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980A -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980A
KR20070030980A KR1020050085489A KR20050085489A KR20070030980A KR 20070030980 A KR20070030980 A KR 20070030980A KR 1020050085489 A KR1020050085489 A KR 1020050085489A KR 20050085489 A KR20050085489 A KR 20050085489A KR 20070030980 A KR20070030980 A KR 2007003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shion
locking
push ro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5129B1 (ko
Inventor
오상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1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도어의 개방시에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쿠션이 자동적으로 돌출되게 하여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직접적으로 부딪쳐서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 탄성을 가진 쿠션과, 이 쿠션을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게 하거나 도어 내부로 수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쿠션이 장착된 링크수단, 이 링크수단을 도어의 측면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돌출한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링크수단에 외력을 가하는 후퇴수단, 이 후퇴수단에 의해 후퇴된 링크수단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을 상기 록킹수단에 연결시켜 상기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킹수단을 해방시키는 해방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protective device for side clash of door in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퇴로드의 도어 힌지쪽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과 가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도어 개방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도어 닫힘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외측 핸들과의 연결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도어 외측 핸들과 연결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도어 2-쿠션
3-내측 핸들 4-와이어
5-로커 6-복귀스프링
7-푸시로드 8-하우징
9-쿠션홀더 10-스프링
11-링크 12-후퇴로드
13-도어쪽 힌지 14-차체쪽 힌지
15-가이드 16-외측 핸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외측 핸들이나 내측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쿠션이 돌출하여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부딪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도어는 차실 내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차체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의 내측과 외측에는 도어 래치에 록킹된 도어를 해방시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 탑승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도어가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부딪쳐서 손상을 입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어의 외측 패널에 충격흡수용 쿠션을 부착하기도 하지만, 이는 자동차의 외관미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쿠션이 도어로부터 탈거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한 전자장치를 도어에 설치하여 도어가 주변 물체와 인접하게 되면 탑승자에게 경고해주도록 되어 있지만, 이는 원가상승의 한 요인으로 작 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구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도어의 개방시에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쿠션이 자동적으로 돌출되게 하여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직접적으로 부딪쳐서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탄성을 가진 쿠션과, 이 쿠션을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게 하거나 도어 내부로 수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쿠션이 장착된 링크수단, 이 링크수단을 도어의 측면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돌출한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링크수단에 외력을 가하는 후퇴수단, 이 후퇴수단에 의해 후퇴된 링크수단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을 상기 록킹수단에 연결시켜 상기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킹수단을 해방시키는 해방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링크수단이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쿠션이 그 일단에 고정되게 장착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이 안내이동되게 끼워지는 장공이 일단에 형성되 면서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 이 링크의 타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후퇴수단과 연결된 후퇴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퇴수단이 상기 후퇴로드의 선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도어쪽 힌지와, 이 도어쪽 힌지와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후퇴로드를 밀어주는 차체쪽 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푸시로드에 형성된 걸림턱과, 이 걸림턱과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걸림턱을 구비하고서 도어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로커 및, 상기 회전축의 설치되어 로커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해방조작수단이 상기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커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로커의 걸림턱과 상기 푸시로드의 걸림턱이 해방되도록 상기 로커와 상기 내측 핸들 및 외측 핸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가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을 조작하면 도어(1)의 측면으로부터 쿠션(2)이 자동적으로 돌출해서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직접적으로 부딪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설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도어의 내측 핸들(3)에 와이어(4)의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와이어(4)의 타단은 도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커(5)와 연결되고, 상기 로커(5)의 회전축에는 로커(5)를 복귀스프링(6)이 감겨져 있다.
이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내측 핸들(3)을 회동시키면 상기 와이어(4)가 당겨지면서 상기 로커(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내측 핸들(3)을 해방시키면 상기 로커(5)가 상기 복귀스프링(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로커(5)의 하부 외주면에는 대략 삼각형상을 한 걸림턱(5a)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5a)과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걸림턱(7a)을 구비한 푸시로드(7)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도어패널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7)의 일단은 도어패널에 장착된 대체로 ??자 향상을 한 하우징(8)을 관통해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8)내에 삽입된 일단에는 상기 쿠션(2)을 장착한 쿠션홀더(9)가 일체로 연동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푸시로드(7)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푸시로드(7)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0)이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7)의 타단은 힌지(11a)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링크(11)의 한쪽 부위에 링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1b)에 삽입되어 상기 장공(11b)을 따라 안내이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11)의 타단은 도어(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후퇴로드(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후퇴로드(12)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쪽 힌지(13)를 관 통하여 끼워져서 그 선단에 댐퍼(12a)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어쪽 힌지(13)는 차체쪽 힌지(14)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홀더(9)는 도어패널에 장착된 가이드(15)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안내이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데, 상기 쿠션홀더(9)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15)에 형성된 채널에 끼워지는 ??자 형상의 가이드 돌기(9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도어 개방시 작동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탑승자가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내측 핸들(3)을 회동시키면, 상기 내측 핸들(3)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4)가 당겨지면서 상기 로커(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로커(5)의 걸림턱(5a)에 걸려져 있던 푸시로드(7)의 걸림턱(7a)이 해방되면서 푸시로드(7)가 스프링(10)의 탄성복원력으로 도어의 측면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7)의 선단에 장착된 쿠션홀더(9)가 가이드(15)를 따라서 미끄럼이동하면서 쿠션(2)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도어의 외부로 돌출하게 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때에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부딪쳐서 손상을 입는 것을 상기 쿠션이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푸시로드(7)가 스프링(10)에 의해 도어 측면쪽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푸시로드에 연결된 링크(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이 링크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후퇴로드(12)는 도어쪽 힌지(13)로 돌출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도어 닫힘시 작동 상태도 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개방된 도어를 닫게 되면 차체쪽 힌지(14)가 회동되면서 도어쪽 힌지(13)를 관통해 돌출한 상기 후퇴로드(12)의 선단부를 눌러주게 되고, 이로 인해 후퇴로드(12)는 도어의 측면쪽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링크(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며, 이 링크의 회전운동으로 상기 푸시로드(7)가 안쪽으로 당겨지면서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한 쿠션(2)이 도어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되고, 상기 스프링(10)은 다시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저장하며, 상기 푸시로드(7)의 걸림턱(7a)은 복귀스프링(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로커(5)의 걸림턱(5a)과 다시 걸려져서 도 5의 상태와 같이 쿠션(2)이 도어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의 외측 핸들과의 연결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가 도어 외측 핸들과 연결된 상태도가 도시되어 바, 즉 상기 로커(5)의 내측 핸들(3)과 와이어(4)로 연결된 부분과 반대쪽에는 상기 로커(5)에 다른 와이어(4)를 매개로 외측 핸들(1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핸들(16)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와이어(4)가 원활하게 당겨지거나 이완될 수 있도록 와이어(4)의 이동경로상에 도르래(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상기 외측 핸들(16)을 회동시키면, 외측 핸들(16)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로커(5)가 내측 핸들을 조작할 때와 마찬가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나머지 부품들의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져서 상기 쿠션(2)이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도어의 측면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에 의하면,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탑승자가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을 조작하면, 각 핸들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도어 내부에 수납된 쿠션이 푸시로드에 의해 밀려져 도어 외부로 돌출함에 따라 도어의 개방시에 도어의 측면이 주변 차량이나 물체에 부딪쳐서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등의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소정 탄성을 가진 쿠션과, 이 쿠션을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게 하거나 도어 내부로 수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쿠션이 장착된 링크수단, 이 링크수단을 도어의 측면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의 측면을 통해 돌출한 상기 쿠션이 도어의 측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링크수단에 외력을 가하는 후퇴수단, 이 후퇴수단에 의해 후퇴된 링크수단을 록킹시키는 록킹수단,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내측 핸들과 외측 핸들을 상기 록킹수단에 연결시켜 상기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록킹수단을 해방시키는 해방조작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이 상기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쿠션이 그 일단에 고정되게 장착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이 안내이동되게 끼워지는 장공이 일단에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 이 링크의 타단이 힌지로 연결되면서 도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후퇴수단과 연결된 후퇴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에 장착된 쿠션홀더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쿠션홀더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과 인접하게 장착된 가이드에 끼워져서 안내이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쿠션홀더를 감싸는 형태로 도어에 설치된 하우징내에 수납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외주에 끼워져서 상기 쿠션홀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수단이 상기 후퇴로드의 선단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도어쪽 힌지와, 이 도어쪽 힌지와 연결되어 도어의 닫힘시에 상기 후퇴로드를 밀어주는 차체쪽 힌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로드의 선단이 도어쪽 힌지를 관통해서 끼워진 부위에는 고무 댐퍼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푸시로드에 형성된 걸림턱과, 이 걸림턱과 착탈가능하게 걸려지는 걸림턱을 구비하고서 도어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로커 및, 상기 회전축의 설치되어 로커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조작수단이 상기 내측 핸들이나 외측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커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로커의 걸림턱과 상기 푸시로드의 걸림턱이 해방되도록 상기 로커와 상기 내측 핸들 및 외측 핸들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KR1020050085489A 2005-09-14 2005-09-14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KR10070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89A KR100705129B1 (ko) 2005-09-14 2005-09-14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89A KR100705129B1 (ko) 2005-09-14 2005-09-14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980A true KR20070030980A (ko) 2007-03-19
KR100705129B1 KR100705129B1 (ko) 2007-04-09

Family

ID=4162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489A KR100705129B1 (ko) 2005-09-14 2005-09-14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5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54B1 (ko) * 2006-06-05 2008-08-26 장명규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CN106608165A (zh) * 2015-10-23 2017-05-0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及其车身、与车身相配合的控制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54B1 (ko) * 2006-06-05 2008-08-26 장명규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CN106608165A (zh) * 2015-10-23 2017-05-0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及其车身、与车身相配合的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129B1 (ko)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4268B2 (ja) 押上装置
JP4912318B2 (ja) 引き込み機構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US6460904B1 (en) Inner actuation for automobiles door locks
JP7351486B2 (ja) 格納式ドアハンドルの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操作方法
KR10082882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로크구조
US20070164581A1 (en) Protection device for motor vehicle
KR100705129B1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US6554344B2 (en) Fuel filler door catch for vehicles
KR200391927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
JP2005104173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KR101926878B1 (ko) 도어 엣지 프로텍터
JP200816238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US20210301566A1 (en) Lid lock unit attachment structure
JP4357462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4170601B2 (ja) ロック装置
JP200815582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200337407Y1 (ko) 충격 흡수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JP3239484B2 (ja) 収納ケース
KR100811223B1 (ko) 탄성지지구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5090956B2 (ja) ミラー装置
JP4415262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680384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JP200828488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2008155681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アーム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