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473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473A
KR20070022473A KR1020050076747A KR20050076747A KR20070022473A KR 20070022473 A KR20070022473 A KR 20070022473A KR 1020050076747 A KR1020050076747 A KR 1020050076747A KR 20050076747 A KR20050076747 A KR 20050076747A KR 20070022473 A KR20070022473 A KR 20070022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ickup roller
locking
rubber member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473A/ko
Publication of KR2007002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급지하는 픽업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픽업롤러어셈블리는, 소정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고무부재를 지지하며 양단부에 축선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픽업롤러부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부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고무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변형을 저지하며 상기 제1걸림돌기를 수용하는 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잠금홈과, 상기 잠금홈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잠금홈에 수용된 제2걸림돌기를 걸림해제시키는 탄성가압후크로 이루어진 원형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픽업롤러의 마모로 인한 교체시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픽업롤러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픽업롤러어셈블리 200 : 회전축
300 : 원형홀더부 310 : 결합부
320 : 홀더본체 330 : 탄성가압후크
340 : 걸림홈 360 : 안내홈
370 : 잠금홈 400 : 픽업롤러부
410 : 고무부재 420 : 프레임
421 : 제1걸림돌기 423 : 제2걸림돌기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화상형성부로 급지하는 픽업롤러어셈블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부(10)와, 용지공급부(10)로부터 용지를 이송받아 화상형성부(미도시)로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롤러(30)와, 픽업롤러(33)와 연동하여 마찰에 의해 선행되는 최상위용지만을 이송하는 마찰패드(40)와, 최상위용지 아래에 위치한 후송용지의 이송을 저지하는 키커부(5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1)는 용지공급부(10)에 적재된 최상위 용지에 픽업롤러(33)의 고무부재(34)가 마찰력을 가하여 화상형성부(미도시)로 이송시키고, 최상위 용지와 후행용지 사이의 마찰력보다 마찰패드(40)와 용지와의 마찰력을 더 크게 하여 후행용지의 중송을 방지한다. 그리고, 중송이 방지된 후행용지를 키커부(50)가 소정각도 회동하며 용지공급부(10)로 공급하여 후행용지의 중송을 방지하여 용지급지가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급지장치(1)의 픽업롤러(33)는 고무부재(34)와 용지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용지를 이송하기 때문에 고무부재(34)가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픽업롤러(33)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 픽업롤러어셈블리(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에 결합된 픽업롤러(33)와, 픽업롤러(33) 양측에 마련되어 픽업롤러(33)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의 원활한 이송을 돕는 아이들롤러(35)와, 픽업롤러(33)와 아이들롤러(3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지지부(37)로 이루어진다.
이런 구성을 갖는 종래 픽업롤러어셈블리(30)는 픽업롤러(33)를 교체할 때, 회전축(31)을 본체(미도시)로부터 분해하고, 회전축(31) 상에서 지지부(37)와 아이들롤러(35)를 탈거하여 픽업롤러(33)를 회전축(31)으로부터 분리하고, 신규한 픽업롤러(33)를 회전축(31)에 장착한 후 아이들롤러(35)와 지지부(37)를 다시 조립하고, 회저축(31)을 본체(미도시)에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런 교체작업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픽업롤러를 교체하기 어려워 전문 기술자의 도움을 요청해야 하므로 교체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교체기간 동안 인쇄작업이 진행될 때는 픽업롤러의 마모로 인해 용지걸림이 발생하여 안정적인 인쇄화질이 유지되지 못하는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체작업이 용이한 픽업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급지하는 픽업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어셈블리는, 소정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부 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고무부재를 지지하며 양단부에 축선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픽업롤러부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부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고무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변형을 저지하며 상기 제1걸림돌기를 수용하는 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잠금홈과, 상기 잠금홈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잠금홈에 수용된 제2걸림돌기를 걸림해제시키는 탄성가압후크로 이루어진 원형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형홀더부는, 상기 잠금홈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탄성가압후크가 반경방향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안내홈을 더 포함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원형홀더부의 원주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홈은 상기 원형홀더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100)를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100)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100)는 본체(미도시)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00)과, 회전축(200)에 고정결합된 원형홀더부(300)와, 원형홀더부(3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픽업롤러부(400)로 이루어진다.
회전축(200)은 본체(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에 결합되며, 인쇄신호에 따라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한다.
원형홀더부(30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00)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할 픽업롤러부(400)의 고무부재(410)를 가압하며 결합하는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양측에 마련되어 픽업롤러부(400)의 프레임(420)과 결합하는 지지부(350)로 이루어진다.
결합부(310)는 후술할 C형상으로 마련되는 픽업롤러부(400)에 대응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부채꼴의 외주연은 용지와 접촉할 때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고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은 픽업롤러부(400)와 결합시 고무부재(410)를 가압할 수 있는 비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5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홀더본체(320)와, 홀더본체(32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홈(340)과, 잠금홈(370)과, 잠금홈(37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가압후크(330)로 이루어진다.
걸림홈(340)은 후술할 픽업롤러부(400)와 결합시 제1걸림돌기(42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며, 픽업롤러부(400)의 제1걸림돌기(421)와 결합시 제1걸림돌기(421)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홀더본체(320)의 원주방향에 대해 소정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홈(370)은 픽업롤러부(400)의 제2걸림돌기(4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제2걸림돌기(423)를 수용하여 원형홀더부(300)와 픽업롤러부(4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잠금홈(370)은 제2걸림돌기(423)와 맞물리는 형상으 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가압후크(330)는 잠금홈(370)로부터 제2걸림돌기(423)를 탈착시킬 때,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홈(370)을 탄성적으로 신장시켜 제2걸림돌기(423)가 잠금홈(37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탄성가압후크(330) 내측에는 홀더본체(320)의 원주방향에 나란하게 안내홈(360)이 형성되어 탄성가압후크(330)가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준다. 여기서, 안내홈(360)의 깊이가 깊을수록 탄성가압후크(330)가 잠금홈(370)에 가하는 탄성력이 커지므로 보다 용이하게 제2걸림돌기가 걸림해제 될 수 있다.
픽업롤러부(400)는 C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용지와 접촉하며 마찰력을 부여하는 고무부재(410)와, 고무부재(410)의 내측에 마련되어 홀더본체(320)와 결합하는 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진다. 고무부재(410)는 용지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적정한 두께로 마련되며, 원형홀더부(300)의 결합부(310)에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탄성적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프레임(420)은 고무부재(410)의 내측에서 고무부재(410)를 지지하며 C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C자 형상의 양단부에는 홀더본체(320)에 걸림결합하는 제1걸림돌기(421)와 제2걸림돌기(423)가 마련된다. 제1걸림돌기(421)는 프레임(42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홀더본체(320)의 걸림홈(340)에 수용된다. 제2걸림돌기(423)는 제1걸림돌기(421)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홀더본체(320)의 잠금홈(370)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롤러어셈블리(100)의 결합과정을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원형홀더부(300)에 픽업롤러부(400)를 결합시킬 경우를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부(400)의 제1걸림돌기(421)를 원형홀더부(300)의 걸림홀(340)에 걸림결합시키고, 걸림결합된 제1걸림돌기(421)를 중심으로 픽업롤러부(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걸림결합된 제1걸림돌기(421)가 걸림홀(3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홀(340)은 홀더본체(32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시키지 않고 원주방향으로부터 소정각도를 가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결합된 제1걸림돌기(421)를 중심으로 픽업롤러부(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2걸림돌기(423)를 잠금홈(370)로 삽입시킨다. 이 때, 픽업롤러부(400)의 고무부재(410)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홈(370)에 제2걸림돌기(423)를 삽입시킨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걸림돌기(423)는 잠금홈(33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고, 이에 따라 픽업롤러부(400)는 원형홀더부(3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원형홀더부(300)에 장착되어 사용되던 픽업롤러부(400)의 고무부재(410)의 마모가 심해져 픽업롤러부(400)를 원형홀더부(300)로부터 분리할 때는, 먼저 탄성가압후크(330)를 반경방향내측으로 가압하여 잠금홈(370)으로부터 제2걸림돌기(423)을 분리한다.
제2걸림돌기(423)가 잠금홈(370)으로부터 분리되면 픽업롤러부(4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걸림돌기(421)를 걸림홈(340)에서 분리하여 픽업롤러부(400)를 원형홀더부(300)로부터 분리하고, 상술한 결합방법을 통해 픽업롤러부(400)를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잉크젯프린터, 레이저빔프린터, 복사기, 복합기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고무부재의 마모로 인해 픽업롤러부의 교체가 필요할 때, 종래 화상형성장치와 같이 픽업롤러어셈블리를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원형홀더부로부터 직접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원형홀더부에 픽업롤러부를 착탈하는 과정이 간단하므로 누구나 교환이 가능하며, 픽업롤러부의 교환에 요하는 시간이 짧으므로, 사용자가 언제나 최상의 상태로 화상형성장치를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안정된 인쇄화질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롤러부의 교체가 용이한 픽업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용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화상형성부로 급지하는 픽업롤러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어셈블리는,
    소정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부재와, 상기 고무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고무부재를 지지하며 양단부에 축선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픽업롤러부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픽업롤러부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고무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변형을 저지하며 상기 제1걸림돌기를 수용하는 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잠금홈과, 상기 잠금홈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잠금홈에 수용된 제2걸림돌기를 걸림해제시키는 탄성가압후크로 이루어진 원형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홀더부는,
    상기 잠금홈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탄성가압후크가 반경방향내측으로 가압되도록 마련된 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원형홀더부의 원주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홈은 상기 원형홀더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76747A 2005-08-22 2005-08-22 화상형성장치 KR20070022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47A KR20070022473A (ko) 2005-08-22 2005-08-22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747A KR20070022473A (ko) 2005-08-22 2005-08-22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73A true KR20070022473A (ko) 2007-02-27

Family

ID=4365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747A KR20070022473A (ko) 2005-08-22 2005-08-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563A (zh) * 2019-01-10 2021-08-24 株式会社理光 旋转体、插入轴的构件、保持构件和装置
KR20230002252U (ko) 2022-05-19 2023-11-28 이재영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2563A (zh) * 2019-01-10 2021-08-24 株式会社理光 旋转体、插入轴的构件、保持构件和装置
KR20230002252U (ko) 2022-05-19 2023-11-28 이재영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6243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5168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5628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22473A (ko) 화상형성장치
US851167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9907B1 (ko) 화상형성장치
JP5142935B2 (ja) ローラ装置
JP200021934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1674277B1 (en) Ink sheet cartridge
JP2004142113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4829907B2 (ja)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15805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28088B2 (ja) 給紙ローラ、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A2530232C (en) Cylindrical unit and intermediate connector
JPH1023667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06312A (ja) 給紙装置および印字装置
KR101214070B1 (ko) 감광드럼용 지지결합구와 감광드럼조립체 및 화상형성장치의 카트리지
JP2001026325A (ja) 給紙装置
JP2005015095A (ja) 搬送ローラ及び給紙装置
JP4861122B2 (ja) 画像形成装置
JP4365770B2 (ja) 連続紙印刷装置の定着装置
JPH11222323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92928A (ja) 給紙装置
JP4639264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96516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