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379A -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 Google Patents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379A
KR20070030379A KR1020050084983A KR20050084983A KR20070030379A KR 20070030379 A KR20070030379 A KR 20070030379A KR 1020050084983 A KR1020050084983 A KR 1020050084983A KR 20050084983 A KR20050084983 A KR 20050084983A KR 20070030379 A KR20070030379 A KR 2007003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door
intake
air conditioner
separation w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귀
이상률
임연우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379A/ko
Publication of KR2007003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층류 공조장치에서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내기 흡입구(66) 또는 외기 흡입구(65)를 개폐시키는 인테이크 도어(51)와,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풍기의 벨마우스(64) 일측에 설치된 분리벽(55)을 포함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51)가 상기 분리벽(55) 상에 위치되어 외기는 송풍팬(62)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기는 송풍팬(62)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끝단부에는 내기 또는 외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풍압에 의하여 상기 분리벽(55)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어 분리벽(55)의 양측을 차폐하는 실링부재(5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분리벽(55)과 인테이크 도어(51)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실링부재(53)를 통해 접촉되어 간섭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인테이크 도어, 분리벽, 차폐, 실링, 내기, 외기, 2층류, 공조장치

Description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Intake Door Sealing Assembly for 2 Layer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2와 도 3은, 종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구조의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6는, 종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의 예가 도시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인테이크 도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에서 각 모드별 공기 흐름이 도시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인테이크 도어 52: 도어축
53: 실링부재 53a: 메인부
53b: 날개부 53c: 에어포켓
54: 보조 실링부재 55: 분리벽
60: 케이스 61: 구동모터
62: 송풍팬 63: 분리판
64: 벨 마우스 65: 외기 흡입구
66: 내기 흡입구 67,68 : 송풍통로
본 발명은 2층류 공조장치에서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기와 외기를 분리시키는 분리벽과 인테이크 도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동 소음을 줄이고 분리벽 및 인테이크 도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 케이스(10)의 인테이크부에 설치되어 내기 흡입구(17) 또는 외기 흡입구(18)를 개폐시키는 인테이크 도어(16)와, 상기 인테이크 도어(16)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풍기의 벨마우스(14)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16)와 접촉되어 외기는 송풍팬(12)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기는 송풍팬(12)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리벽(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구조에 따르면, 인테이크 도어의 위치에 따라 내기 및/또는 외기가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어 실내로 송풍된다.
내기 순환모드에서는 인테이크 도어(16)가 외기 흡입구(17)를 차단하게 되므로, 내기 흡입구(18)를 통해 유입된 내기가 송풍팬(12)에 의해 송풍되어 송풍통로(19)(2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외기 순환모드에서는 인테이크 도어(16)가 내기 흡입구(18)를 차단하게 되므로, 외기 흡입구(17)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송풍통로(19)(2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2층류 모드인 경우에는 인테이크 도어(16)가 분리벽(15)에 접촉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내기 흡입구(18) 및 외기 흡입구(19)는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2)에 의해 내기와 외기가 모두 실내로 송풍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12)이 분리판(13)에 의해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외기 흡입구(17)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벨 마우스(14)를 통해 유입된 후 송풍팬(12)의 상부측과 외기 송풍통로(2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내기 흡입구(18)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분리벽(15)과 접촉된 인테이크 도어(16)로 인해 벨 마우스(14) 측이 아닌 측부 통로를 통해 송풍기의 내부로 유입되고, 송풍팬(12)의 하부측과 내기 송풍통로(19)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내기와 외기로 이루어진 2층류를 이용하여 두한족열과 같은 공조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즉, 내기가 순환되는 따뜻한 공기는 내기 송풍 통로(19)와 풋 덕트(도시 생략)를 통해 발쪽으로 공급되고, 외기가 공급되는 차가운 공기는 외기 송풍통로(20)와 페이스 덕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얼굴쪽으로 공급됨으로써, 발쪽은 따뜻하고 얼굴쪽은 차가운 두한족열(頭寒足熱)의 공조효과를 보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구조는, 인테이크 도어(16)의 단부와 분리벽(15)의 상단이 상호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간섭되는 인테이크 도어(16)의 단부 및 분리벽(15)의 상단이 마모되어 제품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인테이크 도어(16)와 분리벽(15)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인테이크 도어(16)의 구동에 따르는 저항이 증가되어 더 큰 구동력이 요구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테이크 도어(16) 및 분리벽(16)을 사출할 때 사출품의 수축 변형에 따라 둘 사이의 갭(Gap) 편차가 달라질 수 있고, 제품의 조립시 발생되는 공차로 인해 갭의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인테이크 도어(16)와 분리벽(15) 사이의 갭에서 에어 리크(Air Leak)가 일어나므로 내외기가 혼입되어 2층류 효과가 감소되고 갭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에 의한 유동 소음이 발생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층류 공조장치의 분리벽과 접촉되는 인테이크 도어에 분리벽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는 실 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분리벽과 인테이크 도어의 단부 사이의 간섭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실링부재를 메인부와 날개부로 구성하여 날개부가 분리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재와 분리벽 사이의 차폐 성능을 향상시켜 내외기의 혼합에 따르는 2층류 효과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벽의 상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날개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인테이크 도어의 구동에 따르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날개부의 형상변경을 통해 분리벽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외기의 혼합을 방지하고 누설 공기에 의한 소음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내기 흡입구 또는 외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인테이크 도어와, 상기 인테이크 도어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풍기의 벨마우스 일측에 설치된 분리벽과, 상기 인테이크 도어가 상기 분리벽 상에 위치되어 외기는 송풍팬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기는 송풍팬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2층류 공조장치의 인 테이크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의 끝단부에는 내기 또는 외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풍압에 의하여 상기 분리벽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어 분리벽의 양측을 차폐하는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리벽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상기 분리벽은 상단측 일부가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날개부는 상기 분리벽의 테이퍼면에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터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에어포켓을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벽의 상단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인테이크 도어의 실링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즉, 인테이크 도어(30)의 단부에 실링부재(31)를 장착하는 방법, 인테이크 도어(35)의 단부에 개구부의 측면(37)에 밀착되는 실링부재(36)를 양측으로 부착하는 방법 및 공기통로벽(43)에 소정의 돌출부(42)를 형성하고 인테이크 도어(40)의 단부에 부착된 실링부재(41)가 돌출부(42)를 접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단지 인테이크 도어의 측면부와 케이스 사이의 접촉과 관련된 기술에 불과하며, 2층류 공조장치와는 무관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2층류 공조장치에서 도어의 단부와 분리벽의 상단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갭을 없앨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인테이크 도어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에서 각 모드별 공기 흐름이 도시된 참고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는,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에 설치되어 내기 흡입구(66) 또는 외기 흡입구(65)를 개폐시키는 인테이크 도어(51)와,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풍기의 벨마우스(64)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와 접촉되어 외기는 송풍팬(62)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기는 송풍팬(62)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리벽(55)과,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벽(55)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것은 물론 내기 또는 외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풍압에 의하여 상기 분리벽(55)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어 분리벽(55)의 양측을 차폐하는 실링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53)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측면에서 도어 축(52)까지 결합되는 보조 실링부(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벽(55)은 선단측 일부가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회전중심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3)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부(53a)와, 상기 메인부(53a)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리벽(55)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53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벽(55)은 상단측 일부가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3)의 날개부(53b)는 상기 분리벽(55)의 테이퍼면에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53b)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에어포켓(53c)을 구비하거나, 상기 분리벽(55)의 상단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는 공조모드에 따라 인테이크 도어가 회전되어 내기 흡입구 및 외기 흡입구를 개폐시킴으로써 내기나 외기 또는 2층류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외기 모드에서는 인테이크 도어(51)가 내기 흡입구(66)를 차단하게 되는데, 인테이크 도어(51)에 부착된 실링부재(53)가 케이스(60)의 내기 흡입구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내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개방된 외기 흡입구(65)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벨 마우스(64) 및 측부 통로를 통해 송풍기의 내부로 공급되고, 구동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62)에 의해 송풍통로(67)(68)로 송풍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내기순환 모드에서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51)가 외기 흡입구(65)를 차단하게 되는데, 인테이크 도어(51)에 부착된 실링부재(53)가 케이스(60)의 외기 흡입구 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개방된 내기 흡입구(66)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벨 마우스(64) 및 측부 통로를 통해 송풍기의 내부로 공급되고, 송풍팬(62)의 회전에 의해 송풍통로(67)(68)로 송풍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2층류 모드에서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51)가 분리벽(55)에 접촉되어 내기 흡입구(66)와 외기 흡입구(65)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단부에 부착된 실링부재(53)의 날개부(53B)가 상기 분리벽(55)의 양측면에 밀착되므로, 분리벽(55)과 인테이크 도어(51)를 기준으로하여 내기부와 외기부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내기 흡입구(66)를 통해 유입된 내기는 측부 통로를 통해 송풍기의 내부로 유입되고, 분리판(63)에 의해 구획된 송풍팬(62)의 하부측과 내기 송풍통로(67)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외기 흡입구(65)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벨 마우스(64)를 통해 유입된 후 송풍팬(62)의 상부측과 외기 송풍통로(68)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때, 내기와 외기의 풍압에 의해 상기 날개부(53b)가 분리벽(55)의 양측면에 밀착되며, 그로 인해 내기와 외기가 완전히 차단되어 분리벽(55) 주위에서 내기와 외기가 혼합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는 내기와 외기가 동시에 실내로 공급되는 2층류 효과를 유효하게 할 수 있으며, 분리벽(55)과 인테이크 도어(51) 사이로 에어 리크가 발생함에 따라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분리벽(55)과 인테이크 도어(51)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실링부재(53)를 통해 접촉되므로 간섭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인테이 크 도어(51)와 분리벽(55) 사이에 약간의 갭이 있더라도 실링부재(53)에 의해 2중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에어 리크(Air Leak) 및 2층류 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인테이크 도어(51)와 분리벽(55) 사이에 소정의 갭이 허용되므로, 사출 부품의 수축 관리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따르면, 내기순환 모드 또는 외기 모드에서 실링부재(53)가 케이스(60)에 접촉될 때 날개부(53b)의 다른 부위가 접촉되므로 절환시의 충격 흡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기 흡입구(66) 또는 외기 흡입구(65)를 개폐시키는 인테이크 도어(51)와,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하부에 위치되는 송풍기의 벨마우스(64) 일측에 설치된 분리벽(55)을 포함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51)가 상기 분리벽 상에 위치되어 외기는 송풍팬(62)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내기는 송풍팬(62)의 하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끝단부에는 내기 또는 외기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풍압에 의하여 상기 분리벽(55)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어 분리벽(55)의 양측을 차폐하는 실링부재(5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53)는, 상기 인테이크 도어(51)의 끝단에 결합되는 메인부(53a)와, 상기 메인부(53a)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리벽(55)의 상단 측벽에 밀착되는 날개부(5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55)은 상단측 일부가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3)의 날개부(53b)는 상기 분리벽(55)의 테이퍼면에 근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터이크 도어 실링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53b)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에어포켓(5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53b)는, 상기 분리벽(55)의 상단면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그 끝 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KR1020050084983A 2005-09-13 2005-09-13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KR20070030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83A KR20070030379A (ko) 2005-09-13 2005-09-13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83A KR20070030379A (ko) 2005-09-13 2005-09-13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379A true KR20070030379A (ko) 2007-03-16

Family

ID=4365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83A KR20070030379A (ko) 2005-09-13 2005-09-13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3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23B1 (ko) * 2008-02-21 2015-04-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US9093687B2 (en) 2012-10-1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Sealing case
US20220097481A1 (en) * 2019-06-19 2022-03-31 Denso Corporation Air-conditioning un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23B1 (ko) * 2008-02-21 2015-04-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US9093687B2 (en) 2012-10-15 2015-07-28 Samsung Sdi Co., Ltd. Sealing case
US20220097481A1 (en) * 2019-06-19 2022-03-31 Denso Corporation Air-condition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310B1 (en)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of vehicles
US20210146752A1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070030379A (ko)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JPH08285321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20070066176A (ko) 2층류 공조장치의 인테이크부
CN113811456A (zh) 车辆空调
KR10104089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1474821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200316532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1299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119443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3242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70059309A (ko)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0694614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200283450Y1 (ko) 차량용 송풍기
KR200151001Y1 (ko) 공기조화장치
KR2018010320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029307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H0976726A (ja) 空調装置
KR100917580B1 (ko) 혹서지 차량용 송풍 유니트
KR20060010493A (ko) 송풍기용 인렛링과 에어 인테이크 덕트와의 결합구조
JPH0630497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内外気切換装置
KR101171115B1 (ko) 이층류 차량 공조장치의 송풍기용 도어
KR200251718Y1 (ko)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KR200202026Y1 (ko) 자동차 실내 환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