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272A -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272A
KR20070019272A KR1020050074064A KR20050074064A KR20070019272A KR 20070019272 A KR20070019272 A KR 20070019272A KR 1020050074064 A KR1020050074064 A KR 1020050074064A KR 20050074064 A KR20050074064 A KR 20050074064A KR 20070019272 A KR20070019272 A KR 2007001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refrigerant
heat
uni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하
고재윤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9272A/ko
Priority to US11/990,178 priority patent/US8667804B2/en
Priority to EP06783432.5A priority patent/EP1913313B1/en
Priority to PCT/KR2006/002957 priority patent/WO2007021081A1/en
Priority to CN2006101149409A priority patent/CN1912481B/zh
Publication of KR2007001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24F5/0021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us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f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1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hree four-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4Storage receiver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열유니트에 축열물질(물)을 유동시키는 순환장치가 설치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외열교환기(120)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가 구비되는 실외유니트(100)와;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420)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400)와; 내부에 축열물질(W)이 저장되는 축열조(310)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W)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축열교환기(320)와,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W)에 잠겨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500)이 구비되는 축열유니트(300)와;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유니트(2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의하면, 축열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 축열, 축열조, 고정, 축열교환기

Description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Thermal storage 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건물 조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설치상태를 보인 축열조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평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가 '축열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가 '축열냉방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
도 6c는 본 발명 실시예가 '직접냉방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냉매 흐름을 보인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 실시예가 '냉방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의 p-h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유니트 110. 압축기
120. 실외열교환기 130. 어큐뮬레이터
140. 사방밸브 150. 실외팽창장치
200. 기능유니트 210. 보조유로
212. 보조열교환기 214. 보조펌프
216. 제1밸브 218. 제2밸브
220. 기능저압연결부 222. 기능고압연결부
240. 액유로 244. 드라이어
246. 액펌프 248. 리시버
250. 고압축열연결부 252. 제5밸브
300. 축열유니트 310. 축열조
320. 축열교환기 322. 제1축열교환기
324. 제2축열교환기 330. 제1축열팽창장치
332. 제2축열팽창장치 400. 실내유니트
410. 실내고압유로 412. 실내저압유로
420. 실내열교환기 430. 실내팽창장치
450. 분배헤드 500. 고정수단
510. 고정부재 512. 고정걸이
514. 수용부 520. 고정후크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축열교환기가 고정수단에 의해 축열물질 속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장치로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공기조화 장치는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한다.
그리고 근래에는 전기료 절감 등을 위하여, 야간(전력 사용이 적을 때)에 제빙한 얼음을 주간(전력 사용이 많을 때)에 응축열원으로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와, 압축기(1)에 의해 압축되어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을 일으키는 실외열교환기(2) 등이 구비되는 실외유니트(3)가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유니트(3)의 일측에는 에너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축열유니트(10)가 구비된다. 상기 축열유니트(10)는 축열물질(물)이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조(11)와, 상기 축열조(11)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는 물펌프(12), 그리고 상기 물과 냉매의 열교환이 일어나는 열교환기(13) 및 액냉매의 유동을 강제하는 냉매액 펌프(14) 등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축열유니트(1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2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실내유니트(20)에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21)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1)로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팽창장치(22)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야간에는 상기 축열유니트(10)의 축열조(11) 내부에 얼음이 얼도록 한 다음, 전력 소모가 많은 주간(예로, 13:00 ~ 16:00시)에 상기 축열조(11)에 제빙된 얼음을 이용하여 실내 냉방을 수행한다.
이때에는 상기 압축기(1)는 정지하고, 상기 냉매액펌프(14)를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킨다. 따라서 이때의 냉동사이클은, 상기 냉매액펌프(14)에 의해 냉매가 공급되어, 상기 실내팽창장치(22)를 거쳐 증발기 역할을 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는 실내공간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실내는 냉방이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에서 열을 흡수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3)로 유동하여, 상기 축열조(11)의 축열교환기(11') 주위에 결빙된 얼음과 열교환을 하여 다시 차거운 냉매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차가운 냉매가 상기 냉매액펌프(14)로 이동되어 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3)에는 상기 축열조(1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열교환기(13)에는 상기 물펌프(12)에 의해 상기 축열조(11) 내부의 냉수가 공급되어 순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실내유니트(20)와 실외유니트(3) 그리고 축열유니트(10)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부품의 분리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열유니트(10)에는 축열조(11)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품은 사용 유무를 불문하고 일체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열조(11) 내부에 구비되는 축열물질(물)은 온도가 낮아지면, 축열교환기(11')가 물 위로 부상(浮上)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축열조(11)의 축열교환기(11') 외면에 얼음이 얼게 되면, 상대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얼음에 의해 상기 축열교환기(11')가 물 위로 부상(浮上)하게 되어 열전달 및 축열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유니트가 별개로 구비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축열유니트 내부에 구비되어 열을 전달하는 축열교환기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축열조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물) 속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실외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축열물질이 저장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 내부의 축열물질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축열교환기와, 상기 축열교환기가 상기 축열조 내부의 축열물질에 잠겨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축열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유니트의 축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유니트의 고정수단은, 상기 축열교환기를 부분적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후크는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축열조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후크에 걸어지는 고정걸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고, 최상측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상기 축열교환기의 상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며, 최하측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상기 축열교환기의 하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상측의 고정후크는 단부가 하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상측의 고정걸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하측의 고정후크는 단부가 상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하측의 고정걸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열교환기의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 의하면, 축열교환기가 축열물질(물) 위로 부상(浮上)하거나 하강하지 않게 되므로, 축열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가 조감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측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외유니트(100) 및 기능유니트(200) 그리고 축열유니트(300)가 각각 별개로 설치되며, 이러한 각각의 유니트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유니트(400)와 연결된 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하나 또는 다수개가 구비되며, 실내의 각 공간마다 다양한 형태의 실내유니트(400)가 각각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또는 일체로 작동한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실내유니트(400)로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헤드(450)가 내장되기도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유니트(10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0)와, 냉매와 주위 공기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12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11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즉, 하나의 압축기(110)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외에, 정속운전을 하는 정속압축기와 가변속 열펌프(Variable Speed Heat Pump)인 인버터압축기가 쌍으로 설치되어 부하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압축기(110)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는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 중 액체 냉매를 축적하여 기체 냉매만이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30)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는 기상의 냉매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130)의 하부에 저장되고, 상부의 기체상태 냉매만 상기 압축기(11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 의해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이유는, 냉매 중 기체로 증발되지 못하고 액상으로 남아있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10)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10)에 부하가 증가되어 압축기(110)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상기 실외유니트(100)에는 사방밸브(140)가 구비된다. 상기 사방밸브(140)에는 다수의 배관이 연통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사방밸브(140)는 냉,난방 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름 방향을 바꾸어 주도록 배설되는 것으로, 각각의 포트는 압축기(110)의 출구, 어큐뮬레이터(130)의 입구, 실외열교환기(120) 그리고 기능유니트(200) 또는 실내유니트(400)에 각각 연결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의 출구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를 통과한 냉매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실외팽창장치(15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유니트(1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사방밸브(140)와 연결되는 배관에는 실외저압연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팽창장치(150)의 일측에는 실외고압연결부(16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실외유니트(100)가 상기 실내유니트(40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실외저압연결부(1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저압유로(412)와 연결되고, 상기 실외고압연결부(162)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고압유로(41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능유니트(200)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냉매를 안내하는 보조유로(210)가 형성되며, 이러한 보조유로(210)에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보조열교환기(212)와,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강제하는 보조펌프(214)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와 같이 냉매와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사용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즉,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실내유니트(400)의 용량 또는 요구온도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된다.
상기 보조펌프(214)는 상기 보조유로(210) 및 보조열교환기(212)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냉매의 흐름을 강제하고,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와 보조펌프(214) 사이에는 제1사방밸브(215)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유로(210)의 양단에는 제1밸브(216)와 제2밸브(218)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유로(210)를 개폐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은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기능저압연결부(220)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실외저압연결부(160)와 연결되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기능고압연결부(222)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의 실외고압연결부(162)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 사이에는 액유로(240)가 분지되어 형성된다. 즉 , 상기 액유로(240)의 양단에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가 각각 구비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3밸브(224)는 상기 기능고압연결부(222)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액유로(240)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를 이용하여 공기조화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유동되는 냉매를 안내하는 통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액유로(240)의 입구와 출구측은 제2사방밸브(242)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유로(240)에는 드라이어(244)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어(244)는 상기 액유로(240)를 유동하는 냉매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라이어(244)의 일측에는 액펌프(246)가 설치된다. 상기 액펌프(246)는 상기 액유로(240)를 유동하는 냉매의 흐름을 강제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의해 공기조화 장치가 가동되는 경우에 냉매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상기 액펌프(246)의 일측에는 리시버(248)가 설치된다. 상기 리시버(248)는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리시버(248)는 상기 실외유니트(100)로부터 유동되어 오는 냉매 중 잉여냉매를 저장함과 동시에 액체 냉매만이 유동되도록 한다. 즉 '축열모드'시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액체 냉매만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4밸브(226)의 일측에는 고압축열연결부(2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압축열연결부(250)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배관 일단이 연결 설치된 다.
한편,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제5밸브(252)가 더 설치되며, 이러한 제5밸브(252)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유니트(400)의 실내고압유로(410)가 분지되어 연결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는 상기 실내유니트(400)와도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유니트(200)의 일단에는 실내저압연결부(260)와 실내고압연결부(26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는 냉방운전시 상대적으로 저압 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유니트(400)의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는 냉방운전시 상대적으로 고압 냉매가 유동되는 실내유니트(400)의 배관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의 일측에는 상기 실내유니트(400)와 상기 기능유니트(20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폐밸브(270)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데, 이러한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제2밸브(218)와 연결되어 있는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기능유니트(20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축열유니트(3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축열유니트(300)와 기능유니트(200) 사이의 냉매 흐름은 상기 제2밸브(218)와 상기 제4밸브(22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축열유니트(300)에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저장되는 축열조(31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이 가열되거나 냉각되어 열량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은 (열)에너지를 축척하는 것으로, 비중이 높은 물(H2O)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열조(310)에는 축열교환기(320)가 설치된다.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2개가 구비되며,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축열물질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한다. 즉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 온도에 따라 상기 축열조(310)에 저장된 축열물질이 데워지거나 차가워지게 된다.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다수 회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의 일측에는 제1축열팽창장치(330)가 설치되고, 상기 제2축열교환기(324) 일측에는 제2축열팽창장치(332)가 설치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고, 냉매가 팽창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되도록 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로는 엘이브이(LEV:linear expansion valve)라고도 불리는 전자팽창밸브나 솔레노이드밸브 등 다양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축열모드' 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단열적으로 팽창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떨어뜨리거나, 부하에 알맞은 냉매량을 축열교환기(320)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는 밸브의 개도를 조정하여 감압된 냉매 토출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실내고압연결부(262)는 실내유니트(400)의 실내고압유로(410)와 연결되고, 상기 기능유니트(200)의 실내저압연결부(260)는 실내유니트(400)의 실내저압유로(412)와 연결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420)와, 냉매를 팽창시키고 냉매량을 조절하는 실내팽창장치(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하나 또는 2이상이 구비되며, 각각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에 적합한 용량을 가진다.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는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와 같이 전자팽창장치(LEV)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실내팽창장치(430)는 '직접냉방모드'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단열적으로 팽창하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떨어뜨리며, 부하에 알맞은 냉매량을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에는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구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는 소정량의 축열물질(W)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축열물질(W)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저장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자동적으로 보충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는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축열물질(W) 속에 잠겨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 지지하는 고정수단(500)이 구비된다. 즉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상기 고정수단(500)에 의해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고정 지지된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다수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부분적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510)와,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후크(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상기 축열교환기(320)의 둘레를 감싸는 고정부재(510)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을 걸어 고정하는 고정후크(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후크(520)와 걸어지는 고정걸이(512)가 더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후크(520)는 상기 축열조(31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는 서로 걸어지게 되어,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이 상기 고정후크(5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는 서로 걸어지게 되므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후크(520)의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경우에는 이와 걸어지는 고정걸이(512)의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상기 축열물질(W) 내부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수단(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축열조(31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W)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 중 최상측의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는 상기 축열교환기(320)의 상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며, 최하측의 고정후크(520)와 고정걸이(512)는 상기 축열교환기(320)의 하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최상측의 고정후크(520)는 단부가 하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상측의 고정걸이(512)는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최상측의 고정걸이(512)가 상기 최상측의 고정후크(520)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510)의 부상(浮上)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최하측의 고정후크(520)는 단부가 상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하측의 고정걸이(512)는 상기 고정부재(510)의 양단으로부 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최하측의 고정걸이(512)가 상기 최하측의 고정후크(520)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510)가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510)는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열교환기(320)의 일부를 감싸게 된다. 즉, 도 5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10)는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10")로 이루어져 파이프(pipe) 형상의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감싸게 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10")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10")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수용부(514)가 다수 형성된다. 즉, 파이프(pipe) 형상의 상기 축열교환기(320) 외주면과 대응되는 반원 형상의 수용부(514) 사이에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상기 축열교환기(32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10")는 체결볼트(B)와 체결너트(N)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즉, 상기 수용부(514)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B)와 체결너트(N)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510')와 제2고정부재(510")가 서로 결합 고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작용을 냉방을 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가 '축열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축열모드'는 야간에, 즉 전력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미리 상기 축열유니트(300)에 에너지를 저장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는 축열물질을 상변화(축열물질이 물인 경우에는 제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기능유니트(200) 및 축열유니트(300)가 작동된다. 즉 이때에는 상기 기능유니트(200)에는 상기 실외유니트(100)와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실내유니트(400)로는 냉매의 유동이 차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밸브(270)와 상기 제5밸브(252)에 의해 냉매의 유동이 차단되어 상기 실내유니트(400)와 상기 기능유니트(200) 사이에는 냉매 유동이 중단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의 작용에 의해 냉매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일반적으로 실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실외열교환기(1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건물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을 일으킨다.
이때에는 '축열모드'이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120) 내부의 냉매는 외부로 열을 빼앗기게 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응축기로 작용하므로, 냉매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어 액냉매(물론, 완전한 액냉매는 아님)가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외팽창장치(150)를 통과하여,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다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에 의해 상기 액유로(240)는 차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바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 냉매는 2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하는 냉매는 팽창에 의해 상대적으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냉매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가 된다.
상기 제1축열팽창장치(330)와 제2축열팽창장치(33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를 거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축열교환기(322)와 제2축열교환기(324)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여,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축열물질의 온도를 낮추게 되어 결국,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이 상변화(제빙)된다. 즉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은 온도가 저하되어 축열교환기(320) 주변부터 점차 상변화(결빙)된다.
이때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상기 고정수단(500)에 의해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최하측의 고정걸이(512)가 상기 최하측의 고정후크(520)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하측으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열교환기(320) 외면에 축열물질(W)이 결빙되는 경우에도 상기 최상측의 고정걸이(512)가 상기 최상측의 고정후크(520)에 걸어지면, 상기 축열교환기 (320)의 부상(浮上)이 방지된다.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통과하면서 열을 빼앗긴 냉매는 증발에 의해 기체상태가 되고, 이러한 냉매는 상기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밸브(218)는 상기 보조유로(210)로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기능저압연결부(220)와 실외저압연결부(160)를 통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로 안내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로는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축열모드'의 사이클이 완성되며, 이러한 '축열모드'에 의해 상기 축열유니트(300) 내부의 축열조(310)에는 상변화가 진행된다(축열물질이 물인 경우에는 얼음이 얼게 된다).
도 6b에는 '축열냉방모드'일 때의 냉매 유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축열모드'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축열냉방모드'는 주간, 즉 전력사용량이 많은 낮시간대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야간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방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능유니트(200)와 축열유니트(300) 및 실내유니트(400)를 통해서는 냉매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실외유니트(100)에서의 냉매 유동은 정지된다. 즉 상기 제1밸브(216)와 제3밸브(224)에 의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의 냉매 유동은 차단된다.
먼저,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되는 냉매부터 살펴본다.
이때, 상기 제3밸브(224)와 제4밸브(226)에 의해 상기 액유로(240)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축열유니트(300)로부터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액유로(240)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상기 액유로(24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액펌프(246)에 의해 흐름이 강제된다. 따라서 상기 액유로(240)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리시버(248)와 액펌프(246)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기체 냉매가 제거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리시버(248)에서는 기체 냉매가 걸러지고, 상기 드라이어(244)에서는 냉매속의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액유로(240)를 통과한 액체 냉매는 상기 제2사방밸브(242)와 제3밸브(224) 그리고 제5밸브(252)를 차례로 거친 다음,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를 통해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의 실내유니트(400)로 분배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한다.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하는 냉매는 저압으로 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유입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4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실내공간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를 통과하면서 냉매는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되고, 실내공간은 열을 빼앗겨 냉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내저압유로(4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차폐밸브(270)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216)는 냉매가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보조유로(210)를 통해 유동된다. 상기 보조유로(210)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보조펌프(214)에 의해 흐름이 강제되고,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는 소형의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응축기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기 보조열교환기(212)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보조열교환기(212)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저압축열연결부(272)를 통해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다. 상기 축열유니트(3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축열교환기(320)를 통과한다.
상기 축열교환기(3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와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얼음)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난 다. 따라서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얼음)은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의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녹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상기 축열교환기(320) 내부를 통과한 냉매는 저온이 된다.
한편, 이 과정에서도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500)에 의해 상기 축열교환기(320)의 상하 유동이 방지되며, 상기 축열교환기(320)는 상기 축열조(310) 내부에서 축열물질(W)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열교환기(3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고압축열연결부(25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축열 냉방모드'의 사이클이 완료되며,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도 6c는 일반적인 냉방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축열유니트(300)가 사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공기조화 장치에 의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는 '직접냉방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110)의 작동에 의해 고압의 냉매가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실외의 공기에 열을 빼앗겨 냉매는 저온의 액냉매가 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실외팽창장치(150)를 거쳐,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바로 흘러가게 된다. 즉, 상기 제3밸브(224)와 제5밸브(252)에 의해 상기 축열유니트(300)로의 냉매 유입을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5밸브(252)를 거쳐 상기 실내고압연결부(262)를 통해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의 실내유니트(400)로 분배된다. 상기 실내유니트(4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다수의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한다.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하는 냉매는 저압으로 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로 유입되며, 이러한 실내열교환기(4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난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42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실내공간의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며, 이때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매는 실내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열교환기(420)를 통과하면서 냉매는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되고, 실내공간은 열을 빼앗겨 냉방된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축열냉방모드'시의 실내유니트(400)에서의 작용과 동일하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20)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상기 실내저압유로(4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저압연결부(260)를 통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차폐밸브(270)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밸브(216)는 냉매가 상기 보조유로(210)로 흘러가지 않도록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기능저압연결부(220)와 실외저압연결부(160)를 통해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유니트(10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140)를 거쳐 상기 어큐뮬레이터(130)로 안내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30)에서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걸러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로는 기체 상태의 냉매만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직접냉방모드'의 사이클이 완성된다.
도 7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냉방모드에서의 p-h선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①과 ②는 상기 압축기(110)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③과 ④는 응축기 역할을 하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의 입구와 출구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압축기(110)에서는 냉매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12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는 동안 압력의 변화는 없으며, 온도 변화에 의해 엔탈피(h)가 변화된다.
부호 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유니트(2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⑥과 ⑦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20) 전후의 상태이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실내팽창장치(430)를 통과하면서 냉매는 압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증발기의 역할을 하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20)에서는 압력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게 되며, 이 과정에서는 냉매의 온도 증가에 의해 엔탈피(h)가 증가한다. 미설명 부호 ⑧은 상기 기능유니트(200)로부터 나와서 상기 실외유니트(100)에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 공기조화 장치가 냉방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냉방을 위한 경우 외에 난방을 위해서 도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의 예에서는 냉방을 위해 야간에 상기 축열유니트(300)의 축열조(310)를 냉방축열조로 사용하여 축열물질을 상변화(제빙)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냉매의 흐름을 반대로 하여 상기 축열조(310)가 난방축열조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축열조(310) 내부의 축열물질은 야간에는 고온으로 온도가 상승되어 열에너지를 축척하고, 주간에는 이러한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실내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열조(310)를 냉방용과 난방용으로 구분하여 각각 설치한 다음, 냉방시에는 냉방용축열조를 사용하고 난방시에는 난방용축열조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냉방 및 난방 시스템의 작동원리는 일반적인 냉난방 에어콘의 사용원리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에서는, 실외유니트와, 실내유니트, 축열유니트 그리고 기능유니트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유니트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므로, 결국 사 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즉, 기능유니트와 축열유니트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므로, 기존의 공기조화 장치에도 기능유니트와 축열유니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축열유니트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축열교환기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축열교환기는 상하 유동이 방지되고, 축열물질이 결빙되는 경우에도 비중 차이에 의해 축열교환기가 축열물질 위로 부상(浮上)하지 않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축열교환기의 하강 또는 부상(浮上)이 방지되므로, 축열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외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실외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열교환이 일어나는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축열물질이 저장되는 축열조와, 상기 축열조 내부의 축열물질과 열교환이 일어나는 축열교환기와, 상기 축열교환기가 상기 축열조 내부의 축열물질에 잠겨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축열유니트와;
    상기 실외유니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조건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유니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유니트의 축열교환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유니트의 고정수단은,
    상기 축열교환기를 부분적으로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후크는 각각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축열조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후크에 걸어지는 고정걸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고,
    최상측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상기 축열교환기의 상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며,
    최하측의 고정후크와 고정걸이는 상기 축열교환기의 하방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측의 고정후크는 단부가 하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상측의 고정걸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측의 고정후크는 단부가 상방으로 벤딩(bending)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최하측의 고정걸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벤딩(bending)되어 연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축열교환기의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20050074064A 2005-08-12 2005-08-12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20070019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64A KR20070019272A (ko) 2005-08-12 2005-08-12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US11/990,178 US8667804B2 (en) 2005-08-12 2006-07-27 Thermal storage air conditioner
EP06783432.5A EP1913313B1 (en) 2005-08-12 2006-07-27 Thermal storage air conditioner
PCT/KR2006/002957 WO2007021081A1 (en) 2005-08-12 2006-07-27 Thermal storage air conditioner
CN2006101149409A CN1912481B (zh) 2005-08-12 2006-08-14 储热式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064A KR20070019272A (ko) 2005-08-12 2005-08-12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272A true KR20070019272A (ko) 2007-02-15

Family

ID=3772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064A KR20070019272A (ko) 2005-08-12 2005-08-12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67804B2 (ko)
EP (1) EP1913313B1 (ko)
KR (1) KR20070019272A (ko)
CN (1) CN1912481B (ko)
WO (1) WO2007021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3416B1 (en) * 2007-12-21 2013-10-08 Exaflop Llc Electronic device cooling system with storage
JP2013092342A (ja) * 2011-10-27 2013-05-16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5903977B2 (ja) * 2012-03-27 2016-04-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化学蓄熱システム
US20140338389A1 (en) * 2013-05-14 2014-11-20 Carrier Corporation Vapor compression system with thermal energy storage
US10429083B2 (en) * 2013-08-30 2019-10-01 Qingdao Hisense Hitachi Air-conditioning Systems Co., Ltd. Multi-type air conditioner system
CN104684344A (zh) * 2013-11-29 2015-06-03 国际商业机器公司 Pcm冷却设备,冷却系统和控制该系统的方法和单元
CN104110758B (zh) * 2014-07-18 2017-01-18 上海交通大学 太阳能驱动高效吸湿‑热化学反应单级空调系统
WO2016201384A2 (en) * 2015-06-12 2016-12-15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Comfort units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se thereof
CN106931563A (zh) * 2015-12-31 2017-07-07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自然散冷式空调设备
US9989271B1 (en) 2017-08-14 2018-06-05 Calvin Becker Air conditioning with thermal storage
CN108344088A (zh) * 2018-03-15 2018-07-31 田云 一种热泵调水调气保鲜分体或整体式机组
CN108679757A (zh) * 2018-06-28 2018-10-19 广西班仕达绿色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相变蓄能装置和蓄能供能方法
CN111102761B (zh) * 2019-12-13 2021-07-13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一种基于热泵的泵驱两相流体回路控温系统
AU2021208487A1 (en) * 2020-01-13 2022-09-01 Other Lab, Llc Thermal storage system and method
CN111207466B (zh) * 2020-01-14 2021-10-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432250B (zh) * 2021-06-08 2022-10-11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防夹人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0340A (en) * 1969-07-02 1972-03-21 Art S Way Mfg Co Inc Strain gage weighing device
JPH0663660B2 (ja) * 1986-01-10 1994-08-22 東京電力株式会社 氷蓄熱式熱源装置の蓄熱量検出装置
JPS62237925A (ja) * 1986-04-07 1987-10-17 Konika Corp 貯液装置
JPS63116073A (ja) 1986-10-31 1988-05-20 株式会社東芝 蓄熱式ヒ−トポンプ
JP3071328B2 (ja) 1993-02-19 2000-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蓄熱式冷房装置
JPH06331289A (ja) * 1993-05-26 1994-11-29 Hitachi Ltd 蓄熱槽
JPH0972582A (ja) * 1995-09-05 1997-03-18 Daikin Plant Kk 蓄熱式冷水装置
JPH0972584A (ja) 1995-09-05 1997-03-18 Daikin Plant Kk 蓄熱式冷水装置
JPH09203652A (ja) * 1996-01-29 1997-08-05 Mitsubishi Heavy Ind Ltd 粒状物を貯留する容器の液位計
JPH09222272A (ja) * 1996-02-14 1997-08-26 Masatoyo Koike 氷蓄熱槽用熱交換コイルの支持構造
JP3319363B2 (ja) * 1997-07-08 2002-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氷蓄熱システム
US5900546A (en) * 1997-07-24 1999-05-04 Electromechanical Research Laboratories, Inc. Liquid level indicator for storage tank
JP3785765B2 (ja) * 1997-11-07 2006-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氷蓄熱槽
CN2324503Y (zh) 1998-04-24 1999-06-16 清华大学 一种内融冰式冰盘管设备
CN2333976Y (zh) 1998-05-28 1999-08-18 重庆建筑大学 管板热融式冰蓄冷装置
JP2000213073A (ja) * 1999-01-22 2000-08-02 Hitachi Chem Co Ltd パネル組立式蓄熱槽
JP4388155B2 (ja) * 1999-02-05 2009-12-24 四国電力株式会社 氷蓄熱式冷水供給装置
JP2000274748A (ja) 1999-03-26 2000-10-06 Sanyo Electric Co Ltd 蓄熱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1128316C (zh) 1999-07-05 2003-11-19 清华同方股份有限公司 一种蓄冷蓄热型热泵空调机
KR100515200B1 (ko) 1999-09-16 2005-09-20 니키치 아이자와 룸에어컨의 냉매배관유닛
JP2001241871A (ja) * 2000-02-29 2001-09-07 Kinki Concrete Industry Co Ltd 氷蓄熱槽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72060A (ja) * 2000-03-29 2001-10-05 Nippon Kentetsu Co Ltd 氷蓄熱槽
ID30565A (id) * 2000-06-26 2001-12-27 Baltimore Aircoil Co Inc Sistem pengontrol panas ruang penyimpanes
JP2002089891A (ja) 2000-09-12 2002-03-27 Sanyo Electric Co Ltd 氷蓄熱空気調和機
JP2003004263A (ja) * 2001-06-26 2003-01-08 Ebara Corp 内融式氷蓄熱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2003106575A (ja) * 2001-09-28 2003-04-09 Hitachi Ltd 氷蓄熱式空気調和装置
JP2002230731A (ja) 2001-12-28 2002-08-16 Fujitsu Ltd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アッ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3473A1 (en) 2010-02-25
WO2007021081A1 (en) 2007-02-22
EP1913313A4 (en) 2016-07-06
EP1913313B1 (en) 2018-06-13
CN1912481B (zh) 2010-12-29
CN1912481A (zh) 2007-02-14
EP1913313A1 (en) 2008-04-23
US8667804B2 (en)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9272A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47841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EP1872077B1 (en) Heat storage air conditioner
KR20030029882A (ko) 히트 펌프 장치
CN105299797A (zh) 蓄热式空气调节装置及其控制方法
JP6771302B2 (ja) 空気調和機
KR100662123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JP2005188924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20020014073A (ko) 축냉열식 냉난방장치
KR100662115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시스템
KR100727127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27126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27125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27124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662126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시스템
KR20070019275A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27142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345579B1 (ko) 소형 축냉/ 축열식 복합 열펌프 시스템
KR20070022941A (ko) 축열식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88653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767859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축열조
KR100705110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0662125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
KR101136664B1 (ko) 축열식 냉난방 및 급탕시스템
KR100674278B1 (ko) 축열식 공기조화 장치의 축열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