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739A - 전기 버너 - Google Patents

전기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739A
KR20070029739A KR1020067025605A KR20067025605A KR20070029739A KR 20070029739 A KR20070029739 A KR 20070029739A KR 1020067025605 A KR1020067025605 A KR 1020067025605A KR 20067025605 A KR20067025605 A KR 20067025605A KR 20070029739 A KR20070029739 A KR 2007002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rface
surface portion
reflective mirror
partial elliptic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92B1 (ko
Inventor
마사아키 다키타
Original Assignee
다키다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쓰지무라 기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다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쓰지무라 기켄 filed Critical 다키다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5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24C7/06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35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열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제공한다.
전기 버너(10)는, 피가열체(62)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설치되는 전열 요소(32a, 32b), 전열 요소(32a, 32b)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반사시키는 부분 타원 경면부(16a, 16b), 전열 요소(32a, 32b)의 하방에 배치되고, 부분 타원 경면부(16a, 16b)에서 반사된 열선을 피가열체(62)의 하측에 집열하는 제1 반사 경면부(22a, 22b)를 포함한다. 부분 타원 경면부(16a, 16b)는, 전열 요소(32a, 32b)의 부근에 한쪽 초점 F1a, F1b를 가진다. 부분 타원 경면부(16a, 16b)의 한쪽 초점 F1a, F1b와 다른 쪽 초점 F2a, F2b를 연결하는 장축선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에 대해서 원하는 각도 Y로 적절하게 교차되도록, 부분 타원 경면부(16a, 16b)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가 접속된다.
설계의 자유도, 전기 버너, 피가열체, 복사, 열선, 반사, 보호 부재

Description

전기 버너{ELECTRIC STOVE}
본원 발명은, 전기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사열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여, 예를 들면 생선 및 고기 그 외의 식품 재료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선행 기술로서, 연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또한, 소형화를 도모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조리용으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기 버너에 관하여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전기 버너는, 예를 들어 2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2개의 지지 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경면부(鏡面部)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경면부는 각각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와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경면부의 내측에는, 피가열체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 등의 전열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과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초점 부근에 전열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상기 전기 버너에서는, 2개의 경면부에 있어서,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 부근에 배치된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이, 제1 부분 타원 기둥면 부에서 반사되어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다른 쪽의 초점에 집열된 후, 피가열체에 조사된다. 또한, 피가열체에 조사되지 않는 열선의 일부는, 각 경면부의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에서 반사되고, 대향하는 경면부의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에서 반사된 후, 피가열체에 조사된다. 즉, 상기 전기 버너에서는,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가 피가열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기능을 가지고,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가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피가열체에 조사하는 조사 효율을 개선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340345호 공보(제3 페이지 - 제4 페이지, 도 1 - 도 3)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 버너에서는, 경면부가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와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과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이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초점 부근에 전열 요소가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경면부 및 전열 요소는, 열효율이 가능한 좋아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 한쪽의 경면부와 다른 쪽의 경면부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히는 등의 설계의 자유도는 필연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 버너에 있어서, 시스 히터의 직경이 큰 경우 등, 전열 요소의 크기에 따라서는,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되는 열선이 경면부의 내측에 머물기 때문에, 피가열체에 조사되지 않는 열선을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에서 반사시켜서 대향하는 경면부의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에 효율적으로 조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열선을 잘 조절할 수 없고, 열선을 한쪽의 경면부로부터 대향하는 다른 쪽의 경면부에 반사시키는 반사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 즉, 제2 부분 타원 기둥면부가 효율 개선을 위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열 손실이 발생하여, 열효율을 충분히 개선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 버너로 생선 및 고기 그 외의 식품 재료 등을 조리하는 경우, 육즙이나 오일 등에 의한 찌꺼기가 주로 경면부 등에 부착되고, 특히, 제1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한쪽의 초점의 주변(전열 요소의 주변) 및 다른 쪽의 초점의 주변에서는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초점 주변의 경면부에 부착된 찌꺼기는 제거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경면부에 부착된 찌꺼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2개의 경면부 사이부터 손을 넣어 청소하거나,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경면부 및 전열 요소를 분리시킨 후에 청소하여야 하지만, 전자의 경우 전열 요소 주변이 고온이어서, 사용 직후에 청소하면 화상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후에 청소할 수 밖에 없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청소할 때마다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경면부 및 전열 요소를 분해하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매우 번거롭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는 전기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본원 발명은, 피가열체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설치되는 전열 요소와,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반사시키는 경면부와, 전열 요소의 하방에 배치되고, 경면부에서 반사된 열선을 피가열체의 아래쪽에 집열하는 제1 반사 경면부를 포함하고, 경면부는, 전열 요소의 부근에 한쪽의 초점을 가지고,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반사시키는 부분 타원 경면부를 포함하고,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한쪽의 초점과 부분 타원 경면부의 따른 쪽의 초점을 연결하는 장축선이, 반사 경면부에 대해서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교차되도록, 부분 타원 경면부와 제1 반사 경면부가 접속되는, 전기 버너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본원 발명은, 청구항 1에 관련된 발명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피가열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1 반사 경면부에서 반사되지 않는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피가열체의 아래쪽에 집열하는 제2 반사 경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버너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본원 발명은,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부분 타원 경면부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고, 전열 요소가 부분 타원 경면부의 상측부에 지지되어,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와 제1 반사 경면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전기 버너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본원 발명은, 청구항 1 ~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발명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경면부 및 제1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형성되는 열화 방지 피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 버너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본원 발명은, 청구항 1 ~ 청구항 4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발명에 종속되는 것으로서,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 제1 반사 경면부 및 제2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는, 내열성을 가지면서, 또한, 열선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착탈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전기 버너이다.
청구항 1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버너에서는,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이 경면부의 부분 타원 경면부에서 반사된다. 부분 타원 경면부에서 반사된 열선은, 제1 반사 경면부의 작용에 의해 반사되고, 열선을 피가열체의 아래쪽에 집열되므로, 피가열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 타원 경면부의 장축선과 반사 경면부의 교차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피가열체의 크기에 따라서, 피가열체의 아래쪽으로 조사되는 열선의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전기 버너의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게 된다. 또한, 피가열부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전열 요소가 설치되므로, 예를 들면 피가열부에 생선이나 고기 등의 피가열물이 배치된 경우, 육즙이나 오일 등의 피가열물의 찌꺼기가 전열 요소에 부착될 우려가 거의 없다. 그러므로, 전열 요소에 부착된 찌꺼기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기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버너에서는, 특히, 피가열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2 반사 경면부를 더 포함하므로, 제2 반사 경면부가 제1 반사 경면부에서 반사되지 않는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피가열체의 아래쪽에 집열한다. 그러므로,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은, 열 손실이 없고, 효율적으로 피가열체에 조사된다. 즉, 제2 반사 경면부에 의하여, 더 한층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버너에서는, 특히, 부분 타원 경면부가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고, 전열 요소가 부분 타원 경면부의 상측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열 요소를 지지하는 부분 타원 경면부의 상측부와 제1 반사 경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열 요소의 주변에 위치하는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버너에서는, 특히, 경면부 및 제1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열화 방지 피막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선이나 고기 등의 피가열체가 가열될 경우, 육즙이나 오일 등의 피가열체의 찌꺼기가 경면부 및 제1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부착되어도, 열화 방지 피막에 의해, 그 표면의 열화가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그 표면의 반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본원 발명의 전기 버너에서는, 특히,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 제1 반사 경면부 및 제2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내열성을 가지면서, 또한, 열선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생선이나 고기 등의 피가열체가 가열될 경우, 육즙이나 오일 등의 피가열체의 찌꺼기가,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 제1 반사 경면부 및 제2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따른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연기의 발생 자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가 도모되고, 일반 가정에서도 조리용으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본원 발명에 의하면, 거기에 더하여, 열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본원 발명에 의하면, 육즙이나 오일 분 등의 피가열체의 찌꺼기가, 경면부 및 제1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부착되어도, 그 표면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따른 본원 발명에 의하면,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 제1 반사 경면부 및 제2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육즙이나 오일 등의 피가열체의 찌꺼기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실현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며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B-B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선 C-C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 ~ 도 5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너를 사용하여 피가열체를 가열했을 때의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설명도이 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D-D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선 E-E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7 ~ 도 10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너의 전열 요소의 유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도면이며, 도 11a는, 전열 요소를 지지 암으로 유지·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도면이며,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화살표 F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전열 요소의 지지 암에 의한 유지·지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도면이며, 도 12a는, 그 주요부 확대 도면이며,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화살표 G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100: 전기 버너 12a, 12b: 경면부
16a, 16b: 부분 타원 기둥면부
18a, 18b: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상측부
20a, 20b: 부분 타원 기둥면부의 하측부
22a, 22b: 제1 반사 경면부 24a, 24b: 반사면 본체
26: 유지 부재 28: 상측 지지 플레이트
30: 하측 지지 플레이트 32a, 32b: 시스 히터
34: 지지부재 36: 끼움부
38: 연결편 40: 돌출편
42: 관통공 44: 고정 수단
46a, 46b, 50a, 50b, 146, 150: 플랜지편
48a, 48b, 148: 볼록부 52a, 52b, 152: 오목부
54: 제2 반사 경면부 54a, 54b: 반사면
56: 산화 촉진용 촉매 피막 58: 보호 부재
60: 받침 부재 62: 피조리물
70: 지지부 72: 지지 베이스
74, 76: 지지 브래킷 78: 지지암
80: 회동 브래킷 82: 축부
116: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
118: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의 상측부
120: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의 하측부 F1a, F1b, F2a, F2b: 초점
연기의 발생 자체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면서, 또한, 소형화가 도모되고, 일반 가정에서도 조리용으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열효율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고, 그 위에 더하여, 간단하 게 청소할 수 있는 전기 버너를 적은 부품수로 실현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B-B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선 C-C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버너(10)는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를 포함한다.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단면이 타원호 형의 플레이트체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는, 도 1에서 보면, 그들의 개방부(14a 및 14b)가 서로 마주 보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는, 상기 경면부(12a, 12b)의 길이 방향에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한쪽 경면부(12a)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쪽 경면부(12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면부(12a)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타원 경면부로서 예를 들어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를 포함한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는 초점 F1a 및 초점 F2a를 가진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는, 타원 기둥면의 일부분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기둥면 α의 일부분의 곡면 a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18a) 및 하측부(20a)를 가진다. 즉,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는, 상측부(18a)의 부분 타원 기둥부와 하측부(20a)의 부분 타원 기둥부로 구성되어 있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의 하측부(20a)에는 제1 반사 경면부(22a)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사 경면부(22a)는 반사면 본체(24a)를 포함하고, 반사면 본체(24a)는, 예를 들어 평탄한 플레이트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사 경면부(22a)는 후술하는 시스 히터(32a 및 32b)의 하방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쪽의 경면부(12b)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18b) 및 하측부(20b)를 가지는 부분 타원 기둥면부(16b)를 포함하고, 부분 타원 기둥면부(16b)의 하측부(20b)에는 제1 반사 경면부(22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b)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점 F1b 및 초점 F2b를 가지고, 타원 기둥면 β의 일부분의 곡면 b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2개의 경면부(12a 및 12b)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부재(26)에 의해 연결·유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26)는, 상측 유지 플레이트(28) 및 하측 유지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측 유지 플레이트(28)에 의해, 제1 경면부(12a)의 상측부(18a)와 제2 경면부(12b)의 상측부(18b)가 연결·유지되고, 하측 유지 플레이트(30)에 의해, 제1 경면부(12a)의 하측부(20a)와 제2 경면부(12b)의 하측부(20b)가 연결·유지되어 있다.
한편, 2개의 경면부(12a 및 12b)의 내측에는, 각각, 전열 요소로서, 예를 들어 시스 히터(32a 및 32b)가 배치되어 있다. 시스 히터(32a)는, 경면부(12a)의 내측에 있어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의 한쪽의 초점 F1a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스 히터(32b)는, 경면부(12b)의 내측에 있어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b)의 한쪽의 초점 F1b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전기 버너(10)에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 히터(32a 및 32b)가 피가열체(피조리물(62))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설치된다.
시스 히터(32a 및 32b)는, 각각, 예를 들어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의 양 단측이, 2개의 지지부재(3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져서 지지되어 있다. 각 지지부재(34)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단면이 원호형인 통 형상의 끼움부(36)를 포함하고, 끼움부(36) 주위 방향의 양 단부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연결편(38)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36)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는, 예를 들어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호형인 통형상의 돌출편(40)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36), 연결편(38) 및 돌출편(40)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2개의 경면부(12a, 12b)의 유지 부재(26, 26)에는, 각각 그 길이 방향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예를 들어 원형의 관통공(42)이 설치된다. 관통공(42)은 상측 유지 플레이트(28)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다.
시스 히터(32a 및 32b)는, 각각 대향하는 상측 유지 플레이트(28, 28)의 관통공(42)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시스 히터(32a 및 32b)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 은 각각 지지부재(34)의 끼움부(36)에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다. 또한, 상하로 대향하는 연결편(38)이 볼트, 나사 등의 고정 수단(44)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상측 유지 플레이트(28, 28)의 외측에는, 관통공(42, 42)으로부터 지지부재(34)의 돌출편(40, 40)이 돌출되도록, 지지부재(34)에 의해 시스 히터(32a 및 32b)가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2개의 경면부(12a 및 12b)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의 하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편(46a, 46b)이 연접되어 있다. 플랜지편(46a, 46b)은,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는 단면 U 자형의 볼록부(48a, 48b)를 가진다. 한편,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의 상면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편(50a, 50b)이 연접되어 있다. 플랜지편(50a, 50b)은, 각각 상기 볼록부(48a, 48b)가 탑재되고 걸어맞추어지는 오목부(52a, 52b)를 가진다. 그리고, 플랜지편(50a, 50b)의 상면의 오목부(52a, 52b) 상에, 플랜지편(46a, 46b)의 볼록부(48a, 48b)가 탑재되고 걸어맞추어짐에 따라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와 플랜지부(46a, 46b)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고,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와 플랜지부(50a, 50b)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가, 그 표면이 경면 상태로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판은 금속판 작업 등으로 절곡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또, 스테인리스 판 대신, 예를 들어 동판 또는 철판의 표면에 도금 등에 의해 경면 처리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전열 요소로서는, 시스 히터(32a 및 32b) 이외에도, 예를 들어 원적외선을 많이 방사하는 탄화규소 히터 등의 세라믹 히터를 사용해도 된다. 시스 히터(32a 및 32b)는 저전력용으로서 사용되고, 탄화규소 히터는 고전력용으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전열 요소로서 원적외선 히터도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기 버너(1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경면부(12a 및 12b) 사이에, 예를 들어 단면 삼각형의 제2 반사 경면부(5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사 경면부(54)는, 예를 들어 곡율이 큰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반사면(54a 및 54b)을 포함한다. 한쪽의 반사면(54a)은 한쪽의 경면부(12a)의 개방부(14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다른 쪽의 반사면(54b)은 다른 쪽의 경면부(12b)의 개방부(14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사 경면부(54)는, 상기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 및 제1 반사 경면부(22a, 22b) 등의 형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경면부(12a, 12b) 및 제1 반사 경면부(22a, 22b)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열화 방지 피막으로서, 예를 들어 산화 촉진용 촉매 피막(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 및 하측부(20a, 20b)의 내측면과,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의 내측면과,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54a, 54b)의 표면에, 백금 및 산 화 티탄 등의 산화 촉진용 촉매 피막(5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 제1 반사 경면부(22a, 22b) 및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54a, 54b) 중 적어도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는, 내열성을 가지면서, 또한, 열선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는 보호 부재(58)가 피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보호 부재(58)로서는, 교체가 용이하며 열선 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 및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에 피복되는 보호 부재(58)에는, 내열성을 가지는 베이스재의 표면에 알루미늄 박을 형성시킨 것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 부재(58)로서는, 예를 들면 열선 통과율이 높으면서, 또한, 내열성이 뛰어난 시트형의 내열 유리를 적절하게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경면부(12a) 및 이와 대향하는 다른 쪽의 경면부(12b)에 있어서, 시스 히터(32a)의 중심 및 시스 히터(32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한쪽의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의 장축선이 이루는 각도 X가, 예를 들어 0 ~ 9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의 장축선과 제1 반사 경면부(22a)이 이루는 각도 Y는, 예를 들어 20 ~ 7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1 반사 경면부(22a)가 곡면인 경우에는, 그 곡면의 일부와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의 장축선이 이루는 각도가 예를 들어 20 ~ 7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 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특히,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반사 경면부(54)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2개의 경면부(12a, 12b) 및 제1 반사 경면부(22a, 22b)가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 도 6에 나타낸 전기 버너(10)에서는, 2개의 경면부(12a 및 12b)의 상단 사이에, 예를 들어 쇠그물망 내지 쇠 격자 등의 받침 부재(60)가 탑재된다(도 6 참조). 받침 부재(60)의 위에는, 피가열체로서, 예를 들어 고기 및 생선 등의 피조리물(62)이 놓여진다.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시스 히터(32a, 32b)가 피조리물(62)의 바로 아래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조리물(62)로부터 나온 육즙, 오일 등의 찌꺼기가 거의 부착되지 않으므로, 연기의 발생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버너(10)에서는,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의 발생 그 자체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연기의 회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불고기나 생선구이 등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시트부 등의 종래와 같이 환기 장치가 갖추어진 장소 이외에도 조리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열 요소로서, 예를 들어 탄화규소 히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열선에 많은 원적외선을 포함하므로, 조리 식품 재료 내부까지 가열할 수 있어서 내부의 수분을 유지하면서 표면을 알맞게 태워서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시스 히터(32a, 32b)로부터 복사된 열선이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에서 반사된다.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에서 반사된 열선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에 의해 반사되어 열선을 받침 부재(60)의 하측에 집열되므로, 피조리물(62)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장축선과 제1 반사 경면부(22a, 22b)가 이루는 교차 각도(도 6의 Y)를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피조리물(62)의 크기에 따라, 바꾸어 말하면, 받침 부재(60)의 크기에 따라, 받침 부재(60)의 하측으로 조사되는 열선의 조사 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대향하는 2개의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 사이의 폭 방향의 간격, 또는, 받침 부재(60) 및 제1 반사 경면부(22a, 22b) 사이의 높이 방향의 간격 등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커진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특히, 피조리물(62)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부(54a, 54b)를 가지므로,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부(54a, 54b)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의 반사면 본체(24a)24b로 반사되지 않는 시스 히터(32a, 32b)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피조리물(62)의 하측에 집열한다. 그러므로, 시스 히터(32a, 32b)로부터 복사된 열선은, 열 손실이 없으므로, 효율적으로 피조리물(62)이 탑재 받침 부재(60)에 조사된다. 즉,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부(54a, 54b)는, 더 한층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특히, 2개의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가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 가능하도록, 하측부(20a, 20b)의 위에 상측 부(18a, 18b)가 탑재되고 걸어맞추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시스 히터(32a, 32b)가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의 관통공(42)에 삽입되고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시스 히터(32a, 32b)를 지지하는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와,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와 일체로 형성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시스 히터(32a, 32b)와 함께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를,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와 일체로 형성된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로부터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어서, 교환도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시스 히터(32a, 32b)의 주변에 위치하는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하측부(20a, 20b)도 최대한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에서는, 가열된 피조리물(62)로부터 튀어나오는 육즙 및 오일 등의 찌꺼기가,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의 상측부(18a, 18b) 및 하측부(20a, 20b)의 내측면, 제1 반사 경면부(22a, 22b)의 내측면, 및 제2 반사 경면부(54)의 반사면(54a, 54b)의 표면 등에 부착되더라도, 열화 방지 피막, 예를 들어 산화 촉진용 촉매 피막(56)에 의해 산화된다. 그러므로, 이들 면의 열화가 방지되고, 나아가서는, 이들 면에서의 반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D-D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 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선 E-E를 가리키는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버너(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전기 버너(10)와 비교하여, 특히, 경면부를 구성하는 부분 타원 경면부의 구조와, 전열 요소의 구조와, 제1 반사 경면부의 구조와, 제2 반사 경면부의 구조가 상이하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버너(10)에서는 경면부(12a, 12b)가 각각,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타원 경면부로서, 예를 들어 부분 타원 기둥면부(16a, 16b)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7 ~ 도 10에 나타낸 전기 버너(100)에서는, 경면부(112)를 구성하는 부분 타원 경면부가, 하나의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116)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열 요소는, 예를 들어 그 형상이 원환형인, 하나의 시스 히터(132)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사 경면부(122)의 반사면 본체(124)는, 예를 들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사 경면부(154)는, 예를 들어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버너(100)에서는, 전기 버너(10)와 마찬가지로,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116)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118) 및 하측부(120)를 가지고,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116)가 상측부(118)의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와 하측부(120)의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랜지편(150)의 상면의 오목부(152)의 위에 플랜지편(146)의 볼록부(148)가 탑재되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116)의 상측부(118) 및 하측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0)에서는, 그 형상이 원환형인 시스 히터(132)가, 예를 들어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4개의 지지부(70)으로 지지되어 있다. 4개의 지지부(70)는 시스 히터(132)의 주위 방향으로 거의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지지부(7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하나의 지지부(70)에 대하여, 특히,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지지부(70)는, 예를 들어 편평한 C자형의 지지 베이스(72)를 포함한다. 지지 베이스(72)는 시스 히터(132)의 상측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 베이스(72)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각각 지지 브래킷(74 및 76)에 의해, 부분 타원 회전체면부(116)의 상측부(118)의 상단측 및 하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지지 브래킷(76)에는, 그 선단부에 지지암(78)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암(78)은 회동 브래킷(80)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회동 브래킷(80)은, 볼트, 핀 등의 축부(82)에 의해 지지 브래킷(7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지암(78)은, 회동 브래킷(80)을 회동시킴으로써, 그와 연동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기 버너(100)를 사용하여 피가열체(피조리물(62))를 가열했을 때의 전열 요소(시스 히터(132))로부터 복사된 열선의 반사 경로는, 예를 들어 도 6에서 설명한 전기 버너(10)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전기 버너(100)에 있어서도, 먼저 설명한 전기 버너(10)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버너는, 복사열에 의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생선 및 고기 그 외 식품 재료 등을 조리하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Claims (5)

  1. 피가열체의 바로 아래로부터 벗어난 곳에 설치되는 전열 요소,
    상기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반사시키는 경면부, 및
    상기 전열 요소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경면부에서 반사된 열선을 상기 피가열체의 하측에 집열하는 제1 반사 경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면부는, 상기 전열 요소의 부근에 한쪽 초점을 가지고, 상기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반사시키는 부분 타원 경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의 상기 한쪽 초점과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의 다른 쪽 초점을 연결하는 장축선이, 상기 반사 경면부에 대해서 원하는 각도로 적절하게 교차되도록,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 및 상기 제1 반사 경면부가 접속되는, 전기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열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사 경면부에서 반사되지 않는 상기 전열 요소로부터 복사된 열선을 상기 피가열체의 하측에 집열하는 제2 반사 경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버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분리될 수 있는 상측부 및 하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 요소가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의 상측부에 지지되고,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와 상기 제1 반사 경면부가 일체로 설치되는, 전기 버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면부 및 상기 제1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상기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 형성되는 열화 방지 피막을 더 포함하는, 전기 버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원 경면부의 하측부, 상기 제1 반사 경면부 및 상기 제2 반사 경면부 중 적어도 상기 열선이 조사되는 면에는, 내열성을 가지면서, 또한, 상기 열선의 반사를 방해하지 않는 보호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기 버너.
KR1020067025605A 2006-12-05 2004-07-14 전기 버너 KR10081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605A KR100810592B1 (ko) 2006-12-05 2004-07-14 전기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605A KR100810592B1 (ko) 2006-12-05 2004-07-14 전기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739A true KR20070029739A (ko) 2007-03-14
KR100810592B1 KR100810592B1 (ko) 2008-03-07

Family

ID=3810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605A KR100810592B1 (ko) 2006-12-05 2004-07-14 전기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899U (ko) * 1989-11-21 1991-07-30
JP3547426B2 (ja) 2002-03-15 2004-07-28 タキタ技研株式会社 電気コンロ
JP3751283B2 (ja) * 2003-02-04 2006-03-01 パナソニック四国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加熱調理機
KR200385674Y1 (ko) 2005-03-18 2005-06-01 최만성 입체식 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592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91535B (en) Electric cooking stove
EP3048938B1 (en) Radiation grill
KR100440707B1 (ko) 전자유도가열을이용한가열조리기
JP3547426B2 (ja) 電気コンロ
JP2015052446A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このヒータユニットを備えた加熱調理器
KR101427461B1 (ko)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EP2027800B1 (en) Heat distributing cooking grate
KR100810592B1 (ko) 전기 버너
JP5660865B2 (ja) Ihクッキングヒータ用の焼き物調理器具
JP2007136042A (ja) 焼き調理器及び焼き網
JP4156006B2 (ja) 電気コンロ
JP5668084B2 (ja) 電気コンロ
KR200271704Y1 (ko) 열차단판을 가지는 전기히터
KR100588158B1 (ko) 그릴장치
CN211093338U (zh) 一种用于明火加热的节能聚热装置
CN219962606U (zh) 一种远红外加热机构及应用其的远红外烧烤装置
JP6355403B2 (ja) 焼き物調理器
JP3574582B2 (ja) 炊飯器
JP3212861B2 (ja) 電気炊飯器
JP2568741B2 (ja) 輻射式暖房器
JP2003307319A (ja) 加熱こんろ
JPH0713606Y2 (ja) 加熱調理器
KR101553798B1 (ko) 업소용 대형 국솥
JP3020778B2 (ja) ガステーブル
RU2089789C1 (ru) Элетроконфор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