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043B1 -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043B1
KR101811043B1 KR1020160007814A KR20160007814A KR101811043B1 KR 101811043 B1 KR101811043 B1 KR 101811043B1 KR 1020160007814 A KR1020160007814 A KR 1020160007814A KR 20160007814 A KR20160007814 A KR 20160007814A KR 101811043 B1 KR101811043 B1 KR 10181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ragging
dragged
screen panel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789A (ko
Inventor
나영혜
Original Assignee
나영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영혜 filed Critical 나영혜
Priority to KR102016000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43B1/ko
Priority to PCT/KR2016/001389 priority patent/WO2017126731A1/ko
Publication of KR2017008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44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2005/441
    • H04N2005/4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TV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TV 채널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채널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TV가,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 상기 TV가,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채널이 터치되었다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된 채널의 TV 방송을 방영하는 선택 채널 방영 과정;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송되는 TV 채널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제어 과정; 및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가, 제3방향 또는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송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Method for remote control with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으로서,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데이터 범위도 일정관리, SMS(Short Message Service) 송수신 내역 등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 최근 대부분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생성할 수 있는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자가 생성 데이터,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은 전자책, 그림친구, 벨소리,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3), 게임 등의 콘텐츠 및 프로그램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장착이 확대되고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 기구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필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행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키패드 방식에 비해서 터치스크린 패널 방식은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 위에 아이티오(ITO; Indium-Tin Oxide)와 같은 투명한 전극을 갖는 터치 패드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뿐만 아니라 TV 리모컨, 자동차 입력패널 등 다양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아이콘의 터치를 통하여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행할 뿐이지, 화면의 선택과 아이콘의 선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터치 알고리즘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0047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TV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TV 채널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채널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TV가,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 상기 TV가,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채널이 터치되었다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된 채널의 TV 방송을 방영하는 선택 채널 방영 과정;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송되는 TV 채널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제어 과정; 및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가, 제3방향 또는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송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제어 과정은, 제1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음번째의 TV 채널로 한단계 증가 전환하여 방송하며,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 TV 채널에서 이전의 TV 채널로 한단계 감소 전환하여 방송하며, 상기 볼륨 제어 과정은, 제3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V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셋탑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VOD 콘텐츠를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VOD 콘텐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TV셋탑박스가,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 상기 TV셋탑박스가,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VOD 콘텐츠가 터치되었다는 VOD 콘텐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된 VOD 콘텐츠를 방영하는 선택 VOD 콘텐츠 방영 과정;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셋탑박스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재생되는 VOD 콘텐츠의 재생 지점을 변환하는 재생지점 제어 과정; 및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셋탑박스가, 제3방향 또는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영되는 VOD 콘텐츠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지점 제어 과정은, 제1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시켜 재생하며,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시켜 재생하며, 상기 볼륨 제어 과정은, 제3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재생지점 제어 과정은, 제1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시켜 재생하며, 제2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시켜 재생하며, 리모컨에 마련된 재생 복귀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저장된 재생 지점으로 이동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차량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차량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차량 전자기기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전환과정; 및 상기 차량 전자기기가, 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터치되었다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선택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이 있은 후, 차량 전자기기가, 제3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리모컨은, 차량의 운전대, 차량의 기어봉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차량 전자기기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차량 내장 전자기기, 또는 차량 외부에 거치된 네비게이션이 해당되며, 상기 네비게이션과 상기 차량 리모컨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드래깅 방향을 인식하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리모컨을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리모컨을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리모컨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좌우 드래깅 터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상하 드래깅 터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 드래깅 터치에 의한 화면 전환 예시를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셋탑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차량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이 차량내의 운전핸들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이 차량내의 기어봉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설명 및 청구범위에서의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상반된 방향을 말하며, 제3방향과 제4방향은 서로 상반된 방향을 말한다. 이하 설명에서 제1방향은 우측 방향, 제2방향은 좌측 방향, 제3방향은 상측 방향, 제4방향은 하측 방향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방향은 상측 방향, 제2방향은 하측 방향, 제3방향은 우측 방향, 제4방향은 좌측 방향으로 구현할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가 있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전자기기로 동작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리모컨 장치이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TV, TV셋탑박스, 차량 전자기기 등과 같이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기기로서, 터치스크린 패널(110)이 구비된 리모컨(1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기기를 말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구비한 리모컨(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110), 제어부(120), 및 유무선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10)은, 사용자의 터치 형태를 감지하여 터치 정보를 생성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인 우측 방향 또는 제2방향인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터치(이하, '드래깅 터치'라 함)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는 터치된 상태에서 제3방향인 상측 방향 또는 제4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위한 단일 터치 또는 더블 터치 등의 터치(이하, '선택 터치'라 함)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110)은, 터치스크린 패널(110) 패널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참고로, 터치스크린 패널(110)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CRT나 LCD 등과 조합시켜 문장과 그림 등이 표시되어 있는 장소를 직접 누름으로써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투명 스위치 패널이다.
참고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액정위에 여러 겹으로 막(스크린)이 쌓여 있는 형태로 가장 바깥쪽에는 부드러우면서 흠집에 강한 재질의 막이 있고, 그 다음에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막, 그리고 그 다음은 입력을 감지하는 투명 전도막 2장이 겹쳐 있는 방식이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액정 유리에 전기가 통하는 화합물을 코팅해서 전류가 계속 흐르도록 만들고 화면에 손가락이 닿으면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오게 되고, 터치 패널의 모서리의 센서가 이를 감지해서 입력을 판별하게 된다. 적외선 방식은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학식 방식으로서 터치 패널의 둘레에 적외선을 발광 및 수광하는 광학 센서들을 배치하여, 수광 상태에 따라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은 초음파를 감지하는 방식으로서 터치 패널의 둘레에 초음파를 발생 및 수신하는 음파 센서들을 배치하여, 음파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입력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1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에서 감지된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무선 송신부(130)를 통해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dragging)되는 드래깅 터치(dragging touch)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러한 드래깅 터치 메시지에는 드래깅 방향이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생성하며 이러한 선택 터치 메시지는 터치된 항목의 정보가 포함된다.
유무선 송신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한 터치 메시지를 전자기기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무선 송신부(130)의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유선 통신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차량 데이터 송수신 방식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리모컨(100) 송신하는 터치 메시지(드래깅 터치 메시지, 선택 터치 메시지)는 전자기기로 전송되는데, 전자기기는, TV, TV셋탑박스, 차량 전자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리모컨(100)의 터치 메시지 전송에 의한 TV의 구동 과정(도 2), 리모컨(100)의 터치 메시지 전송에 의한 TV셋탑박스의 구동 과정(도 7), 리모컨(100)의 터치 메시지 전송에 의한 차량기기의 구동 과정(도 8)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리모컨을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리모컨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좌우 드래깅 터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상하 드래깅 터치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우 드래깅 터치에 의한 화면 전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V를 제어하는 리모컨(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구비한 리모컨(100)에 의한 제어 방법이다. 여기서 리모컨(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송신(IrDA) 등을 통해 TV에 제어 명령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리모컨(100)이다.
우선, 리모컨(10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한 터치가 있는지를 감지하고, 터치 감지 형태를 파악한다(S202).
만약, 리모컨(10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인 우측 방향, 제2방향인 좌측 방향, 제3방향인 상측 방향, 제4방향인 하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S204)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206)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맞대고 손가락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리모컨(100)은, 우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고, 우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맞대고 손가락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리모컨(100)은, 좌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잠지하고, 좌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맞대고 손가락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리모컨(100)은, 상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고, 상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맞대고 손가락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리모컨(100)은, 하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잠지하고, 하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전자기기에 전송한다.
또한 리모컨(10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된 TV 채널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S208)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채널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210)을 가진다. 선택 터치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된 TV 채널 중 어느 하나의 TV 채널을 선택하는 것으로서, 두번 연달아 터치하는 두번 터치, 또는 길게 터치하는 긴 터치 등과 같이 미리 약정된 터치 형태로서 터치될 수 있다.
TV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212)한 경우, 도 6과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S214)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우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된 경우, 현재의 메뉴화면에서 다음 번째의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반대로, 좌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된 경우, 현재의 메뉴화면에서 이전 번째의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뉴화면은, 다양한 종류의 메뉴화면이 해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지상파, 케이블, HDMI입력, USB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영상 선택 화면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TV는,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채널이 터치되었다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S216)한 경우, 터치된 채널의 TV 방송을 방영하는 선택 채널 방영 과정(S218)을 가진다. 예를 들어, 수많은 채널 중에서 '9번 채널'이 선택 터치된 경우 9번 채널의 TV 방송을 방영한다.
또한,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TV가,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212)한 경우, 방송되는 TV 채널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제어 과정(S214)을 가진다. 채널 제어 과정은, 우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음번째의 TV 채널로 한단계 증가 전환하여 방송한다. 예컨대, 현재 9번 채널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음번째인 10번 채널이 방송되도록 한다.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 TV 채널에서 이전의 TV 채널로 한단계 감소 전환하여 방송한다. 예컨대, 현재 9번 채널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전 채널인 8번 채널이 방송되도록 한다.
또한, 방송이 방영되는 상태에서, TV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S220) 경우, 방송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S222)을 가진다. 볼륨 제어 과정은, 상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시에 채널이 전환되며, 상하측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시에 볼륨이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대상이 바꾸어 제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좌우측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시에 볼륨이 조절되며, 상하측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시에 채널이 전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셋탑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TV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셋탑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구비한 리모컨(100)의 구동 방법이다. 여기서 리모컨(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송신(IrDA) 등을 통해 TV셋탑박스에 제어 명령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리모컨(100)이다.
또한 TV셋탑박스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IPTV 등을 TV에 제공하는 중개 단말기로서,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우선, 리모컨(10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한 터치가 있는지를 감지하고, 터치 감지 형태를 파악(S702)한다.
만약, 리모컨(10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상측 방향, 하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를 입력(S704)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706)을 가진다.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동작 방식과 같아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리모컨(10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된 VOD 콘텐츠를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S708)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VD 콘텐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710)을 가진다. 선택 터치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된 TV 채널 중 어느 하나의 VOD 콘텐츠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두번 연달아 터치하는 두번 터치, 또는 긴 터치 등과 같이 미리 약정된 터치 형태로서 터치될 수 있다. 여기서 VOD 콘텐츠(video on demand contents)는, 기존 공중망 방송이나 케이블 TV에서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내용을 이용할 수 있는 쌍방향 서비스의 주문형 비디오이다
TV셋탑박스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712)한 경우, 도 6과 같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S714)을 가진다. 예를 들어, 우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된 경우, 현재의 메뉴화면에서 다음 번째의 메뉴화면을 표시하며, 반대로, 좌측 방향 드래깅 터치가 발생된 경우, 현재의 메뉴화면에서 이전 번째의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메뉴화면은, 다양한 종류의 메뉴화면이 해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케이블의 VOD 선택 화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TV셋탑박스는,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VOD 콘텐츠가 터치되었다는 VOD 콘텐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S716)한 경우, 터치된 채널의 TV 방송을 방영하는 선택 채널 방영 과정(S718)을 가진다. 예를 들어, 수많은 VOD 콘텐츠들중에서 제1애니메이션의 VOD 콘텐츠가 선택 터치된 경우 제1애니메이션의 VOD 콘텐츠를 방영한다.
또한,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TV셋탑박스가, 리모콘으로부터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712)한 경우, 방송되는 VOD 콘텐츠의 재생 지점을 변환하는 재생지점 제어 과정(S714)을 가진다. 재생지점 제어 과정은, 우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 재생지점에서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된 재생지점부터 방영한다.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 재생지점에서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된 재생지점부터 방영한다.
나아가 재생지점 제어 과정(S714)은, 재생지점의 이동전에 현재의 재생지점을 저장해놓아, 추후에 다시 원래의 재생지점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측 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시켜 재생하며,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시켜 재생한다.
이동된 재생지점부터 재생 도중에 리모컨(100)에 마련된 재생 복귀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리모컨(100)은 재생 복귀 버튼이 눌리어졌음을 TV 셋탑박스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TV 셋탑박스는 저장된 원래의 재생 지점으로 복귀하여 재생한다.
예를 들어, 8분 재생지점에서 재생 중에 우측 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5분이 증가된 13분 재생지점부터 재생하며, 원래의 8분 재생지점을 저장한다. 그 후, 13분 재생지점부터 재생하여 16분 재생지점이 된 상태에서 리모컨(100)에 마련된 재생 복귀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원래의 8분 지점으로 복귀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한편,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TV셋탑박스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720)한 경우, 방송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S722)을 가진다. 볼륨 제어 과정은, 상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차량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구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이 차량내의 운전핸들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모컨이 차량내의 기어봉에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참고로, 차량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차량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구비한 리모컨(100)의 구동 방법이다. 여기서 리모컨(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핸들, 기어봉 등에 마련되어 캔(CAN) 통신을 통해 유선으로 차량 전자기기에 리모컨 송신 신호를 전달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으로 차량기기에 리모컨 송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전자기기는, 차량에 내장된 오디오시스템, 차량 운행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나아가 차량에 거치된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리모컨(100)이 터치 감지 형태를 파악(S802)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좌측 방향,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S804)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차량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806)을 가진다.
리모컨(10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해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S808)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S810)을 가진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제어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제어 프로그램 등을 말하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이다.
차량 전자기기가, 리모컨(100)으로부터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S812)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하는 화면 전환과정(S814)을 가진다.
여기서 화면은 메뉴화면이 해당될 수 있어 메뉴화면1 -> 메뉴화면2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밖에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해당될 수 있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1 ->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2로 전환될 수 있다. 이밖에 화면은 메뉴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면도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전자기기가, 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터치되었다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S816)한 경우, 터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선택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S818)을 가진다. 따라서 운전자는 리모컨(10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패널(110)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 어플리케이션 실행 과정(S818)이 있은 후, 차량 전자기기가, 상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하측 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볼륨을 한단계 작게 하는 과정을 추가로 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 기기 및 오디오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시에 상하 드래깅 되었을시 볼륨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리모컨 110:터치스크린 패널
120:제어부 130:유무선 통신부
200:전자기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TV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리모컨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형태에 따라서 TV셋탑박스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대해 터치된 상태에서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제4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드래깅 터치를 입력받으면, 드래깅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드래깅 방향과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리모컨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된 VOD 콘텐츠를 터치받는 선택 터치를 입력받으면, 선택 터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선택 터치 메시지를 터치된 VOD 콘텐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선택 터치 메시지 전송 과정;
    상기 TV셋탑박스가, 메뉴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전환하는 메뉴화면 전환 과정;
    상기 TV셋탑박스가, 메뉴화면에 표시된 어느 하나의 VOD 콘텐츠가 터치되었다는 VOD 콘텐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선택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터치된 VOD 콘텐츠를 방영하는 선택 VOD 콘텐츠 방영 과정;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셋탑박스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재생되는 VOD 콘텐츠의 재생 지점을 변환하는 재생지점 제어 과정; 및
    VOD 콘텐츠가 방영되는 상태에서, 상기 TV셋탑박스가, 제3방향 또는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방영되는 VOD 콘텐츠의 볼륨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륨 제어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지점 제어 과정은, 제1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시켜 재생하며, 제2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시켜 재생하며,
    상기 볼륨 제어 과정은, 제3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크게 하며,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었다는 드래깅 터치 메시지를 수신하면 볼륨을 한단계 작게하고,
    상기 재생지점 제어 과정은,
    제1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증가시켜 재생하며, 제2방향으로 드래깅된 후 제4방향으로 드래깅되면 현재의 재생 지점을 저장한 후 재생 지점을 설정된 단위만큼 감소시켜 재생하며,
    리모컨에 마련된 재생 복귀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저장된 재생 지점으로 이동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07814A 2016-01-21 2016-01-21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KR10181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814A KR101811043B1 (ko) 2016-01-21 2016-01-21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PCT/KR2016/001389 WO2017126731A1 (ko) 2016-01-21 2016-02-11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814A KR101811043B1 (ko) 2016-01-21 2016-01-21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89A KR20170087789A (ko) 2017-07-31
KR101811043B1 true KR101811043B1 (ko) 2017-12-20

Family

ID=5936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814A KR101811043B1 (ko) 2016-01-21 2016-01-21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1043B1 (ko)
WO (1) WO2017126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81B1 (ko) 2017-08-29 2019-10-21 강태호 터치 기술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출력 조정 방법 및 장치
CN111555828B (zh) * 2020-04-16 2022-05-17 华强方特(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多区域点播寻呼系统及其应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002A (ko) * 2012-01-16 2013-07-24 허홍 터치위치와 방향에 따라 제공하는 메뉴를 달리하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텔레비전 리모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08061A (ko) * 2012-07-10 2014-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79398B1 (ko) * 2013-01-29 2014-03-28 은명진 스마트 텔레비전용 원격 제어 방법
KR101515454B1 (ko) * 2013-08-23 2015-04-30 전자부품연구원 듀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리모콘 및 그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50099409A (ko) * 2014-02-21 2015-08-31 바쉔(주) 원형 핸들을 구비한 전자 기기 제어 장치 및 전자 기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731A1 (ko) 2017-07-27
KR20170087789A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06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US9041735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 using the same
US97880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25070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25634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38815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663087A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CN103338398A (zh) 移动终端控制机顶盒的方法及移动终端
KR20160031724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CN104333814A (zh) 智能电视桌面切换方法与智能电视
KR201500419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51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254894B1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47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1104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리모컨에 의한 제어 방법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77656B1 (ko) 영상표시기기
KR2016008865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6276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802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tv 제어 방법
KR1020575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2827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제어방법
US20170272398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1054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951422B1 (ko) 영상 표시 장치, 휴대 전자 기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