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516B1 -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516B1
KR101341516B1 KR1020070085452A KR20070085452A KR101341516B1 KR 101341516 B1 KR101341516 B1 KR 101341516B1 KR 1020070085452 A KR1020070085452 A KR 1020070085452A KR 20070085452 A KR20070085452 A KR 20070085452A KR 101341516 B1 KR101341516 B1 KR 101341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creen
printed
area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844A (ko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5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와;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표시부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이 지정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현재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프린트할 부분을 자유롭게 지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inting a display data in thereof}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내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를 통해 인쇄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단말기와 외부 프린트 기기간에 블루투스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거나 또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 연결하여, 상기 단말기내의 문서나 이미지등을 상기 프린트 기기로 인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상기 단말기내의 파일 형태의 문서나 이미지만 상기 프린트 기기를 통해 인쇄가 가능할 뿐, 퍼스널 컴퓨터에서와 같이 현재 화면이나 웹페이지 화면을 인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현재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프린트할 부분을 자유롭게 지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과;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통신부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인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와 유선 통신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방송 재생 화면, 문서 뷰어 화면, 이미지 뷰어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점 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는 접촉이 감지되면,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이 드래그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은,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와;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링크가 포함된 웹브라우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웹브라우저 화면상에 인쇄할 링크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점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 타입일 경우, 상기 인쇄할 링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링크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은,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링크가 포함된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특정 링크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링크에 포함된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은, 사용자가 현재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프린트할 부분을 자유롭게 지정하여 인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 노트북, 데스크탑, MP3, PDA, 휴대폰,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게임기, 디지털 TV, 디지털 카메라,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부(110)와, 입력 부(120)와, 커넥터(130)와, 메모리(140)와, 음향부(150)와, 표시부(160)와,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예를 들면, 카메라부, 배터리부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본 발명에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된다.
한편, 상기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져서 구성되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망, 인터넷 망, 근거리 통신망, 방송 망 등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써, 방송 수신기(111)와 무선기(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약칭함)(112), 및 근거리 무선통신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수신기(111)는 방송 제공자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역 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RF(112)는 이동통신 망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기(113)는 외부의 프린트 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200)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113)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예컨대 키패드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각종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에 따라 방향 키, 로터리 키(lottery key), 스크롤 키(scroll key), 조그 셔틀(jog shuttle), 조그 다이얼(jog dial), 터치 휠, 광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만약,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입력부 역할을 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에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커넥터(130)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프린트 기기(200)간을 유선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메모리(140)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들 및 이에 따른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음향부(15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음향을 스피커(S)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M)으로부터 외부 음향을 입력받는다.
또한, 음향부(150)는 방송 수신기(111)를 통해 복호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S)로 출력하거나, RF(112)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S)로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실시간 동작 상황, 및 상기 단말기(100) 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터치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10)와, 입력부(120)와, 커넥터(130)와, 메모리(140)와, 음향부(150)와,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데이터 출력 과정이 상기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출력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기(100)의 표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 외부의 프린트 기기(200)와 통신 연결한다(S201).
이때, 제어부(170)는 커넥터(130)를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20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근거리 무선통신기(113)를 제어하여 상기 프린트 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60)의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이 지정되면(S202), 상기 지정된 영역의 표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203).
이때, 상기 표시부의 화면은, 방송 재생 화면, 문서 뷰어 화면, 이미지 뷰어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표시 데이터를 불투명 처리하거나, 팝업 형태 등으로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부(12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인쇄할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입력부가 방향 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방향 키(300)의 각 방향 키들(320, 330, 340, 350)을 조작하여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실행 키(310)를 누르면, 제어부(170)는 상기 커서가 위치한 지점이 상기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으로 인식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각 방향 키들(320, 330, 340, 350)을 조작하여 인쇄할 영역(360)을 지정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방향 키들(320, 330, 340, 350)이 이동한 영역 내의 표시 데이터(36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도 4는 입력부가 스크롤 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크롤 키(400)를 조작하여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상기 스크롤 키(400)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스크롤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스크롤된 영역내의 표시 데이터(41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도 5는 입력부가 광마우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광마우스(500) 키의 광센서(510)를 접촉하여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상기 광센서(510)를 접촉하여 상기 인쇄할 영역(520)을 지정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광센서(510)에 의해 지정된 영역내의 표시 데이터(52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60)의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이 지정할 수 있고, 이하의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할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에서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접촉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가 접촉한 시작 지점과 끝 지점 사이의 영역내의 표시 데이터(61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도 7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에서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을 이동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내의 표시 데이터(71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도 8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상에서 A 지점을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드래그된 영역내의 표시 데이터(810)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한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지정된 영역의 표시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표시 데이터의 인쇄를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S204), 상기 표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113) 또는 커넥터(130)를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200)로 송신하고(S205), 상기 프린트 기기(200)를 통해 상기 표시 데이터를 인쇄한다(S206).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기(100)의 표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 외부의 프린트 기기(200)와 통신 연결한다(S901).
이때, 제어부(170)는 커넥터(130)를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20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근거리 무선통신기(113)를 제어하여 상기 프린트 기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프린트 기기(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RF(112)를 제어하여 인터넷 망과 연결하고, 상기 인터넷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웹브라우저를 표시부(160) 화면에 표시한다(S902).
이때, 상기 웹브라우저에는 다수의 링크들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링크에는 각각 표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수의 링크들이 포함된 웹브라우저를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링크들 중 인쇄할 링크가 선택되면(S903),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표시부(160) 화면에 표시한다(S904).
이하,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부(120)의 종류에 따라 상기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입력부의 종류가 방향 키인 경우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방향 키(1000)의 각 방향 키들(1020, 1030, 1040, 1050)을 조작하여, 커서를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1060)에 위치시킨 후 실행 키(1010)를 누르면, 제어부(170)는 상기 커서가 위치한 곳의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표시부(160)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입력부가 광마우스인 경우에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광마우스(1100) 키의 광센서(1110)를 접촉하여, 커서를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1120)에 위치시키면, 제어부(170)는 상기 광센서(1110)에 의해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표시부(160)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60)의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를 선택할 수 있고, 이하의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6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할 링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2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1210)를 접촉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가 접촉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인쇄할 표시 데이터로 인식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표시부(160)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의 인쇄를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S905), 상기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기(113) 또는 커넥터(130)를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200)로 송신하고(S906), 상기 프린트 기기(200)를 통해 상기 웹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인쇄한다(S907).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 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일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은 입력부가 방향 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입력부가 스크롤 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입력부가 광마우스인 경우에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6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7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8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쇄 영역을 지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10은 입력부의 종류가 방향 키인 경우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입력부가 광마우스인 경우에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링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11 : 방송 수신기 112 : RF
113 : 근거리 무선통신기 120 : 입력부
130 : 커넥터 140 : 메모리
150 : 음향부 160 : 표시부
170 : 제어부 200 : 프린트 기기

Claims (22)

  1.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계는,
    근거리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방송 재생 화면, 문서 뷰어 화면, 이미지 뷰어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인쇄할 영역이 드래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8. 터치 스크린;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인쇄할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와, 블루투스(Blue Tooth), 지그비, 무선 랜, UWB(Ultra-WideBan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와 유선 통신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1. 제 8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은,
    방송 재생 화면, 문서 뷰어 화면, 이미지 뷰어 화면, 웹브라우저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이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의 경계 지점에 해당하는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단말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상기 인쇄할 영역이 드래그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링크가 포함된 웹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인쇄할 특정 링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링크에 포함된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웹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부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표시 데이터 프린트 방법.
  18.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링크가 포함된 웹브라우저를 표시하는 표시부;
    외부의 프린트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웹브라우저 화면상에 인쇄할 링크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상기 프린트 기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린트 기기와 유선 통신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링크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 타입일 경우, 상기 인쇄할 링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된 링크에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70085452A 2007-08-24 2007-08-24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KR101341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52A KR101341516B1 (ko) 2007-08-24 2007-08-24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452A KR101341516B1 (ko) 2007-08-24 2007-08-24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44A KR20090020844A (ko) 2009-02-27
KR101341516B1 true KR101341516B1 (ko) 2014-01-02

Family

ID=4068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52A KR101341516B1 (ko) 2007-08-24 2007-08-24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5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724A (ja) * 1994-07-25 1996-05-1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パーソナル通信装置の表示画面上でテキストをマーク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50076277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060079963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인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5724A (ja) * 1994-07-25 1996-05-17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パーソナル通信装置の表示画面上でテキストをマーク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50076277A (ko) * 2004-01-20 2005-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KR20060079963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인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844A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460B2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662726B1 (ko) 전자 기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KR101154770B1 (ko) 휴대기기와 연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오디오 비디오 단말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CN110413168B (zh) 一种图标管理方法及终端
US864488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95968A (ko)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폴더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020864B2 (ja) 車載情報システム
JP2007067724A (ja) 携帯端末装置及び表示方法
CN111897480B (zh) 播放进度调节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196668B (zh) 信息处理方法和终端设备
US20080238877A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N111522613A (zh) 截屏方法及电子设备
KR20140031660A (ko) 휴대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편집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447598B (zh) 一种交互方法和显示设备
JP2010130552A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CN111049977B (zh) 一种闹钟提醒方法及电子设备
US20120231854A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se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device
KR101341516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표시 데이터 인쇄 방법
CN113031838B (zh) 屏幕录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753204B (zh) 一种文本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3542488A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09257491B (zh) 一种消息管理方法和电子设备
CN108605074B (zh) 一种触发语音功能的方法和设备
KR101353415B1 (ko) 펜마우스형 단말기
CN111522674A (zh) 多媒体内容的跨应用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