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52U -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52U
KR20230002252U KR2020220001224U KR20220001224U KR20230002252U KR 20230002252 U KR20230002252 U KR 20230002252U KR 2020220001224 U KR2020220001224 U KR 2020220001224U KR 20220001224 U KR20220001224 U KR 20220001224U KR 20230002252 U KR20230002252 U KR 202300022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
mounting frame
feed roller
auxiliary
pap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573Y1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2020220001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57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22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5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1Details of cross-section or profile
    • B65H2404/114Built-up elements
    • B65H2404/1141Built-up elements covering a part of the perip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와, 홀더 바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끼워지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을 가지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를 포함하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일측에는 급지롤러의 급지 프레임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타측에는 급지 프레임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가 걸쳐지는 잠금후크가 형성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서 잠금후크가 파손된 홀더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파손된 잠금후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잠금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하는 보조후크부; 및 보조후크부를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PAPER FEED ROLLER ASSIST MOUNTING FRAME FOR OFFICE DEVICE}
본 고안(Disclosure)은,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급지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급지롤러를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고안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급지롤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급지롤러 어셈블리(1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프린터, 복사기 및 복합기 등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급지 카세트(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 용지(도시되지 않음)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화상형성부(도시되지 않음) 측으로 공급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급지롤러 어셈블리(10)는 회전축(20)과, 회전축(20)에 끼워지는 홀더부(30) 및 홀더부(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40)를 포함한다.
또한, 급지롤러 어셈블리(10)는 급지롤러(40)의 양단 측에 위치되도록 회전축(20)에 끼워지는 한 쌍의 아이들 롤러(50)와, 홀더부(30), 급지롤러(40) 및 아이들 롤러(50)들이 회전축(20) 상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게 하는, 회전축(20)에 끼워지는 한 쌍의 이탈방지구(60)를 포함한다.
이때, 홀더부(30)는 회전축(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31)와, 홀더 바디(3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을 포함하는데, 한 쌍으로 제공되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에는 회전축(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즉, 홀더부(30)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에 형성된 관통공(33)을 매개로 회전축(20)에 끼워지며, 이에 의해 홀더 바디(31)는 회전축(20)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의 일측에는 급지롤러(40)의 급지 프레임(41)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2)가 걸쳐지는 걸림홈(34)이 형성되고,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의 타측에는 급지 프레임(41)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43)가 걸쳐지는 잠금후크(35)가 형성된다.
즉, 급지롤러(40)는 급지 프레임(41)에 형성된 걸림돌기(42)들을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의 걸림홈(34)들에 끼운 상태 하에서 급지 프레임(41)에 형성된 잠금돌기(43)들을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의 잠금후크(35)들에 걸쳐 놓음으로서 홀더부(30)에 결합된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44'는 용지 급지 시 용지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고무패드'로서, 고무패드(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의 급지 프레임(41)을 감싸도록 급지 프레임(41)의 외측면 측에 끼워진다.
그런데, 전술한 급지롤러 어셈블리(10)의 홀더부(30)에 형성된 잠금후크(35)들은 화상형성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급지롤러(40) 교환 시 파손되어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들에서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급지롤러 어셈블리(10)는 잠금후크(35)들 파손 시 급지롤러 어셈블리(10)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 및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796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2473호.
본 고안(Disclosure)은, 잠금후크가 파손된 홀더부에 설치되어 잠금후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고안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고안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르면,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와, 홀더 바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끼워지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을 가지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를 포함하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일측에는 급지롤러의 급지 프레임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타측에는 급지 프레임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가 걸쳐지는 잠금후크가 형성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서 잠금후크가 파손된 홀더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으로서,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파손된 잠금후크의 위치에 배치되어 잠금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하는 보조후크부; 및 보조후크부를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기저부는, 홀더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홀더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홀더바디 내부로 압입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보조후크부를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에서 파손된 잠금후크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며, 위치결정블록은 고정블록의 일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고정블록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정블록의 타단 측과 마주하는 위치결정블록의 타측면은 고정블록을 홀더바디에 압입 고정 시 홀더바디의 끝단 측에 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보조후크부는, 고정블록의 일단 측에서 고정블록의 일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로드; 및 연장로드의 자유단 측에서 연장로드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탄성지지편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보조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연장로드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후크돌기는 고정블록의 측면 측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관점(aspect)에 따르면,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와, 홀더 바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이 끼워지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을 가지는 홀더부 및 홀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를 포함하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일측에는 급지롤러의 급지 프레임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타측에는 급지 프레임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가 걸쳐지는 잠금후크가 형성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서 잠금후크들이 파손된 홀더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으로서,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파손된 잠금후크들의 위치에 배치되어 잠금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 및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를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기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기저부는, 홀더바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홀더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홀더바디 내부로 압입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를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에서 파손된 잠금후크들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며, 위치결정블록들은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고정블록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결정블록들의 내측면은 고정블록을 홀더바디에 압입 고정 시 홀더바디의 양 끝단 측에 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는, 각각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 측에서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로드; 및 제 1 및 제 2 연장로드의 자유단 측에서 제 1 및 제 2 연장로드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탄성지지편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aspect)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에서, 제 1 및 제 2 연장로드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는 고정블록의 측면 측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잠금후크가 파손된 홀더부에 설치되어 잠금후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급지롤러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급지롤러 어셈블리의 유지관리 및 보수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된 급지롤러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 내지 도 4에는 홀더부(30)의 2개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중 잠금후크(35; 도 1 참조)가 파손된 오른쪽(일측)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후크(35)가 파손된 왼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왼쪽(타측)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수직한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오른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과 거울에 비친 것과 같이 대칭을 이룬다.
즉, 오른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과 왼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는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에, 하기에는 잠금후크(35)가 파손된 오른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으로 설치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며, 도면의 우측을 일측 또는 일단으로 도면의 좌측을 타측 또는 일단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은 기저부(110) 및 기저부(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후크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기저부(110)는 보조후크부(120)를 홀더부(3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기저부(110)는 홀더부(30)의 홀더바디(3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블록(112)을 포함한다.
고정블록(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바디(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대략 ""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홀더바디(31)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홀더바디(31) 내부로 압입 고정된다.
즉, 고정블록(112)은 홀더바디(31)의 내부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한편, 기저부(110)는 보조후크부(120)를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블록(114)을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블록(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112)의 일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고정블록(112)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블록(112)의 타단 측과 마주하는 위치결정블록(114)의 타측면은 고정블록(112)을 홀더바디(31)에 압입 고정 시 홀더바디(31)의 끝단 측에 밀착되며, 이에 의해 보조후크부(120)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배치된다.
보조후크부(120)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배치되어 급지롤러(40)의 잠금돌기(43)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한다.
보조후크부(120)는 고정블록(1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로드(122)와, 연장로드(122)의 자유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후크돌기(124)를 포함한다.
연장로드(122)는 고정블록(112)의 일단 측에서 고정블록(112)의 일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연장로드(122)는 급지 카세트(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 용지(도시되지 않음) 급지 시 급지되는 용지 및 수납된 용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圓弧)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보조후크돌기(124)는 연장로드(122)의 자유단 측에서 연장로드(122)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탄성지지편(126)의 타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보조후크돌기(124)에는 급지롤러(40)를 홀더부(30)에 결합 시 급지롤러(40)의 급지 프레임(41)에 형성된 잠금돌기(43)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진다.
바람직하게는, 보조후크 돌기(124)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잠금돌기(43)가 보조후크 돌기(124)의 타측면을 부드럽게 타고 내려와 보조후크 돌기(124)에 걸쳐지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100)은 잠금후크(35)가 파손된 홀더부(30)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에 설치되어 파손된 잠금후크(3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급지롤러 어셈블리(10)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동시에 급지롤러 어셈블리(10)의 유지관리 및 보수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 및 도 6에는 홀더부(30)의 2개의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 형성된 잠금후크(35; 도 1 참조)들이 동시에 파손된 경우 사용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20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200)은 잠금후크(35)가 파손된 오른쪽(일측)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및 잠금후크(35)가 파손된 왼쪽(타측)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 동시에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200)은 기저부(210) 및 기저부(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220a, 220b)를 포함한다.
먼저, 기저부(210)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220a, 220b)를 홀더부(3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기저부(210)는 홀더부(30)의 홀더바디(31)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블록(212)을 포함한다.
고정블록(2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바디(3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대략 ""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홀더바디(31)의 하부를 통해 홀더바디(31) 내부로 압입 고정된다.
즉, 고정블록(212)은 홀더바디(31)의 내부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으로 제공된다.
한편, 기저부(210)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220a, 220b)를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록(214)을 더 포함한다.
위치결정블록(214)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212)의 일단 및 타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고정블록(212)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서로 마주하는 위치결정블록(214)들의 내측면은 고정블록(212)을 홀더바디(31)에 압입 고정 시 홀더바디(31)의 양 끝단 측에 밀착되며, 이에 의해 보조후크부(220a, 220b)는 오른쪽 또는 왼쪽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흔들림 없이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220a, 220b)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에서 파손된 잠금후크(35)의 위치에 배치되어 급지롤러(40)의 잠금돌기(43)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한다.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220a, 220b)는 고정블록(2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와,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의 자유단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224a, 224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는 각각 고정블록(212)의 일단 및 타단 측에서 고정블록(212)의 일단 및 타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는 급지 카세트(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된 용지(도시되지 않음) 급지 시 급지되는 용지 및 수납된 용지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圓弧)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224a, 224b)는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의 자유단 측에서 제 1 및 제 2 연장로드(222a, 222b)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탄성지지편(226a, 226b)의 타측면 상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224a, 224b)에는 급지롤러(40)를 홀더부(30)에 결합 시 급지롤러(40)의 급지 프레임(41)에 형성된 잠금돌기(43)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진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224a, 224b)는 측면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잠금돌기(43)가 보조후크 돌기(124)의 타측면을 부드럽게 타고 내려와 제 1 및 제 2보조후크돌기(224a, 224b)에 걸쳐지게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200)은 잠금후크(35)가 파손된 홀더부(30)의 양측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32) 측에 설치되어 파손된 잠금후크(3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급지롤러 어셈블리(10)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동시에 급지롤러 어셈블리(10)의 유지관리 및 보수비용이 절감할 수 있게 한다.

Claims (8)

  1.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을 가지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일측에는 상기 급지롤러의 급지 프레임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타측에는 상기 급지 프레임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가 걸쳐지는 잠금후크가 형성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서 상기 잠금후크가 파손된 상기 홀더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으로서,
    상기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파손된 상기 잠금후크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하는 보조후크부; 및
    상기 보조후크부를 상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기저부;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홀더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홀더바디 내부로 압입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보조후크부를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에서 파손된 상기 잠금후크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타단 측과 마주하는 상기 위치결정블록의 타측면은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홀더바디에 압입 고정 시 상기 홀더바디의 끝단 측에 밀착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후크부는,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 측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로드; 및
    상기 연장로드의 자유단 측에서 상기 연장로드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탄성지지편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보조후크돌기;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로드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후크돌기는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 측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5.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을 가지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달형의 급지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일측에는 상기 급지롤러의 급지 프레임 양단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쳐지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의 타측에는 상기 급지 프레임의 양단 타측에 형성된 잠금돌기가 걸쳐지는 잠금후크가 형성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 또는 복합기의 급지롤러 어셈블리에서 상기 잠금후크들이 파손된 상기 홀더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으로서,
    상기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은,
    파손된 상기 잠금후크들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잠금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걸쳐지게 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를 상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기저부;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홀더바디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수평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홀더바디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홀더바디 내부로 압입 고정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를 상기 급지롤러 마운팅 프레임들에서 파손된 상기 잠금후크들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 쌍의 위치결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결정블록들은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 상부 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블록의 상부 외측으로 수직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상기 위치결정블록들의 내측면은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홀더바디에 압입 고정 시 상기 홀더바디의 양 끝단 측에 밀착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부는,
    각각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 측에서 상기 고정블록의 일단 및 타단과 이어지는 측면을 경유해 경유한 측면의 상부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로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로드의 자유단 측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로드의 상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탄성지지편의 타측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를 포함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로드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후크돌기는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 측에서 봤을 때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그 폭이 점층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는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KR2020220001224U 2022-05-19 2022-05-19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KR200497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24U KR200497573Y1 (ko) 2022-05-19 2022-05-19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24U KR200497573Y1 (ko) 2022-05-19 2022-05-19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52U true KR20230002252U (ko) 2023-11-28
KR200497573Y1 KR200497573Y1 (ko) 2023-12-21

Family

ID=8896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24U KR200497573Y1 (ko) 2022-05-19 2022-05-19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57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154U (ko) * 1985-10-31 1987-05-18
JPH11222323A (ja) * 1998-02-05 1999-08-1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7960B1 (ko) 2004-01-0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KR20070022473A (ko) 2005-08-22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6030696A (ja) * 2014-07-25 2016-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ラ部材、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7154U (ko) * 1985-10-31 1987-05-18
JPH11222323A (ja) * 1998-02-05 1999-08-1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7960B1 (ko) 2004-01-09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KR20070022473A (ko) 2005-08-22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6030696A (ja) * 2014-07-25 2016-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ラ部材、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573Y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573Y1 (ko)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JP4664656B2 (ja) 画像形成装置
EP247233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Member to Guide Air
CN215906334U (zh) 织机
US6488276B2 (en) Paper feeding device having a replaceable paper conveying roller
JP4181357B2 (ja) 版挿入装置
KR101082740B1 (ko) 자동화기기의 기록용지 안내장치
JP523246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01181A (ja) 画像形成装置
CN217170118U (zh) 一种印刷机用印刷辊结构
US20210016985A1 (en) Sheet tray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335421B1 (ko) 인쇄기기의롤러유니트지지장치
CN219360616U (zh) 防抖动刮刀结构
KR100335419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텐션조정장치
CN218088090U (zh) 一种印刷机气动收卷装置
CN213117332U (zh) 一种印刷机用料带导向机构
CN212850705U (zh) 防爆筒型摄像仪
KR0140191Y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받침대 장치
KR920004414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급지유니트 착탈장치
KR100338727B1 (ko) 인쇄기기의대전기지지장치
CN215051022U (zh) 一种高速剑杆织机及其机架结构
CN211106423U (zh) 一种彩色印刷机
CN105731123A (zh) 一种印刷机输纸用悬吊式挡架
KR100573687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JP2020157509A (ja) ロータリースクリーン印刷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