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626A - 한약재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한약재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626A
KR20070019626A KR1020060103849A KR20060103849A KR20070019626A KR 20070019626 A KR20070019626 A KR 20070019626A KR 1020060103849 A KR1020060103849 A KR 1020060103849A KR 20060103849 A KR20060103849 A KR 20060103849A KR 20070019626 A KR20070019626 A KR 2007001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herbal medicine
medicinal herbs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330B1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김종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옥 filed Critical 김종옥
Priority to KR102006010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3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02C2/0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and with top b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20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축(2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21)이 구비된 하부판(220)과,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한약재 배출부(231)를 관통 형성하되 내측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32)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중공관 형상의 원통체(23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에 삽입되어 일정한 입도를 갖는 분쇄된 한약재(B)을 선별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필터(233)와,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요철부(2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분쇄날(24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분쇄돌기(243)가 구비된 3차 분쇄구(240)와, 상기 3차 분쇄구(24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회전날(251)을 구비한 2차 분쇄구(250)와, 상기 2차 분쇄구(25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61)을 구비하는 1차 분쇄구(260)와, 상기 원통체(230)의 상부에 결합하며 저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71)이 구비하고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1차 분쇄구(26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내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73)가 구비된 고정분쇄구(272)가 형성된 상부판(270)과, 상기 상부판(270)의 상부에 결합하여 한 약재(A)를 투입시키기 위한 한약재 투입부(28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와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한 배출관(310)을 일측에 부설하여 분쇄된 한약재(B)를 저장하기 위한 한약재 저장용기(300)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절단작업과 분쇄작업을 일련적인 장치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된 한약재의 가공시간을 단축시켜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한약재를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한약재의 흡수율 및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한약재를 분쇄와 동시에 별도의 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쇄된 한약재를 긁어서 배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고압의 압축공기를 원통체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분쇄된 한약재의 고착현상을 방지하여 한약재의 분쇄 및 배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내부 청소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게 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의 특성에 따라서 한약재를 투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균일한 비율을 갖는 한약재를 분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한약재, 절단, 분쇄, 장치

Description

한약재 분쇄장치{Pulverize device for medical herb}
도 1 - 본 발명 한약재 분쇄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서 주요부의 구성을 상부방향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주요부의 구성을 하부방향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주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2차 분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청소 및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한약재 저장용기의 분리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0 - 본 발명에 있어서 원통체의 내부에 고착(固着)된 한약재의 제거를 위한 분사수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한약재 분쇄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 투입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3 -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 투입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4 -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 투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15 -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 투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 한약재 분쇄장치
100: 본체 101: 바퀴
200: 베어링 하우징 201: 볼트
202: 베어링
210: 축 211: 풀리
220: 하부판 221: 분쇄날
222: 볼트
230: 원통체(圓筒體) 231: 한약재 배출부
232: 요철(凹凸)부 233: 필터(Filter)
240: 3차 분쇄구 241: 수직분쇄날
242: 요철부 243: 분쇄돌기
250: 2차 분쇄구 251: 회전날
252: 오목홈
260: 1차 분쇄구 261: 분쇄날
262: 너트
270: 상부판 271: 분쇄날
272: 고정분쇄구 273: 요철부
274: 볼트 275: 분사노즐
276: 분사관
280: 한약재 투입부
290: 구동모터 291: 구동풀리
292: 벨트
300: 한약재 저장용기 310: 바퀴
310: 한약재 배출관 311: 분사노즐
312: 분사관 320: 클램프(Clamp)
320a: 클램프 고정구
400: 투입호퍼 410: 투입관
420: 커버 421: 통기공
500: 한약재 정량투입장치
510: 투입호퍼 520: 이송관
521: 나선축 530: 투입관
540: 커버 541: 통기공
550: 구동모터
A: 한약재 B: 분쇄된 한약재
C: 포집망(捕集網)
본 발명은 한약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한약재의 절단 및 분쇄작업을 일련적인 장치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약재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한약재를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하여 한약재의 단위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약재의 흡수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한약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재(漢藥材)는 한의학의 기본이론을 바탕으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는 천연물 또는 가공된 약제를 혼합조제한 약물을 통칭하는 것으로, 특히 인체에 대한 흡수율이 높고, 동식물성이라서 인체에 무해하며, 치료효과가 빠르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에 의해서 다양한 질병이나 병증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일정한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한약재를 분말형태로 가공할 경우 음용 및 산제(散劑) 복용시에 부피당 단위표면적이 커지므로 약재 성분의 흡수율이 증진되 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이를 위해 한약재를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하는 작업이 선행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한약재를 분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는 아래와 같다.
1. 롤 밀(Roll mill)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응되도록 위치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롤러가 회전하면서, 한약재가 롤러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롤러의 압축력에 의해서 한약재가 분쇄되는 구조이다.
2. 해머 밀(Hammer mill)
고속회전하는 해머가 한약재를 타격하게 되고 그 충격력에 의해 한약재가 분쇄되는 구조이다.
3. 디스크 밀(Disc mill)
고정된 원판과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의 사이에 한약재를 통과시켜 강한 압착력 및 분쇄력에 의해서 한약재가 분쇄되는 구조이다.
4. 볼 밀(Ball mill)
금속재질의 공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한약재를 압착하게 되고 그 압착력에 의해 한약재가 분쇄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갖는 한약재를 한꺼번에 분쇄할 경우 설비의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어 분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분쇄작업을 위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한약재를 일정크 기로 절단하거나, 또는 별도의 한약재 절단장치를 사용하여 한약재를 절단 후 상기와 같은 한약재 분쇄장치에 투입하여 분쇄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투입되는 한약재의 크기 및 특성에 관계없이 단순히 분쇄하는 방식으로, 결국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한약재를 분쇄하기 위해서는 1차, 2차, 3차와 같은 분쇄작업 수차례 반복해야 하므로 분쇄작업의 번거로움은 물론 분쇄시간이 증가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분쇄된 한약재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커버를 개폐한 후 작업자가 분쇄통의 내부에 들어가 수작업으로 분쇄된 한약재를 긁어서 배출시켜야 하므로 배출작업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이중으로 가중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
더구나 분쇄된 한약재를 배출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엎드린 자세로 장시간 배출작업을 할 경우, 결국 작업자의 허리와 같은 관절부위에 심한 신체적인 무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매우 심각한 단점을 갖게 되었다.
한편,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서 분쇄 통체의 내벽에 분쇄된 한약재가 달라붙게 되고 점차 딱딱하게 굳어버리게 되는 고착(固着)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일정시간 분쇄작업을 한 후에는 반드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를 직접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한약재의 투입량을 결정하여 분쇄작업을 진행하고 있어, 결국 작업자의 개인 숙련도에 따라서 한 약재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비능률적인 폐단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한약재 분쇄장치는 유지보수를 위해서 측면 또는 상부에 형성된 커버 및 체결부위를 일일이 분리시킨 후 부품의 교체 및 결합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유지보수의 불편함은 물론 작업성이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절단작업 및 분쇄작업을 일련적인 장치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한약재의 분쇄효율 및 작업능률을 증대시키기 위한 한약재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분쇄된 한약재의 배출작업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한약재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고착되어 있는 한약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한약재의 분쇄효율 증대는 물론 분쇄된 한약재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약재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한약재 정량투입수단을 형성하여 투입되는 한약재의 투입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약재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약재 분쇄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크게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20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축(2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21)이 구비된 하부판(220)과,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한약재 배출부(231)를 관통 형성하되 내측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32)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중공관 형상의 원통체(23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에 삽입되어 일정한 입도를 갖는 분쇄된 한약재(B)을 선별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필터(233)와,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요철부(2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분쇄날(24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분쇄돌기(243)가 구비된 3차 분쇄구(240)와, 상기 3차 분쇄구(24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회전날(251)을 구비한 2차 분쇄구(250)와, 상기 2차 분쇄구(25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61)을 구비하는 1차 분쇄구(260)와, 상기 원통체(230)의 상부에 결합하며 저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71)이 구비하고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1차 분쇄 구(26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내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73)가 구비된 고정분쇄구(272)가 형성된 상부판(270)과, 상기 상부판(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한약재(A)를 투입시키기 위한 한약재 투입부(28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와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한 배출관(310)을 일측에 부설하여 분쇄된 한약재(B)를 저장하기 위한 한약재 저장용기(3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바퀴(101)를 형성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상기 축(210)의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2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경방향 하중과 축방향 하중을 동시에 견딜 수 있도록 공지의 테이퍼 로울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s)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210)의 하단에 형성된 풀리(211)와, 상기 풀리(211)와 벨트(292)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291)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9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풀리(211) 및 구동풀리(291)와 벨트(292)의 구성은 공지의 타이밍 풀리 및 체인 등과 같은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290)의 회전력 전달은 물론 사용효율을 감안하여 V-벨트와 V-풀리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90)는 공지의 기어드모터 및 표준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며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 크(Break)기능이 포함된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판(220)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21)이 구비되는데, 이는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즉 한약재(A)가 상기 3차 분쇄구(240)의 저면에 형성된 분쇄돌기(243)와 상기 분쇄날(22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약재(A)를 분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쇄날(221)의 단면형상은 제작의 용이성 및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감안할 경우 삼각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체(230)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A)의 분쇄작업 및 배출작업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내주면에는 방사형으로 요철부(23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분쇄된 한약재(B)를 배출시키기 위한 한약재 배출부(213)가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축(210)에 순차적으로 축착되는 1차 분쇄구(260), 2차 분쇄구(250), 3차 분쇄구(240)가 회전하면서 분쇄되고, 동시에 한약재(A)가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요철부(232)와 충돌하게 되면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요철부(232)의 평면형상은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분쇄된 한약재(B)가 표면에 달라붙는 고착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삼각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233)는 일정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된 한약재(B)를 선별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필터(233)는 상기 한약재(A)의 특성 및 부피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 및 형상을 갖는 메쉬(Mesh)망으로 선택하여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3차 분쇄구(240)는 한약재(A)를 측면과 저면에서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즉 저면에는 상기 분쇄날(221)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분쇄돌기(243)를 구비하고, 외측면에는 상기 요철부(232)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수직분쇄날(241)을 형성함으로써, 이로 인해 상기 3차 분쇄구(240)가 회전하면서 한약재(A)를 분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쇄날(221)과 분쇄돌기(243) 및 요철부(232)와 수직분쇄날(241)과의 클리어런스(Clearance,틈새)는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감안할 경우 2~10㎜ 범위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3차 분쇄구(240)가 회전하면서 한약재(A)와 부딪히게 되고, 이때 다시 상기 요철부(232)와 수직분쇄날(24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한약재(A)를 점차 미세화되도록 분쇄하게 된다.
상기 2차 분쇄구(250)는 회전과 동시에 한약재(A)를 분쇄함은 물론 상기 수직분쇄날(241)과 한약재(A)의 충돌을 유도하여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한약재(A)가 회전되는 상기 회전날(251)과 부딪히면서 1차적으로 분쇄되고, 이때 부딪힌 한약재(A)는 다시 상기 수직분쇄날(241)가 부딪히게 되면서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분쇄구(250)는 한약재(A)의 분쇄량 및 특성에 따라서 분쇄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날(25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홈(25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한약재(A)가 상기 오목홈(252)을 통과하면서 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한약재(A)의 분쇄효율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날(251)은 정면에서 봤을 때 축방향을 기준으로 약 15~25°범위를 갖도록 회전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2차 분쇄구(250)가 회전하게 되면 한약재(A)를 분쇄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원심력을 증대시켜 분쇄된 한약재(B)를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상기 1차 분쇄구(260)는 투입되는 한약재(A)를 일정크기로 절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분쇄구(272)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를 통해 투입되는 한약재(A)가 상기 1차 분쇄구(260)와 고정분쇄구(272)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크기를 갖도록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1차 분쇄구(260) 및 고정분쇄구(272)의 형상은 절단되는 한약재(A)가 하부방향을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대략 원뿔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27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275)과 이를 연결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관(276)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고착된 분쇄된 한 약재(B)를 떨어내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한약재(A)의 분쇄과정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고착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수시로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관(310)은 상기와 같이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된 한약재(B)를 한약재 저장용기(300)에 이동시킴은 물론 유지보수시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상기 배출관(310)과 원통체(230)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클램프(320) 및 클램프 고정구(32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310)과 원통체(230)의 사이에는 힌지축을 매개로 좌우이동될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관(21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11)과 이를 연결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관(312)이 형성되는데, 이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됨으로써 상기 필터(233)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분쇄된 한약재(B)를 떨어내므로 분쇄된 한약재(B)의 배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배출관(310)은 한약재(A)의 분쇄작업이 완료되거나, 또는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를 청소할 경우 작업자가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한약재 분쇄장치(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약재 투입부(280)를 통해 공급된 한약재(A)가 상기 1차 분쇄구(260)와 상기 고정분쇄구(272)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서 일정크기로 절단되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절단된 한약재(A)는 다시 상기 2차 분쇄구(250)와 상기 3차 분쇄구(240)의 수직분쇄날(241)과 부딪히면서 점차 작은 입자를 갖도록 분쇄되고, 이를 다시 상기 원통체(2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철부(232)와 분쇄날(221)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된 한약재(B)가 상기 한약재 저장용기(30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300)의 상부에는 공기중으로 비산하는 분쇄된 한약재(B)를 포집함과 더불어 공기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포집망(C)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다량의 한약재(A)를 사용자가 손쉽게 투입할 수 있는 방안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21)이 형성된 커버(420)와, 상기 커버(42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관(410)과, 상기 투입관(410)의 상단에 연결되어 한약재(A)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4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호퍼(400)에 다량의 한약재(A)를 담아둔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로 밀어넣게 되 므로 한약재(A)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420)는 사용자가 투입되는 한약재(A)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통기공(421)은 한약재(A)의 분쇄작업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분쇄된 한약재(A)를 상기 한약재 저장용기(300)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약재(A)의 투입량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기공(541)이 형성된 커버(540)와, 상기 커버(54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관(530)과, 상기 투입관(530)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송관(520)과, 상기 이송관(520)에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구동모터(550)가 구비된 나선축(521)과, 상기 이송관(5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투입호퍼(510)로 구성된 한약재 정량투입장치(500)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이송관(520)의 양측에는 상기 나선축(521)의 원활한 회전력 및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나선관(521)은 상기 투입관(530)까지 일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다가 상기 투입관(530)을 넘어서는 나선형상이 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한약재(A)의 상기 투입관(530)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540)는 사용자가 투입되는 한약재(A)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통기공(541)은 한약재(A)의 분쇄작업시 외부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분쇄된 한약재(A)를 상기 한약재 저장용기(300)에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투입호퍼(510)에 투입된 한약재(A)를 상기 구동모터(550)의 구동으로 상기 나선축(521)이 회전하게 되므로 한약재(A)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로 밀어넣게 되므로 항상 균일한 투입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약재의 절단작업과 분쇄작업을 일련적인 장치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된 한약재의 가공시간을 단축시켜 분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한약재를 미세한 입자를 갖도록 분쇄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한약재의 흡수율 및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한약재를 분쇄와 동시에 별도의 저장용기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쇄된 한약재를 긁어서 배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고압의 압축공기를 원통체의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여 분쇄된 한약재의 고착현상을 방지하여 한약재의 분쇄 및 배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내부 청소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게 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약재의 특성에 따라서 한약재를 투입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균일한 비율을 갖는 한약재를 분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건조된 한약재를 분쇄하기 위한 공지의 한약재 분쇄장치에 있어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20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단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비된 축(210)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하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21)이 구비된 하부판(220)과, 상기 하부판(2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한약재 배출부(231)를 관통 형성하되 내측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32)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중공관 형상의 원통체(23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에 삽입되어 일정한 입도를 갖는 분쇄된 한약재(B)을 선별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필터(233)와, 상기 원통체(230)의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요철부(2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분쇄날(24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분쇄돌기(243)가 구비된 3차 분쇄구(240)와, 상기 3차 분쇄구(24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회전날(251)을 구비한 2차 분쇄구(250)와, 상기 2차 분쇄구(250)의 상부에 형성하되 상기 축(210)과 결합하며 외측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61)을 구비하는 1차 분쇄구(260)와, 상기 원통체(230)의 상부에 결합하며 저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분쇄날(271)이 구비하고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1차 분쇄구(26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되 내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요철부(273)가 구비된 고 정분쇄구(272)가 형성된 상부판(270)과, 상기 상부판(27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한약재(A)를 투입시키기 위한 한약재 투입부(280)와, 상기 한약재 배출부(231)와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한 배출관(310)을 일측에 부설하여 분쇄된 한약재(B)를 저장하기 위한 한약재 저장용기(30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축(210)의 하단에 형성된 풀리(211)와, 상기 풀리(211)와 벨트(292)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풀리(291)에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9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분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21)이 형성된 커버(420)와, 상기 커버(42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관(410)과, 상기 투입관(410)의 상단에 연결되어 한약재(A)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4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분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투입부(28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기공(541)이 형성된 커버(540)와, 상기 커버(54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투입관(530)과, 상기 투입관(530)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이송관(520)과, 상기 이송관(520)에 내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구동모터(550)가 구비된 나선축(521)과, 상기 이송관(5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한약재(A)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51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분쇄장치.
KR1020060103849A 2006-10-25 2006-10-25 한약재 분쇄장치 KR10075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849A KR100755330B1 (ko) 2006-10-25 2006-10-25 한약재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849A KR100755330B1 (ko) 2006-10-25 2006-10-25 한약재 분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53U Division KR200400043Y1 (ko) 2005-08-12 2005-08-12 한약재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26A true KR20070019626A (ko) 2007-02-15
KR100755330B1 KR100755330B1 (ko) 2007-09-10

Family

ID=4162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849A KR100755330B1 (ko) 2006-10-25 2006-10-25 한약재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3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50035A (zh) * 2017-08-17 2017-11-17 成都菲斯普科技有限公司 一种干式药材粉碎装置
CN107442234A (zh) * 2017-07-19 2017-12-08 南昌浩牛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清洗和筛选大粉粒中药的中药打碎设备
CN112206858A (zh) * 2020-09-12 2021-01-12 兰光华 一种垃圾热解系统
CN115737717A (zh) * 2022-12-19 2023-03-07 浙江中医药大学附属第三医院 一种用于治疗耳鸣耳聋的中药制剂及制备装置和制备方法
CN116393233A (zh) * 2023-05-18 2023-07-07 湖南一方天江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自动破碎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2694B (zh) * 2010-10-25 2012-07-18 温州市健牌药业机械制造有限公司 高速回转粉碎机的多级粉碎装置
KR102176788B1 (ko) * 2019-04-12 2020-11-10 조해준 식품 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71Y1 (ko) 2000-03-03 2000-08-16 김동환 한약재 농축 분말제조기
KR100469759B1 (ko) 2002-01-15 2005-02-02 진수곤 분쇄기
JP4228751B2 (ja) 2003-03-31 2009-02-25 マックス株式会社 生ごみ処理装置
KR200355885Y1 (ko) 2004-04-14 2004-07-09 김인 해머밀용 일체형 분쇄해머
KR200391635Y1 (ko) 2005-05-16 2005-08-04 김기대 개량 분말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2234A (zh) * 2017-07-19 2017-12-08 南昌浩牛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清洗和筛选大粉粒中药的中药打碎设备
CN107350035A (zh) * 2017-08-17 2017-11-17 成都菲斯普科技有限公司 一种干式药材粉碎装置
CN112206858A (zh) * 2020-09-12 2021-01-12 兰光华 一种垃圾热解系统
CN115737717A (zh) * 2022-12-19 2023-03-07 浙江中医药大学附属第三医院 一种用于治疗耳鸣耳聋的中药制剂及制备装置和制备方法
CN116393233A (zh) * 2023-05-18 2023-07-07 湖南一方天江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自动破碎机
CN116393233B (zh) * 2023-05-18 2023-10-27 湖南一方天江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自动破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330B1 (ko)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30B1 (ko) 한약재 분쇄장치
CN205517953U (zh) 一种中草药材用研磨粉碎装置
DE102007005250B3 (de)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Trockenmahlbetrieb einer Turmreibmühle und Turmreibmühle
CN110548586A (zh) 用于饮片加工的中药材破壁粉碎装置
CN204685178U (zh) 一种美容保健用药物的再加工装置
CN108816429A (zh) 一种制药用三轴研磨机
KR200400043Y1 (ko) 한약재 분쇄장치
CN207254384U (zh) 一种物料粉碎及干燥装置
CN110882809B (zh) 一种具有多层粉碎机构的粉碎机
CN209476436U (zh) 一种粉碎机
CN110280374A (zh) 一种中药材精细粉碎研磨装置
CN112473997A (zh) 一种中药药材研磨装置
CN207271316U (zh) 挤压式破碎机
CN107350035A (zh) 一种干式药材粉碎装置
CN206415184U (zh) 一种均匀送料的药材粉碎润药装置
CN109433395A (zh) 一种生产农药用砂磨机
CN208194566U (zh) 一种医疗用草药粉碎装置
CN208098272U (zh) 一种药草粉碎机
CN109530061A (zh) 小麦研磨装置
CN206325671U (zh) 一种能够升料的物料粉碎装置
CN108499686A (zh) 一种离心式药材粉碎装置
CN209697011U (zh) 一种中药粉碎装置
CN209597351U (zh) 中草药根枝粉碎分离设备
CN207521131U (zh) 一种中药粉碎机
CN208436971U (zh) 一种中药材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