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414U -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414U
KR20100002414U KR2020100001444U KR20100001444U KR20100002414U KR 20100002414 U KR20100002414 U KR 20100002414U KR 2020100001444 U KR2020100001444 U KR 2020100001444U KR 20100001444 U KR20100001444 U KR 20100001444U KR 20100002414 U KR20100002414 U KR 201000024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ing
meat
unit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2020100001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414U/ko
Publication of KR20100002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체의 내면에 찌개나 국 또는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하부체의 상단에 고기와 같은 육류를 올려 놓고 구워먹을 때 발생되는 상부 열원을 이용하여 전골과 같은 국물이 있는 음식을 동시에 조리하여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의 향상은 물론 동시 열원을 이용하여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하여 먹을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상부발열부의 열원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면 내측에 하부가열부(11)가 구성된 하부체(12)와, 상기 하부체(12)로부터 지지대(13)에 의해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면 내측에 상부가열부(14)가 구성된 상부체(15)로 구성된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5)의 상면 내측에는 상부체(15)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열부(14)가 하면에 접하여 상부가열부(14)의 열원을 전달받는 조리부(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20)의 상부를 덮는 덮개(2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IMPROVEMENT COOKING PAN WITH BOTH SIDES HEATING PART}
본 고안은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 상부에 발열체가 이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해 조리용기 위에 놓인 음식물을 상부에서 익혀주는 상부가열부와, 조리 용기 하부에 조리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하부가열부를 각각 구성하여, 상부가열부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과, 하부가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동시에 조리용기에 놓여진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되거나 익혀지도록 한 양방향 가열 조리기의 상부 덮개의 내부에 조리부를 더 구성하여 찌개나 국,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상부가열부의 열에 의해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熱)이 전달되는 메카니즘은 전도(Conduction)와 대류(Convection) 및 복사(Radiation)로 대별 되는 바, 전도열은 주로 고체에 의해 전달되고 대류열은 주로 유체에 의해 전달된다.
그리고, 복사열은 어떤 발열체의 표면으로부터 전자파 형태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과정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것으로서, 매질이 없는 상태에서도 열(熱)이 빛의 속도로 방출되어 피사체까지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복사열의 파장 범위는 적외선에서부터 가시광선 영역을 거쳐 파장이 가장 짧은 자외선의 영역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해 원적외선과 근, 중 적외선과 같은 적외선 파장 영역대가 가장 강한 열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종래 적외선 조리용기는, 외부가 석영관으로 구성된 적외선 램프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상단에 설치된 조리용기와, 상기 적외선 램프의 하단에 설치된 반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고기구이기가 있으며, 이러한 적외선 고기구이기는 적외선 램프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고, 이 조리용기가 고기의 하부만을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가 타지 않도록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열효율도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석쇠 상부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근적외선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상부에는 반사판을 설치한 육류구이기가 있으며, 이러한 육류구이기는 석쇠 위에 올려진 고기에 직접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고기를 굽기 때문에 육질 내부까지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육류구이기 역시 램프에서 발사되는 근적외선이 고기의 상부만 익혀주는 일방향 가열방식으로서, 고기를 계속 뒤집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적외선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경우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익히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함께, 조리용기에 올려진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치어 적외선램프를 점등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전기료의 증가에 의한 비용부담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09-0017682호인 양방향 가열 조리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하부구조를 형성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대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리용기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와, 상기 덮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향하여 복사열(R)을 방출하는 상부발열체와, 상기 조리용기의 하단면에 구성되어 조리용기에 직접적인 열을 전달하는 하부가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용기는 상기 상부발열체로부터 조사되는 복사열과, 상기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에 의해 뜨겁게 가열되고, 음식물은 상기 상부발열체의 복사열과 하부발열체의 직접가열에 의해 상부와 하부가 동시에 익혀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발열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 특히 적외선 복사열이 조리용기 위에 놓인 음식물의 상부와 내부를 익혀주고, 동시에 조리용기의 하단에 구성된 하부가열부에 의해 조리용기가 빠르게 데워짐은 물론 하부가열부의 직접적인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를 직접 익혀주는 양방향 가열방식으로서 음식물을 계속 뒤집어 주지 않더라도 태우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어서 삼겹살이나 갈비 등 육류를 굽는 구이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부발열체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하부는 물론 상부측으로 방출되는 바, 이와 같이 상부측으로 방출되는 상부발열체의 열은 그대로 공기 중으로 나가게 되어 열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열원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용기 상부에 발열체가 이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열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해 조리용기 위에 놓인 음식물을 상부에서 익혀주는 상부가열부와, 조리 용기 하부에 조리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하부가열부를 각각 구성하여, 상부가열부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과, 하부가열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동시에 조리용기에 놓여진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되거나 익혀지도록 한 양방향 가열 조리기의 상부 덮개의 내부에 추가로 다른 메뉴가 가능한 구이기 혹은 추가 조리부 혹은 전골 요리가 가능한 조리부를 더 구성하여 하부 조리판과는 다른 구이 혹은 찌개나 국,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상부가열부의 열에 의해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열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동일 전력을 통해 보다 많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면 내측에 하부가열부가 구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로부터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면 내측에 상부가열부가 구성된 상부체로 구성된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의 상면 내측에는 상부체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열부가 하면에 접하여 상부가열부의 열원을 전달받는 조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부체의 내면에 찌개나 국 또는 전골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하부체의 상단에 고기와 같은 육류를 올려 놓고 구워먹을 때 발생되는 상부 열원을 이용하여 전골과 같은 국물이 있는 음식을 동시에 조리하여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의 향상은 물론 동시 열원을 이용하여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하여 먹을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상부발열부의 열원을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면 내측에 하부가열부(11)가 구성된 하부체(12)와, 상기 하부체(12)로부터 지지대(13)에 의해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면 내측에 상부가열부(14)가 구성된 상부체(15)로 구성된 양방향 가열조리기의 개량 고안된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로서, 상기 상부체(15)의 상면 내측에는 상부체(15)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열부(14)가 하면에 접하여 상부가열부(14)의 열원을 전달받는 조리부(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20)의 상부를 덮는 덮개(2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리부(20)는, 상기 상부체(15)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상부체(15)의 상부 내측에 요입홈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에 별도의 조리부(20)를 인입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상부가열부(14)의 열원을 바닥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조리부이면 어느 형상이든지 관계치 않는다.
또한, 상기 덮개(21)는 상기 조리부(20)의 내부에서 가열 조리되는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하기에 용이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는, 상기 하부체(12)의 상면에 고기와 같은 육류를 올려 놓고, 상기 하부체(12)의 하부가열부(11)를 통해 전달받는 직접열원과, 상기 상부가열부(14)로부터 전달받는 복사열을 통해 고기와 같은 육류를 빠르게 구워먹을 수 있으며 고기가 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기를 맛잇게 구워먹는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상부체(15)의 내부에 구성된 조리부(20)에 추가로 하부에서 구워지고 있는 다른 구이나 혹은 찌개나 국 또는 전골과 같은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하여 구워지는 고기와 같이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조리부(20)의 하면이 상기 상부체(15)의 내부에 구성된 상부가열부(14)를 통해 열원이 전달되기 때문에 조리부(20)를 이용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체(15)의 내부에 조리부(20)가 더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기를 구워먹음과 동시에 찌개나 전골 등의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계란찜, 조개찜 등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어 사용성 및 조리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별도의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부(20)가 가열되는 것이 아니라, 복사열을 방출하는 상부가열부(14)의 열원을 전달받아 조리를 할 수 있음으로써 음식을 조리할 때 소비되는 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 : 하부가열부 12 : 하부체
13 : 지지대 14 : 상부가열부
15 : 상부체 20 : 조리부
21 : 덮개

Claims (1)

  1. 상면 내측에 하부가열부(11)가 구성된 하부체(12)와, 상기 하부체(12)로부터 지지대(13)에 의해 상부측으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하면 내측에 상부가열부(14)가 구성된 상부체(15)로 구성된 양방향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5)의 상면 내측에는 상부체(15)의 내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열부(14)가 하면에 접하여 상부가열부(14)의 열원을 전달받는 조리부(2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리부(20)의 상부를 덮는 덮개(21)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KR2020100001444U 2010-02-09 2010-02-09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KR201000024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44U KR20100002414U (ko) 2010-02-09 2010-02-09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444U KR20100002414U (ko) 2010-02-09 2010-02-09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14U true KR20100002414U (ko) 2010-03-08

Family

ID=4419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444U KR20100002414U (ko) 2010-02-09 2010-02-09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4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5292B1 (ko)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US8761588B2 (en) Bidirectional heating cooker
JP5317143B2 (ja) 両方向加熱調理器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EP3245922B1 (en) Infrared heating cooker
KR20120030119A (ko) 조리구이판이 이동되는 조리용기
KR100928392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WO2015160179A1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101427461B1 (ko) 반사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1467484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구
KR20100002414U (ko) 개량 양방향 가열조리기
JP3115765B2 (ja) 加熱調理器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202937B1 (ko) 차단판이 구비된 바비큐구이기
KR200475155Y1 (ko) 열차단체가 구비된 가열조리기
KR20100073386A (ko) 구이기
KR101548011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계란 조리기
KR20160002584U (ko) 적외선 가열조리기
KR20130088946A (ko) 꼬치구이 기능을 갖는 연통을 형성한 직화 가열식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