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759B1 -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759B1
KR100652759B1 KR1020050084347A KR20050084347A KR100652759B1 KR 100652759 B1 KR100652759 B1 KR 100652759B1 KR 1020050084347 A KR1020050084347 A KR 1020050084347A KR 20050084347 A KR20050084347 A KR 20050084347A KR 100652759 B1 KR100652759 B1 KR 10065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terminal
path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특정기능에 대해 쉽고 단순하게 특정기능의 실행경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동작에 따른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송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생성하여 상대방의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전반적인 동작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수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키맵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해당 기능의 키입력 절차를 알리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NFORMING A FUNCTION PATH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통신부 12: 무선 통신부
13: 오디오 처리부 14: 키패드
15: 메모리부 16: 제어부
17: 표시부 SPK: 스피커
MIC: 마이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특정기능에 대해 쉽고 단순하게 특정기능의 실행경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과 음악재생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다.
이에, 사용자는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단말에 탑재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그 기능이 방대하여 어떤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어떠한 키조작에 의해 상기 특정 서비스를 실행시켜야 하는지 쉽게 알 수 없었다. 이에, 사용자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많은 키조작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서도 알 수 없을때에는 필요한 상황에서 특정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수신하여 쉽고 단순하게 해당 기능의 실행경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간의 상호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능의 실행경로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데이터 또는 파일형태로 저장하여 차후에도 해당 기능실행을 위한 키입력 절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동작에 따른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송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생성하여 상대방의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전반적인 동작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수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키맵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해당 기능의 키입력 절차를 알리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순차적으로 키입력해야 하는 키입력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를 알려주는 알림방법에 있어서,
기능경로 알림모드시, 송수신 모드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키맵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또는 파일이 수신되면,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따라 키맵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정보 요청시, 상기 저장된 키맵 정보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에 따른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송수신되는 키맵 정보는 특정 기능에 따라 단말기들마다 기능 실행경로와 실행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단말기 모델별로 서비스 센터(단말 제조사측 또는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 각 기능별 키맵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B)화 하여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측으로 단문메시지(SMS; Short Messaging Service, 이하 "SMS"로 표기함)를 이용하여 해당 기능에 따른 키맵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같은 모델의 단말기들간에는 키맵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이때는 SMS이외의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해서 특정 기능의 실행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1)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는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SMS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SMS에는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키입력해야 하는 키맵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2)는 기능경로 알림모드상에서 외부의 단말로부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맵 정보 포함하는 파일을 무선으로 수신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2)는 기능경로 알림모드상에서 외부의 단말로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오디오 처리부(13)는 상기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6)의 제어하에 상기 통신부(11)로 전송한다.
키패드(14)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동작에 따른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부(15)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SMS 또는 무선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제어부(16)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송신모드시 통신방식(SMS를 통한 방식,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생성하여 타인의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SMS는 특정한 문자열로 이루어져 파싱(parsing)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립트(script) 언어로 전송되고, 무선통신 방식 일예로 IrDA의 경우에는 해당 명령어가 포함된 파일로 전송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수신모드시 통신방식(SMS를 통한 방식, 무선통신방식)에 따라 통신부(11) 또는 무선 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되는 키맵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해당 기능의 키입력 절차 알림과 해당 기능을 실행시키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부(17)는 상기 제어부(16)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7)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7)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14)와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기능경로 알림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수신모드시 제어부(16)는 서비스 센터에 특정 단말기 기능에 대한 키맵을 요청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16)는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가 SMS이면, 파싱하여 키맵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키맵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어부(16)는 메모리부(15)에 이를 저장함과 동시에 표시부(17)에 해당 기능의 실행경로를 순차적으로 화면 데이터로 표시하며 해당 기능을 실행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무선 통신부(12)를 통해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수신하면, 메모리부(15)에 이를 저장함과 동시 에 표시부(17)에 해당 기능의 실행경로를 순차적으로 화면 데이터로 표시하며 해당 기능을 실행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2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 혹은 타인에게 단말의 특정기능의 실행경로를 요구한 이후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행경로를 알고자 하는 해당 기능의 키맵정보를 서비스 센터 혹은 타인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SMS에 의해 수신한다.
그러면, 도 2의 (b)에서 SMS를 수신한 휴대용 단말기는 메시지 내용을 표시부(17)에 표시한다.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한 SMS가 키맵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인지한후 상기 SMS를 데이터 형식으로 다운로드 보관함에 저장한다.
상기 다운로드 보관함에 저장된 SMS는 도 2의 (c)와 같은 절차에 의해 기능 실행 경로를 순차적으로 알려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16)는 기능경로 알림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기능경로 알림모드이면, 303단계로 진행하여 통신방식 선택대기상태에 진입한다.
이후, 상기 305단계에서 제어부(16)는 통신방식 선택대기 상태에서 송신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여 송신모드가 선택되면,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대 단말기 가 요청한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를 SMS 또는 IrDA 방식에 의해 상대 단말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송신모드가 아니면, 309단계에서 제어부(16)는 수신모드로 인식함과 아울러 311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대기상태에 진입한다.
313단계에서 제어부(16)는 수신대기상태에서 SMS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SMS가 수신되면 315단계로 진행하고, SMS가 수신되지 않으면 321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SMS를 송신하는 주체는 서비스 센터 혹은 상대방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315단계에서 제어부(16)는 수신된 SMS에 키맵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키맵 정보가 존재하면, 317단계로 진행하여 키맵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 요구 발생시 그 저자된 데이터를 실행시켜 해당 기능 실행경로를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 확인결과 수신된 SMS에 키맵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319단계에서 제어부(16)는 일반 SMS로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키맵정보는 특정 문자열이 될 수 있다.
상기 313단계의 판단결과 SMS가 수신되지 않으면, 321단계에서 제어부(16)는 IrDA에 의한 파일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IrDA는 무선 통신방식중 일 예에 불과하므로, 다른 무선 통신방식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IrDA에 의한 파일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는 상기 311단계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IrDA에 의한 파일이 수신되면, 323단계에서 제어부(16)는 수신 된 파일에 키맵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23단계의 판단결과 키맵 정보가 존재하면, 325단계에서 제어부(16)는 해당 파일을 저장함과 동시에 사용자 요구 발생시 그 저장된 파일을 실행시켜 해당 기능 실행 경로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수신하여 쉽고 단순하게 해당 기능의 실행경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데이터 또는 파일형태로 저장하여 차후에도 해당 기능실행을 위한 키입력 절차정보를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Claims (12)

  1.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동작에 따른 키들을 구비한 키패드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프로그램들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을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송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생성하여 상대방의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전반적인 동작과 기능경로 알림모드의 수신모드시 통신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키맵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해당 기능의 키입력 절차를 알리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능경로 알림모드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문메시지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부와;
    무선 통신방식에 따라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2 통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단문메시지와 무선 통신방식에 의한 키맵 정보 송수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경로 알림모드는,
    서비스 센터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키맵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순차적인 키입력 정보를 알리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 정보는,
    서비스 센터에 각 휴대용 단말기 모델별로 각 기능별 키맵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측으로 통신방식에 따라 해당 키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7.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들 중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순차적으로 키입력해야 하는 키입력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를 알려주는 알림방법에 있어서,
    기능경로 알림모드시, 송수신 모드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키맵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을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또는 파일이 수신되면,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또는 파일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따라 키맵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키입력 정보 요청시, 상기 저장된 키맵 정보에 따른 화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과정은,
    송신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송신 모드이면, 통신방식에 따라 메시지 또는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수신 모드이면, 통신방식에 따라 메시지 또는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방식은,
    단문메시지와 무선 통신방식에 의한 키맵 정보 송수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경로 알림모드는,
    서비스 센터 또는 상대방 단말로부터 키맵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순차적인 키입력 정보를 알리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키맵 정보는,
    서비스 센터에 각 휴대용 단말기 모델별로 각 기능별 키맵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특정 기능의 키맵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측으로 통신방식에 따라 해당 키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방법.
KR1020050084347A 2005-09-09 2005-09-09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652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47A KR100652759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347A KR100652759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759B1 true KR100652759B1 (ko) 2006-12-01

Family

ID=3773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347A KR100652759B1 (ko) 2005-09-09 2005-09-09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65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機器
KR20050009598A (ko) * 2003-07-18 2005-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매뉴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65A (ja) * 1994-06-01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機器
KR20050009598A (ko) * 2003-07-18 2005-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매뉴얼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5548B2 (en) Communication device processing text message to transform it into speech
KR101595751B1 (ko) 화상통화 중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5463A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기 및이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방법
US731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 detection
KR20120034338A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보안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2940A (ko) 단문메시지와 메모의 통합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경로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6060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 동기화 방법
KR20060114081A (ko) 에이알에스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72849A (ko) 통화 연결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591833B1 (ko) 개선된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와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45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일정관리 방법
KR10068951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068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pim 정보 교환 방법 및 시스템
KR10121161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ota 데이터 관리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43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음 제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20100063985A (ko)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100678105B1 (ko) 원격지에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
KR2002006600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614747B1 (ko) 문자메시지의 저장 및 검색 방법과 이 방법을 채택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2006105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문메시지의 콜백 넘버 저장 방법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706408B1 (ko) 단문 메세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