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709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7093A
KR20070017093A KR1020067004094A KR20067004094A KR20070017093A KR 20070017093 A KR20070017093 A KR 20070017093A KR 1020067004094 A KR1020067004094 A KR 1020067004094A KR 20067004094 A KR20067004094 A KR 20067004094A KR 20070017093 A KR20070017093 A KR 20070017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sin
sorting
barrel
thresh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203B1 (ko
Inventor
아키라 미야모토
히토시 사무라키
마사아키 오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7Vibratory thresh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 장치의 후부에 처리동을 배치하고, 상기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과 상기 급동에서 처리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하는 것 만으로는 곡물 입자의 로스가 발생했기 때문에 수확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한다. 탈곡 장치의 후측부에 배치된 처리동의 하방에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을 받아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체를 배치하고, 요동 선별 장치상에 재도입하여 재선별함과 함께, 2번물을 2번 환원 컨베이어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의 전단에 반송하고,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마련한다. 그리고, 처리동 및 반송체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반송체 전부에서 낙하되는 처리물을 센서에서 검지하여 막힘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탈곡 장치의 후부에 처리동을 마련하고, 탈곡 후의 곡물입자의 로스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처리동에서 처리한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의 전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체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탈곡 성능 및 선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동 후부 측방에서 평행으로 송진구 처리동(처리동)을 배치하고, 급동에서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을 처리동에 보내 처리하고, 탈곡부에서 처리한 곡물 입자 중, 통상 10~15%의 곡물입자를 단립화하고, 처리망을 통하여 하방의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위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곡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곡물 입자나 짚가루 등으로부터 곡물입자를 선별 장치에서 선별한 후의 2번물을 2번 컨베이어, 2번 환원 컨베이어를 개재하여 다시 요동 선별 장치의 선별 개시부로 되돌려 보내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수확 속도의 고속화에 따라 선별부도 보다 높은 처리 능력(선별 능력)이 요구되며, 선별부에서의 막힘 등의 방지책도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배출 볏짚 체인에서의 배출 볏짚의 유량을 검지하여 선별부의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조절하고, 피처리물이 많을 때는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크게 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그러나, 콤바인 본기의 고속화, 고능률화 등에 따라 탈곡 처리량이 증가하면, 송진구 처리동의 처리물이 거칠어져 처리동망의 여과가 나빠지며, 기외로의 배출량이 증가하거나, 요동 선별 장치상에 여과되어도 채프시브 등에서 여과되지 않고 3번구로부터의 기외로의 배출이 증가하여 통상의 단립화율의 달성도 어려워졌다. 특히, 송진구 처리동의 바로 아래에 많은 곡물 입자가 치우쳐 집중되기 때문에 요동 선별의 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콤바인에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되는 피처리물의 양을 검지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채프시브의 개구도를 조절하는 기술도 존재하나,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선별부에 미처리물을 재투입하는 부분)의 바로 후방, (즉, 선별부의 좌우 중앙 보다도 송진구 처리동쪽)에 센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진구로부터 선별부 상부에 재투입된 피처리물이 선별부상에서 요동에 의해 균등하게 고르게 되기 전에 센서에 접촉하고, 실제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되어 있는 피처리물의 양이 그만큼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센서가 피처리물을 검지하여 채프시브의 개구도가 과도하게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풍선별의 부담을 크게 하여 뉘와 볏짚 가루의 선별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콤바인에 의한 수확 작업의 고효율화를 위해 콤바인의 수확작업시의 주행 속도가 고속화되고 있으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해 처리되는 미처리물의 양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선별부에 재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센서를 선별부상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선별 능력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1-318194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5-161419호
따라서, 3번구 등으로부터의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할 수 있으며, 또한 요동 선별 장치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곡물 입자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물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상에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위치시켜 이삭가지를 뽑아 제거하도록 하여 탈곡 효율을 향상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체의 지지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반송체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의 기능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반송체의 유지를 간단하게 하고, 후방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 시간을 단축화하는 것이다. 또한, 나아가서는 처리동 구동축에서 반송체를 언더 뜨로우(under throw) 방향으로 되도록 구동력을 전달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처리동의 전측 베어링의 금속을 기어케이스와 겸용시킴으로써, 반송체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함께 부품 수를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의 배치를 개량하여 선별부에서의 처리 능력(선별 능력)을 향상시킨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은 것으로,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물을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한 콤바인으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동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물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상으로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는 상기 선별부 상에서 상기 급동의 끝단부 보다도 기체 진행 방향전측으로 위치함과 함께, 상기 반송체의 회동 방향은 상기 처리물을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선별부 상에 배출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의 전부의 배출부에는 우근을 마련하고, 상기 우근의 회전에 의하여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의 반송 끝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탈곡부의 후부 하방으로부터 송진구 처리동 전부의 송진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방에 상기 반송체의 전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 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시킨 콤바인으로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하여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여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반송체의 전부를 급동 후부이며 요동 선별 장치의 전후 중도부 상에 배치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배치하여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전부 상에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을 배치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 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을 배치시킨 콤바인으로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수용하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 입자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 상에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처리동 구동축과 처리동을 연결하는 처리동 보스에 제 1 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와 동축에 반송체를 구동하는 제 1 스프로킷을 배치하고, 상기 제 1 스프로킷과 연동하는 제 2 스프로킷에 의해 반송체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반송체는 기체 후방으로 향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 전측의 구동축의 축단이 상기 제 2 스프로킷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반송체 후방의 탈착만으로 기체 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착탈은, 상기 반송체의 축수틀과 함께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가된 급동과 상기 급동의 후측부에 배치된 송진구 처리동과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보다도 후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상기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급동 후부 하방이며 선별부의 좌우 중앙보다도 급동쪽으로 배치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여, 급동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처리물은 송진구 처리동으로 보내져 처리되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서 처리되어 처리동 망에서 낙하된 처리물은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보내져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재선별되고, 풍구질에 의해 다시 풍선별도 행해지도록 되어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곡물 입자 로스를 저하할 수 있고, 선별 장치의 선별폭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가 그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된 처리물과 송진구 처리동에 의해 처리된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상에서 겹쳐지지 않고 각각 처리되어 막힘을 초래하는 것과 같은 현상이 없어 높은 효율로 선별할 수 있다.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는 상기 선별부 상으로, 상기 급동의 끝단부 보다도 기체 진행방향 전측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동에 의한 탈입자 작용으로 수망에서 낙하하는 처리물의 누하가 적어지는 부분의 하방에 처리물이 투입되도록 되며, 누하물이 치우치지 않고, 선별부의 전후 방향의 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처리물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선별부 상에 배출되는 방향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한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에 두드려지면서 요동 선별 장치에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곡물 입자가 상하는 일이 없고, 상방으로 던져짐으로써 분산되어 굳어서 요동 선별상에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선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반송체의 전부의 배출부에는 우근이 마련되고, 상기 우근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축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우근에 의해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측으로 날아가게 되어 요동 선별 장치의 폭 방향으로 건너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반송체의 반송 끝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삭가지 처리를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처리물에는 짚조각도 많으나 이것을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서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탈곡부에서 처리되지 못한 미처리물은 탈곡부의 후부 하방에서 송진구 처리동 전부로 가이드판에 의해 스무스하게(자연스럽게) 송진구로 가이드 되도록 된다. 그리고, 송진구 처리동에서 처리후의 처리물은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며, 반송체 전부에서 배출되는 처리물은 확산판에 닿아 확산되고 요동 선별장치상으로 낙하되어, 굳어서 막히는 일이 없어 선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반송체의 전방에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배치하고,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전부상에 낙하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요동 선별 장치에서 처리된 2번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 다시 당입하기 전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의해 처리할 수 있어 이삭가지 붙은 곡물 입자가 몇번이고 순환되는 일이 없어 곡물입자의 수량을 증가시켜 선별 효율도 향상할 수 있다.
기어에 의한 변속 후에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반송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되고, 반송체로는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한 전달부분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반송체를 기체 후방으로 향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체의 교환·청소 등의 단계에서는 축수틀을 수통의 단연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구동축측의 스플라인 감입부를 제 2 스프로킷측의 감합공으로부터 분리하여 반송체 전체를 수통의 상부로부터 뽑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이 상기 반송체의 축수틀과 함께 행해지기 때문에, 축수나 축수를 고정하는 부품 등의 분해가 불필요하게 되며 착탈을 간단히 행하여 조립 순번이나 방향을 틀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보다도 후방으로 배치하기 때문에, 선별부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값이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직후의 피처리물에 의해 실제의 퇴적량에서 크게 떨어진 값이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선별부로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급동의 수망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되어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를 급동 후부 하방이며 선별부의 좌우 중앙보다도 급동쪽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선별부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값이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된 직후의 피처리물에 의해 실제로 퇴적량에서 크게 떨어진 값이 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선별부로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급동의 수망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되어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의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좌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곡부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체 정면도.
도 5는 탈곡부 및 선별부의 좌측면 모식도.
도 6은 송진구 처리동의 우측면도.
도 7은 송진구 처리동의 후면도.
도 8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와 선별 장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와 급동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탈곡부와 송진구 처리동 부의 측면 모식도.
도 13은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
도 14는 탈곡부와 송진구 처리동의 정면도.
도 15는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
도 16은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반송체로의 구동 구성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
도 17은 반송체 후부의 측면도.
도 18은 반송체 후지지부의 후면도.
도 19는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 및 선별부의 측면 단면도.
도 20은 반송체와 반송체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의 측면 모식도.
도 21은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의 측면 모식도.
도 22는 반송체의 다른 실시예의 탈곡부 후부의 측면 모식도.
도 23은 송진구 처리동과 이삭가지 처리 장치의 정면도.
도 24는 송진구 처리동과 다른 실시예의 반송체의 측면 모식도.
도 25는 탈곡부 및 선별부의 후면 단면도.
도 26은 센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7은 송진구 처리동과 반송체의 측방에 마련하는 가이드판과 확산판을 마련한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이삭가지 처리 장치
11...이삭가지 처리동
12...탈곡부
17...선별부
20...수망
21...급동
22...송진구 처리동
23...송진구
24...처리동 망
27...요동 선별 장치
28...급실
29...처리실
40...2번 환원 컨베이어
50...반송체
56...우근
100...처리동 보스
101...처리동 구동축
102...기어박스
106...제 1 스프로킷
107...제 2 스프로킷
108...체인
110...축수틀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콤바인(201)의 전체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콤바인(201)에 한정되지 않으며 급동과 송진구 처리동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자탈형·범용형)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크롤러(무한궤도)식 주행 장치(1)상에는 기체 프레임(2L)(2R)이 배치되며, 상기 기체 프레임(2L)(2R) 전측에는 일으킴·예취부(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3)는 전단에 분초판(4)을 돌출하여 곡물짚을 분초하고, 그 후부에 일으킴 케이스(5)를 세워 마련하고 상기 일으킴 케이스(5)에서 돌출한 타인(6)의 회전에 의해 곡물짚을 일으켜, 상기 분초판(4) 후부에 마련한 낫(7)으로 밑둥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제거된 곡물짚은 상부 반송 장치, 하부 반송 장치, 세로 반송 장치(8)에서 후부로 반송되며, 상기 세로 반송 장치(8)의 상단에서 밑둥이 피드체인(9)에 받아 지며, 탈곡부(12) 내로 곡물짚이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체인(9) 후단에는 배출 볏짚 체인(18)이 마련되며, 상기 배출 볏짚 체인(18) 후부 하방에는 배출 볏짚 커터 장치, 확산 컨베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출 볏짚 처리부(19)가 형성되며, 배출 볏짚을 절단하여 볏조각으로 한 후, 확산되면서 노밭에 균일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곡부(12) 측부에는 선별 후의 정밀한 입자를 저류하는 그레인탱크(13)가 마련되며, 상기 그레인탱크(13) 전부에는 운전실(14)이 마련되는 한편, 그레인탱크(13) 후부에는 배출 기관(15)의 세로 기관(15a)이 세워 마련되며, 상기 세로 기관(15a)을 중심으로 하여 그레인탱크(13)가 측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고, 본기 내부측에 배치된 구동계나 유압계의 유지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그레인탱크(13)의 저부에는 배출 컨베이어(16)가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 컨베이어(16)로부터 상기 배출 기관(15)에 동력이 전달되어 배출 기관(15) 선단에서 트럭 등으로 그레인탱크(13) 내의 곡물 입자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탈곡부(12) 하방에는 선별부(17)가 마련되며, 탈곡부(12)에서 흘려 내려오는 곡물 입자나 볏짚 등(이하, [처리물]이라 함)으로부터 곡물입자를 선별하고, 상기 그레인탱크(13)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탈곡부(12)에 관하여 도 5,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탈곡부(12)에 형성된 급실(28)에는,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가된 대략 원주형상의 급동(21)이 마련되며, 상기 급동(21)의 외주면에는 급치(21a·21a···)가 심어져 마련된다. 한편, 피드체인(9)에 의해 곡간(穀桿)의 밑둥부는 구속되면서 곡 간(穀桿)의 선단부는 급동(21)의 하방에 삽입되면서 기체 후방으로 반송된다. 급동(21)의 회전에 의해, 급치(21a·21a···)가 뉘(처리물)에 접촉하여 탈입이 행해짐과 함께, 수망(21)은 급동(21)이 격납되는 급실(28)의 하반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만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동(21) 후부로, 그레인탱크(13)측(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우측)의 처리실(29)에, 대략 원주형상의 송진구 처리동(22)이 마련된다. 상기 송진구 처리동(22)은 급동(21)과 평행하게 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횡가·축지된다. 또한, 급동(21)을 덮어 급실(28)을 형성하는 급동 케이스(61)의 후부(우)측면은 송진구 처리동(22)를 덮어 처리실(29)을 형성하는 처리동 케이스(62)의 전부(좌) 측면과 송진구(23)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다. 급동(21)에서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의 미처리물은 송진구(23)에서 처리실(29) 내로 반송된다. 처리동 망(24)은 송진구 처리물(22)이 격납되는 처리실(29)의 하반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상기 처리동 망(24)에 마련된 구멍(그물코)을 통과하여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만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전후에 긴 판체로 이루어지는 우체(91)(91)가 고정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우체(91)(91)는 상기 송진구 처리동(2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해 처리실(29)까지 반송되어 온 볏짚은 상기 우체(91·91···)의 회전에 의해 튀어 올라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으로 배출되고 후술하는 가이드판(81)에 의해 기체 외부로 가이드된다.
이어서, 탈곡부(12)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선별부(17)에 관하여 도 5를 이용 하여 설명한다. 선별부(17)에서는 요동 선별 장치(29)에 의한 요동 선별과 풍구(26)에 의한 풍선별이 행해지며 1번물과 2번물과 볏짚 등으로 분별된다.
요동 선별 장치(27)는 기틀(35) 내에 수납된다.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단부는 급동(21)의 전단부의 하방까지 연장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부는 송진구 처리동(22) 후단부의 하방까지 연장되도록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후 길이가 정해져 있다. 그리고, 요동 선별 장치(27) 전하부에는 미도시의 요동축이 마련됨과 함께, 후부에는 미도시의 요동 구동 기구가 마련되며, 요동 구동 기구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가 기틀(35)에 대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부에는 전류곡판(30)이 마련됨과 함께, 상기 전류곡판(30)의 후하방에 후류곡판(31)이 마련된다. 상기 전후의 유곡판(30)(31)은 판형의 부재를 파형으로 성형한 것이며, 수망(20)을 통과한 처리물(곡물입자 및 볏짚 등의 혼합물)은 전후의 유곡판(30)(31) 상에 낙하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요동에 의해 기체 후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후류곡판(31) 후부에는 제 2 선별부인 망형의 그레인시브(32)가 연결됨과 함께, 상기 그레인시브(32)와 상기 후류곡판(31)의 상방 그리고 전류곡판(30)의 후방에는 제 1 선별부인 채프시브(3)가 씌워져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장치(27) 하방의 전후 도중 위치에는 좌우 방향으로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가 가로로 마련된다.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의 위치 관계는 1번 컨베이어(36)가 풍구(26)에 가까운 측(기틀(35)의 전부), 2번 컨베이어(37)가 풍구(26)로부터 먼 측(기틀(35)의 후부)이 된다.
1번 컨베이어(36)의 우단부에는 그 길이방향(반송방향)이 대략 상하방향이 되도록 마련된 양곡 컨베이어(38)가 연결되며, 상기 양곡 컨베이어(38)의 상단은 그레인탱크(13) 내와 연통하고 있다.
요동 선별 장치(27) 내에서 선별되어 1번 컨베이어(36)의 유곡판(39) 상에 누하된 1번물은 1번 컨베이어(36)로부터 양곡 컨베이어(38)를 지나 그레인탱크(13)에 반송된다.
또한, 상기 2번 컨베이어(37)의 우단부에는 그 길이방향(반송방향)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방이 되도록 마련된 2번 환원 컨베이어(4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전방 측단부에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10)가 연결 마련된다.
요동 선별 장치(27) 내에서 선별되어 2번 컨베이어(37)의 부근에 누하된 2번물은 2번 컨베이어(37)로부터 2번 환원 컨베이어(40)를 지나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 반송된다.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가 제거된 후의 2번물은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 즉 전류곡판(30) 상에 재투입된다.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부 상방에는 흡인팬(25)이 전체 폭에 가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흡인팬(25)에 풍구(26), 세컨드 팬(46)으로부터 공급되는 선별풍의 흐름을 타고 온 먼지가 흡인되어 기외로 배출된다.
풍구(26)는 상기 전류곡판(30) 후부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풍구(26)의 팬 케이스(26a)는 상후방이 개방되고, 위로부터 차례로 가이드 상판(92), 가이드 중판 (93), 가이드 하판(94)과 각각 시단(일단)부가 우근체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가이드 상판(92)은 가이드 중판(93)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타단은 기울어져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며 팬 케이스(26a)와 가이드 상판(92)의 사이에 제 1 풍로(96)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중판(93)은 풍구(26)의 상방에 배치되고 그 타단은 기울어져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며 가이드 상판(92)과 가이드 중판(92)의 사이에 제 2 풍로(97)를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 하판(94)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풍구(26)의 후부에 배치되며, 가이드 중판(93)과 가이드 하판(94)의 사이에 제 3상풍로(9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하판(94)과 팬 케이스(26a) 후단에 연장 마련한 유곡판(39)의 사이에 제 3 하풍로(9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풍로(96)를 흐르는 제 1 선별풍은 풍향을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서서히 바꾸면서 채프시브(33)로 향하여 흘러간다. 그리고, 상기 채프시브(33) 상면을 따라 흐르면서 후방의 흡인팬(25)으로 향하여 차례로 상승하여 빨아 들여지며, 상기 각 수망(20)(24)으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로 누하하는 처리물의 채프시브(33) 상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케이스(26a)의 상단은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의 후하방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곡판(30)의 요동에 의해 탈곡 후의 처리물이나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의해 처리된 곡물 입자 등을 고르게 한 후에 풍선별을 행하도록 하고, 또한 그 후부의 수망(20) 후부로부터 낙하하는 뉘나 볏가루 등을 선별함과 함께, 후술하는 반송체(50)에 의해 반송되어 낙하하는 처리물을 풍선별하고, 나아가 후술하는 산(70)을 무너지도록 하여 막힘이 생기지 않게 하고 있다. 즉, 반송체(50) 전단의 배출구는 제 1 풍로(96)의 후부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풍로(97)를 흐르는 제 2 선별풍은 채프시브(33)와 그레인시브(32)의 사이로 유도되고, 그 후, 채프시브(33) 하면을 따라 흐르면서 채프시브(33) 내를 차례로 상승하여 흡인팬(25)에 빨아들여지며, 후류곡판(31) 상에 대류하는 젖은 처리물을 후방으로 보냄과 동시에 채프시브(33)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의 그레인시브(32) 상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3 상풍로(98)를 흐르는 제 3 상선별풍은 후류곡판(31)의 후하면으로부터 그레인시브(32)를 통과하여 채프시브(33)의 후부로 흐르며, 마지막에는 흡인팬(25)으로 빨아들여지며, 그레인시브(32)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의 그레인시브(32) 하에서의 풍선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3 하풍로(99)를 흐르는 제 3 하선별풍은 유곡판(39) 상을 뒤로 기울어져 하방으로 향하여 불어내고, 1번 컨베이어(36) 후부의 유곡판(95)에 충돌하여 풍향이 뒤로 기울어져 상방으로 변한 후, 그레인시브(32)의 후부로부터 흡인팬(25)으로 빨아 들여진다.
그리고. 상기 1번 컨베이어(36)와 2번 컨베이어(37)의 사이에도 부압송 팬인 세컨드 팬(46)이 마련되며, 상기 세컨드 팬(46)의 토출구는 상후방으로 개구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부에 마련된 스트롤럭(44)과 후부 유곡판(88)의 사이에 후부풍로(8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후부 유곡판(88)은 요동 본체(49)의 후부 하방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요동되고, 상기 후부 유곡판(98)과 2번 컨베이어 후부의 유곡판의 사이에도 복귀풍로(84)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풍구(26)에 의한 선별풍의 풍력이 약해지는 선별부(17) 후부에서도 풍선별에 의한 선별 성능이 저하하지 않도록 하고, 후부풍로(89)는 세컨드 팬(46)에서 기울어져 상후방으로 불어내고, 스트롤럭(44)과 후부 유곡판(88)의 사이를 통과하여, 그레인시브(32) 후부 및 스트롤럭(44)으로부터 낙하하는 2번물을 풍선별한다. 그리고, 후부 유곡판(88)의 후단에서는 과류가 발생하여 복귀풍로(84)로 흘러들어간다. 즉, 이 과류는 2번 컨베이어로의 2번물의 아래쪽 흐름을 촉진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는 이삭가지 처리동(11)을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전측의 종단 하방으로 배치하고, 이삭가지 처리장치(10)는 그레인탱크(13)의 뒤측, 즉, 정면으로 보았을 때 그레인탱크(13)의 우측에서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측상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그레인탱크(13)를 개방함으로써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외주면에는 처리치(11a·11a···)가 적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은 통체(45) 내에 수납되며, 상기 통체(45)의 우측(진행방향) 상후부에 공급구(41)를 마련하여 2번 환원 컨베이어(4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통체(45)의 내측면에는 츠스바(고정측 처리칼)(77·77···)가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체(45)의 좌측 하방에 배출구(42)를 마련하고, 요동 선별 장치(27) 의 개시부는 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2)의 전부 또는 측부에는 뉘 가이드판(43)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여 낙하하는 뉘가 날아가 흩어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2번 환원 컨베이어(40)로부터의 2번물의 흐름을 설명하면, 2번물은 공급구(41)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로 투입된 후,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외주에 구비되는 처리치(11a·11a···)와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의 외곽을 구성하는 통체(45)의 내측면에 돌출 마련된 츠스바(77·77···)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하면서 배출구(42) 까지 반송되며, 상기 배출구(42)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배출된 후, 상기 배출구(42)의 근방에 배치된 뉘 가이드판(43)에 닿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 즉, 전류곡판(30)의 전방표면상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뉘 가이드판(43)의 배치는 배출구(42)의 전방으로 하고, 상기 배출구(42)의 개구가 기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측에 걸쳐 넓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은 펑면에서 보았을 때 기체 진행 방향과 직교하여(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 방향은 기체 진행 방향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 방향에 의해 상기 공급구(41)에서 투입되는 2번물이 통체 하방의 배출구(42)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이삭가지 처리동(11)의 회전에 의한 바람의 흐름에 따라 전방으로 향하여 흐르며, 전류곡판(30)의 전방으로 배 출되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전류곡판(30)을 이동시키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2번물을 확산시키고, 뉘층을 얇게 할 수 있으며, 1번 컨베이어(36)로의 누하가 행해지기 쉽다. 즉, 선별 성능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뉘 가이드판(43)에는, 배출후의 2번물을 확실히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뉘 가이드판(43)에 의한 선별 성능의 향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의 구동 전달 구성에 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의 구동의 전달에 있어서, 구동원인 엔진으로부터의 구동은 출력축, 기어케이스, 1번 컨베이어(36), 2번 컨베이어(37) 등을 개재하고, 2번 환원 컨베이어(40)로 전달되며, 그리고, 상기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말단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로 전달된다.
2번 환원 컨베이어(40)의 컨베이어 구동축(90) 끝단에 마련되어 있는 베벨기어(71)에서 스프로킷(72), 체인(73)을 통하여 구동축(11b)에 동력을 전달하고, 이삭가지 처리동(11)을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송진구 처리동(22) 및 처리실(29) 내부의 상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의 외주면에는 스크류형의 나선체(22a)가 형성된다. 또한 나선체(22a)에는 복수의 처리치(22b·22b···)가 돌출 마련된다.
송진구 처리동(22)이 회전 구동되면,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에 반송되어 온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의 미처리물은 기체 후방에 반송되면서 뉘와 이삭가지로 분리된다.
이 때,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을 피복하는 케이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급동 케이스(61)의 후부 우측 판부의 외벽(우측면)에는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63···)이 마련된다.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을 피복하는 케이스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처리동 케이스(62)의 전부 우측판의 내벽(좌측면)에는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64···)이 마련된다.
한 쌍의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과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에서 리드변(65)이 형성된다. 리드변(65)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의해 미처리물이 반송 방향(도 6중의 화살표A)으로 보내지도록 소정의 리드각(리드변(65)의 작용면에 수직인 벡터(B)와, 전후 방향으로 벡터(A)(화살표(A)가 이루는 각도) θ를 가지고(즉, 대략 나선형으로)처리실(29) 내벽의 상반부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처리실(29)의 내벽면에 리드각 θ를 가지는 리드변(65·65···)을 마련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 구동에 의한 처리실(29) 후방(배출 방향)으로의 미처리물의 반송이 촉진되며, 급실(28)로부터 송진구(23)를 지나 처리실(29)로 반송되어 온 미처리물이 처리실(29) 내를 빠르게 이동한다. 따라서, 급실(28) 후부 및 처리실(29) 전부(즉, 송진구(23)근방)에서의 미처리물의 대류 및 처리실(29)에서 급실(28)로의 미처리물의 역류가 방지되어 탈곡·선별 능력이 향상된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변(65)(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 및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은 송진구(23)에 마련되어 있는 처리실(29) 전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미처리물의 발생량 등에 따라 처리실(29) 중도부나 후부에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리드변(65)을 급동 케이스 측 리드변(63)과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 (64)의 두 개의 부재로 구성하며, 각각 급동 케이스(61) 및 처리동 케이스(62)에 장착함으로써, 처리실(29)의 상반부에 걸쳐 리드변(65)을 마련하여 상기 리드변(65)의 작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미처리물의 반송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처리실(29) 내의 청소, 유지 시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변(65)을 구성하는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전단부(63a)와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후단부(64)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방향, 즉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 겹쳐져(오버랩되어) 있으며,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작용면을 따라 이동해 온 미처리물은 확실히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작용면에 건네진다. 따라서, 리드변(65)이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미처리물의 반송 능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송진구(23)의 상단에서 처리실(29)의 상부위치에 4단 평행으로 송진구(23)의 전단에서 급실(28)의 대략 후단 위치까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은 송진구(2)의 상하 중도부로부터 처리실(29)의 상부 위치에 3단 평행 으로 송진구(23)의 전단에서 송진구(23)의 대략 후단 위치까지 마련되며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로 확실하게 반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드각 θ의 크기에 관하여는,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 급동 케이스측 리드변(63)의 후단부(63b)로부터 처리동 케이스측 리드변(64)의 전단부(64a)까지의 길이(L1)가 미처리물의 반송 방향에서의 송진구(23)의 개구폭(L2)의 반 이상이 되도록(L1·(1/2) × L2)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송진구(23)로부터 처리실(29) 내로 반송되는 미처리물을 배출 방향(후방)으로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급실(228) 후부 및 처리실(29) 전부(즉, 송진구(23)근방)에서의 미처리물의 대류 및 처리실(29)로부터의 급실(28)로의 미처리물의 역류가 방지되며 탈곡·선별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리드각 θ를 너무 크게 하면, 리드변(65)의 작용면과 미처리물의 마찰이 과대해져 처리동(22)의 회전 구동에 따른 부하가 증대하거나, 뉘의 탈곡이나 파쇄 등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콤바인의 사용 조건 등에 의해 리드각 θ를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23)로부터 떨어진 처리실(29) 중앙부로부터 후부에 걸쳐 리드각 θ를 가지지 않는(θ≒0) 칸막이 판(66·66···)이 처리동 케이스(62) 내벽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처리실(29)의 중앙부로부터 후부에서는 오히려 미처리물이 빨리 후방으로 반송되는 것을 저해하여, 충분한 분리·선별을 행함으로써, 분리·선별(여과)을 촉진하여 로스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처리동망(24)에 관하여는, 판재에 뚫은 구멍을 다수 마 련한 프레스망으로 함으로써, 클림프망이나 콘케이브와 비교하여 처리물의 유통성(처리물의 하방으로의 낙하의 용이함)이 향상된다. 또한, 제조 비용을 저감화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중의 송진구 처리동(22)의 처리치(22b·22b···)가 처리동 케이스(62) 내벽에 마련된 저항판(67·67)간을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처리실(29) 내에 반송되는 미처리물의 양이 많을 때(예컨대, 고속 주행에서의 수확 작업시 등)에도 처리동망(24) 상에 대류하여 뉘의 여과를 저해하는 긴 볏짚을 높은 효율로 세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리·선별(여과)을 촉진하여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처리치(22)의 선단 부분을 칼날 모양으로 가공함으로써 긴 볏짚의 세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체(5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송진체(50)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행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체(50)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낙하하는 처리물을 받아 상기 처리물을 전방, 즉,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입자의 반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여 요동 선별 장치(27)상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체(50)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형의 수통(52)을 가로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52) 내에 나선형체로서 스크류(53)를 구비하여 컨베이어를 가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22)과 마찬가지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반송체(50)는 그 반송 시단부를 처리동망(24)의 후단 하방으로 배치하고, 그 반송 끝단부를 상기 급동(21)의 끝단부 측판(59)에서 기체 진행 방향 전측으로 배치하고, 급동(21)의 후부와 전후방향에서 일부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체(50) 및 송진구 처리망(22)에서 전방에는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가 마련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급동(21)과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송체(50)와 급동(21)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서 반송체(50)로부터 처리물이 낙하하지 않도록 수통(52)의 급동(21)측에 측벽(54)이 고정 마련되는 한편, 반송체(50)와 급동(21)이 중복하는 부분, 즉, 반송 끝단부에서는 수통(52)의 급동(21)측이 개방 상태로 되어 배출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52a)에 위치하는 스크류(53)의 구동축(55)에 판상의 우근(56)이 고정 부착되며, 상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축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50) 전방에서, 스크류(53)의 구동축(55) 상에 기어(47a)가 고정되며, 상기 기어(47a)는 입력축(58)의 일단에 고정된 기어(47b)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58)의 타단에 벨트차(48a)가 고정 부착되며, 상기 벨트차(48a)와,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에 고정 부착된 벨트차(48b)가 벨트(57)에서 권회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측(34)에 벨트차(48a)(48b), 벨트(57) 및 기어(47a)(47b)를 개재하여 반송체(50)의 구동축(55)을 연동 연결시키고,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으로부터 반송체(50)의 구동축(55)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따라 반송체(5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다른 구동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에서 설명한다. 송진구 처리동(22)의 구동축(34)의 전단부에는 통모양의 처리동 보스(100)가 연결되며, 상기 처리동 보스(100)에는 처리동 구동축(101)이 연결된다. 바꾸어 말하면, 처리동 구동축(101)과 구동축(34)은 처리동 보스(100)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동 보스(100)는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된 기어 박스(10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박스(102)에는 상기 처리동 보스(100)와 평행으로 중간축(103)이 축지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 박스(102) 내에서는 처리동 보스(100)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기어(104)와 상기 중간 축(103)에 마련되어 있는 제 2 기어(105)가 맞물려 전동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103)의 일단(후단)은 기어 박스(102) 바깥에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부에는 제 1 스프로킷(106)이 감합·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50)의 전방에 있어서 스크류(53)의 구동축(55)의 전단부에 단면방형상의 스플라인 감입부(55a)가 소정 길이로 늘어져 형성된다. 이 스플라인 감함부(55a)가 감합·분리 가능한 감합공(107a)을 축심부에 구비하는 제 2 스프로킷(107)이 기받침(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2 스프로킷(107)과 상기 제 1 스프로킷(106)은 체인(108)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55)측의 스플라인 감합부(55a)가 제 2 스프로킷(107)측의 감합공(107a)에 감합 상태이면, 반송체(50)는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단, 반송체(50)의 구동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체인식 등이어도 되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뿐만이 아니라 하방의 선별 장치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반송체(50)의 후측부의 지지틀측(후측)의 구성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50)의 구동축(55)의 후단은 축수틀(1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축수틀(110)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5각형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에 구동축(55) 및 스크류(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축수부(110a)). 그리고, 축수틀(110)의 하방측변부의 구부러짐부(111)(112)에는 볼트공이 천공 마련되며, 상기 볼트(113)에 의해 깔때기형의 수통(52)의 단연에 반송체(50) 전체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물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떨어져 반송체(50)에 낙하하면, 상기 처리물은 스크류(53)의 회전에 의해 반송체(50)의 반송 끝단부인 배출부(52a) 까지 반송되고, 상기 배출부(52a)로부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직접 2번 컨베이어(37)로 낙하하는 일이 없어, 2번물은 분산되어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환원되도록 되고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반송된 처리물을 다시 선별하여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함과 함께 곡물입자의 처리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반송체(50)의 교환·청소 등의 유지에 관하여는 볼트(113)를 떼어내고, 축수틀(110)을 수통(52)의 단연(52b,52c)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구동축(55)측의 스플라인 감입부(55a)가 제 2 스프로킷(106)측의 감합공(107a)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체(50) 전체를 수통(52)의 상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단, 반송체(50)의 구동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차식 등이어도 되며,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뿐만 아니라 하방의 선별 장치 등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송체(50)의 구동축(55)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 반송체(50)가 급동(21)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스크류측(53)과 우근(56)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함으로써, 상기 스크류(53)에 의해 반송된 처리물은 우근(56)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상에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처리물을 수통(52)의 배출부(52a)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의 채프시브(33) 등에 부딪히는 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물은 배출부(52a)로부터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배출되나, 스크류(53)과 우근(5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처리물을 오버 뜨로우(over throw)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여 떨 어진 처리물이 반송체(50)에 낙하하면, 상기 처리물은 스크류(53)의 회전에 의해 반송체(50)의 반송 끝단부인 배출부(52a)까지 반송되며, 상기 배출부(52a)로부터 우근(56)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7)의 좌우 중심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직접 2번 컨베이어(37)에 낙하하는 일이 없어 2번물은 분산되어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환원되도록 되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반송한 처리물을 재선별하여 곡물 입자 로스를 저감함과 함께 곡물 입자의 처리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52a)에서, 도 12,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50)의 측방에 가이드판(115)과 확산판(116)을 마련하고 있다. 즉, 반송체(50) 전부와 급동(21) 후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는 기체 중앙측의 부분은 수망(20)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부분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망(20)과 대략 중복하도록 가이드판(115)이 마련되며, 그 하방에 확산판(11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115)은 송진구(23)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중복하는 폭으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부에서, 즉, 처리동망(24)의 기체 중앙 방향 단부로부터 기울어져 횡하방의 수망(20)의 직선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 마련되어 있다. 즉, 송진구(23)와 반송체(50)의 우근(56)이 위치하는 반송체(50)의 전부 배출측에서, 후면에서 보았을 때 반송체(50)의 기체 좌우 중앙측 상방으로 가이드판(115)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판(115)의 상단은 처리동망(24)의 기체 중앙측에 고정되어 기울어져 기체 좌우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하방으로 향하여 배치되며, 하단을 수망(20)의 후부에 고정하고, 나아가 가이드판(115)의 상하 좌우 중도 부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확산판(116)이 기체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망(20) 끝단에서 탈곡 처리되지 못한 이삭가지 부착 입자 등이 가이드판(115)에 가이드 되어 송진구(23)에서 송진구 처리동(22)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송진구 처리동(22)에서 처리된 후의 처리물이 그 하방의 반송체(50)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어 전부에서 우근(56)에 의해 속박되면서 기체 좌우 중앙측으로 기울어져 상방으로 언더 뜨로우(under throw)로 방출된다. 이 때, 가이드판(115)에 닿은 처리물은 기체 중앙측 하방으로 다시 날아가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투입된 처리물은 안내판(115) 뒤측에 배치되는 확산판(116)에 닿음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확산되어 방출되어 처리물이 굳는 일 없이 분산되고 요동 선별되어 선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음에, 반송체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반송체(60)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평행으로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반송체(60)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 모양의 수통(82)을 가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82)에 스크류(83)를 구비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체(60)는 그 반송 끝단부(기체 진행 방향 전측)가 급동(21)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 마련되며, 반송체(60) 및 송진구 처리동(22)의 전방으로 마련된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체(60)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 하여 낙하하는 처리물을 받고, 상기 처리물을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입자의 반송 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송 끝단부까지 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 반송하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고,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에 재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기체 진행 방향 후측)에는,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후방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2번 환원 컨베이어(80)로부터 반송되는 2번물을 반송체(60)로 받아, 상기 반송체(60) 내를 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 그 반송 끝단부까지 반송하여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고,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의 선별 개시부에 재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2번 환원 컨베이어(8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후방으로 경사하여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2번 환원 컨베이어를 전방으로 경사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경량화와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양곡 컨베이어(38)와 겹쳐지지 않으므로, 탈곡부(12)의 가로폭을 단축할 수 있어 그레인탱크(13)의 용량을 증가하거나 그레인탱크(13)의 탈곡부(12)측의 측판을 간단화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체(60)는 이삭가지 처리 장치(10)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11)과 같은 축상에 배치되어 있으나,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체(60)를 전상회로 기울여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끝단부의 하방으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를 배치하고, 반송되는 처리물을 이삭 가지 처리동(11)의 상방으로부터 투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삭가지의 많은 2번물과 송진구 처리동(22)의 처리물을 2번 환원 컨베이어(80)와 반송체(60)로 이루어지는 한 경로에서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 투입하여 이삭가지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효율로 이삭가지 처리를 행할 수 있으며,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처리물에는 볏짚 조각도 많은데, 이를 이삭가지 처리 장치(10)에서 분쇄할 수 있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체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실(29)에서 송진구 처리동(22)의 하방에 반송체(85)가 송진구 처리동(22)과 평행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가로 마련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85)는 처리실(29)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깔때기 모양의 수통(86)을 가로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수통(86) 내에 스크류(87)를 수납하여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체(60)는 그 반송 끝단부(기체 진행 방향 전측)가 급동(21)의 후단부까지 연장 마련되며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체(85)에 의해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 처리동망(24)을 통하 여 낙하되는 처리물을 받고, 상기 처리물을 송진구 처리동(22)에 의한 탈 입자의 반송 방향과 반대방향인 반송 끝단부까지 스크류(87)의 회전에 의해 반송하여, 이삭가지 장치(68)에 투입한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 내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삭가지 처리동(69)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85)의 반송 시단부(기체 진행 방향 후측)에는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후방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2번 환원 컨베이어(80)로부터 반송되는 2번물을 반송체(85)로 받아 상기 반송체(85) 내를 스크류(87)의 회전에 의해 그 반송 끝단부까지 반송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68)에 투입하고, 이삭가지 처리장치(68) 내의 이삭가지 처리동(69)에 의해 이삭가지를 제거한 후, 요동 선별 장치(27)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송체(60)의 반송 시단부에 2번 환원 컨베이어(8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후방으로 경사하여 반송체(50)의 반송 시단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번 환원 컨베이어를 전방으로 경사하여 이삭가지 처리 장치에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2번 환원 컨베이어(80)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경량화와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번 환원 컨베이어(80)는 양곡 컨베이어(38)와 겹쳐지지 않으므로, 탈곡부(12)의 횡폭을 단축할 수 있어 그레인탱크(13)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그레인탱크(13)의 탈곡부(12)측의 측판을 간소화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삭가지 처리 장치(68)는 급동(21) 의 끝단부측판(59)의 바로 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삭가지 처리동(69)을 송진구 처리동(22) 전부 하방에서 급동(21) 후부 하방까지 연장하여 좌우 방향으로 가로 마련하고 있다. 상기 이삭가지 처리동(69)은 통체(75) 내에 수납되어 있으며, 상기 통체(75)의 진행방향 우측 후부에 개구를 마련하여 반송체(85)와 연통함과 함께, 진행 방향 우측 상부에 급동(21)의 횡폭과 대략 같은 횡폭을 가지는 개구부(75)를 마련하여 상방을 개방하고, 상기 개구부(75a)에서 급동(21)의 끝단부측판(59)에서 오버 뜨로우(over throw)한 볏짚 조각 등을 받아 이삭가지 처리동(69)에서 분쇄하고 확산하여, 요동 선별 장치(27) 상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삭가지 처리동(69)은 기체 진행방향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반송체(85) 및 개구부(75a)에서 투입되는 처리물이나 볏짚 조각 등은 통체(75)의 전부하에 개구된 배출부(75b)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이삭가지 처리동(69)의 회전에 의한 바람의 흐름에 따라 전방으로 향하여 흐르며, 요동 선별 장치(27)의 전방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요동 선별 장치(27)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처리물을 확산시켜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별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반송체의 제 4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진구 처리동(24)과 그 하방에 배치된 제 2의 처리동(78)의 2단식 처리동으로 한 것이다.
또한, 스크류식으로 구성된 송진구 처리동(37)과 제 2의 처리동(78)은 회전 수가 다르며, 송진구 처리동(24)의 하방에는 썬방식의 그물코가 세밀하지 않은 처리동망(24)이 늘어져 걸쳐지며, 제 2의 처리동(78)의 하방에는 그물코가 세밀한 제 2의 처리망(79)이 늘어져 걸처져 있다.
송진구 처리동(24)은 수구가 급동(21)의 송진구(23)에 연통하여 급동(21)의 탈입자를 기체의 후방으로 보내면서 재처리하고, 처리동망(24)을 통과한 여과물을 제 2의 처리동(78) 상에 배출한다. 제 2의 처리동(78)은 송진구 처리동(22)으로부터의 여과물을 기체의 전방으로 보내면서 재처리하고, 그 처리물을 제 2의 처리망(79)을 통하여 요동 선별 장치(27)의 요동 선별 요동체(49) 상으로 환원한다. 이 송진구 처리동(22)과 제 2의 처리동(78)의 2단 처리로 이삭가지 부착 입자가 감소하고, 또한, 급동의 탈입자의 재처리 거리가 확보되어 정입자의 증가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외감된 톱니바퀴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의 전단부에 외감된 톱니바퀴가 서로 맞물려 있으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회전수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수의 비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분리되어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포획되는 피처리물의 양과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피처리물의 양을 소정의 비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및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의 후단부측에서 톱니차, 벨트와 벨트차,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 등,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와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수 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구동력을 분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처리동망(24)에 마련된 구멍(그물코)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된 피처리물은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기체 전방(즉, 송진구 처리동(22)의 반송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피처리물은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전단으로 마련된 배진구(50a)에서 선별부(17)로 재투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처리물은 채프시브(33) 상에 유곡판(39)의 상방(즉, 1번 컨베이어(36)의 상방)이 되게 위치하여 낙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는 스크류식의 컨베이어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식의 컨베이어라도 된다.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피처리물이 재투입되는 위치는 전류곡판(30) 상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센서(51)에 관하여 설명한다.
센서(51)는 선별부(17) 전상부에 마련된 전류곡판(30) 및 채프시브(33)에 퇴적된 배출 볏짚의 양을 검지하고, 채프시브(33)의 개구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접촉체(51a) 및 센서부(51b)로 구성된다.
접촉부(51a)는 길게 가느다란 판형의 부재이며, 그 일단은 센서부(51b)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부(51b)는 리졸버(resolver), 회전식 전위차계,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각도 센서이며, 기체에 대한 접촉체(51a)의 자세를 각도의 형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프시브(33) 상에 퇴적되어 있는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의 상하방향의 두께 T[mm]는 채프시브(33) 상면에서 센서부(51b) 까지의 높이 H[mm]와 접축체(51a)의 길이 R[mm]과 센서부(51b)에 의해 검 출되는 접촉체(51a)의 회전각도 φ[rad]에 의해 φ=0 일 때는 0<T<H-R, φ>0 일 때는 T=H-R×cosθ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접촉체(51a)의 회전각도 φ는 접촉체(51a)가 바로 밑을 향하고 있을 때(피처리물과 접촉하지 않을 때)를 0으로 하고, 접촉체(51a)가 후방으로 반송되어 가는 피처리물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회동할 때에 올바른 값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선별부(17)에서 볏짚과 뉘를 높은 정확도로 분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채프시브(33)로부터 그레인시브(32)로 낙하량을 최대한 많게 하고, 선별 처리능력이 극대로되는 채프시브(33)의 개구도와 피처리물(뉘 및 세단된 볏짚의 혼합물)의 상하방향의 두께 T[mm]의 관계를 실험 등을 통해 미리 구해놓는다. 그리고, 센서(51)로부터의 회전 각도 φ에 관한 정보(즉,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으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채프시브(33)의 개구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피처리물이 센서(51)의 바로 아래에서만 산형으로 퇴적되어 있으며,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의 다른 장소에는 퇴적되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 센서(51)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각도 φ로부터 구해진 두께 T[mm]는 실제의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의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올바르게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이 경우, 실제의 퇴적량 보다도 퇴적량을 많은 견적으로 한다). 따라서, 피처리물이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30) 상에서 균등하게 고르게 되어 있는 것이 두께 T[mm]를 높은 정확도로 구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볼 때도 선별을 높은 효율로 행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볼때도 중요하다.
실제로는 선별부(17)의 요동에 의해 피처리물은 채프시브(33) 및 전류곡판 (30) 상에서 균등하게 고르게 되어 있으나, 송진 반송 컨베이어(50) 전단의 배진구(50a)의 바로 아래만은, 특히 수확시의 주행 속도가 클(수확물이 단위 시간당 탈곡부(12) 및 선별부(17)에 투입되는 양이 많은)때에는, 배진구(50a)에서 낙하된 피처리물이 산형으로 퇴적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센서(51)의 장착 위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에 의해 생기는 극부적인 ‘산’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이며,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수망(20)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하여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별부(17)의 좌우중앙(도 25에 나타낸 좌우중앙선C-C)보다도 급동(21)의 회전축은 좌측방으로 치우쳐 있으며, 송진구 처리동(22)의 회전축은 우측방으로 치우쳐 있다. 따라서, 송진구 처리동(22)에서 발생하는 피처리물을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도 또한 그 회전축이 선별부(17)의 좌우중앙보다도 우측방으로 치우쳐 있으며, 배진구(50a)로부터 선별부(17)상으로 낙하하는 피처리물은 선별부(17)의 좌우 중앙보다도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산(70)을 형성한다.
그리고, 센서(51)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배진구(50a) 보다도 기체 후방(즉, 선별부(17)에서의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또한 선별부(17)의 좌우중앙보다도 급동(21)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별부(17) 상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의 검출치가 산(70)의 영향을 받아 실제의 퇴적량에서 크게 벗어 난 값이 되는 일 없으며, 또한, 송진 반송 컨베이어(50)에 의해 선별부(17)에 재투입되는 피처리물과 수망(20)을 통과하여 낙하된 피처리물이 요동에 의해 혼합하여 균등하게 고르게 된 위치에서 피처리물의 양이 검출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피처리물의 퇴적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51)의 위치는 (1)송진 반송 컨베이어(50)의 배진구(50a) 보다도 기체 후방(즉, 선별부(17)에서 피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하류측), 또는, (2)급동(21) 후부 하방에서 선별부(17)의 좌우중앙 보다도 급동(21)으로 치우친 것 어느 한쪽을 만족하도록 배치하여도 마찬가지로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51)의 센서부(51b)는 리졸버, 회전식 전위차계,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 각도 센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서부(51b)를 접촉식의 스위치로 하여 접촉체(51a)가 소정의 각도 이상 회동했을 때에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가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정전 용량 센서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체(50)의 후방에 가이드판(81)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81)은, 도 12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동(22)의 하방에서 요동 선별 장치(27)의 상방으로 배치하고 있다. 가이드판(81)의 전단 위치는 처리동망(24)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가이드판(81)의 후단위치는 요동 선별 장치(27)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전부를 높게 후부를 낮게 기울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81)은 처리동(22)의 좌우방향의 폭과 대략 동등하게 상기 흡인 팬(25)과 처리동 커버(76)의 사이에 배치하고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81)은 상기 송진구 처리동(22) 내부의 볏짚 등을 기체 외부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동(22) 내부의 볏짚을 상기 우체(91)(91)의 회전에 의해 튀어 오르게 하여 처리동(22)의 하방으로 배출하고, 상기 가이드판(81)에 의해 기체 외부로 가이드 하고 있다. 이렇게 가이드판(81)을 마련함으로써, 볏짚이 상기 반송체(50)나 요동 선별 장치(27)에 혼입되지 않고 기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가이드판(81)의 설치는 임의 사항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콤바인으로서 기능하는 경우도 있다.
탈곡 장치의 급동의 후부에 처리동을 배치하고, 처리동의 하방에 처리후의 곡물 입자나 먼지 등을 반송체에 의해 전방으로 배치하고, 그 전방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함으로써 보리나 쌀 등의 곡물 입자를 탈곡하여 선별하는 성능을 향상하는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이 배치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곡 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이 배치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받고, 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곡 입자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장치상에 배출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의 반송 방향 끝단부는 상기 선별부 상이며, 상기 급동의 끝단부 보다도 기체 진행방향 전측으로 위치됨과 함께, 상기 반송체의 회전 방향은 상기 처리물을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선별부 상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의 전부의 배출부에 우근이 마련되고, 상기 우근의 회전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의 좌우 중심축으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의 반송 끝단부에 이삭가지 처리 장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의 후부하방에서 송진구 처리동 전부의 송진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방에 상기 반송체의 전부에서 배출되는 처리물을 확산하는 확산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이 배치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이 배치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되고,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받아 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반송체의 전부가 급동 후부이며 급동 선별 장치의 전후 중도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체의 전방에 2번 환원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마련된 이삭가지 처리 장치가 배치되어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전부상에 낙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탈곡부와, 탈곡 후의 곡물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부를 가지며, 상기 탈곡부에 급동이 배치되고, 상기 탈곡부의 후측부에 탈입자를 재처리하는 송진구 처리동이 배치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있으며 상기 송진구 처리동으로부터 배출된 처리물을 받아상기 처리물을 상기 송진구 처리동에 의한 탈입자의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여 선별부의 요동 선별 방치상으로 배출되는 반송체를 구비하고, 처리동 구동축과 처리동을 연결하는 처리동 보스에 제 1 기어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와 동축에 반송체를 구동하는 제 1 스프로킷을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프로켓과 연동하는 제 2 스프로켓에 의해 반송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부에 마련된 상기 반송체가 기체 후방으로 향하여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 전측의 구동축의 축단이 상기 제 2 스프로킷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반송체 후방의 탈착만으로 기체 후방으로 착탈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은 상기 반송체의 축수틀과 함께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1. 기체의 전후방향으로 축가된 급동과, 상기 급동의 후측부에 배치된 송진구 처리동과,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는 상기 송진 반송 컨베이어의 배진구 보다도 후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2.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축가된 급동과, 상기 급동의 후측부에 배치된 송진구 처리동과, 상기 송진구 처리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반송하는 송진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선별부 상부에 퇴적된 피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는 급동 후부 하방이며, 선별부의 좌우 중앙 보다도 급동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67004094A 2003-08-27 2004-07-12 콤바인 KR101035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3566 2003-08-27
JP2003303566 2003-08-27
PCT/JP2004/009936 WO2005020665A1 (ja) 2003-08-27 2004-07-12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093A true KR20070017093A (ko) 2007-02-08
KR101035203B1 KR101035203B1 (ko) 2011-05-17

Family

ID=3426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094A KR101035203B1 (ko) 2003-08-27 2004-07-12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8723B2 (ko)
KR (1) KR101035203B1 (ko)
CN (1) CN100459842C (ko)
WO (1) WO20050206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347A (ko) 2013-05-08 2016-01-14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α-치환 글라이신아마이드 유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3431B (zh) * 2009-03-03 2013-10-09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JP5246953B2 (ja) * 2009-07-23 2013-07-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99112B2 (ja) * 2016-03-30 2019-04-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7027A2 (de) * 1990-05-18 1992-01-22 Deere & Company Förderer für eine Erntemaschine
JP2557231Y2 (ja) * 1992-07-03 1997-12-10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2997368B2 (ja) * 1992-07-12 2000-01-11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選別制御方法
JPH11206233A (ja) * 1998-01-23 1999-08-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フロートセンサの取付け構造
JPH11206223A (ja) * 1998-01-26 1999-08-03 Iseki & Co Ltd 結球野菜収穫機の収穫用座席装置
DE19912372C1 (de) * 1999-03-19 2000-11-09 Case Harvesting Sys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s Kornanteiles in einer Überkehr eines Mähdreschers
JP4009692B2 (ja) * 2000-04-24 2007-11-21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CN1245064C (zh) * 2000-06-14 2006-03-15 井关农机株式会社 收获机的脱粒装置
JP2002291325A (ja) * 2001-03-30 2002-10-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における処理胴構造
JP4885378B2 (ja) * 2001-07-10 2012-02-29 ヤンマー株式会社 脱穀装置
JP3722745B2 (ja) * 2001-12-06 2005-11-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枝梗処理装置
JP4084612B2 (ja) * 2002-07-09 2008-04-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347A (ko) 2013-05-08 2016-01-14 깃세이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α-치환 글라이신아마이드 유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9838A (zh) 2006-11-08
KR101035203B1 (ko) 2011-05-17
JPWO2005020665A1 (ja) 2007-10-04
JP4528723B2 (ja) 2010-08-18
CN100459842C (zh) 2009-02-11
WO2005020665A1 (ja)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89392A (zh) 全穗杆投入型联合收割机
KR101035203B1 (ko) 콤바인
KR100900010B1 (ko) 콤바인
JP2008237107A (ja) 脱穀装置
KR20100057529A (ko) 콤바인
JP2008237134A (ja) 脱穀装置
JP2017046608A (ja) コンバイン
JP2009027978A (ja) 脱穀装置
KR100854166B1 (ko) 탈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수망
JP4815793B2 (ja) 脱穀装置
JP3686604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007104956A (ja) 脱穀装置
JP5109947B2 (ja) 脱穀装置
JP2004290208A (ja) コンバイン
JP2005312354A (ja) 脱穀装置
JP2002045022A (ja) 脱穀装置
JP2007244234A (ja) コンバインの二番還元縦コンベア
JP2009034057A (ja) コンバイン
JP2007111057A (ja) コンバイン
JP2004187551A (ja) 脱穀装置
JPH1175510A (ja) コンバインの揺動本体
JP2003169532A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001178249A (ja) 脱穀物の選別方法及び選別構造。
JP2006174762A (ja) 脱穀機
JP200400811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