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61B1 -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61B1
KR101427461B1 KR1020120058984A KR20120058984A KR101427461B1 KR 101427461 B1 KR101427461 B1 KR 101427461B1 KR 1020120058984 A KR1020120058984 A KR 1020120058984A KR 20120058984 A KR20120058984 A KR 20120058984A KR 101427461 B1 KR101427461 B1 KR 10142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source
reflector
shap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379A (ko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12005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체의 둘레부를 포설하는 반사체가 더 구비됨으로써 열원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상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야기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원체의 열이 구이판측으로 방출되는 열방출 효율성을 높여 주어 소비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전력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안전망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열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체(1)와, 상기 베이스체(1)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2)과, 상기 구이판(2)의 일측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대(3)와, 상기 연결대(3)의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체(4)와, 상기 상부체(4)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구이판(2)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상기 열원체(5)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열원체(5)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되어 상기 열원체(5)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구이판(2)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열원체(5)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체(10)를 더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ROASTER WITH HEATING REFLECT PART}
본 발명은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이판측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체의 둘레부를 따라 반사체가 구비됨으로써 반사체에 의해 열원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구이판측으로 전달됨이 용이하도록 하고 열의 효율적인 방출에 따른 소비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熱)이 전달되는 메카니즘은 전도(Conduction)와 대류(Convection) 및 복사(Radiation)로 대별되는 바, 전도열은 주로 고체에 의해 전달되고 대류열은 주로 유체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복사열은 어떤 발열체의 표면으로부터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서, 매질이 없는 상태에서도 열(熱)이 빛의 속도로 방출되어 피사체까지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복사열의 파장 범위는 적외선에서부터 가시광선 영역을 거쳐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의 영역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원적외선과 근, 중 적외선과 같은 적외선 파장영역 대가 가장 강한 열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어보면, 등록특허 제10-0779225호에는 외부가 석영관으로 구성된 적외선 램프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상단에 설치된 조리용기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하단에 설치된 반사체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고기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적외선 고기구이기는 적외선 램프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이 조리용기가 고기의 하부만을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열효율도 떨어진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14608호에는 석쇠 상부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근적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상부에는 반사체를 설치한 육류구이기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육류구이기는 석쇠 위에 올려진 고기에 직접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고기를 굽기 때문에 육질 내부까지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육류구이기 역시 램프에서 발사되는 근적외선이 고기의 상부만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를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기술과 같이 고기의 상부에서 열원체가 계속적으로 열원을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다 구워진 고기를 제 때 먹지 않을 경우 고기가 타게 되어 먹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기를 구워먹을 때 고기를 항상 뒤집어야 하고 다 구어진 고기 역시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번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고기를 구워먹으면서 대화를 나누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10-2011-0127094호에 구이판 이동구가 구비된 구이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부에 열원체가 구비되고 열원체의 하부에 구이판이 구비되어 열원체로부터 공급받은 열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는 구이기의 구이판에 구이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이판 이동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열원체를 이용하여 고기를 구울 때에는 구이판을 열원체측으로 가깝게 이동시키고, 고기가 다 구워진 후에는 구이판을 열원체측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켜 구워진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판과 구이판 이동구를 통해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떨어져 배출되어 수거통에 의해 기름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며 기름수거통을 테이블에 인입하거나 기름수거통을 테이블로부터 인출 가능하도록 하여 기름의 수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의 구이기들은 열원체가 방출하는 열원이 상부로 빠져나감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열원의 낭비성이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전기열을 이용하는 구이기에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열원이 빠져나감에 따라 더욱 많은 소비전력이 요구되어 구이기 사용에 따른 전력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27094호(2011.11.24. 공개)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314608호(2003.05.15. 등록)
본 발명은 종래 조리용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체의 둘레부를 따라 열원체의 열을 반사하여 구이판에 방출하도록 하는 반사체를 더 구비함으로써 반사체에 의한 열원체의 열의 고른 방출은 물론 열원의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원체의 하부에 안전망체를 더 구비하여 안전망체에 의해 사용상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의 일측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체로 이루어진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열원체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되어 상기 열원체에서 방사되는 열이 구이판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열원체에서 방사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체는 상기 열원체가 끼움고정되는 열원체브라켓이 내측에 볼트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외측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의 외측을 포설하는 외측둘레판과; 상기 상판의 내측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의 내측을 포설하는 내측둘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둘레판의 내부열 반사면은,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원체의 내측을 포설하며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2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둘레판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3반사부와; 상기 제3반사부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3반사부와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제4반사부와; 상기 제4반사부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5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체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체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반사체의 내측둘레판에 고정되는 안전망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망체는 상기 반사체의 내측둘레판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연장 형성되는 지지봉들과; 상기 지지봉들에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거나 별도의 연결체로 연결되는 원형의 안전테두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의하면, 열원체의 둘레부를 포설하는 반사체가 더 구비됨으로써 열원체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상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야기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원체의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열이 구이판측으로 방출되는 열방출 효율성을 높여 주어 소비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전력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안전망체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열원체에 직접 닿거나 음식물 조리시 직접 닿음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기기 파손 및 인체 손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반사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반사체와 열원체 및 안전망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베이스체(1)와, 상기 베이스체(1)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2)과, 상기 구이판(2)의 일측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대(3)와, 상기 연결대(3)의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체(4)와, 상기 상부체(4)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2)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체(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상기 열원체(5)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되어 상기 열원체(5)에서 방출되는 열이 구이판(2)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열원체(5)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체(1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사체(1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과 니켈이 혼합된 합금 또는 열원의 열을 극복할 수 있는 단순 재질 혹은 표면 처리 복합 재질도 사용 가능하며, 상기 반사체(10)의 두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열반사효율을 최대화하고 열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알미늄 혹은 알미늄 합금의 경우 3 내지 7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재질에 따라 그 두께는 달라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원체(5)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상기 반사체(10)에서 반사되어 구이판(2)측으로만 방출되므로, 열의 방출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상기 열원체(5)에서 열이 방출되면 일부의 열은 상기 열원체(5)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구이판(2)측으로 방출되고, 나머지 열은 상기 열원체(5)의 상부로 방출되는데, 이때 상기 열원체(5)의 상부로 방출되는 열이 상기 열원체(5)의 둘레부를 포설하는 상기 반사체(10)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상기 구이판(2)에 방출된다.
즉,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상기 반사판(10)의 반사면으로 성형된 상기 반사체(10)에 의해 상기 반사체(10) 내부의 열을 상기 반사체(10) 내부에 포집하지 않고 상기 구이판(2) 방향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다시 반사함으로써 상기 구이판(2) 즉, 상기 열원체(5)의 하부측으로 반사되어 상기 열원체(5)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구이판(2)측으로 방출됨에 따라 열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충분한 열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에 따라 전력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전기료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열원체(5)가 끼움고정되는 열원체브라켓(11)이 내측에 볼트 결합되는 상판(12)과, 상기 상판(12)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5)의 외측을 포설하는 외측 둘레판(13)과, 상기 상판(1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5)의 내측을 포설하는 내측 둘레판(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체(4)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체(4)와 나사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측 둘레판(13)은 상기 열원체(5)의 외측을 포설함으로써 상기 열원체(5)의 외측방향으로 방출되는 열을 반사시켜 열원체(5)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이판(2)측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둘레판(14)은 상기 열원체(5)의 내측으로 포설함으로써 상기 열원체(5)의 내측방향으로 방출되는 열을 반사시켜 구이판(2)측으로 열이 방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내측 둘레판(14)과 외측 둘레판(13)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상기 내측 둘레판(14)은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1 반사부(141)와, 상기 제1 반사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원체(5)의 내측을 포설하며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2 반사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원체(5)의 내측방향으로 방출되는 열원이 상기 내측 둘레판(14)에 의해 반사되어 구이판(2)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반사부(141)와 제2 반사부(142)에 의해 반사각도가 다르게 반사되어 구이판(2)측으로 열을 반사시켜 방출함에 따라 구이판(2)측으로 고른 열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측 둘레판(13)은 상기 상판(12)으로부터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3반사부(131)와, 상기 제3반사부(131)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3 반사부(131)와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제4 반사부(132)와, 상기 제4 반사부(132)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5 반사부(133)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원체(5)의 외측방향으로 방출되는 열이 상기 외측 둘레판(13)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구이판(2)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반사부(131), 제4 반사부(132) 및 제5 반사부(133)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반사가 이루어기 때문에 상기 구이판(2)측으로의 열 공급이 고르게 이루어지며 열방출에 대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열원체(5)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체(4)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반사체(10)의 내측 둘레판(14)에 고정되는 안전망체(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전망체(20)는 상기 반사체(10)의 내측 둘레판(14)에 고정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으로부터 절곡연장 형성되는 지지봉(22)들과, 상기 지지봉(22)들에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는 원형의 안전테두리(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편(21)과 상기 내측 둘레판(14)과의 결합은 나사결합 또는 리벳팅 결합 등 다양한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망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체(5)의 하부에 더 위치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망체(20)에 의해 고기를 굽거나 또는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열원체(5)에 닿게 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시 사용자의 손이나 도구 등이 상기 열원체(5)에 닿는 것을 막아 주어 사용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체 2 : 구이판
3 : 연결대 4 : 상부체
5 : 열원체 10 : 반사체
11 : 열원체브라켓 12 : 상판
13 : 외측 둘레판 14 : 내측 둘레판
20 : 안전망체 21 : 고정편
22 : 지지봉 23 : 안전테두리
131 : 제3 반사부 132 : 제4 반사부
133 : 제5 반사부 141 : 제1 반사부
142 : 제2 반사부

Claims (7)

  1. 베이스체(1)와, 상기 베이스체(1)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이판(2)과, 상기 구이판(2)의 일측에 하부가 연결되는 연결대(3)와, 상기 연결대(3)의 상부가 연결되는 상부체(4)와, 상기 상부체(4)의 내측에 위치되어 구이판(2)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열원체(5)와, 상기 열원체(5)의 둘레부를 따라 포설되어 상기 열원체(5)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구이판(2)측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열원체(5)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체(10)를 포함하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10)는 상기 열원체(5)가 끼움고정되는 열원체브라켓(11)이 내측에 볼트 결합되는 상판(12)과; 상기 상판(12)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5)의 외측을 포설하는 외측 둘레판(13)과; 상기 상판(12)의 내측 둘레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열원체(5)의 내측을 포설하는 내측 둘레판(14);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둘레판(14)은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1 반사부(141)와; 상기 제1 반사부(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원체(5)의 내측을 포설하며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2 반사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둘레판(13)은 상기 상판(12)으로부터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3 반사부(131)와; 상기 제3 반사부(131)의 하부측으로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제3반사부(131)와 다른 경사각도로 형성되는 제4 반사부(132)와; 상기 제4반사부(132)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무늬없는 원호형상, 원형 또는 다각형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제5 반사부(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8984A 2012-06-01 2012-06-01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142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84A KR101427461B1 (ko) 2012-06-01 2012-06-01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84A KR101427461B1 (ko) 2012-06-01 2012-06-01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379A KR20120082379A (ko) 2012-07-23
KR101427461B1 true KR101427461B1 (ko) 2014-08-07

Family

ID=4671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984A KR101427461B1 (ko) 2012-06-01 2012-06-01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853B1 (ko)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5117B (zh) * 2012-06-27 2016-01-27 威海嘉易烤生活家电有限公司 热源上置式电烤炉
KR200477329Y1 (ko) * 2013-11-05 2015-06-04 주식회사 홈파워 적외선 가열 구이기
KR20160104250A (ko) 2015-02-26 2016-09-05 서무준 상하 방향 가열 방식의 가열 조리 장치 및 방법
KR101998519B1 (ko) * 2018-05-15 2019-07-09 김명기 전골요리 및 고기구이 겸용 조리기
KR102035940B1 (ko) * 2018-09-27 2019-10-23 김영준 슬라이드타입 로스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496A (ko) * 2006-12-20 2007-08-21 이완희 구이기에 적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열 유도반사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496A (ko) * 2006-12-20 2007-08-21 이완희 구이기에 적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열 유도반사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853B1 (ko) 2016-03-28 2017-03-07 오영민 양방향 가열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379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461B1 (ko)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0915292B1 (ko)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JP5054822B2 (ja) 赤外線加熱調理器
JP5317143B2 (ja) 両方向加熱調理器
KR100760821B1 (ko) 오븐
JP3193084U (ja) 加熱調理器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50000697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JP2010112586A (ja) 加熱調理器
JP2015052446A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このヒータユニットを備えた加熱調理器
EP2110001B1 (en) Cooking apparatus
JP3193085U (ja) 加熱調理器
KR102078237B1 (ko) 접철 가능한 가열 조리기
JP3188154U (ja) 熱遮断体が備えられた加熱調理器
KR200463874Y1 (ko) 꼬치 직화 구이기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100002414U (ko)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KR20160002584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