 레벨 판정기와, 이 레벨 판정기의 출력과 제어부의 사이에 삽입된 구동부를 설치하고, 레벨 판정기는 신호 레벨이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부를 동작시켜 제어부를 구동시킨다.

Description

고주파 수신 장치{HIGH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용 TV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고주파 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구동된 휴대용 TV 등에 사용되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고주파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의 고주파 수신 장치 등의 수신 방식으로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일본 특개 2003-134183호 공보는, 전원 전압의 저전압화에 대응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하, 그러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수신 방식을 사용한 종래의 휴대용 TV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4는 종래의 휴대용 TV에 사용되는 고주파 수 신 장치(201)의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종래의 고주파 수신 장치(201)에는, 안테나(203)와, 이 안테나(203)로 수신한 신호로부터 희망 채널을 선국하는 전자 튜너(205)와, 전자 튜너(205)로부터 출력되는 I, Q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07)와, 이 복조부(207)에서 복조된 신호를 디코드하는 디코더(209)와, 이 디코더(209)의 출력이 공급된 표시기(211) 및 스피커(213)를 갖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TV(201)에 있어서의 전자 튜너(205)의 입력 단자(215)에는 안테나(203)에 공급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밴드패스 필터(217)는, 입력 단자(215)에 입력된 고주파 신호 중에서 수신 대역의 주파수를 통과시킨다. 밴드패스 필터(217)를 통과한 신호는 증폭기(219)에서 소정의 신호 레벨까지 증폭되어,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혼합 회로(221)에 공급된다.
이 혼합 회로(221)는, 혼합기(223a), 혼합기(223b)와 이상기(移相器)(2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혼합기(223a), 혼합기(223b)에서의 한쪽의 입력에는 증폭기(219)의 출력이 공급되고, 다른쪽의 입력에는 국부 발진기(227)의 발진 신호가 이상기(225)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의해, 혼합 회로(221)는, 증폭기(219)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국부 발진기(227)의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고주파 신호를 위상이 서로 90도 다른 I, Q 신호로 직접 변환한다. 또한, 국부 발진기(227)에는 PLL 회로(229)가 루프 접속되어 있다.
I, Q 신호의 각각은, 로우패스 필터(231a, 231b)를 통해 출력 단자(233a), 출력 단자(233b)로부터 각각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튜너(205)로부터 출력된 I, Q 신호는 복조부(207)에 공급된다. 이 복조부(207)는, I, Q 신호가 각각에 공급되 는 A/D 변환기(235a, 235b)와, 복조기(237)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사용한 회로는 집적 회로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중요시되는 휴대용 TV(201) 등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은, 혼합 회로(221)에서 발생하는 DC 오프셋 전압에 의해 수신 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여, 수신 품질을 열화시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사용한 수신 회로에서는, DC 오프셋전압을 억제하는 제어 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 루프에 있어서, A/D 변환기(235a, 235b)의 각각의 출력을 검출기(239a, 239b)에 입력함으로써, 검출기(239a), 검출기(239b)는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기(239a), 검출기(239b)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부(241a), 제어부(241b)에 공급함으로써, 제어부(241a), 제어부(241b)는, 검출된 DC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캔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혼합기(223a), 혼합기(223b)와 로우패스 필터(231a), 로우패스 필터(231b)의 사이의 각각에, 합성기(243a) 또는 합성기(243b)를 삽입하고, 이들 합성기(243a, 243b)에 캔슬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DC 오프셋 전압을 캔슬하고 있다.
휴대용 TV와 같은 배터리 구동의 장치에 사용하는 고주파 수신 장치(201)에서는, 특히 소비 전류가 작은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고주파 수신 장치(201)에 있어서의 제어부(241a)와 제어부(241b)에서는, 상시 검출기(239a)와 검출기(239b)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확인하여, 합성기(243a) 또는 합성기(243b)에 공급하는 캔슬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시 제어 루프가 동작 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전류가 커진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고주파 수신 장치는, 입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한쪽의 입력에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의 입력에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가 공급되어, 서로 위상이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혼합 회로와, 혼합 회로의 출력이 공급된 억압부와, 억압부의 출력이 공급된 출력 단자와, 혼합 회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검출기의 출력과 억압부의 입력의 사이에 삽입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검출기가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한 경우에, 제어부가 억압부에 대해 DC 오프셋 전압을 억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국부 발진기와 혼합기의 사이에는, 발진 신호가 공급됨과 더불어,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미리 정해진 역치를 비교하는 레벨 판정기와, 레벨 판정기의 출력과 제어부의 사이에 삽입된 구동부를 설치하고, 레벨 판정기는 신호 레벨이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부를 동작시켜 제어부를 구동시킨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용 TV(44)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TV(44)의 본체부(45)에는, 수신을 희망하는 채널이나, 전원의 ON·OFF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 키(47)가 배열된다. 표시부(49)에는, 액정의 표시기(11)가 배치되어 있고, 본체부(45)와 표시부(49)의 사이는, 힌지(51) 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는, 본체부(45)측에 내장되어 있고, 휴대용 TV(44)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수신한 TV 방송을 표시기(11)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고주파 수신 장치(52)에 있어서, 안테나(3)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전자 튜너(53)에서 수신된다. 이 전자 튜너(53)로 선국된 신호는, 복조부(7)로 공급되어 복조되고, 디코더(9)를 통해 표시기(11)나 스피커(13)로부터, 영상이나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고주파 신호는, 디지털 변조된 소위 디지털 TV 방송이며, 1채널의 약 90MHz부터 62채널의 약 770MHz까지의 주파수의 고주파 신호이다.
다음에, 전자 튜너(53)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 튜너(53)의 입력 단자(55)에 입력된 방송 신호는, 밴드패스 필터(17)에 의해 불필요한 주파수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밴드패스 필터(17)의 출력이 증폭기(19)로 입력된다. 여기서, 휴대용 TV(44)와 휴대전화가 일체화된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밴드패스 필터(17)에서 불필요한 주파수의 신호를 충분히 감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방송 신호의 신호 레벨에 비해 대단히 큰 신호 레벨의 휴대 전화의 캐리어 신호를 밴드패스 필터(17)로 제거함으로써, 증폭기(19)나, 이 증폭기(19)의 후단에 접속되는 혼합기(23a), 혼합기(23b)에서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증폭기(19)의 출력은 혼합 회로(21)에 공급된다. 이 혼합 회로(21)는, 혼합기(23a), 혼합기(23b)와, 이상기(25)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각각의 혼합기(23a), 혼합기(23b)의 한쪽의 입력에는 증폭기(19)의 출력이 공급되고, 다른쪽의 입력에는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가 이상기(25)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의해, 혼합 회로(21)는, 증폭기(1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고주파 신호를 위상이 서로 90도 다른 I, Q 신호로 직접 변환한다. 그를 위해 이상기(25)는, 혼합기(23a)와 혼합기(23b)에 대해, 서로 위상이 90도 다른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국부 발진기(27)에는 PLL 회로(29)가 루프 접속되어 있다.
I, Q 신호의 각각은,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를 통해 출력 단자(33a), 출력 단자(33b)로부터 각각에 출력된다. 그리고 전자 튜너(53)로부터 출력된 I, Q 신호는 복조부(7)에 공급된다. 이 복조부(7)에는, I, Q 신호가 각각에 공급되는 A/D 변환기(35a), A/D 변조기(35b)와, 이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의 출력과 디코더(9)의 사이에 설치된 복조기(37)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사용한 회로는 집적 회로화에 적합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중요시되는 휴대용 TV 등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은, 혼합 회로(21)에서 발생하는 DC 오프셋 전압에 의해 수신 신호에 왜곡이 발생하여, 수신 품질을 열화시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을 사용한 수신 회로에서는, DC 오프셋전압을 억제하는 제어 루프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어 루프에서는, A/D 변환기 (35a), A/D 변환기(35b)의 각각의 출력을 검출기(39a), 검출기(39b)에 입력하고,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사용해,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기(39a), 검출기(39b)의 각각의 출력을 제어부(41a), 제어부(41b)에 공급함으로써, 제어부(41a), 제어부(41b)는, 검출된 DC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캔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혼합기(23a), 혼합기(23b)와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의 사이의 각각에, 억압부로서의 합성기(43a) 및 합성기(43b)를 삽입한다. 그리고 이들 합성기(43a), 합성기(43b)에 캔슬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캔슬 신호와 혼합기(23a), 혼합기(23b)의 각각의 출력을 합성시킨다. 이에 의해 합성기(43a), 합성기(43b)에서 DC 오프셋 전압과 캔슬 신호가 합성되어, DC 오프셋 전압이 억압된다. 또한, 이들 합성기(43a), 합성기(43b)는,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보다도 상류, 즉 그들의 입력 단자보다도 혼합 회로(21)측이면, DC 오프셋 전압을 캔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국부 발진기(27)의 출력과 제어부(41a, 41b)의 사이에는, 레벨 판정기(57)와, 이 레벨 판정기(57)의 출력이 접속된 구동부(61)가 삽입된다. 그리고 레벨 판정기(57)에는 메모리(59)가 접속된다. 또한 메모리(59)에는, 하한치와, 이 하한치에 규정의 전압값을 더해 상한치로 한 상하한의 역치가 기억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벨 판정기(57)는, 국부 발진기(27)로부터 입력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메모리(59)에 기억된 역치를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41a), 제어부(41b)의 출력은 레벨 판정기(57)에 접속된다.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고주파 수신 장치(52)에 있어서, DC 오프셋 전압이 변화하는 원인에 관해 검토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와 같은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에 있어서의 DC 오프셋 전압의 발생 요인은, 혼합기(23a)나 혼합기(23b)에서의 자기 믹싱에 의한 것이나, 혼합기(23a)나 혼합기(23b)가 평형 회로로 구성되는 것에 의한 2조의 트랜지스터나 저항 등의 특성차에 의한 것이라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발명자들은 특히 이러한 DC 오프셋 전압이, 온도 변동에 따라 변화하기 쉽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온도에 따라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변화하는 것에 착안하여,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지함으로써 온도 변동을 검지하는 것을 착상했다. 즉, 레벨 판정기(57)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여, 이 레벨 판정기(57)에 있어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변화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만, DC 오프셋을 억압하는 제어 루프를 동작시키는 구성을 검토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변화한 경우는, 온도가 변화하고, DC 오프셋 전압도 변화한 것으로 간주하여 제어 루프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온도의 변화가 역치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어부(41a), 및 제어부(41b)가 OFF가 되므로, 저소비 전력의 고주파 수신 장치(52)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1a, 41b)만을 OFF로 했으나, 이 외에 검출기(39a, 39b)도 OFF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더욱 소비 전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주파 수신 장치(52)에 있어서, DC 오프셋 전압을 억제하는 동작에 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레벨 판정기(57)는, 국부 발 진기(27)로부터 입력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파하여, 이 검파한 신호 레벨과 메모리(59)에 기억된 역치를 비교한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메모리(59)에는,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상한치와 하한치의 역치가 격납된다. 이에 의해 레벨 판정기(57)는,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역치를 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구동부(6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신호가 입력된 구동부(61)는, 제어부(41a), 제어부(41b)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넘었다고 레벨 판정기(57)가 판정한 경우에는, 메모리(59)에 격납된 역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한치보다도 크다고 레벨 판정기(57)가 판정한 경우에는, 레벨 판정기(57)는 메모리(59)에 기억되어 있던 상한치를 새로운 하한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한다. 또한, 레벨 판정기(57)는 이 새로운 하한치에 규정 전압치를 더한 값을 새로운 상한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한다.
한편,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한치보다 작다고 레벨 판정기(57)가 판정한 경우에는, 레벨 판정기(57)는 메모리(59)에 기억되어 있던 하한치를 새로운 상한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한다. 또한, 레벨 판정기(57)는 이 새로운 상한치로부터 규정 전압치를 뺀 값을 새로운 하한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레벨 판정기(57)가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판정하기 위한 역치를 새로운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레벨 판정기(57)로 온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역치로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절대치를 사용해, 이 값의 변화를 사용하여 온도의 변화를 검출한다. 따라서, 가령, 온도에 대해 국부 발진기(27)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변화가 비직선이라 해도, 용이하게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메모리(59)에 기억시키는 역치는, 온도와 대응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레벨 판정기(57)가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부(61)에 대해 제어부(41a), 제어부(41b)를 구동시킨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61)는, 제어부(41a), 제어부(41b)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어부(41a), 제어부(41b)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 루프가 동작하여, 제어부(41a), 제어부(41b)는 검출한 DC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음전압의 캔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억압부로서의 합성기(43a), 합성기(43b)는, 캔슬 신호와 혼합기(23a), 혼합기(23b)의 출력을 합성함으로써 DC 오프셋 전압을 억압한다.
다음에, 제어 루프가 실행된 후에, 제어부(41a), 제어부(41b)에서 DC 오프셋전압이 0 또는 최소, 또는 최적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1a), 제어부(41b)는 제어가 완료했다는 취지의 종료 신호를 레벨 판정기(57)에 출력한다. 그리고 레벨 판정기(57)는 이 종료 신호를 수취하면, 구동부(61)에 대해 제어부(41a), 제어부(41b)의 동작을 OFF시킨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구동부(61)는 제어부(41a), 제어부(41b)로 공급하는 구동 전원을 OFF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41a), 제어부(41b)에서 DC 오프셋 전압이 0 또는 최소, 또는 최적 상태라고 판정했을 때, 레벨 판정기(57)의 지시에 의해 제어부(41a), 제어부(41b)는 OFF 상태가 되는데, 합성기(43a), 합성기(43b)에 공급하고 있던 전압은 그대로 유지되어, 합성기(43a), 합성기(43b)에 계속해서 공급된다. 이에 의해, 그 후에도 DC 오프셋 전압의 캔슬은 계속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메모리(59)에 격납한 상한치와 하한치를 변화시켰으나, 레벨 판정기(57)가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했을 때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신호 레벨 기준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하고, 또한 역치는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변동폭을 고정된 상하한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레벨 판정기(57)는, 이후에 입력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신호 레벨 기준치의 레벨차를 검출하여, 이 레벨차와 고정된 역치를 비교함으로써, 온도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레벨 판정기(57)는 입력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신호 레벨 기준치의 레벨차가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전회 제어 루프를 동작시켰을 때 입력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새로운 신호 레벨 기준치로서 메모리(59)에 격납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전회 제어 루프가 동작한 시점으로부터의 온도 변동량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 루프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혼합 회로(21)와 국부 발진기(27), PLL 회로(29), 합성기(43a), 합성기(43b),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 제어부(41a), 제어부(41b), 레벨 판정기(57), 구동부(61)는 모두 1개의 집적 회로 내에 구성된다. 이에 의해, 소형의 고주파 수신 장치(52)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혼합기(23a), 혼합기(23b)와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의 사이에 합성기(43a), 합성기(43b)를 삽입했는데, 이들 합성 기(43a), 합성기(43b)는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와 출력 단자(33a), 출력 단자(33b)의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검출기(39a), 검출기(39b)는,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의 출력으로부터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부(41a), 제어부(41b)는 디지털 신호로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가 용이하다. 또, 복조를 위해 설치된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를 유용하므로, 별도로 A/D 변환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A/D 변환기(35a), A/D 변환기(35b)의 출력을 검출기(39a), 검출기(39b)에 공급했으나, 이것은 적어도 합성기(43a), 합성기(43b)보다 하류, 즉 출력 단자(33a), 출력 단자(33b)측의 신호이면 된다. 예를 들면, 검출기(39a), 검출기(39b)로의 입력 신호를 합성기(43a), 합성기(43b)와 출력 단자(33a), 출력 단자(33b)의 사이로부터 공급하면, 제어 루프를 전자 튜너(53) 내에서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검출기(39a), 검출기(39b)도 포함해 집적 회로 내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소형의 전자 튜너(53)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에 관해 도면을 사용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의 회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번호를 사용해 그 설명은 간략화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TV에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는, 안테나 (3)와, 이 안테나(3)로 수신한 신호로부터 희망 채널을 선국하는 전자 튜너(65), 이 전자 튜너(65)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86)와, 이 복조부(86)로 복조된 신호를 디코드하는 디코더(9)와, 이 디코더(9)의 출력이 공급된 표시기(11) 및 스피커(13)를 갖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전자 튜너(65)는, 전자 튜너(53)와 동일하게, 안테나(3)로부터 공급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 단자(66), 밴드패스 필터(17), 증폭기(19)를 통해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제1 혼합 회로로서의 혼합 회로(21)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혼합 회로(21)에서는, 이 고주파 신호와 국부 발진기(2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혼합함으로써, 직접 I 신호와 Q 신호를 취출하고 있다. 그리고, 혼합 회로(21)로부터 출력된 I 신호와 Q 신호의 각각은,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에 대해 각각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에는,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의 각각의 출력이, 그 한쪽의 입력에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의 입력에는 고정 발진기(69)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2 혼합 회로로서의 혼합 회로(71)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고정 발진기(69)는 57MHz의 주파수의 고정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이다. 그리고 혼합 회로(71)는, 고정 발진기(69)의 출력과 I 또는 Q 신호를 혼합하여, 57MHz의 주파수의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한다.
이 혼합 회로(71)는 혼합기(73a)와 혼합기(73b)를 갖고 있고,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의 출력이 혼합기(73a)와 혼합기(73b)의 각각에 공급된 다. 또한, 고정 발진기(69)에는 PLL 회로(75)가 루프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혼합기(73a)와 혼합기(73b)의 다른쪽의 입력과 고정 발진기(69)의 사이에는 이상기(77)가 삽입되어 있다. 이 이상기(77)는, 혼합기(73a)와 혼합기(73b)에 대해, 각각 이상이 90도 다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서, 고정 발진기(69)로부터 출력된 발진 신호의 이상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합성기(79)의 입력에는, 이들 혼합기(73a)와 혼합기(73b)의 출력이 공급되어, 이들 출력 신호가 합성된다. 이 합성기(79)에서 합성된 신호는, 밴드패스 필터(81)를 통해 출력 단자(82)로부터 복조부(86)에 출력된다.
즉,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는, 혼합 회로(21)와 혼합 회로(71) 및 합성기(79)에 의해, 소위 웨이버 방식의 고주파 수신 장치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합성기(79)의 입력에는, 서로 동위상이 된 2개의 중간 주파 신호가 입력된다. 이 때, 이미지 신호는, 위상이 서로 180도 다른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합성기(79)에 있어서 이미지 신호는 캔슬되게 된다. 또한, 혼합기(73a), 혼합기(73b)에서는, 혼합기(23a)와 혼합기(23b)로부터 출력된 DC 오프셋 전압이 고정 발진기(69)의 신호와 혼합된다. 이에 의해, 혼합기(73a), 혼합기(73b)로부터 DC 오프셋 전압이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이후, 변환 DC 오프셋 신호라고 한다)가 출력된다.
밴드패스 필터(81)는 합성기(79)와 출력 단자(82)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 밴드패스 필터(81)의 출력은 검출기(83)의 입력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검출기(83)는, 혼합 회로(71)의 출력 신호 중에서 변환 DC 오프셋 신호를 검출한다. 이 검출기(83)의 출력은 제어부(85)의 입력에 접속된다. 그리고 이 제어부(85)의 출력은, 로우패스 필터(31a)와 혼합기(73a)의 사이에 설치된 억압부로서의 합성기(87a)와, 로우패스 필터(31b)와 혼합기(73b)의 사이에 설치된 억압부로서의 합성기(87b)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85)는, 변환 DC 오프셋 신호를 부정하기 위해서, 검출기(83)로 검출한 변환 DC 오프셋 신호에 따른 캔슬 신호를 발생시켜, 합성기(87a), 합성기(87b)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합성기(87a), 합성기(87b)에서, DC 오프셋 전압과 각각의 캔슬 신호가 합성됨으로써, DC 오프셋 전압이 캔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로우패스 필터(31a)와 혼합기(73a)의 사이, 및 로우패스 필터(31b)와 혼합기(73b)의 사이에 억압부로서의 합성기(87a), 합성기(87b)를 각각 설치했는데, 이것은, 로우패스 필터(31a)와 혼합기(23a)의 사이, 및 로우패스 필터(31b)와 혼합기(23b)의 사이나, 혼합기(73a)와 합성기(79)의 사이, 및 혼합기(73b)와 합성기(79)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또, 억압부로서의 합성기(87a), 합성기(87b)는 합성기(79)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합성기(87a), 합성기(87b)는 사용하지 않고, 억압부로서 합성기(79)가 사용된다. 즉, 합성기(79)에는, 제어부(85)에서 발생시킨 캔슬 신호가 직접 공급되어, 이 합성기(79)에 의해 혼합기(23a)에서 발생한 DC 오프셋 전압과, 혼합기(23b)에서 발생한 DC 오프셋 전압과, 캔슬 신호를 한번에 합성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회로 규모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더욱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레벨 판정기(57)나 구동부(61)나 메모리 (59)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고, 레벨 판정기(57)는, 고정 발진기로부터 입력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메모리에 기억된 역치와 비교한다. 그리고, 입력한 신호 레벨이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부(61)에 대해, 제어부(85)를 구동시킨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제어 루프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온도가 변화한 경우에, 제어 루프가 동작되기 때문에, 저소비 전력의 고주파 수신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레벨 판정기(57)는, 고정 발진기(69)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것이며, 또 제어부(85)로부터 제어가 완료했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61)에 대해 제어부(85)를 OFF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이 제어 루프가 동작된 뒤에, 제어부(85)에서 변환 DC 오프셋 신호가 0 또는 최소, 또는 최적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85)는 제어가 완료했다는 취지의 종료 신호를 레벨 판정기(57)에 출력한다. 그리고 레벨 판정기(57)는 이 종료 신호를 수취하면, 구동부(61)에 대해 제어부(85)의 동작을 OFF시킨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구동부(61)는 제어부(85)를 OFF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85)가, 변환 DC 오프셋 전압이 0 또는 최소, 또는 최적 상태라고 판정했을 때, 레벨 판정기(57)의 지시에 의해 제어부(85)는 OFF 상태가 되지만, 합성기(87a), 합성기(87b) 또는 합성기(79)에 공급하고 있는 캔슬 신호는 그대로 유지되어, 합성기(87a), 합성기(87b) 또는 합성기(79)에 계속해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고주파 수신 장치(64)에서는, 웨이버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미지 신호의 억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레벨 판정기(57)에서는, 고정 발진기(69)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므로, 수신하고 싶은 희망 채널의 주파수에 의한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의 변동이 일어나기 힘들다. 따라서, 레벨 판정기(57)에서의 온도 변화의 판정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검출기(83)로의 입력 신호는 밴드패스 필터(81)와 출력 단자(82)의 사이로부터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루프를 전자 튜너(65) 내에서 구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혼합 회로(21)와 국부 발진기(27, 69), PLL 회로(29, 75), 합성기(79), 합성기(87a), 합성기(87b), 로우패스 필터(31a), 로우패스 필터(31b), 제어부(85), 레벨 판정기(57), 구동부(61)에 추가해 검출기(83)도 포함해서 집적 회로 내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소형의 전자 튜너(65)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부는 레벨 판정기에서 신호 레벨이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구동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적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레벨 판정기는, 온도 변동에 따라 신호 레벨이 변화하기 쉬운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검출하기 때문에, 특히 온도 변동에 따른 DC 오프셋 전압의 발생을 억압할 수 있다.

Claims (11)

  1.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한쪽의 입력에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의 입력에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가 공급되어, 서로 위상이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혼합 회로와,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이 공급된 억압부와,
    상기 억압부의 출력이 공급된 출력 단자와,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억압부의 입력의 사이에 삽입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가 상기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억압부에 대해 상기 DC 오프셋 전압을 억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와 상기 혼합기의 사이에는, 상기 발진 신호가 공급됨과 더불어,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미리 정해진 역치를 비교하는 레벨 판정기와,
    상기 레벨 판정기의 출력과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삽입된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신호 레벨이 상기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고주파 수신 장치.
  2.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가 한쪽의 입력에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의 입력에 국부 발진기의 발진 신호가 공급되는 다이렉트 컨버젼 방식의 제1 혼합 회로와,
    상기 제1 혼합 회로의 출력이 상기 한쪽의 입력에 공급됨과 더불어, 상기 다른쪽의 입력에는 고정 발진기의 출력이 공급된 제2 혼합 회로와,
    상기 제2 혼합 회로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신호를 합성하는 합성기와,
    상기 합성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출력 단자와,
    상기 제1 혼합 회로와 상기 제2 혼합 회로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혼합 회로와 상기 합성기의 사이 중 어느 한쪽에 삽입된 억압부와,
    상기 제1 혼합 회로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의 출력과 상기 억압부의 입력의 사이에 삽입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가 상기 DC 오프셋 전압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억압부에 대해 상기 DC 오프셋 전압을 억압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와 상기 고정 발진기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출력되는 발진 신호가 공급됨과 더불어,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과 미리 정해진 역치를 비교하는 레벨 판정기와,
    상기 레벨 판정기의 출력과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삽입된 구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신호 레벨이 상기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제어부를 구동시키는 고주파 수신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기에는 상기 역치의 상한치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접속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한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상한치에 미리 정해진 값을 더한 값을 새로운 상한치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역치의 하한치가 기억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한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상한치를 새로운 하한치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기에는 상기 역치의 하한치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접속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한치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하한치에 미리 정해진 값을 뺀 값을 새로운 하한치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역치의 상한치가 기억되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이 하한치보다 작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하한치를 새로운 상한치로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기에 접속된 상기 메모리에는, 미리 역치와 신호 레벨 기준치를 기억시키고, 상기 레벨 판정기는 입력된 신호 레벨과 상기 신호 레벨 기준치의 레벨차가 상기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기는 입력된 상기 신호 레벨과 상기 신호 레벨 기준치의 레벨차가 상기 역치를 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입력된 신호 레벨의 값을 새로운 신호 레벨 기준치로서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DC 오프셋 전압을 제거하는 음전압의 캔슬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억압부는, 상기 캔슬 신호와 상기 혼합 회로의 출력을 합성하는 합성기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 혼합기에 의해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된 변환 DC 오프셋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서, 변환 DC 오프셋 신호와 위상이 180도 다른 캔슬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합성기는,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시킨 상기 캔슬 신호가 공급되고,
    상기 억압부는, 상기 캔슬 신호와 상기 제2 혼합 회로의 출력을 합성하는 상기 합성기로 한 고주파 수신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벨 판정기는, 상기 고정 발진기의 발진 신호의 신호 레벨을 판정하는 고주파 수신 장치.
KR1020060086155A 2005-09-14 2006-09-07 고주파 수신 장치 KR20070031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6155A KR20070031223A (ko) 2005-09-14 2006-09-07 고주파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6537 2005-09-14
KR1020060086155A KR20070031223A (ko) 2005-09-14 2006-09-07 고주파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23A true KR20070031223A (ko) 2007-03-19

Family

ID=4365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155A KR20070031223A (ko) 2005-09-14 2006-09-07 고주파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217B2 (en) On-chip calibration signal generation for tunable filters for RF communic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50265486A1 (en) Selecting clock frequencies for baseband devices
US7480496B2 (en) High-frequency receiver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WO2003063437A1 (fr) Appareil de reception de signal haute frequen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lui-ci
WO2002101947A1 (fr) Recepteur et circuit integre
KR20100110722A (ko) 노이즈 캔슬부와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470847B2 (ja) 高周波受信装置
WO2007125793A1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053836A (ja) 受信回路及び受信機
JP2001044872A (ja) 受信信号処理用半導体集積回路
KR20070031223A (ko) 고주파 수신 장치
JP2009010621A (ja) デジタル放送復調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復調方法
US8319899B2 (en) Front-end circuit, tuner, and television broadcasting receiver
KR20070080906A (ko) 위성 및 지상파 겸용 튜너
JP2007281653A (ja) 半導体集積回路、tv放送受信装置およびtv放送受信方法
EP2267908A1 (en) Recep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06251U (ko) 튜너의 비트개선회로
JP4743177B2 (ja) 受信装置
JP2006242708A (ja) 電子時計
JP4775740B2 (ja) 受信回路
JP2000299646A (ja) ダブルコンバージョンチューナ
KR101133350B1 (ko) Rf 신호처리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2008124680A (ja) 高周波受信装置
JP2005277912A (ja) チューナ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08294514A (ja) 高周波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