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992B1 -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992B1
KR102175992B1 KR1020160046484A KR20160046484A KR102175992B1 KR 102175992 B1 KR102175992 B1 KR 102175992B1 KR 1020160046484 A KR1020160046484 A KR 1020160046484A KR 20160046484 A KR20160046484 A KR 20160046484A KR 102175992 B1 KR102175992 B1 KR 10217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pad device
touch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030A (ko
Inventor
박용택
김현덕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9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유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는 유선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무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무선통신, 터치패드장치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게 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패드장치로부터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좌표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상도에 대응되게 좌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docking pad apparatus for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도킹 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향신호를 다른 영상 및 음향 출력기기에 미러링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무선으로 연결된 터치정보 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확장된 터치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도킹 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기능들이 다양화되면서 스마트 단말기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는 휴대폰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S)를 가진 단말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화면이 작게 설계되고, 이로 인해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이나 웹브라우징 등과 같이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사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자료로는 특허공개번호 제2012-0037638호(공개일자 2012년04월20일)를 보면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 디스플레이,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며, 이동 단말기의 본체를 수용하는 안착부, 및 이동 단말기가 안착부에 수용된 경우 또는 안착부에서 이격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반영하여 크래들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면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이동 단말기의 충전 상황, 통화 가능 시간, 발신자 정보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있어 크래들 디스플레이가 터치 제어가 불가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에 한계가 발생하고, 제조사별 외관과 접속 단자의 형태가 다양한 다기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3294호가 있으며, 이 기술에서는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도킹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거치틀을 제공하고,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이 공유되도록 영상 미러링 및 터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제한적인 화면과 사운드를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스마트 단말기가 거치되는 크래들을 통해 거치 및 충전과 동시에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을 미러링함과 아울러 터치 제어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크래들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 크래들까지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귀가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를 충전을 위해 크래들위에 거치한 상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실행시킬 수 있으나,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이나 음향정보를 변경하고 싶어질 때마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크래들까지 와서 조작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에 종래에는 충전 등을 위해 거치된 스마트 단말기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3763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33294호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향신호를 다른 영상 및 음향 출력기기에 미러링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무선으로 연결된 터치정보 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확장된 터치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도킹 패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유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는 유선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무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무선통신, 터치패드장치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게 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패드장치로부터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좌표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상도에 대응되게 좌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향신호를 다른 영상 및 음향 출력기기에 미러링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무선으로 연결된 터치정보 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확장된 터치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의 처리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에 구비된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영상 및 음향신호를 다른 영상 및 음향 출력기기에 미러링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무선으로 연결된 터치정보 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터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확장된 터치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가 구비하는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영상 미러링 기능을 구비하며, 이 영상 미러링은 유선 미러링과 무선 미러링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유선 미러링을 위해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MHL 정보를 제공받아 유선으로 LVS LCD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LCD 등의 영상 및 음향신호 출력장치로 유선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미러링을 위해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MHL 정보를 제공받아 무선으로 LVS LCD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LCD 등의 영상 및 음향신호 출력장치로 무선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터치 미러링 기능을 구비하며, 이 터치 미러링은 상기 도킹 패드 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터치 패드 장치로부터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좌표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 대응되게 변경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터치 패드 장치는 상기 도킹 패드 장치에 탈부착되는 부속장치일 수도 있고 무선통신 페어링된 웨어러블 단말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표정보의 변경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먼저 상기 터치 패널 장치의 터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그 터치 좌표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상도에 대응되게 터치 좌표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는 블루투스의 HID와 SPP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급속 및 일반 충전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도킹 패드 장치는 스마트 단말기가 급속 충전 기능을 구비한다면 스마트 단말기를 급속 충전하고, 그렇지 않으면 일반 충전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100)는 제어부(102)와 충전부(104)와 제1유선통신부(106)와 제2유선통신부(108)와 근거리 무선통신부(110)와 조작버튼 어레이부(114)와 메모리부(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200)를 위한 미러링 및 충전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미러링을 위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영상 및 음향신호 미러링 처리부 및 터치정보 미러링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부(104)는 거치대에 스마트 단말기(200)가 거치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급속 충전하거나 일반 충전을 이행한다.
상기 제1유선통신부(106)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MHL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선통신부(108)는 영상 및 음향신호 출력장치(300)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LVDS LCD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110)는 스마트 단말기(200), 영상 및 음향신호 출력장치(300), 터치패드장치(400) 사이의 무선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조작버튼 어레이부(114)는 다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의 각종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2)에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112)는 상기 제어부(102)의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및 음향신호 출력장치(3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100)에 탈부착되는 부속기기이거나 별도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패드장치(4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100)에 탈부착되는 부속기기이거나 독립적인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의 처리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100)는 거치대에 스마트 단말기(200)가 거치되면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급속충전기능을 제공하는지를 체크한다(500,502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급속충전기능을 제공하면,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급속충전한다(504단계). 이와달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가 급속충전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를 일반충전한다(506단계).
이후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미러링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한다(508단계). 상기 요청은 상기 조작버튼 어레이부(114) 또는 스마트 단말기(2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러링이 요청되면,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영상 및 음향신호가 입력되면(510단계), 이 영상 및 음향신호를 외부기기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변환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512단계).
그리고 상기 도킹 패드 장치(100)는 터치정보가 입력되면(514단계), 이 터치정보에 포함된 좌표정보에 대응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좌표정보로 변환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한다(516단계).
100 :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102 : 제어부
104 : 충전부
106 : 제1유선 통신부
108 : 제2유선 통신부
11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12 : 메모리부
114 : 조작버튼 어레이부

Claims (6)

  1.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유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는 유선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의 무선통신 및 상기 외부기기와의의 무선통신, 터치패드장치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급속 또는 일반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유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게 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는 영상 및 음향 신호 미러링 처리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패드장치로부터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상도에 대응되게 좌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터치정보 미러링 처리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는 블루투스의 HID와 SPP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 및 상기 터치패드장치는 상기 도킹 패드 장치에 탈부착되는 부속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장치는 상기 도킹 패드 장치와 무선통신을 통해 페어링된 웨어러블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4. 스마트 단말기와의 유선통신 및 외부기기와의 유선통신을 담당하는 유선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 상기 외부기기, 및 터치패드장치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급속 또는 일반충전하는 충전부와, 제어부를 구비한 도킹 패드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음향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외부기기에 대응되게 설정된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패드장치로부터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해상도에 대응되게 좌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급속 또는 일반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경된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터치정보는 블루투스의 HID와 SPP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도킹 패드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6484A 2016-04-15 2016-04-15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KR10217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84A KR102175992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84A KR102175992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30A KR20170119030A (ko) 2017-10-26
KR102175992B1 true KR102175992B1 (ko) 2020-11-10

Family

ID=6030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84A KR102175992B1 (ko) 2016-04-15 2016-04-15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9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892B1 (ko) 2010-10-12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7919A (ko) * 2013-03-27 2014-10-08 이창제 스마트폰 도킹 장치
KR20140133294A (ko) 2013-05-10 2014-11-19 (주)나누미넷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030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6260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US8644882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unctioning as pen-table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KR101183737B1 (ko) 동작 인식이 가능한 멀티 이어폰 장치 및 이 장치의 동작 인식 방법
CN111083684A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50067550A1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KR20150141039A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메인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21614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6000892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905089B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WO2021037074A1 (zh) 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KR1023784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
CN110244884B (zh)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KR20110076153A (ko)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7513416A (ja) データ伝送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447598B (zh) 一种交互方法和显示设备
TW201631464A (zh) 顯示控制系統及方法
KR102175992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KR20140123818A (ko) 오디오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17053A (ko) 앞뒤 두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그 작동 방식
KR100716896B1 (ko) 블루투스 유에스비 동글을 장착한 보이스 터미널을 이용한휴대용 단말기에 의한 개인용 컴퓨터의 무선 마우스 구현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052907A1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6230273B2 (ja) 通信接続システムおよび通信接続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