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719A -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719A
KR20070028719A KR1020050082982A KR20050082982A KR20070028719A KR 20070028719 A KR20070028719 A KR 20070028719A KR 1020050082982 A KR1020050082982 A KR 1020050082982A KR 20050082982 A KR20050082982 A KR 20050082982A KR 20070028719 A KR20070028719 A KR 2007002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weight
alcohol
extract
liqu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587B1 (ko
Inventor
유용희
Original Assignee
유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용희 filed Critical 유용희
Priority to KR102005008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587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5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과 꽃송이버섯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 추출액 14∼17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46∼49 중량%, 정제수 36∼39 중량% 및 설탕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과정,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과정,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꽃송이버섯, 술, 곡물주정, 추출액

Description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parassis crispa an extract and sparassis crispa alcoholic drinks using of sparassis crispa an extract}
본 발명은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과 곡물(쌀)로 제조된 알코올 농도 50%의 곡물주정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호식품이란 인체에 필요한 직접 영양소는 아니지만 향미(香味)가 있어 기호를 만족시켜 주는 식품을 말한다. 이러한 기호식품에는 차, 커피, 코코아, 담배, 알코올 음료(막걸리, 소주, 약주, 포도주, 브랜디, 위스키, 진, 보드카, 배갈 등), 청량음료(탄산음료, 과실음료, 유산음료, 콜라 등) 등이 있고, 넓은 뜻으로는 껌, 초콜릿을 비롯한 과자류, 과일, 향신료(마늘, 파, 생강, 후추, 고추 등)도 포함된다. 그 종류는 민족과 문화에 따라 다양하지만 알코올 음료와 담배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애용되고 있다.
특히, 알코올 음료의 경우에는 인간이 사는 곳에는 언제 어느 곳이나 술이 있다라고 할 정도로 우리 생활의 일부처럼 되어 있다. 이러한 알코올 음료는 그 종류나 다양성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매우 많기도 하지만 그 제조방법이나 용도에 따라서도 그 분류가 매우 다양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알코올 음료는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고 갖가지 공해 등의 환경오염이 심화되어 인간의 건강한 생활에 대한 욕구가 극대화되면서 알코올 음료도 건강과 연계되어 제조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처럼 건강을 생각한 알코올 음료로는 포도주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복분자주, 곡물주 및 기타 한방으로 제조된 알코올 음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인체의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하여 면역항체를 정상수준으로 끌어올려 암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꽃송이버섯에 대한 활용도는 극히 일부에만 적용될 뿐 일반 음료나 알코올 음료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꽃송이버섯의 활용도가 높지 못한 이유는 그 채취량이 적어서이기도 하지만 값이 워낙 고가라서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꽃송이버섯을 건강도 생각하면서 우리의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구입이 용이한 형태의 제품으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나, 지금은 건강하지만 차후의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이나 술을 즐겨하지만 건강을 생각해야 하는 경우의 사람에게 있어서는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을 함유한 기호식품으로서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꽃송이버섯주는 소비자의 요구가 급변하고 있는 현 대사회에 부합하는 기호식품이라 할 수 있으며, 인간의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욕구에도 부합하는 기호식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소비자의 요구와 시대적인 요구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꽃송이버섯과 희석주정의 혼합물을 일정한 온도 조건하에서 환류냉각 추출하여 여과와 농축과정을 거쳐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물이나 기타의 음료와 적당량을 혼합하여 기호에 알맞게 식음료로써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함으로써 음주를 즐기는 가운데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베타글루칸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나 시대적인 욕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꽃송이버섯을 정선하여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을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침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라)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마) 단계 (라)의 과정을 통해 여과된 꽃송이버섯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침출액으로 추출된 이외의 잔여물을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을 통해 침출액을 재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단계 (마)의 과정에서 단계 (라)의 여과과정을 거쳐 얻은 꽃송이버섯 여과액과 혼합하는 단계가 더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방법은 꽃송이버섯(목질진흙 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 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4∼17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46∼49 중량%, 정제수 36∼39 중량% 및 설탕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다른 제조방법은 꽃송이버섯(목질진흙 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8.5∼20.5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78.5∼80.5 중량% 및 설탕 1∼3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 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곡물주정은 (a) 쌀을 정선한 후 수분함량 28∼29%로 수침하는 단계; (b) 단계 (a)의 과정에서 수침된 쌀을 호화되도록 증자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8.5∼40 중량%, 곡자(누룩) 1∼2.5 중량%, 정제수 58.5∼60 중량% 및 구연산액 0.5∼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효모 0.03∼0.05 중량%를 접종시켜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 일간 발효를 통해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d)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c) 과정의 밑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4∼6 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e)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d) 과정의 1단담금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6∼8 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f) 단계 (e)의 과정에서 발효된 2단담금술을 증류기를 통해 단식 증류하는 단계; 및 (g) 단계 (f)의 과정에서 증류된 증류액에 정제수의 가수를 통해 알코올농도 50%로 조절하여 탱크 내에서 2∼4 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방법에 대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주재료인 꽃송이버섯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민주름버섯목 꽃송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하며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과 같은 향이 나는 버섯이다. 영어명은 Cauliflower mushroom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 면역증강을 통한 항암 효과 및 질병의 치료가 입증된 바 있는 꽃송이버섯은 암 치료는 물론 일반인의 면역증강을 위한 건강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는 버섯을 먹는 것이 가장 좋고, 버섯 중에서도 특히 면역력 강화 성분이 많은 것이 꽃송이버섯이라고 밝혀졌다. 이 때문에 면역력 강화 요법은 현재 많은 병원에서 외과수술, 방사선조사, 항암제 투여에 이은 제 4의 암 치료법으로 쓰이고 있다.
꽃송이버섯에 다량 함유된 베타(β)-글루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항암효과는 버섯에 들어있는 베타(β)글루칸이란 성분이 면역력을 강화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다. 다당체의 일종인 베타글루칸은 세포조직의 면역능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하고 면역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버섯은 면역세포를 강화하는 작용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 증명돼 구름 버섯의 균사체에서 클레스틴(PSK)이, 표고버섯의 균사체에서 렌티난(LNT)이, 치마버섯의 균사체에서 소니필란(SPG)이 추출되어 항암제로 임상에 활용되고 있다. 베타글루칸은 분자의 크기나 결합방법에 따라 β(1-3), β(1-4) 및 β(1-6)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버섯의 베타글루칸 중에서도 항암작용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성분은 β(1-3)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즉, β(1-3)은 면역력을 강화하여 암의 발생이나 증식을 억제하는 베타글루칸의 작용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성분인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버섯의 면역력 강화 성분인 β(1-3)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것이 바로 꽃송이버섯이다. 보통 아가리쿠스나 상황버섯, 영지버섯에 들어있는 베타글루칸은 거의 β(1-4), β(1-6)으로 암을 퇴치하는 면역성분인 β(1-3)은 극히 미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꽃송이버섯의 함유성분을 분석해본 결과 건조 100g 중에 베타글루칸이 43.6g이나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항암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버섯들과 비교해도 300∼400배 이상 높은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꽃송이버섯은 산에서도 채취할 수 있으며 씹는 감촉과 향이 독특하다. 특히, 먹으면 씹는 맛이 좋고, 고약하지 않은 풍미로 송이버섯과 같은 향이 난다. 또한, 모든 버섯이 음지에서 자라는 음성(-)인데 반해 꽃송이버섯은 세계 유일의 양성(+)버섯이다. 다만, 자연에서 자라는 양이 극히 적기 때문에 일반사람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아 신비의 버섯으로 통하기도 하는데 닮은 형태의 독버섯이 없기 때문에 모양을 보고 식별이 가능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한편, 꽃송이버섯의 효능으로는 면역력 증강으로 수술 후 빠른 회복, 생체조 직의 재생 및 치료, 생체 내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작용, 조혈작용, 혈압 및 혈당치의 정상화, 항암 치료의 부작용 억제 및 항암효과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꽃송이버섯의 입증된 임상 사례로는 꽃송이버섯의 항암효능에 대한 동물(쥐) 실험을 실시한 결과 유효물질의 추출에 의한 주사실험이 아닌 단순 분말의 4주간 경구투여에 의한 실험에서 종양 저지율이 75% 이상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와 같은 동물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사람의 암에 대한 꽃송이버섯의 효과를 알아보는 임상실험도 이루어졌다. 말기 암환자 14명에 대하여 임파구이입 면역요법 시행 후 꽃송이버섯 분말을 1일 300mg 투여하는 방법으로 경구 투여해 6개월간 관찰한 결과 피험자 14명 중 증상의 개선이나 전이소의 축소효과가 확인되었고, 면역 바로미터도 상승했다. 즉, 전이진행성 암에 대한 꽃송이버섯의 유효성이 사람대상 임상실험에 의해 증명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인체에 유용한 작용을 하는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가) 꽃송이버섯을 정선하여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 (나)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과 희석주정을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다)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을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환류냉각을 통해 침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라) 추출된 꽃송이버섯 침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마) 단계 (라)의 과정을 통해 여과된 꽃송이버섯 여과액을 감압 농축을 통해 꽃송 이버섯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가)에서는 채취된 꽃송이버섯을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를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한다. 물론,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의 꽃송이버섯을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하지 않고 일정크기의 조각 상태로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다만,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한 꽃송이버섯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꽃송이버섯의 추출이 보다 용이하다 할 수 있다.
단계 (나)의 과정에서는 단계 (가)의 과정에서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과 희석주정을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과 희석주정의 혼합비율은 3∼5 : 95∼97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나)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희석주정의 경우 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것을 사용하며, 희석주정은 별도의 제조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도 있으나 희석 상태로 공급되는 일반적인 주정을 공급받아 사용하면 된다.
단계 (다)의 과정에서는 단계 (나)의 과정을 통해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알코올농도 50%) 95∼97 중량%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온도 조건하에서 환류냉각 추출을 하여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온도 조건은 80∼90℃이며, 환류냉각 추출시간은 4∼6시간동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의 꽃송이버섯 분말에 희석주 정을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을 통해 꽃송이버섯을 추출하는 이유는 꽃송이버섯의 유효성분을 완벽히 추출하기 위함이다.
단계 (라)의 과정에서는 단계 (다)의 환류냉각 추출과정을 통해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침출시킨 후 침출된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여과하게 된다.
단계 (마)의 과정에서는 단계 (라)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꽃송이버섯 여과액을 혼합하여 감압 농축을 통해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수득하게 된다. 이처럼 단계 (마)의 과정에서 수득된 꽃송이버섯 농축액이 바로 본 발명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은 정제수, 꿀, 기타의 음료 및 주정 등과 알맞은 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꽃송이버섯의 유효한 성분이 함유된 음료나 꽃송이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함유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침출액으로 추출된 이외의 잔여물 즉, 꽃송이버섯 침출액을 여과하고 난 후의 잔여물을 환류냉각을 통해 침출액을 재추출하여 여과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을 통해 침출액을 재출하여과하게 된다. 이처럼 재추출된 침출액은 단계 (마)의 과정에서 단계 (라)의 여과과정을 거쳐 얻은 꽃송이버섯 여과액과 혼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가) 꽃송이버섯 추출 액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정제수 및 설탕을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 과정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하는 방법은 (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4∼17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46∼49 중량%, 정제수 36∼39 중량% 및 설탕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방법은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 한 것이고,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해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나 단계 (가) 과정에서 정제수를 가수하지 않는다.
즉,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 제조시에는 (가) 꽃송이버섯 추출액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및 설탕을 일정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 과정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통해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가)에서는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정제수 및 설탕을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정제수를 가수하고,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정제수를 가수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시 단계 (가)의 과정에서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 제조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정제수 및 설탕의 혼합비율은 14∼17 : 46∼49 : 36∼39 :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 (꽃송이버섯 술) 제조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및 설탕의 혼합비율은 18.5∼20.5 : 78.5∼80.5 : 1∼3 중량%의 비율로 혼합된다. 이때, 곡물주정은 알코올농도 50%의 주정을 사용한다.
전술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 제조방법의 단계 (가) 과정에서 꽃송이버섯 추출액은 앞서의 꽃송이버섯 추출액 제조방법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가) 꽃송이버섯을 정선하여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을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침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라)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마) 단계 (라)의 과정을 통해 여과된 꽃송이버섯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이다.
단계 (가)의 과정을 다시 한번 설명하면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 제조시에는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4∼17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46∼49 중량%, 정제수 36∼39 중량% 및 설탕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 제조시에는 꽃송이버섯 추출액 18.5∼20.5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78.5∼80.5 중량% 및 설탕 1∼3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단계 (나)의 과정에서는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을 제성한다. 이때, 단계 (나)의 제성하는 단계에서는 통상의 제성기를 통해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정제수 및 설탕의 일정 비율로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 또는 꽃송이버섯 추출액, 곡물주정 및 설탕의 일정 비율로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이물질을 걸러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조한다.
단계 (다)의 과정에서는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일정한 온도조건하에서 수개월간 숙성시킨다. 이때,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는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게 된다.
단계 (라)의 과정에서는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얻게 된다. 이처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얻은 액이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는 일정한 용기 즉, 병에 충진시켜 병제품의 형태로 만든 후, 검사와 포장을 통해 완제품으로 제조하여 시중에 유통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어지는 곡물주정은 통상 쌀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곡물주정은 주정공 장에서 제조되어 공급되는 일반적인 곡물주정을 즉, 쌀막걸리의 원료가 되는 주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곡물주정의 제조과정에서 먼저, 단계 (a)의 과정에서는 일정량의 쌀을 정선한 후 쌀을 물속에 넣어 쌀에 수분이 충분히 수침되도록 한다. 이때, 쌀의 수분함량은 28∼29%가 되도록 함이 양호하다.
단계 (b)의 과정에서는 단계 (a)의 과정에서 수분함량이 28∼29%가 되도록 물속에 수침을 한 쌀을 충분히 호화되도록 증자한 후 냉각시킨다. 이때, 증자한 쌀의 냉각은 강제냉각을 할 수도 있으나 자연냉각을 함이 보다 양호하다.
단계 (c)의 과정에서는 전술한 단계 (b)의 과정에서 수분함량 28∼29%의 쌀을 충분히 호화되도록 증자하여 냉각시킨 쌀을 통해 밑술을 제조하게 되는데,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곡자(누룩), 정제수 및 구연산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일정량의 효모를 접종시켜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밑술을 제조한다.
즉, 밑술을 제조하는 과정은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8.5∼40 중량%, 곡자(누룩) 1∼2.5 중량%, 정제수 58.5∼60 중량% 및 구연산액 0.5∼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효모 0.03∼0.05 중량%를 접종시켜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 일간 발효를 통해 밑술을 제조한다.
단계 (d)의 과정은 1단담금 과정으로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곡자(누룩) 및 정제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c) 과정의 밑술과 혼합하여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1단담금술을 제조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d)의 1단담금 과정은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c) 과정의 밑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4∼6 일간의 발효를 통해 1단담금술을 제조한다.
단계 (e)의 과정은 2단담금 과정으로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곡자(누룩) 및 정제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d) 과정의 1단담금술과 혼합하여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2단담금술을 제조한다.
즉, 단계 (e)의 2단담금 과정에서는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d) 과정의 1단담금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6∼8 일간 발효를 통해 2단담금술을 제조한다.
단계 (f) 과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e)의 2단담금 과정을 통해 발효된 2단담금술을 증류기를 통해 단식 증류한다.
단계 (g)의 과정에서는 단계 (f)의 과정에서 증류된 증류액에 정제수의 가수를 통해 알코올농도 50%로 조절하여 탱크 내에서 2∼4 일간 숙성시킨다. 이때, 단계 (g) 과정의 숙성과정을 거친 주정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곡물주정이다.
[실시 예 1]
☞ 곡물주정의 제조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의 제조과정 상에서 사용되는 곡물주정은 먼저, 쌀을 정선하여 이를 물속에 넣어 쌀의 수분함량이 28∼29%가 되도록 충분히 수침한 후, 수분함량이 28∼29%가 되도록 수침한 쌀을 충분히 호화되도록 증자하여 냉각시켰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자 냉각된 쌀 12kg, 곡자(누룩) 360g, 정제수 18ℓ 및 50% 구연산액 0.2ℓ를 혼합한 후, 효모 12g을 접종하여 23℃의 온도 조건하에서 3일간 발효를 통해 밑술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증자 냉각된 쌀 48kg, 곡자(누룩) 1440g, 정제수 72ℓ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밑술과 혼합하여 23℃의 온도 조건하에서 5일간 발효를 통해 1단담금술을 제조하였다.
한편, 증자 냉각된 쌀 63kg, 곡자(누룩) 1900g, 정제수 96ℓ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1단담금술을 혼합하여 23℃의 온도 조건하에서 6∼8 일간 발효를 통해 2단담금술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발효된 2단담금술을 증류기를 통해 단식 증류한 후, 이 증류액을 알코올농도 50%로 조절하여 탱크 내에서 2∼4 일간 숙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곡물주정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
먼저, 알코올농도 95%의 주정과 정제수를 10 : 9의 비율로 혼합하여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을 제조한 후, 꽃송이버섯 2kg에 희석주정(알코올농도 50%) 50 ℓ를 넣고, 85℃에서 5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한다(꽃송이버섯 특유의 냄새제거와 유효성분을 완벽히 추출하기 위하여 85에서 환류냉각 추출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한편,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회수하여 여과한 후, 여과된 침출액을 감압농축을 통해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감압농축을 통해 제조된 농축액이 본 발명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이다.
[실시 예 3]
☞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 실시 예 1 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 46ℓ와 실시 예 2 를 통해 제조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5ℓ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정제수 37.8ℓ와 설탕 2kg을 혼합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한 후,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20℃의 온도 조건하에서 3개월간 숙성시키고, 숙성된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4]
☞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 실시 예 1 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 83ℓ와 실시 예 2 를 통해 제조된 꽃송이버섯 추 출액 20ℓ 및 설탕 2kg을 혼합하여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한 후,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20℃의 온도 조건하에서 3개월간 숙성시키고, 숙성된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꽃송이버섯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는 식음함으로써 꽃송이버섯의 유효한 성분을 함께 마시는 관계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꽃송이버섯을 일정한 온도 조건하에서 환류냉각 추출하여 여과와 농축과정을 거쳐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물이나 기타의 음료와 적당량을 혼합하여 기호에 알맞게 식음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함으로써 음주를 즐기는 가운데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꽃송이버섯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곡물(쌀)을 정선한 후 증자와 발효 및 숙성을 통해 제조된 곡물주정과 꽃송이버섯으로부터 추출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꽃송이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주를 제조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나 시대적인 욕구에 부합할 수 있다.

Claims (5)

  1.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꽃송이버섯을 정선하여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혼합물을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침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라)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마) 단계 (라)의 과정을 통해 여과된 꽃송이버섯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꽃송이버섯 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다)의 과정을 통해 침출액으로 추출된 이외의 잔여물을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을 통해 침출액을 재추출한 후 이를 여과하여 상기 단계 (마)의 과정에서 상기 단계 (라)의 여과과정을 거쳐 얻은 꽃송이버섯 여과액과 혼합하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3. 꽃송이버섯(목질진흙 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4∼17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46∼49 중량%, 정제수 36∼39 중량% 및 설탕 1∼4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23%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4. 꽃송이버섯(목질진흙 버섯)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미세분말 또는 입자상으로 분쇄된 꽃송이버섯 분말 3∼5 중량%와 희석 주정(95%주정과 물을 10:9의 비율로 혼합한 알코올농도 50%의 희석주정) 95∼97 중량%를 혼합하여 80∼90℃의 온도 조건하에서 4∼6시간동안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된 침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된 꽃송이버섯 추출액 18.5∼20.5 중량%, 곡물주정(알코올농도 50%) 78.5∼80.5 중량% 및 설탕 1∼3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나) 단계 (가)의 과정을 통해 혼합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제성기를 통해 이물질을 걸러 제성하는 단계;
    (다) 단계 (나)의 제성과정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의 꽃송이버섯 원주를 15∼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개월간 숙성시키는 단계; 및
    (라) 단계 (다)의 숙성과정을 통해 숙성된 꽃송이버섯 원주를 여과하여 알코올농도 40%의 꽃송이버섯주(꽃송이버섯 술)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주정은 (a) 쌀을 정선한 후 수분함량 28∼29%로 수침하는 단계;
    (b) 단계 (a)의 과정에서 수침된 쌀을 호화되도록 증자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8.5∼40 중량%, 곡자(누룩) 1∼2.5 중량%, 정제수 58.5∼60 중량% 및 구연산액 0.5∼2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효모 0.03∼0.05 중량%를 접종시켜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2∼4 일간 발효를 통해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d)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c) 과정의 밑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4∼6 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e) 단계 (b)의 과정에서 증자된 쌀 39∼40 중량%와 곡자(누룩) 1∼2 중량% 및 정제수 59∼6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후 단계 (d) 과정의 1단담금술과 혼합하여 20∼25℃의 온도 조건하에서 6∼8 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f) 단계 (e)의 과정에서 발효된 2단담금술을 증류기를 통해 단식 증류하는 단계; 및
    (g) 단계 (f)의 과정에서 증류된 증류액에 정제수의 가수를 통해 알코올농도 50%로 조절하여 탱크 내에서 2∼4 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송이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KR1020050082982A 2005-09-07 2005-09-07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KR10070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82A KR100701587B1 (ko) 2005-09-07 2005-09-07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982A KR100701587B1 (ko) 2005-09-07 2005-09-07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719A true KR20070028719A (ko) 2007-03-13
KR100701587B1 KR100701587B1 (ko) 2007-03-29

Family

ID=38101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982A KR100701587B1 (ko) 2005-09-07 2005-09-07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5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07B1 (ko) * 2007-06-05 2008-10-31 박영학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주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9970B1 (ko) * 2011-05-18 2013-07-26 김수열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KR101297727B1 (ko) * 2011-04-20 2013-08-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송이 버섯 유래의 수용성 베타글루칸을 이용하여 참송이 버섯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
CN105602812A (zh) * 2016-03-25 2016-05-25 广西大学 一种绣球菌保健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268B1 (ko) 2009-07-13 2011-10-11 김은정 쌀, 보리, 밀,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의 곡립배지를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액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7610B1 (ko) 2013-02-28 2013-08-19 이상권 석이버섯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석이버섯 발효주
KR101513712B1 (ko) 2013-06-27 2015-04-22 (주)새롬바이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진된 꽃송이버섯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662185B1 (ko) * 2014-12-18 2016-10-10 유기춘 β-글루칸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894167A (zh) * 2015-06-18 2015-09-09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绣球菌发酵物烟用提取物的提取方法及其应用
KR101753475B1 (ko) 2015-08-20 2017-07-04 김원곤 꽃송이 버섯 막걸리의 제조방법 이에 제조된 꽃송이 버섯 막걸리
KR20170022798A (ko) 2015-08-21 2017-03-0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세 차가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혼합 추출액 제조방법 및 그 추출액
KR102127278B1 (ko) * 2018-07-31 2020-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아람 꽃송이버섯 추출물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07B1 (ko) * 2007-06-05 2008-10-31 박영학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주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7727B1 (ko) * 2011-04-20 2013-08-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송이 버섯 유래의 수용성 베타글루칸을 이용하여 참송이 버섯 와인을 제조하는 방법
KR101289970B1 (ko) * 2011-05-18 2013-07-26 김수열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막걸리
CN105602812A (zh) * 2016-03-25 2016-05-25 广西大学 一种绣球菌保健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587B1 (ko) 200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587B1 (ko) 꽃송이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꽃송이 버섯 추출액을이용한 꽃송이버섯주의 제조방법
CN104312835A (zh) 一种芒果酒及其制备方法
KR20130037154A (ko) 버섯 추출물이 포함된 항암 발효물 제조방법
KR20100018993A (ko) 무화과엑기스 제조방법
KR100988387B1 (ko) 산돌배 발효주 제조 방법
US20080193592A1 (en) Method for preparing alcoholic beverage using incubated wild ginseng root
KR100998329B1 (ko) 냄새를 없앤 마늘과 솔잎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초 및 그제조방법
KR100988378B1 (ko)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CN104560571A (zh) 一种皿培牛樟菇虫草酒及其制备方法
CN101586065B (zh) 一种全汁石榴汽酒的制造方法
KR101438587B1 (ko) 와인 부산물 막걸리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
KR100643735B1 (ko) 두릅나무과 관목의 과실을 주재료로 하는 발효 과실주 및그 제조방법
KR100790504B1 (ko) 산삼배양근을 이용한 주류의 제조방법
KR101434030B1 (ko) 유자 식초를 이용한 유자 음료 제조 방법
KR101397405B1 (ko) 복분자 주박을 활용한 복분자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160075114A (ko) 발효커피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식초의 제조방법
KR100988426B1 (ko) 산돌배 혼성주 제조 방법
KR102326975B1 (ko) 표고 및 황칠을 이용한 저염의 전통발효 된장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드 잼의 제조 방법
CN112088995A (zh) 一种金刺梨复合饮料的制备方法
KR101459592B1 (ko) 효모영양제 첨가 허니와인 제조방법
CN105886324B (zh) 一种提高果醋中吲哚-3-甲醇和吲哚-3-乙腈的富硒发酵方法
KR101790414B1 (ko) 대추 식초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대추 식초
RU2322486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броженного вина
KR102035063B1 (ko) 와인 침용 독계산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5797A (ko) 감을 이용한 스파클링 와인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