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091A -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091A
KR20060022091A KR1020040070867A KR20040070867A KR20060022091A KR 20060022091 A KR20060022091 A KR 20060022091A KR 1020040070867 A KR1020040070867 A KR 1020040070867A KR 20040070867 A KR20040070867 A KR 20040070867A KR 20060022091 A KR20060022091 A KR 20060022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electronic device
character
signal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이은규
김도현
장병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091A/ko
Publication of KR20060022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문자 정보를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기에 문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문자 입력 장치를 구매하지 않고, 기존의 사용자가 사용해오던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구매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문자 입력을 하는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공간적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 전자기기, 문자 입력, 통신 모듈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e character by the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문자 입력 장치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자기기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와 그 입력 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 입력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특정 시스템에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문자 입력 장치로는 키보드가 있다. 키보드는 글자판 위의 키를 누르면 해당 문자를 2진 코드로 자동 변환시켜 주며,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PDA 및 휴대폰과 같은 소형 단말 기기의 등장으로 이들의 문자 입력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내부의 문자 입력 모듈 외에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키보드 및 스타일러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문자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 모듈에 전달함으로써 문자를 표현한다.
또한, 현대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휴대폰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은 계속 증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관련 기술의 발전은 음성 통신의 기본 기능 이외에 휴대폰의 기능을 점차 확대시키고 있다. 기본적인 음성 통신 이외에 카메라, 게임, 데이터 통신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추가 기능 이외에 결재 도구, 자동차 잠금 장치, 리모콘 등과 같이 다른 기술 분야와 접목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여러 부가 기능 중에서 외부 기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리모콘 기능은 휴대폰의 입력 신호에 따라 TV, 오디오, VTR 등의 가전 제품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휴대폰의 마이컴 출력단에 소정의 광신호를 송출하 는 리모콘 송신부, 리모콘 기능 선택키등으로 구성되어 리모콘 조작에 필요한 코드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동작하는 것이다.
휴대폰을 리모콘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사용자가 기존 휴대폰에 있는 버튼 또는 새롭게 추가된 버튼을 직접 눌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기기에 전달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직접입력 방식이며, 두 번째는, 예를 들어 "볼륨 높임"과 같이 해당 기기의 기능을 휴대폰의 화면에 문자로 출력시키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간접 입력 방식이다. 즉, 사용자가 휴대폰의 볼륨 높임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발생되어 해당 기기로 전송된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기기는 기존의 리모콘으로 받은 제어 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내부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공개특허 특2000-125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최근의 첨단 기기는 제어 신호에 의한 시스템 조작뿐만 아니라 문자 정보 처리를 위한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실현과 더불어 시청자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쌍방향 전송이 가능해짐에 따라 시청자의 의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리모콘이 갖는 기능만으로는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으므로, 일부에서는 해당 기기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외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 장치 개발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문자 입력 장치는 추가적으로 구매해야 함은 물론 해당 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현재까지 는 특정 시스템 예를 들어, PC, PDA 이외의 시스템과는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를 통해 무선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입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의 전자기기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전자기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대한 전자기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전자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전자기기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의 전자기기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에 기반을 둔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검색된 전자기기 중 문자 입력을 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 입력할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작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작성된 문자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기기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문자 입력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무선 송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 신호를 전송한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전자기기의 문자 수신 방법은
통신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한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전자기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수신한 문자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200)을 이 용하여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할 수 있는 전자기기(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과 전자기기(3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RF 등 동종의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문자 정보를 입력 및 수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100)에 탑재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주변의 전자기기(300)에 무선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조작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키패드 조작 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키패드의 문자 입력 모드 전환키를 선택하거나 또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한다(S100). 이어서, 이동 통신 단말(100)은 문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동종의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전자기기(300)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 그 중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특정 전자기기를 선택한다(S102).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단계(S102)에서 선택된 전자기기(300)로 전송할 문자를 작성하고, 이를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300)로 전송한다(S104). 그러면, 상기 전자기기(3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문자 정보를 표시하며, 또한 상기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0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100)의 구성은 이동 통신 단말(100)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도시하지 않음) 이외에 문자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은 제어부(110), 입력부(120), 무선 송수신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키패드 조작 또는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한 입력 신호를 받아들인다.
무선 송수신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100)과 외부 전자기기(3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문자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로 입력신호 판단부(112) 및 설정부(114), 검색부(116), 문자 입력 제어부(118) 및 메모리(119)를 포함한다.
입력신호 판단부(112)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설정부(114)는 입력신호 판단부(112)에서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 장치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설정부(114)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문자 입력 장치 설정을 마친 후, 검색부(116)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00)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주변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검색 신호는 무선 송수신부(130)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며, 상기 검색 신호에 대응하여 전자기기(300)로부터의 응답 신호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 검색부(116)에서 수신한다. 여기서, 검색부(116)는 검색된 전자기기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참조하여 문자입력을 할 전자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문자입력 제어부(118)는 검색부(116)에서 제공한 전자기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전자기기(300)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메모리(119)는 상기 전자기기(300)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119)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하고자 선택한 특정 전자기기에 관한 정보만 저장되거나, 검색부(116)에서 검색된 모든 전자기기 관련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100)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300)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이 가지고 있는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외에,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외부의 전자기기(300)로 문자 입력을 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100)의 키패드 상의 설정키를 선택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설정하고자 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그에 대응하는 설정 신호를 생성되고 상기 설정 신호는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의 입력신호 판단부(112)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설정부(114)는 상기 입력신호 판단부(112)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 장치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S200).
단계(S200) 이후, 검색부(116)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을 문자 입력 장치로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00)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또한, 검색부(116)에서는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한 전자기기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를 참조하여 응답 신호를 보낸 전자기기 정보를 문자 입력 제어부(118)로 전달한다 (S202).
다음, 문자 입력 제어부(118)는 상기 단계(S202)에서 검색 신호에 응답한 전 자기기 정보를 리스트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를 참조하여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S204).
단계(S204)에서, 사용자가 특정 전자기기(300)를 선택하면 상기 특정 전자기기(300)의 정보는 메모리(118)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선택한 특정 전자기기(300)만을 기본 설정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검색된 모든 전자기기를 기본 설정으로 선택하여 메모리(118)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후의 문자 입력을 필요로 할 때 별도의 검색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문자 입력을 할 수 있어 검색 과정만큼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300)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300)에 입력할 문자를 작성할 수 있다. 문자 작성이 완료되면 문자입력 제어부(118)는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 상기 전자기기(300)로 전송한다(S206).
다음, 전자기기(300)로부터 문자 입력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 전달되면 문자입력 제어부(118)는 이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수신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208).
단계(S208)의 종료 후, 문자입력 제어부(118)는 사용자에게 문자입력을 계속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210). 이때, 사용자가 문자입력을 계속하며 전자기기(300)의 변경 없이 문자 정보를 계속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단계(S206)로 돌아가 문자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전자기기(300)로 계속해서 문자를 입 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전자기기(300)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계(S202) 또는 단계(S204)로 돌아가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때, 이전의 문자 입력시 단계(S204)에서 검색된 모든 전자기기(300)의 정보를 저장하여 놓았다면 사용자는 다시 검색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메모리(119)에 저장된 전자기기(300)의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운 전자기기(300)를 선택하면 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단계(S202)에서 전자기기(300)를 검색하는 과정부터 다시 시작해야한다.
그리고, 단계(S208)의 종료 후, 사용자가 더 이상의 문자 입력을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문자 입력 장치로서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지시가 없어도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의 문자 입력 장치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21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된 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300)의 구성은 전자기기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도시하지 않음) 이외에 외부 문자 입력 장치(즉,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는 입력부(320), 디스플레이부(340), 제어부(310), 및 무선 송수신부(330)를 포함한다.
입력부(320)는 전자기기 외부의 버튼 조작 또는 소프트웨어 제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송수신부(330)는 전자기기 외부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상기 입력부(320) 또는 외부의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10)는 입력신호 판단부(312), 문자입력 설정부(314), 검색부(316) 및 동작부(318)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신호 판단부(312)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판단하여 판단한다. 문자입력 설정부(314)에서는 상기 입력신호 판단부(312)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기기(300)의 설정을 문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전환하고자 하는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300)를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검색부(316)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동작부(318)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기기(3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사용자가 전자기기(300) 외부의 버튼 조작 또는 소프트웨어 설정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300)를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S300). 구체적으로, 입력신호 판단부(312)에서는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전자기기의 문자입력 수신 설정 신호인 경우, 문자입력 설정부(314)에서 전자기기(300)의 설정을 변경한다.
다음, 검색부(316)는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신호를 상기 전자기기(300)의 무선 송수신부(33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마찬가지로 무선 송수신부(33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검색부(316)에서는 상기와 같이 검색 신호를 수신한 경우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것 외에 일정 주기마다 상기 전자기기(300) 설정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기(300) 설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은 검색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주변에 문자입력이 가능한 전자기기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S302).
다음, 동작부(318)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문자 정보를 무선 송수신부(33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33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04).
또한, 동작부(318)는 상기 수신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306). 이때,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입력된 문자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자에 대응하는 전자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S306)의 종료후 상기 전자기기(300)는 자동적으로 계속해서 이동 통신 단말(10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놓이며, 추가적으로 문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계(S304)부터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S308).
이때, 일정 시간이 경과하도록 추가 문자 입력이 없는 경우 전자기기(300)의 동작부(318)는 전자기기(300)의 문자 입력 수신 대기 상태를 종료하고 전자기기(300)의 문자입력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S310).
이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대중적인 이동 통신 단말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문자 입력 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적으며,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종래의 공간적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이 문자 입력을 하기 위한 전자기기(300)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에서 검색 신호를 송신하여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이 있으며 또는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는 전자기기(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100) 및 전자기기(300)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구성부 외 상기 이동 통신 단말(100) 및 전자기기 (300)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한 일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을 문자 입력 장치로 이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문자 입력 장치를 구매해야 됨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문자 입력을 하는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공간적 제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있어 기존에 사용하던 이동 통신 단말을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게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의 전자기기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문자를 입력할 전자기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검색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대한 전자기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전자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 중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선택된 전자기기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입력신호 판단부;
    상기 입력신호 판단부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문자 입력 장치 설정 신호가 입 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서 문자 입력 장치 설정을 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 동작을 마친 후, 외부의 전자기기를 검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전자기기로 문자 입력을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문자 입력 제어부; 및
    상기 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전자기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의 기반으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은 휴대폰 및 PDA를 포함하는 음성 통신 및 기지국을 이용한 문자 전송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무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존재를 검색하기 위해
    검색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존재를 검색하기 위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전자기기 출력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전자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및 RF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의 전자기기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에 기반을 둔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a) 문자 입력을 하고자 하는 전자기기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검색된 전자기기 중 문자 입력을 할 전자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로 입력할 문자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작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작성된 문자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여 그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문자 입력 장치로 설정하는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문자 입력 장치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문자를 작성하기 위해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 특정하는문자 입력 방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0.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문자 입력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무선 송수신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검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색 신호를 전송한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 신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전자기기를 문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입력신호 판단부;
    상기 입력신호 판단부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전자기기를 문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자 하는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자기기가 외부로부터의 문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문자입력 설정부;
    상기 문자입력 설정부에서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검색부; 및
    상기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문자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문자 입력 장치의 검색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에서 수신하여 상기 전자기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신호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외부의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한 문자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동작을 상기 전자기기에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통신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을 기반으로 한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전자기기에서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수신한 문자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문자 수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수신한 문자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문자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문자 수신 방법.
KR1020040070867A 2004-09-06 2004-09-06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KR20060022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67A KR20060022091A (ko) 2004-09-06 2004-09-06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867A KR20060022091A (ko) 2004-09-06 2004-09-06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091A true KR20060022091A (ko) 2006-03-09

Family

ID=3712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867A KR20060022091A (ko) 2004-09-06 2004-09-06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20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69A (ko) * 2006-10-24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장치문자 입력 방법
KR100933602B1 (ko) * 2007-12-28 2009-12-23 이동규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문자 또는 데이터 입력 방법
KR101135206B1 (ko) * 2007-12-14 2012-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인버터 조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769A (ko) * 2006-10-24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휴대형 멀티미디어 장치문자 입력 방법
KR101135206B1 (ko) * 2007-12-14 2012-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인버터 조작 장치
KR100933602B1 (ko) * 2007-12-28 2009-12-23 이동규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문자 또는 데이터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3011B1 (en) Mobile terminal and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472785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최적화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7436346B2 (en) System, method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via a single control device
KR101114688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리모콘 장치 및 그 기능 수행 방법
KR10083661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6233B1 (ko) 블루투스 휴대기기의 발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060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기기 제어 방법
KR20060022091A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방법과 그 문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그 수신 방법
US6934560B2 (en) System combining pager typ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obile phone module
JP2008311958A (ja) 携帯電話機
KR101353415B1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KR102404364B1 (ko)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28271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9130857A (ja) 携帯機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
KR100783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100678105B1 (ko) 원격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KR102175992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KR100557114B1 (ko) 전화번호 메모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메모방법
KR100418709B1 (ko) 홈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
KR1008189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65853B1 (ko)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KR100532332B1 (ko) 전화번호 수정 장치 및 방법
KR20090074572A (ko) 컴퓨터 및 단말기,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미디어재생방법
KR101341516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KR100652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