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960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960B1
KR100607960B1 KR1020040001420A KR20040001420A KR100607960B1 KR 100607960 B1 KR100607960 B1 KR 100607960B1 KR 1020040001420 A KR1020040001420 A KR 1020040001420A KR 20040001420 A KR20040001420 A KR 20040001420A KR 100607960 B1 KR100607960 B1 KR 10060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186A (ko
Inventor
신동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9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투입될 용지와 접촉되는 외측부에 마찰소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를 소정 길이만큼 감싸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저부에서 돌출되고 각각 요홈이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한 쌍의 브라켓부에 마련된 요홈에 안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고정 체결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Paper pick-up assembly i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또는 분리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지픽업 어셈블리 101 ...샤프트
105, 106 ...아이들롤러 110 ...제1 하우징
111 ...기저부 115, 120 ...브라켓부
116, 121 ...요홈 130 ...제2 하우징
132 ...심재 133, 134 ...돌기
136 ...마찰소재층 151, 155 ...체결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한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수매의 용지를 수납하고 그 수납된 용지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도 1 및 도 2에는 이와 같은 급지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미도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지(P) 수납을 위한 급지 카세트(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용지(P)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2)가 상기 급지 카세트(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12)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인 녹업플레이트 스프링(14)이 마련되어 상기 녹업플레이트(12)를 상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반달형의 픽업롤러(25)와, 상기 픽업롤러(25) 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아이들롤러(31, 32)와, 상기 픽업롤러(25)와 한 쌍의 아이들롤러(31, 32)를 동축 연결하는 샤프트(21), 및 상기 픽업롤러(25)와 한 쌍의 아이들롤러(31, 32)를 상기 샤프트(21) 상에서 위치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이탈방지구(35, 36)를 구비하여 된 용지픽업 어셈블리(20)가 마련된다. 한편, 도면부호 16은 한 쌍의 핑거부재로서, 이는 상기 녹업플레이트(12)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 모서리부를 압착 지지하여 적재된 용지(P)가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상기 픽업롤러(25)의 회전시 용지(P)의 선단부에 일정량의 컬(curl)이 발생되어 적재된 용지(P)로부터 최상단의 용지만을 분리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25)는 용지(P)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 외주부에 러버층(rubber layer, 25a)을 구비하는데, 상기 러버층(25a)은 소정 회수 이상 사용하면 표면이 마모되어 마찰력을 상실하므로, 상기 픽업롤러(25)는 일정 회수 이상 사용되면 교체되어야 한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픽업롤러(2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용지픽업 어셈블리(2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분리하고,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구(35, 36) 중 적어도 하나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한 쌍의 아이들롤러(31, 32) 및 픽업롤러(25)를 상기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밀어 상기 샤프트(21)로부터 빼낸 후 상기 픽업롤러(25)를 새 것으로 교체하고, 상술한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픽업롤러(25) 교체 과정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작업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픽 업롤러(25)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용지픽업 어셈블리(2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A/S 맨을 부르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어서,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더욱 심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프트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마모된 러버층을 새 것으로 교환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투입될 용지와 접촉되는 외측부에 마찰소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를 소정 길이만큼 감싸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저부에서 돌출되고 각각 요홈이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한 쌍의 브라켓부에 마련된 요홈에 안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고정 체결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는 그 일측벽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를 상기 샤프트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내측면의 단면이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하우징의 돌기가 상기 샤프트 및 제1 하우징의 회전시에 상기 제1 하우징의 요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요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무관하게 자유 회전하는 한 쌍의 아이들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결합 또는 분리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100)는, 그 단면이 ㄷ자 형상(도 6 참조)이며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 샤프트(101)와, 상기 샤프트(10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101)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101)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하우징(130)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아이들롤러(105, 106)와, 상기 제1 하우징(110)을 상기 샤프트(10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구(151, 1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샤프트(101)를 소정 길이만큼 감싸는 기저부(111)와, 상기 기저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저부(111)에서 돌출된 한 쌍의 제1 및 제2 브라켓부(115, 120)가 일체로 형성된 몰딩재이다.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 하우징(110, 130)을 상기 샤프트(10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기저부(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벽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저부(111)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이 상기 체결구들(151, 155)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편평면(112, 1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01)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기저부(111)의 내측면(111a)은, 그 단면이 곡선을 이루며, 상기 샤프트(101)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체결구(151, 155)를 상기 제1 하우징(110)에서 제거한다면, 상기 제1 하우징(110)이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부(115, 120)는 각각 그 외주부에 요홈들(116, 121)을 구비하며, 이들중 제1 브라켓부(115)의 서로 멀리 이격된 요홈(116a, 116d)과, 제2 브라켓부(120)의 서로 멀리 이격된 요홈(121a, 121c)은, 화살표로 나타낸 샤프트(101) 및 제1 하우징(11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요홈들(116b, 116c, 121b)은 샤프트(101)의 회전중심에서 외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30)은 대체로 하프파이프(half-pipe) 형태이며,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부(115, 120) 사이의 폭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가진 심재(132)와, 상기 심재(132)를 에워싸는 고무로 된 마찰소재층(136)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하우징(130)은 그 일 말단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브라켓부(115)의 요홈들(116a, 116b, 116c, 116d)에 순서대로 안착되는 돌기들(133a, 133b, 133c, 133d)을 구비한다. 도 4에는 가리워져 있으나 상기 제2 하우징(130)의 타측 말단에도 상기 제2 브라켓부(120)의 요홈들(121a, 121b, 121c)에 안착되는 돌기들이 마련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브라켓부(115)의 일 요홈(116d)은, 이에 대응하는 일 돌기(133d)가 안착되도록 상기 돌기(133d)의 외주와 동일한 내주를 갖는 안착부(117)가 마련되며, 일단 상기 돌기(133d)가 상기 안착부(117)에 안착되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요홈의 개방 폭이 좁아지는 경부(頸部, 118)를 구비하며, 이는 확대 도시되지 않은 다른 요홈들(116a, 116b, 116c, 121a, 121b, 121c)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한 쌍의 아이들롤러(105, 106)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한 쌍의 브라켓부(115, 120)의 바깥쪽, 즉 기저부(111)의 양 말단부에 각각 하나씩 끼워지며 단면 형상이 원형인 내주면(105a, 106a)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01) 및 제1 하우징(110)의 회전과 무관하게 자유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 및 제2 체결구(151, 155)는 상기 샤프트(101)에 의해 관통되며, 각각 상기 샤프트(101)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내주면을 구비하는 사각링부(152, 156)와,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111)의 말단부가 삽입되는 원형링부(153, 157)와,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상기 체결구들(151, 155)을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부(154, 158)를 구비한다.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체결구(155)의 원형링부(157)는 제1 하우징 기저부(111)의 말단부 편평면(113)에 밀착되며, 이는 제1 체결구(151)의 원형링부(153)와 이에 대응하는 말단부 편평면(11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그에 고정 결합된 제2 하우징(130)은 상기 체결구들(151, 155)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들(151, 155)은 상기 사각링부(152, 156)와 스토퍼부(154, 158)에 의해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은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고정 체결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10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요홈(101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들에 상기 스토퍼부(154, 158)의 돌기들(154a, 158a)이 안착됨으로써 상기 체결구들(151, 155)이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종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20)를 대체하는 것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녹업플레이트 스프링(14)에 의해 녹업플레이트(12)가 밀어올려져 그 위에 적재된 용지(P)들이 밀어올려지지만, 그 높이는 아이들롤러들(105, 106)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 샤프트(101)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30)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용지(P)와 접촉되는 마찰소재층(136, 도 4 참조)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녹업플레이트(12)에 적재된 용지(P) 중 맨 위의 한 장이 화상형성장치 본체 내부로 급지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30)은 상기 용지(P)와의 마찰에 의한 반력으로 인해 상기 샤프트(10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모멘트가 발생하지만, 제1 하우징(110)의 요홈들(116a, 116d, 121a, 121c)이 상기 샤프트(101)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중에 상기 제2 하우징(130)이 상기 제1 하우징(1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용지픽업 어셈블리(100)의 마찰소재층(136)이 마모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그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체결구(151)의 돌기(154a)를 샤프트(101)의 요홈(101a)에서 빼내고,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1 체결구(151)를 밀어 놓고, 차례로 아이들롤러(105)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의 결합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이격시킨다. 그리하면, 제1 하우징(110)이 샤프트(10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적당히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30) 결합체를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돌리고, 이를 상기 샤프트(10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빼낸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30)을 제1 하우징(110)에 대해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제2 하우징(130)을 상기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 제2 하우징(130)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도 7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제1 하우징(1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분리과정의 역순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조립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샤프트(101)를 포함한 용지픽업 어셈블리(100) 전체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마모된 마찰소재층을 교체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용지픽업 어셈블리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용지픽업 어셈블리(100)의 그것과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제2 하우징만을 다른 종류의 것(160)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60)은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130, 도 4 참조)에 비하여 그 외측부의 용지(P)와의 접촉면적이 더 넓은 것으로, 용지(P)의 이송거리가 보다 더 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샤프트(101)와, 아이들롤러들(105, 106)과, 체결구들(151, 155)도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와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 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용지와 접촉하는 마찰소재층이 마모된 경우, 샤프트를 포함한 용지픽업 어셈블리 전체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상기 마찰소재층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A/S 맨을 부르지 않아도 되므로 그 비용과 시간이 절감된다.
둘째, 용지픽업 어셈블리 중 제2 하우징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은 화상형성장치의 설계 변경에 불구하고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로 투입될 용지와 접촉되는 외측부에 마찰소재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를 소정 길이만큼 감싸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기저부에서 돌출되고 각각 요홈이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한 쌍의 브라켓부에 마련된 요홈에 안착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고정 체결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을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는 그 일측벽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를 상기 샤프트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구를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내측면의 단면이 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돌기가 상기 샤프트 및 제1 하우징의 회전시에 상기 제1 하우징의 요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하우징의 요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기저부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무관하게 자유 회전하는 한 쌍의 아이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
KR1020040001420A 2004-01-09 2004-01-0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KR10060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20A KR100607960B1 (ko) 2004-01-09 2004-01-0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420A KR100607960B1 (ko) 2004-01-09 2004-01-0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86A KR20050073186A (ko) 2005-07-13
KR100607960B1 true KR100607960B1 (ko) 2006-08-03

Family

ID=3726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420A KR100607960B1 (ko) 2004-01-09 2004-01-09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252U (ko) 2022-05-19 2023-11-28 이재영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252U (ko) 2022-05-19 2023-11-28 이재영 사무기기용 급지롤러 보조 마운팅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86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907B1 (en) Paper feed unit, paper separat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01140A (ja) シート材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さらに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US2023024993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10530B1 (en) Clutched nip separator device for a roll assembly
US6390467B1 (en) Transfer sheet convey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mproved operability of removing a jammed sheet
US20080211166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0796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 어셈블리
JP200631583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US8348273B2 (en) Nip separator device for a roll assembly
US20090148214A1 (en) Sheet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4994811B2 (ja) トルクリミッタ及びシート給送装置
JP4330554B2 (ja) 給紙装置の搬送ガイド部材、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726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127604B2 (ja) 原稿自動分離装置
JP3929960B2 (ja) 給紙ユニット
JP3355840B2 (ja) 画像読取装置
JPH0840577A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4199405B2 (ja) 給紙装置
JPH10297794A (ja) 用紙搬送装置
JP4792121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186424B2 (ja) 給紙装置
JP4639264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585535B2 (ja) 給紙カセット
JP2007126263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12043A (ja) 手差し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