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294A -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294A
KR20140133294A KR1020130053282A KR20130053282A KR20140133294A KR 20140133294 A KR20140133294 A KR 20140133294A KR 1020130053282 A KR1020130053282 A KR 1020130053282A KR 20130053282 A KR20130053282 A KR 20130053282A KR 20140133294 A KR20140133294 A KR 20140133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mart terminal
unit
smart
d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기
황석기
이용신
Original Assignee
(주)나누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누미넷 filed Critical (주)나누미넷
Priority to KR102013005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294A/ko
Publication of KR20140133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스마트 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공간의 일단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킹단자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상기 제1 도킹단자가 연결된 경우에 모바일 링크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 기능을 수행하고, 미러링(Mirror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음향 또는 진동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출력부; 및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회로를 내장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호환될 수 있도록 다양한 거치틀을 제공하고, MH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도킹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영상 미러링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의 영상과 음향이 공유되도록 하고, 터치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제한적인 화면과 사운드를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Extensible Monitor Cradle Apparatus for Smart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도킹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이 공유되도록 영상 미러링 및 터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제한적인 화면과 사운드를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신 기능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기능,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기능들이 다양화되면서 스마트 단말기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는 휴대폰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운영체제(OS)를 가진 단말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단말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화면이 작게 설계되고, 이로 인해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의 크기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이나 웹브라우징 등과 같이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시 사용자 만족도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자료로써, 특허공개번호 제2012-0037638호(공개일자 2012년04월20일)를 보면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 디스플레이,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연결되며, 이동 단말기의 본체를 수용하는 안착부, 및 이동 단말기가 안착부에 수용된 경우 또는 안착부에서 이격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반영하여 크래들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면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이동 단말기의 상태를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종래의 이동 단말기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 디스플레이에 이동 단말기의 충전 상황, 통화 가능 시간, 발신자 정보 또는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있어 크래들 디스플레이가 터치 제어가 불가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실행에 한계가 발생하고, 제조사별 외관과 접속 단자의 형태가 다양한 다기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도킹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거치틀을 제공하고,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이 공유되도록 영상 미러링 및 터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제한적인 화면과 사운드를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스마트 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공간의 일단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킹단자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상기 제1 도킹단자가 연결된 경우에 모바일 링크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 기능을 수행하고, 미러링(Mirror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음향 또는 진동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출력부; 및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회로를 내장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힌지 수단, 접철 수단 및 슬라이딩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외측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안착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킹단자가 돌출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거치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틀은 상기 제1 도킹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제2 도킹 단자와 연결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 및 음향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후면에 접철 방식, 슬라이딩 방식, 힌지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는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호환될 수 있도록 다양한 거치틀을 제공하고, MHL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기종의 스마트 단말기와 도킹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영상 미러링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의 영상과 음향이 공유되도록 하고, 터치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단말기의 제한적인 화면과 사운드를 확장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덮개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200)는 몸체부(210), 디스플레이부(220), 거치부(230), 제어부(240), 출력부(250) 및 전원공급부(260)를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기술과 결합하여 용도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및 핸드헬드(hand-held)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스마트 단말기를 스마트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몸체부(210)는 1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부(220)를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고, 열이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경량인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태블릿 PC의 외관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부(220)가 장착되며, 후면에 거치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화면의 LCD 모니터이다.
거치부(230)는 몸체부(210)의 일측에 스마트 단말기(100)가 삽입되도록 상부면이 개방되고, 스마트 단말기(100)를 수용하는 '∪' 형태의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와 접촉되는 안착 공간의 일단에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킹단자(23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도킹단자(231)는 MHL 포트(201)에 연결된다.
이때, 제1 도킹단자(231)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기종에 따라 5핀, 8핀, 24핀 또는 30 핀 등의 다양한 핀(Pin) 타입의 마이크로 USB 접속단자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단자와 제1 도킹단자(231)가 연결된 경우에 마이크로(Micro) USB와 HDMI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MHL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킹 기능을 수행하고, 미러링(Mirroring)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100)의 영상과 음향을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45)가 제어부(24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45)는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포트(201) 또는 영상 포트(202)를 통해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20)에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영상 포트(202)는 HDMI 포트이고, 제어부(240)는 HDMI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PC의 모니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 터치 입력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출력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1), 진동을 출력하는 햅틱수단(252)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회로(261)를 내장하여 제1 도킹단자(231)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100)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거치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덮개부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거치부(230)는 제조사별 스마트 단말기(100)의 외관과 접속 단자에 호환될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거치틀(310) 및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부(320)를 포함한다.
거치틀(310)은 스마트 단말기(100)의 외측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인 '∪'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부(230)의 안착 공간에 끼워지고,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킹단자(311)가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단자가 마이크로 USB 24핀 단자인 경우에 제2 도킹단자(311)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의 위치와 대응되고, 마이크로 USB 5핀 단자와 호환되도록 24핀 단자가 돌출 형성된다.(도 3의 (a) 참고)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단자가 마이크로 USB 5핀 단자인 경우에 제2 도킹단자(311)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의 위치와 대응되고, 마이크로 USB 5핀 단자와 호환되도록 5핀 단자가 돌출 형성된다.(도 3의 (b) 참고)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단자가 측면에 설치된 경우에 제2 도킹단자(311)는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거치틀(3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도 3의 (c) 참고)
또한, 거치틀(310)의 하부 내측면에 제2 도킹단자(311)가 형성되고, 하부 외측면에 제1 도킹단자(231)가 삽입되어 제2 도킹단자(311)와 연결되도록 끼움홈(312)이 형성된다.
거치부(230)는 거치틀(31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도록 안착 공간의 둘레 부분에 슬라이딩 가이드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가이드홈은 거치틀(31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한편, 덮개부(32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30)의 개방 부분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접철 수단(321)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320)는 거치부(230)의 일측면에 형성된 힌지 수단(32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200)는 몸체부(210)의 후면에 접철식의 받침대(330)를 더 포함하고, 접철식 받침대(330)는 덮개부(3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210)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스탠드형 거치가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일면에 화면의 자동 회전에 대한 잠금(Lock)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버튼(22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30)는 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도킹단자(231)가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를 제1 도킹 단자(231)에 연결한 후에 스마트 단말기(100)를 거치부(230)의 내측 공간으로 밀어넣어 장착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200)는 거치부(230)가 몸체부(210)의 내측 공간에 형성되고, 받침대(330)가 몸체부(210)의 후면 일측에 접철식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부(230)는 사용자의 누름(Push) 동작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며, 스마트 단말기(100)가 거치부(230)에 안착되어 접속단자와 제2 도킹 단자가 연결된 후에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몸체부(21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때, 몸체부(210)는 내측에 거치부(230)가 삽입된 후에 거치부(230)의 일측 끝단이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걸림 수단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 동작이 해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200)는 몸체부(210)의 후면에 안착홈(211)이 형성되고, 거치부(230)는 안착홈(211)에 형성되며, 덮개부(320)는 거치부(230)의 상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받침대(330)는 몸체부(210)의 후면에 접철식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마트 단말기
200 :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210 : 몸체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거치부 240 : 제어부
250 : 출력부 260 : 전원공급부
310 : 거치틀 320 : 덮개부
330 : 받침대

Claims (7)

  1.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스마트 단말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수용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 공간의 일단에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킹단자가 돌출 형성된 거치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상기 제1 도킹단자가 연결된 경우에 모바일 링크용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 기능을 수행하고, 미러링(Mirroring)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과 음향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음향 또는 진동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는 출력부; 및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 회로를 내장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힌지 수단, 접철 수단 및 슬라이딩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에 의해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외측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의 안착 공간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킹단자가 돌출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거치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틀은 상기 제1 도킹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제2 도킹 단자와 연결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영상 및 음향을 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출력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후면에 접철 방식, 슬라이딩 방식, 힌지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터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KR1020130053282A 2013-05-10 2013-05-10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KR20140133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82A KR20140133294A (ko) 2013-05-10 2013-05-10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282A KR20140133294A (ko) 2013-05-10 2013-05-10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294A true KR20140133294A (ko) 2014-11-19

Family

ID=5245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282A KR20140133294A (ko) 2013-05-10 2013-05-10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2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27A (ko) * 2015-03-26 2016-10-06 전덕규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KR20170119030A (ko) 2016-04-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627A (ko) * 2015-03-26 2016-10-06 전덕규 휴대형 컴퓨터용 표시장치
KR20170119030A (ko) 2016-04-15 2017-10-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단말기를 위한 도킹 패드 장치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WO2018084433A1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5155B2 (en) Smart interfa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8078223B2 (en) Mobile terminal having expansion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20090023395A1 (en) Passive interface and software configuration for portable devices
US20110096513A1 (en) Expansion module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440267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688139B1 (ko) 이동 단말기
TWI663498B (zh) 混合式計算裝置、設備及系統
US8538324B2 (en) Mobile phone dock for TV
US80553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 media player
JP2013176051A (ja) 移動端末機
US20020181189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 small display panel
US20130053097A1 (en) Smartphone accessory
KR10155459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JP2013544392A (ja) 端末装置
KR20140133294A (ko)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US11836011B2 (en) Foldable multimedia terminal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20057052A (ko) 다기능 주변장치를 가지는 디바이스 및 그의 운용 방법
US20110113165A1 (en) Terminal apparatus usign a peripheral apparatus of another terminal via the control of one terminal,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20070014083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unit mounting mechanism
KR101625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12042B1 (ko) 휴대단말기
KR201001258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8302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of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