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887A -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887A
KR20070014887A KR1020050069880A KR20050069880A KR20070014887A KR 20070014887 A KR20070014887 A KR 20070014887A KR 1020050069880 A KR1020050069880 A KR 1020050069880A KR 20050069880 A KR20050069880 A KR 20050069880A KR 20070014887 A KR20070014887 A KR 2007001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 target
communication terminal
digi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688B1 (ko
Inventor
한승재
이기태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688B1/ko
Priority to JP2006206927A priority patent/JP2007043701A/ja
Priority to US11/496,122 priority patent/US20070057762A1/en
Publication of KR2007001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가, 원격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고,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려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원격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혹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휴대 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리모콘, 블루투스, 전자프로그램안내(EPG)

Description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에 표시되는 적외선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에 표시되는 블루투스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과 같은 차량용 혹은 전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키가 대부분 제한적이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이 많이 불편하다. 또한 키의 제한성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리모콘을 사용하더라도 차량용은 셋톱박스 같은 가정용 리모콘처럼 많은 키를 포함하기가 힘들어서 리모콘의 기능도 제한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여러 가지 단말기들(예: 휴대용 전화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MP3, 디지털 방송 수신기용 리모콘 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별도의 리모콘을 가지는 것은 관리가 복잡하고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 제어 대상 기기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용 리모콘 기능을 추가한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제1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가, 원격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고,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려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원격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혹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제2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장치가,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선택하고,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려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원격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1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혹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2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제3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이, 어떤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선택되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단방향/양방향 통신 방식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단방향 통신 방식 메뉴가 선택되면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양방향 통신 방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고,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채널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채널 선택을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알리는 과정과, 상기 채널이 튜닝되면, 양방향 통신 방식일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모델명, 채널번호, 프로그램명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 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함.)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들은 각각 고유의 기능만을 가지기도 하지만, 적어도 2가지 이상의 기능을 함께 가지기도 한다. 고유의 전화 기능 외에도 PDA 기능을 더 가지거나 MP3 기능을 더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가 그 예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고 휴대용 전화기처럼 사용자가 항상 휴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여러 가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가 리모콘 기능을 구비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 600은 리모콘 장치 500을 구비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리모콘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 통신 단말기 600과 디지털 방송 수신기 600 사이의 무선 통신은 양방향 혹은 단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양방향 무선 통신의 예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트랜시버(transceiver), 혹은 지 그비(ZigBee) 등이 있고, 단방향 무선 통신은 적외선(infrared light)을 이용한 통신을 예로 들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은 휴대 통신 단말기 600이 보낸 채널 업/다운(up/down) 혹은 기타 명령을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채널이 튜닝 되었을 때 휴대 통신 단말기 600으로 채널 정보나 기타 다른 정보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입력부 52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을 통해 재생될 디지털 방송의 채널 입력,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의 스피커 볼륨 조절 입력, 디지털 방송의 재생 시작 혹은 중지 입력 등과 같은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1무선신호 송수신부 56은 입력부 52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1무선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으로 송신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으로부터 제1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제1무선신호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로 구현할 수 있다. 제2무선신호 송신부 58은 입력부 52를 통한 입력에 대응하는 제2무선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으로 송신한다. 제2무선신호는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로 구현할 수 있다. 표시부 510은 제1무선신호 송수신부 56을 통해 디지털 방송 수신기 700으로부터 수신한 전자프로그램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이하 EPG라 함.) 정보를 표시한다. EPG 정보는 디지털 방송국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 기 700에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 510은 메뉴 방식을 채택한 경우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 모델명 메뉴, 통신 방식 메뉴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 54는 입력부 52를 통한 키 입력 인식, 제1무선신호 송수신부 56 혹은 제2무선신호 송신부 58의 동작 여부, 표시부 510의 표시 등을 제어한다. 즉, 입력부 52를 통상의 키패드로 구현할 경우,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단말기 고유의 모드(예: 휴대폰의 경우에는 통화모드)일 때와 다르게 키를 인식한다. 즉, 숫자키가 디지털 방송 채널 입력용 키로서 인식되거나 볼륨키 혹은 네비게이션키가 채널 업/다운용 키로서 인식되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2b는 입력부 51이 표시부 510에 입력 화면의 형태로 표시되게 구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터치패드를 사용하며, 원격제어모드에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키들 중 예를 들어 어떤 숫자키를 터치하면 해당하는 디지털 방송 채널번호가 입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와 비교하면, 제2무선신호 송신부 58을 가지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도 4a ~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나타낸 화면으로서, "TV", "VTR", "DVD", "노래방", "셋톱박스", "DMB"와 같은 항목들이 포함된 예를 든 것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로 DMB 수신기를 원격 제어하고자 한다면 도시된 항목들 중 "DMB"를 선택하면 된다.
도 4b는 "DMB"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그 서브 메뉴인 "DMB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DMB 모델"은 "INS-700", "STU-D500", "CTC-800", "NWE-A30"과 같은 항목들을 나열한 DMB 모델명 메뉴이다.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DMB 모델명들 중 "INS-700" 항목이 선택되었을 때 그 서브 메뉴인 "INS-700"을 나타낸 것이다. INS-700 메뉴는 두 가지 항목, 즉 "적외선 리모콘"과 "블루투스 리모콘"을 가진다.
도시된 도 4a → 도 4b → 도 4c의 순서로, 현재 커서가 놓인 위치의 항목들이 선택되었다고 가정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가 모델명이 INS-700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루투스 리모콘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에 표시되는 적외선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화면의 네비게이션(상, 하, 좌, 우)키, 확인키, 취소키, 비디오키, 오디오키, 혹은 숫자키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해당 입력이 이루어진다. 채널번호를 바로 입력하기 위해 해당 숫자키를 이용하지만,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업/다운 방식으로 채널 변경을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키들은 원격제어모드를 위해서 재 정의된 것들로서, 휴대 통신 단말 기 고유의 모드 수행을 위한 키 정의(예: 휴대 통신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라고 가정할 경우 통화모드에서 전화번호 입력을 위해 이용되는 숫자키 정의)와 다르다. 단, 취소키는 원래 모드(예: 통화모드)로 돌아가기 위해 현재 모드(원격제어모드)를 빠져 나갈 때 쓰이므로 재 정의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에 표시되는 블루투스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면 휴대 통신 단말기가 리모콘의 역할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 채널이 선택될 경우 해당 채널의 채널정보도 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화면의 일부 영역에는, 전술한 도 5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화면의 네비게이션키, 확인키, 취소키, 비디오키, 오디오키, 혹은 숫자키 부분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키 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화면의 다른 일부 영역에는 채널 정보가 표시되는데, 도시된 예는 채널 15의 현재 및 다음 프로그램 이름과 방송 시간이 표시된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는 DMB 수신기를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로 원격 제어하며, 블루투스 모드 혹은 적외선 모드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11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4a와 같은 메뉴 화면이 표시될 것이다.
표시된 메뉴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DMB 항목을 선택하면, 12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DMB 항목 선택을 감지한다.
DMB 항목 선택을 감지한 후, 13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모델명 메뉴를 표시한다. 즉, DMB 수신기의 모델명들을 나열한 형태가 되며, 전술한 도 4b와 같은 화면을 예로 들 수 있다.
표시된 화면을 보고 사용자가 모델명을 선택하면, 14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모델명 선택을 감지한다.
모델명 선택을 감지한 후, 15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통신 방식 메뉴를 표시한다. 블루투스 모드 혹은 적외선 모드를 표시할 경우, 전술한 도 4c와 같은 화면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 방식 메뉴 표시 후, 16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블루투스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사용자에 의한 블루투스 모드의 선택을 감지하면, 17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DMB 단말기가 블루투스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블루투스 모드의 선택이 감지되지 않거나 DMB 단말기가 블루투스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25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적외선 모드로 설정된다. 적외선 모드로 설정되면, 일반 적외선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외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적외선 신호는 DMB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26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채널의 선택이 감지되면, 270단계에서 DMB 단말기에 선택된 채널을 송신한다. 이로써 DMB 단말기는 선택된 채널을 재생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DMB 단말기가 블루투스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18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블루투스 모드로 설정된다.
블루투스 모드로 설정된 후, 19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DMB 단말기에 초기화 신호를 송신한다. 초기화 신호를 수신한 DMB 단말기는 원격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초기화를 실시하고 대기상태에 돌입하게 된다. 20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DMB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 체크한다. 이때 만일 응답이 없으면 250단계로 진행하여 적외선 모드로 전환 설정된다.
200단계에서 응답이 수신되면, 21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채널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채널의 선택이 감지되면, 22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DMB 단말기에 선택된 채널을 송신한다. 이로써 DMB 단말기는 선택된 채널을 재생하게 될 것이다.
선택된 채널의 송신 후, 23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DMB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수신된 채널 정보가 있으면, 240단계에서 리모콘 장치는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EPG 정보를 말하며, 채널번호, 프로그램 이름, 노래 제목, 가수 이름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210단계 혹은 260단계에서의 채널 선택은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 중 어느 것에 의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후자의 경우로 구현한다면, 도시하지 않았으나, 210단계 혹은 260단계 앞에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이때의 화면은 예를 들어 도 5와 같을 것이다. 또한 240단계에서의 채널 정보 표시도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이루어질 것이며,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표시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예는 DMB 수신기를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로 원격 제어하며, DMB 수신기와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전술한 도 7과 비교하면, 150단계 ~ 180단계, 250단계 ~ 270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200단계에서 DMB 수신기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되지 않을 때, 도 7의 경우에는 250단계로 진행하여 적외선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다른 방식으로 원격 제어가 가능하였으나, 도시된 예는 한 가지 통신(예: 블루투스)만 가능하므로 280단계로 진행하여 원격 제어 불가 표시를 한다. 원격 제어 불가의 구체적인 원인은 비지원 단말기이거나 이격된 거리가 규정된 범위를 넘었거나 통신 장애물이 있거나 그 밖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통신 단말기를 리모콘으로 사용하여 차량용 혹은 전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리모콘을 가지지 않아 효율적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일반적인 별도형 리모콘은 분실 우려 혹은 관리의 불편함이 있지만 휴대용 전화기와 같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는 분실의 염려가 적고 관리도 쉽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리모콘은 많은 키를 보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숫자키를 보유 하고 있어 업/다운 방식이 아니라 채널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채널 전환이 바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DMB 수신기가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모델일 경우 DMB 수신기의 메인 화면을 통하지 않고, 휴대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DMB의 채널 정보를 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9)

  1.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원격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고,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려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원격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혹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가 블루투스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전자프로그램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다수의 키를 가지는 키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터치패드를 구비한 표시부에 키패드의 다수 키를 표시하는 입력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하여 원격 제어 대상인 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선택하게 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모델명 메뉴를 표시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모델을 선택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8. 휴대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선택하고, 원격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려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해당 초기화를 실시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제어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을 원격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인식한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1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 혹은 상기 원격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2무선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제2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단방향/양방향 통신방식 메뉴를 표시하여 통신 방식을 선택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는 제2무선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자동으로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원격 제어를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12. 제8항 혹은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장치.
  13. 휴대 통신 단말기의 리모콘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어떤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선택되는지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을 감지하면 단방향/양방향 통신 방식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과,
    단방향 통신 방식 메뉴가 선택되면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양방향 통신 방식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원격 제어 대상 기기에 원격 제어될 것임을 알리고,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채널 선택을 감지하면 상기 채널 선택을 상기 원격 제어 대상에 알리는 과정과,
    상기 채널이 튜닝되면, 양방향 통신 방식일 경우,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떤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선택되는지 체크하는 과정은,
    원격 제어 대상 기기들을 나타내는 리모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메뉴에서 특정 원격 제어 대상 기기를 선택하면 이를 감지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대상 기기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통신 방식이 적외선 통신이고, 상기 양방향 통신 방식이 블루투스 통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통신 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되는 정보가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알림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기 리모콘 기능 수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69880A 2005-07-29 2005-07-29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KR10111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80A KR101114688B1 (ko) 2005-07-29 2005-07-29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JP2006206927A JP2007043701A (ja) 2005-07-29 2006-07-28 携帯通信端末機のリモコン装置及びその機能遂行方法
US11/496,122 US20070057762A1 (en) 2005-07-29 2006-07-31 Remote control apparatus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880A KR101114688B1 (ko) 2005-07-29 2005-07-29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887A true KR20070014887A (ko) 2007-02-01
KR101114688B1 KR101114688B1 (ko) 2012-02-29

Family

ID=37801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880A KR101114688B1 (ko) 2005-07-29 2005-07-29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057762A1 (ko)
JP (1) JP2007043701A (ko)
KR (1) KR101114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523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6244B2 (en) * 2004-08-06 2011-10-11 Sharp Kabushiki Kaisha Transmitter, receiver,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4198741B2 (ja) * 2005-01-28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通信回路
US8051182B2 (en) * 2005-01-28 2011-11-01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circuit
KR100902341B1 (ko) * 2005-01-28 2009-06-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통신기기,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통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독취가능한 기록매체, 통신회로
CN101305580B (zh) * 2005-11-10 2012-01-18 夏普株式会社 数据发送装置及其控制方法、数据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数据发送系统、数据发送装置控制程序、数据接收装置控制程序以及记录有该程序的记录介质
US9247175B2 (en) * 2005-11-30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JP4219950B2 (ja) * 2006-10-16 2009-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通信回路、携帯電話機、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32369B1 (ko) 2006-12-11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JP4968197B2 (ja) 2008-06-25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4334603B1 (ja) 2008-08-22 2009-09-30 株式会社東芝 Av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45188A (ko) 2008-10-23 2010-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상기 원격 조정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US20100118209A1 (en) * 2008-11-11 2010-05-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via context based communication
JP5259750B2 (ja) * 2011-01-31 2013-08-0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発光部点灯制御方法
US20140091719A1 (en) * 2012-10-03 2014-04-03 George Tsai Christmas string light control system and string light device thereof
JP5665947B2 (ja) * 2013-11-11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装置
JP5908042B2 (ja) * 2014-09-26 2016-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装置
KR102575230B1 (ko) * 2016-07-29 202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21836B1 (ko) 2018-06-12 2020-06-26 주식회사 비엘티 모바일 디바이스를 블루투스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하는 방법
KR20200035920A (ko) 2020-03-09 2020-04-06 주식회사 비엘티 모바일 디바이스를 블루투스 리모트 컨트롤러로 사용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JPH071676U (ja) * 1993-06-10 1995-01-10 デイエツクスアンテナ株式会社 ワイヤレス遠隔制御送信機
JPH09265582A (ja) * 1996-03-28 1997-10-07 Pfu Ltd 無線ハンディターミナルを使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812881B1 (en) * 1999-06-30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addressable target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JP3914668B2 (ja) * 1999-09-24 2007-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携帯端末
US6650248B1 (en) * 1999-12-22 2003-11-18 Thomson Licensing, S.A. Programm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
EP1113587A1 (en) * 1999-12-28 2001-07-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otection in mixed optical WDM systems
AU2001266417A1 (en) * 2000-06-29 2002-01-08 Woori Technology Inc.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US7571238B1 (en) * 2000-10-18 2009-08-04 Nortel Networks Limited Authorizing communication services
JP2002291057A (ja) * 2001-03-22 2002-10-04 J-Phone West Co Ltd 遠隔操作装置
JP2003037654A (ja) * 2001-07-23 2003-02-07 Hitachi Ltd 携帯電話器及びその携帯電話器を用いたリモコン使用機器の制御方法
US6618274B2 (en) * 2001-10-09 2003-09-09 Innoveta Technologies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ler to eliminate reverse current flow in a DC/DC converter output
JP2003143670A (ja) 2001-10-31 2003-05-16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20040077349A1 (en) * 2001-12-18 2004-04-22 Haim Barak Handoff method for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enabled for standard cellular handsets and wireless data devices
JP2003244777A (ja) * 2002-02-21 2003-08-29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コントロール装置
JP3925297B2 (ja) * 2002-05-13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制御装置
KR20040006855A (ko) * 2002-07-16 2004-01-24 주식회사 센티움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4635424B2 (ja) * 2003-02-10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双方向リモコン装置
JP3725880B2 (ja) * 2003-03-04 2005-12-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179811A1 (en) * 2004-02-12 2005-08-18 Dennis Palatov Video recording system utilizing Miniature Digital Camcor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523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688B1 (ko) 2012-02-29
JP2007043701A (ja) 2007-02-15
US20070057762A1 (en)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68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EP319078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1269444B1 (en)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US7436346B2 (en) System, method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via a single control device
KR101336223B1 (ko) 포인터를 이용하여 조작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한 방송채널선택용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KR10103739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US2017028604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8180287B2 (en) Portable terminal
KR20060088622A (ko) 디지털 방송 채널 선택 장치 및 방법
EP2544434B1 (en) Wireless terminal adapted to control broadcast in external device
KR2014004690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 작방법
CN102210178A (zh) 用于经由基于上下文的通信来节省功率的系统和方法
JP2016085710A (ja) 電子装置、システムおよび動作モード選択プログラム
JP2010183438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通信端末、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US2013033108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of other electronic devices
JP2010258956A (ja) 音出力制御装置
KR1007102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예약방법
JP2015018384A (ja) 音声入出力装置
KR10181104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JP2007074056A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及び携帯テレビ受信装置
CN101552888B (zh) 一种数字电视机
KR10136021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783104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프로그램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22091A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KR101315238B1 (ko) 센서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