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718Y1 -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 Google Patents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718Y1
KR200251718Y1 KR2019990012097U KR19990012097U KR200251718Y1 KR 200251718 Y1 KR200251718 Y1 KR 200251718Y1 KR 2019990012097 U KR2019990012097 U KR 2019990012097U KR 19990012097 U KR19990012097 U KR 19990012097U KR 200251718 Y1 KR200251718 Y1 KR 200251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insertion hole
gap
blower unit
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620U (ko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90012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718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6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71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 삽입공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에 필터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에 필터 커버를 결합하기만 하면 필터와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필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일측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24)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필터(25)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24)에 결합하여 이를 막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공(24)에 결합시 필터 삽입공쪽 필터(25)의 타단부를 갭만큼 위로 밀어올려 필터와 블로어 유니트의 벨마우스(4)와의 사이의 갭을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단부 내면 양쪽에 갭맞춤 리브(29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필터(25)를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삽입하여 필터 삽입공(24)에 필터 커버(29)를 결합하기만 하면 갭맞춤 리브(291)들에 의하여 필터(25)의 갭높이가 자동적으로 맞춰진다.

Description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FILTER COVER FOR BLOWER UNI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 삽입공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에 필터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에 필터 커버를 결합하기만 하면 필터와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블로어 유니트에 의하여 공기를 공기조화 케이스 내부로 송풍하고, 이와 같이 송풍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장치를 순환하는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상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블로어 유니트는 자동차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내기유입구가 하나인지 두 개인지에 따라 1 도어 시스템 및 2 도어 스시템 블로어 유니트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는 1 도어 시스템 블로어 유니트의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래 블로어 유니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양쪽에 실내기유입구(71) 및 실외기유입구(72)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유입구(71) 또는 실외기유입구(72) 사이를 선회하면서 실내기유입구(71) 및 실외기유입구(7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전환도어(73)를 가진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8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와 스크롤 케이스(8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벨 마우스(81)와; 상기 스크롤케이스(8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유입구(71) 또는 실외기유입구(72)로부터 공기를 축방향으로 유입하여 스크롤 케이스(80)의 토출구 쪽으로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팬(83)과; 그리고, 상기 원심팬(83)을 회동시키도록 스크롤 케이스(8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모터(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85)의 구동에 의하여 원심팬(83)을 회전시키면 전환도어(73)의 전환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실내기유입구(71) 또는 실외기유입구(7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벨마우스(81)를 통하여 원심팬(83)의 축방향으로 스크롤 케이스(80)의 내부로 유입되어 원심팬(83)의 회동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빠져나와 스크롤 케이스(80)의 토출구를 통하여 열교환기(미도시)가 설치된 공기조화케이스(미도시) 쪽으로 송풍된다.
한편, 차량이 점차 고급화되면서 에어 인테이크 박스(7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유해성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의 하단부에 필터(90)를 내장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즉,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의 하단부 일측에 필터 삽입공(76)이 형성되고 이 필터 삽입공(76)을 통하여 필터(90)를 삽입한 다음 필터 삽입공(76)을 필터 커버(77)로 막음으로써 필터(90)를 에어 인테이크 박스(70) 내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터(90)를 설치할 경우 필터(90)를 통과한 공기가 벨마우스(81)를 통하여 스크롤 케이스(80)로 원활하게 유입되기 위해서는 벨마우스(81)와 필터(90)와의 사이의 갭이 적어도 15mm 이상 되어야 한다. 상기 갭을 맞추기 위하여 종래에는 에어 인테이크 박스(70)의 필터 삽입공(76) 반대쪽 내벽면에 필터(90) 삽입시 필터(90)의 일단부를 갭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부(75)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필터 삽입공(76)을 통하여 필터(90)를 삽입하면 필터(9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75)를 따라 위로 상승하면서 슬라이딩 결합되어 갭 높이로 안착된 상태를 하고 있지만 필터 삽입공(76)쪽 타단부는 아래로 기울어진 상태로 벨마우스(81)쪽에 근접한 상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90)의 타단부를 갭 높이로 손으로 밀어올려 갭을 맞춘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커버(77)를 필터 삽입공(76)에 결합하여야만 한다. 이 때문에 필터(90)의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또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놓인 필터(90)를 억지로 밀어올려 갭을 맞춤으로써 필터(90)가 일그러지거나 필터의 오조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터 삽입공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에 필터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에 필터 커버를 결합하기만 하면 필터와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이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 커버를 블로어 유니트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 커버가 블로어 유니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필터가 내장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필터가 내장되는 블로어 유니트에 필터 커버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필터가 내장된 블로어 유니트에 필터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에어 인테이크 박스, 4 : 벨마우스,
24 : 필터 삽입공, 25 : 필터,
27 : 가이드부, 29 : 필터 커버,
291 : 갭맞춤 리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블로어 유니트의 에어 인테이크 박스의 일측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에 필터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에 결합하여 이를 막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공에 결합시 필터 삽입공쪽 필터의 타단부를 갭만큼 위로 밀어올려 필터와 블로어 유니트의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을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단부 내면 양쪽에 갭맞춤 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따르면, 필터 삽입공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에 필터를 삽입하면 필터의 먼저 삽입된 일단부가 필터 삽입공과는 반대쪽 에어 인테이크 박스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위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필터의 일단부와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이 맞춰지고, 이 상태에서 필터 커버를 필터 삽입공에 결합하면 필터 커버의 결합에 따라 필터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갭맞춤 리브들에 의하여 필터의 필터 삽입공쪽 타단부가 위로 밀려 올려져 필터의 타단부와 벨마우스와의 사이의 갭도 자동적으로 맞춰진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 커버가 적용된 블로어 유니트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는 1 도어 시스템 블로어 유니트의 경우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블로어 유니트(1)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에어 인테이크 박스(2), 상기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3), 상기 에어 인테이크 박스(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스크롤 케이스(3)로 안내하기 위한 벨마우스(4), 상기 스크롤 케이스(3)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원심팬(5) 및 상기 원심팬(5)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상부 양쪽에는 실내기유입구(21) 및 실외기유입구(22)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환도어(23)는 상기 실내기유입구(21) 또는 실외기유입구(22) 사이를 선회하면서 실내기유입구(21) 및 실외기유입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단이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상단 중앙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하부는 개방됨으로써 벨마우스(4)를 통하여 스크롤 케이스(3)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측부 둘레의 일측에는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하단부 내부에 필터(25)를 밀어 넣을 수 있는 필터 삽입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6)의 구동에 따른 원심팬(5)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기유입구(21) 또는 실외기유입구(22)를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25)를 거쳐 벨마우스(4)를 통하여 스크롤 케이스(3)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내장되는 필터(25)는 이것과 벨마우스(4)와의 사이에 적어도 15mm 이상의 갭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필터 삽입공(24)의 반대쪽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내벽면에는 벨마우스(4) 높이로부터 상기 갭만큼 점증하여 필터 가이드부(27)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삽입공(24)을 통하여 필터(25)의 일단부를 밀어 넣으면 필터(25)의 일단부가 가이드부(27)를 따라서 위로 슬라이딩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내벽면에 접촉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필터(25)의 일단부만이 갭의 높이로 위치하고 있을 뿐 필터 삽입공(24)쪽 필터(25)의 타단부는 아래로 경사진 상태로 놓임으로써 갭보나 낮게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필터(25)를 삽입한 후 필터(25)의 이탈 및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 삽입공(24)에 결합하여 필터 삽입공(24)을 막는 필터 커버(29)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필터(25)의 타단부도 자동적으로 갭의 높이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필터 커버(29)를 필터 삽입공(24)에 결합하기만 하면 필터 삽입공(24)쪽 필터(25)의 타단부를 아래에서 위로 갭만큼 위로 밀어올림으로써 필터(25)와 벨마우스(4)와의 사이의 갭을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단부 내면 양쪽에 갭맞춤 리브(291)를 각각 가지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25)를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터 삽입공(24)을 통하여 필터(25)를 일단부를 삽입하여 슬라이딩식으로 밀어넣는다. 이와 같이 필터(25)를 밀어넣으면 먼저 삽입된 필터(25)의 일단부가 필터 삽입공(24)과는 반대쪽의 에어 인테이크 박스(2)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부(27)를 따라 위로 슬라이딩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내벽면에 안착됨으로써 필터(25)의 일단부와 벨마우스(4)와의 사이의 갭이 자동적으로 맞춰진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필터 커버(29)를 필터 삽입공(24)에 결합하면 필터 커버(29)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필터 커버(29)의 내면에 형성된 갭맞춤 리브(291)들에 의하여 필터(25)의 필터 삽입공(24)쪽 타단부가 아래에서 위로 밀려 올라가 필터(25)의 타단부와 벨마우스(4)와의 사이의 갭도 자동적으로 맞춰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있어서는, 필터 삽입공(24)을 통하여 필터(25)를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삽입한 다음 필터 삽입공(24)에 필터 커버(29)를 결합하기만 하면 필터(25)의 높이가 벨마우스(4)로부터 설정된 갭높이로 자동적으로 맞춰지므로 별도로 필터(25)를 손으로 위로 들어올려 갭을 맞출 필요가 없어 필터(25)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억지로 필터(25)를 위로 밀어올리는 일이 배제되므로 필터(25)의 일그러짐이나 오조립 등의 불량요인을 배제할 수 있다.

Claims (1)

  1. 블로어 유니트의 에어 인테이크 박스(2)의 일측에 형성된 필터 삽입공(24)을 통하여 에어 인테이크 박스(2)에 필터(25)를 삽입한 다음 상기 필터 삽입공(24)에 결합하여 이를 막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삽입공(24)에 결합시 필터 삽입공쪽 필터(25)의 타단부를 갭만큼 위로 밀어올려 필터와 블로어 유니트의 벨마우스(4)와의 사이의 갭을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단부 내면에 갭맞춤 리브(29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KR2019990012097U 1999-06-30 1999-06-30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KR20025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097U KR200251718Y1 (ko) 1999-06-30 1999-06-30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097U KR200251718Y1 (ko) 1999-06-30 1999-06-30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20U KR20010001620U (ko) 2001-01-15
KR200251718Y1 true KR200251718Y1 (ko) 2001-11-15

Family

ID=5476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097U KR200251718Y1 (ko) 1999-06-30 1999-06-30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7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620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088B2 (en) Centrifugal blower having noise-reduction structure
US8002615B2 (en) Blower for vehicle
US20060260783A1 (en)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671495B2 (ja) 空気調和機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200251718Y1 (ko) 블로어 유니트용 필터 커버
KR101150935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1010876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4659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474821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0801342B1 (ko) 공기조화장치의 공기누설 방지 구조
KR100694614B1 (ko)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20070030379A (ko) 2층류 공조장치용 인테이크 도어 실링구조
KR200358419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의 도어 구조
KR20150030818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KR20020051449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1442532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2365016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KR10128846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20017471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KR200151001Y1 (ko) 공기조화장치
JP2000329370A (ja) 壁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10005041A (ko) 차량용 일체형 에어컨장치
KR100262719B1 (ko) 에어콘의실내기구조
KR20020053322A (ko) 천정 카세트형 공기 조화기의 흡입그릴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