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026A - 피니언 장착 모터 - Google Patents

피니언 장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026A
KR20070014026A KR1020060068826A KR20060068826A KR20070014026A KR 20070014026 A KR20070014026 A KR 20070014026A KR 1020060068826 A KR1020060068826 A KR 1020060068826A KR 20060068826 A KR20060068826 A KR 20060068826A KR 20070014026 A KR20070014026 A KR 2007001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inion
motor shaft
loa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0780B1 (ko
Inventor
야스시 미네시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88B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모터의 부설(付設)기구의 기능상 필요한 간극 등을 정확하게 확보하고, 아울러 모터축의 열팽창까지도 합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구성을 얻는다.
부하반대측 베어링(14) 및 부하측 베어링(16)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축(12)의 선단에, 피니언(20)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M1)에 있어서, 이 모터(M1)는, 모터축(12)과 일체화된 회전판(30)과 투(投)ㆍ수광기(受光器)(24, 26) 사이의 축방향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 들게 할 필요가 있는 회전수 검출기(22)를 구비한다. 상기 부하반대측 베어링(14)은, 그 내륜(內輪)(14A)이 모터축(12)에, 외륜(外輪)(14A)이 모터 케이스(32)에, 각각 고정ㆍ연결되어 있으며, 부하측 베어링(16)은, 그 내륜(16A)이 모터축(12)과 억지 끼움(interference fit)으로 연결됨과 함께, 외륜(16B)이 모터 케이스(32)와 틈새 끼움(clearance fit)으로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모터, 모터축, 베어링, 투광기, 집광기

Description

피니언 장착 모터{Motor with pin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피니언 장착 모터 및 이 피니언 장착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전수 검출기 부근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 1 상당의 단면도,
도 4는, 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장치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1 : 피니언 장착 모터
G1 : 감속기
HGM1 : 하이포이드 기어드모터
12 : 모터축
12A : 단부(段部)
14 : 부하반대측 베어링
14A : 내륜(內輪)
14B : 외륜(外輪)
16 : 부하측 베어링
16A : 내륜
16B : 외륜
20 : 하이포이드 피니언
22 : 회전수 검출기
24 : 투광기(投光器)
26 : 수광기(受光器)
32 : 케이스
40 : 스톱링
46 : 판스프링(탄성부재)
48 : 부시
50 : 하이포이드 기어
본 발명은, 모터축의 선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공장 등에 있어서는, 소량 다품종 생산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계를 필요할 때에만 운전한다고 하는 요청에 부응하고자, 각각의 기계를 독립하여 그 자리에서 구동가능하게 한 구성이 요구되게 되고 있다. 그로 인해, 감속기구를 수용한 기어박스와 모터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단독으로 최적의 토크 및 회전 속도로 조정된 출력이 얻어지도록 한 이른바 「기어드모터」의 수요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현상에 대응하여, 모터축에 스퍼 피니언(평기어), 혹은 헬리컬 피니언(헬리컬 기어) 등을 미리 형성하고, 이 모터축에 감속기의 초단(初段)(입력축)의 기능을 겸용시키도록 한 피니언 장착 모터도 많이 출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니언 장착 모터의 모터축은, 모터의 발열에 의한 열팽창을 고려하여, 모터 케이스에 대하여 약간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는, 피니언측(부하측)의 모터축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부하측 베어링)은 압입(壓入) 끼워맞춤, 다른 한쪽(부하반대측 베어링)은 틈새 끼움(clearance fit)으로 하고, 이 틈새 끼움으로 된 부하반대측 베어링에 대하여, 웨이브 와셔에 의해서 여압(與壓)을 주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1-124155호 공보
모터에는, 그 용도에 어울리도록, 회전수 검출기나 브레이크장치 등, 다양한 부설(付設)기구가 구비된 것이 존재한다. 이들 부설기구 중에는, 예컨대 회전수 검출기의 회전판과 센서기구, 브레이크 장치의 가동판과 고정자석과 같이, 모터축 또는 이에 부설기구의 일부가 고정된 부재와, 부설기구의 다른 특정한 부재 사이의 축방향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도록 설계된 부설기구도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설기구를 피니언 장착 모터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모터축의 움직임이, 이 관리되어야 할 축방향거리를 불명확한 것으로 하 여, 회전수 검출기나 브레이크 장치 등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설기구의 기능상 필요한 간극(축방향거리)에 대해서는, 이를 정확하게 확보하고, 아울러 모터축의 열팽창 등을 합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부하반대측 베어링 및 부하측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축의 선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로서, 상기 모터축 또는 이에 자신의 일부가 고정된 부재와, 자신의 다른 특정한 부재 사이의 축방향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게 되는 부설(付設)기구를 구비한 피니언 장착 모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대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에, 외륜이 모터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부하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과 억지 끼움(interference fit)됨과 함께, 외륜이 모터 케이스와 틈새 끼움(clearance fit)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모터 케이스」에는, 모터 케이스의 이른바 본체 이외에, 이 모터 케이스의 본체에 고정되는 별도 부재(모터 케이스측의 부재)의 개념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회전수 검출기, 혹은 브레이크장치 등의 부설기구가 구 비되어 있는 측의 베어링인 부하반대측 베어링에 대해서는, 그 내륜, 외륜 모두, 모터축 혹은 케이스측과 강고(强固)하게 고정한다. 이로써, 부설기구의 기능상 필요한 간극(축방향거리)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한편, 부하측의 베어링에 대해서는, 내륜만을 억지 끼움으로 하고, 외륜에 대해서는 틈새 끼움으로 한다. 이로써, 모터축의 열팽창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게다가, 내륜측이 틈새 끼움으로 되어 있는 구조에 비하여, 장착성이 좋다.
또한, 피니언에, 액셜(axial)방향의 하중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이 부하반대측 베어링에 의해, 이들의 액셜 하중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실시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이포이드 피니언 장착 모터를 나타냄과 함께, 이 하이포이드 피니언 장착 모터가 하이포이드 감속기와 일체화되어, 결과적으로, 동일하게 본 발명이 적용된 하이포이드 기어드모터(동력전달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모터(M1)는, 모터축(12)을 구비한다. 모터축(12)은, 부하반대측 베어링(14) 및 부하측 베어링(16)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양쪽지지로 지지되어 있다(후술). 모터축(12)의 선단에는 하이포이드 피니언(20)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회전수 검 출기(22)가 장비되어 있다.
회전수 검출기(2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을 조사하는 투광기(投光器)(24), 이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기(受光器)(26)를 구비하고, 이 투광기(24)와 수광기(26) 사이에 슬릿(도시생략)이 형성된 회전판(30)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투광기(24) 및 수광기(26)는, 간극(D1)을 가지고서 모터(M1)의 케이스(32)측에 고정되고 있고, 회전판(30)은, 이 간극(D1) 내에 있어서 모터축(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 회전판(30)에 형성된 슬릿이 모터축(12)의 회전과 동기하여 회전하고, 이 모터축(12)의 회전속도에 따른 빠르기로 투광기(24)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기(26)에까지 간헐적으로 도달시킴으로써, 모터축(12)의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편의상 투광기(24)와 수광기(26)의 간극(D1)을 약간 넓직하게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투ㆍ수광의 효율 및 검출의 확실성(투광ㆍ차광의 명확화)을 위해서, 이 간극(D1)은 그다지 넓게는 설계되지 않는다. 회전판(30)은 고속으로 회전하는데, 이 좁은 간극(D1) 내의 축방향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광기(24)와 회전판(30)의 간극(D2), 및 수광기(26)와 회전판(30)의 간극(D3)은, 특히 엄밀하게 관리ㆍ확보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간극(D2, D3)이, 모터축(12)과 일체화된 부재(회전체(30))와 다른 특정한 부재(투광기(24), 수광기(26)) 사이의 축방향거리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한편, 모터축(12)의 부하반대측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베어링(14)은, 그 내륜(14A)이 모터축(12)에 억지 끼움에 의해 고정ㆍ연결되어 있다. 이 내륜(14A)은, 또한, 모터축에 장착된 스톱링(stop ring)(40)과 모터축(12)에 형성된 단부(段部)(12A)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모터축(12)과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혀 있다.
또한, 이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4)의 외륜(14B)은, 모터(M1)의 케이스(32)에 형성된 돌기(32A)와 이 케이스(32)에 볼트(42)를 통하여 고정된 플랜지체(體)(44)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케이스(32)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힌 상태로 이 케이스(32)에 고정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와서, 모터축(12)의 부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베어링(16)은, 그 내륜(16A)이 모터축(12)과 억지 끼움으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내륜(16A)은, 그 일단(一端)측이 모터축(12)에 형성된 단부(段部)(12B)와 맞닿아 있고, 타단(他端)측은, 판스프링(탄성부재)(46)과 맞닿아 있다. 여기서, 이 판스프링(46)은, 내륜(16A)을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바이어스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이 내륜(16A)을 통하여 모터축(12)을 부하반대측 베어링(14)의 방향으로 바이어스하고 있다.
또한, 이 (부하측의) 베어링(16)의 외륜은, 케이스(32)에 설치된 부시(48)와 틈새 끼움으로(축방향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맞닿음ㆍ연결되어 있다.
모터축(12)의 선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포이드 피니언(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이포이드 피니언(20)은, 감속기(상대기계)(G1) 내에 설치된 하이포이드 기어(50)와 맞물림하여, 하이포이드 감속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하이포이드 기어(50)가 장착된 중간축(52)에는, 기어(54)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54)는 출력 축(5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니언(58)과 맞물림하고 있다. 여기서, 기어드(54 및 58)는, 증속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하이포이드 기어드 모터(HGM1) 전체의 저(低)감속비화에 기여하고 있다.
여기서, 모터(M1)의 케이스(32)의 단부(端部)에는, 대(對) 감속기 맞닿음면(32B)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감속기(G1)의 케이스(58)의 단부에는, 대(對) 모터 케이스 맞닿음면(58A)이 형성되어 있다. 양 맞닿음면(32B, 58A)의 사이에는 심(shim)(60)이 개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심(60)의 존재에 의해, 모터(M1)측의 하이포이드 피니언(20)과 감속기(G1)측의 하이포이드 기어(50)의 맞물림위치의 미세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이포이드 피니언 장착 모터(M1) 및 하이포이드 기어드 모터(HGM1)의 작용을 설명한다.
모터축(12)이 회전하면, 그 선단에 형성된 하이포이드 피니언(20)이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이 하이포이드 피니언(20)과 맞물림하고 있는 하이포이드 기어(50)가 회전한다. 이로써, 중간축(52)이 회전하여, 이 중간축(52)에 설치된 기어(54)가 회전한다. 이 결과, 이 기어(54)와 맞물림하고 있는 피니언(58)을 통하여 출력축(56)이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수 검출기(22)의 회전판(30)이 투광기(24) 및 수광기(26) 중 어느 쪽과도 접촉하지 않고 안정되게 고속회전하기 위해서는, 간극(D2, D3)이 엄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터축(12)의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4)을 이용하여 이 엄격한 위치결정을 실현하고 있다.
즉, 모터축(12)의 부하반대측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14)의 내륜(14A)은, 모터축(12)에 억지 끼움으로 장착되고, 또한, 모터축(12)의 단부(12A)와 스톱링(4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모터축(12)과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혀 있다. 한편, 이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4)의 외륜(14B)은, 케이스(32)측에 형성된 돌기(32A)와 볼트(42)를 통하여 케이스(32)에 고정된 플랜지체(44)와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케이스(32)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힌 상태로 케이스(3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축(12)의 부하반대측 단(端) 및 이와 일체화된 회전체(30)는, 부하반대측 베어링(14)을 통하여 케이스(3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엄밀하게 위치결정된다. 회전수 검출기(22)의 투광기(24) 및 수광기(26)는, 케이스(32)측에 장착되는 부재이므로, 처음부터, 이 케이스(32)에 대한 축방향의 위치결정 정밀도는 높다. 이 결과, 모터축(12)과 일체화된 회전판(30)을, (다른 특정한 부재인) 투광기(24)와 수광기(26) 사이에(간극(D2, D3)을 남기고) 상당히 높은 정밀도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이포이드 피니언(20)과 하이포이드 기어(50)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스러스트 하중(액셜방향의 부하)은, 이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4)을 통하여 확실하게 케이스(32)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터축의 선단에 어떠한 종류의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하이포이드 피니언, 웜 피니언, 또는 베벨 피니언과 같은 직교 피니언, 혹은, 헬리컬 피니언과 같이, 액셜방향의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종류의 피니언이 형 성되어 있거나 하였다고 하더라도, 부하반대측 베어링에 의해 확실하게 이를 받아낼 수 있다.
한편, 모터축(12)의 부하측의 베어링(16)은, 그 내륜(16A)이 모터축(12)에 억지 끼움으로 설치됨과 함께, 외륜(16B)이 틈새 끼움으로(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32)측(의 부시(48))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모터축(12)이 발열ㆍ냉각에 의해 팽창ㆍ수축을 일으켰다고 하더라도, 이를 문제없이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모터축(12)은, 판스프링(46)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부하측의 베어링(16)을 통하여) 항상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4)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있으므로, 축방향으로 덜컹거리지도 않는다.
또한, 모터(M1)의 케이스(32)의 대 감속기 맞닿음면(32B)과, 감속기(G1)의 케이스(58)의 대 모터 케이스 맞닿음면(58A) 사이에는, 심(60)이 배치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심(60)의 존재에 의해, 모터축(12)에 형성된 하이포이드 피니언(20)과 감속기(G1)측 하이포이드 기어(50)의 맞물림위치를 정밀도 좋게 미세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하이포이드 기어드 모터(HGM2)에 있어서는, 모터(M2)의 모터축(102)의 부하반대측에, 브레이크장치(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장치(170)는, 고정자석(172)과 슬라이딩판(板)(브레이크 라이닝)(174), 가동판(175), 고정판(176)을 구비한다. 모터축(112)의 부하반대측에는, 단부(112C)와 스톱링(140)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됨과 함께, 키(18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일체화된 슬리브(1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리브(182)의 외주에 상기 슬라이딩판(174)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판(174)은, 슬리브(182)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기부(단면(斷面)만 도시)(182A)와 맞물림으로써, 슬리브(182)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가동판(175)은, 브레이크작동시에 스프링(184)에 의해 고정자석(17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슬라이딩판(174)을 고정판(176)에 밀어붙임으로써 모터축(112)의 회전을 감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자석(172)은, 모터 가동시에 여자(勵磁)에 의해 스프링(184)보다도 큰 흡인력을 발생시켜서 가동판(175)을 흡인하여, 이 슬라이딩판(174)을 고정판(176)으로부터 자유롭게 함으로써 브레이크를 해방한다. 다만, 모터축(112)의 최단부(最端部)에는, 팬(186)이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레이크장치(170)에 있어서도, 고정판(176)과 슬라이딩판(174)의 사이, 슬라이딩판(174)과 가동판(175)의 사이, 및 가동판(175)과 고정자석(172) 사이의 합계의 틈새(축방향거리)는, 이 브레이크장치(170)의 해방시에 있어서, 제조ㆍ설치의 편차 등의 여하에 관계없이 각 부재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또한 가능한 한 좁은 크기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합계의 틈새는, 조립시에는 스프링(184)에 의해 가동판(175)은 부하반대측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므로, 결과적으로, 가동판(175)과 고정자석(172)의 간극(D4)으로서 관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모터축(112)의 부하반대측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114)의 내륜(114A)은, 모터축(112)과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힌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내륜(114A)은, 모터축(112)에 억지 끼움으로 장착되고, 또한, 모터축(112)의 단부(段部)(112A)와, 스페이서(190), 슬리브(182), 및 스톱링(140)과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부하반대측의 베어링(114)의 외륜(114B)도, 케이스(132)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이동이 완전히 막힌 상태로 케이스(132)에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외륜(114B)은, 케이스(132) 측에 형성된 돌기(132A)와 볼트(142)를 통하여 케이스(132)에 고정된 플랜지체(144)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축(112)의 부하반대측 단(端)은, 케이스(3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엄밀하게 위치결정되어, 이 모터축(112)에 일체화된 고정판(176)과, 케이스(132)측에 장착된 고정자석(다른 특정한 부재)(172) 사이의 축방향거리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간극(D4)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모터축(112)의 부하측 베어링(116)은, 그 내륜(116A)이 모터축(112)에 억지 끼움으로 설치됨과 함께, 외륜(116B)이 틈새 끼움으로(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132)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모터축(12)이 발열에 의해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수축을 한 경우에는, 케이스(132)의 단부(段部)(132C)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베어링(116)의 내륜(116A)은, 모터축(112)과 억지 끼움으로 되어 있으므로, 베어링(116)은 전체적으로 항상 모터축(112)과 일체적으로 움직여서, 축방향으로 덜컹거리지는 않는다.
또한,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모터(M2)의 케이스(132)의 대 감속기 맞닿음면(132B)과, 감속기(G2)의 케이스(158)의 대 모터 케이스 맞닿음면(158A) 사이에는, 심(160)이 배치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심(160)의 존재에 의해, 모터축(112)에 형성된 하이포이드 피니언(120)과 감속기(G2)측의 하이포이드 기어(150)의 맞물림위치를 정밀도 좋게 미세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 심(160)(혹은 상기 심(60))은, 용도에 따라서는 없어도 좋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도면 중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아래 2자리가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그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니언 장착 모터와 조합되는 상대기계로서, 감속기를 연결하는 예가 나타내어져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모터와 연결될 상대기계는, 감속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방향을 바꾸는 것 뿐인 직교전달장치나, 어댑터적 기능을 가지게 한 커플링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모터축의 선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 특히, 모터축과 특정한 부재 사이의 축방향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 들게 할 필요가 있는 부설기구를 구비한 피니언 장착 모터, 혹은 이 피니언 장착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모터의 부설기구의 기능상 필요한 간극 등을 정확하게 확보하고, 아울러 모 터축의 열팽창 등을 합리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부하반대측 베어링 및 부하측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축의 선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로서, 상기 모터축 또는 이에 자신의 일부가 고정된 부재와, 자신의 다른 특정한 부재 사이의 축방향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게 되는 부설(付設)기구를 구비한 피니언 장착 모터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대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에, 외륜이 모터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있고,
    상기 부하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과 억지 끼움(interference fit)됨과 함께, 외륜이 모터 케이스와 틈새 끼움(clearance fit)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 장착 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이, 탄성부재로 부하반대측 베어링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 장착 모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대측 베어링의 내륜과 상기 모터가, 상기 억지 끼움 이외에, 스톱링에 의해서도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 장착 모터.
  4. 부하반대측 베어링 및 부하측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축의 선단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장착 모터로서, 상기 모터축 또는 이에 자신의 일부가 고정된 부재와, 자신의 다른 특정한 부재 사이의 축방향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들게 되는 부설기구를 구비한 피니언 장착 모터와,
    이 피니언 장착 모터와 연결되는 상대기계,를 구비한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반대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에, 외륜이 모터 케이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부하측 베어링은, 그 내륜이 모터축과 억지 끼움(interference fit)됨과 함께, 외륜이 모터 케이스와 틈새 끼움(clearance fit)되고,
    상기 피니언이 헬리컬 또는 직교 피니언이며, 또한,
    상기 모터 케이스와 연결되는 상대기계의 케이스와의 사이에, 심(shim)이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060068826A 2005-07-26 2006-07-24 피니언 장착 모터 KR100790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6305 2005-07-26
JP2005216305A JP4405442B2 (ja) 2005-07-26 2005-07-26 ピニオン付き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026A true KR20070014026A (ko) 2007-01-31
KR100790780B1 KR100790780B1 (ko) 2008-01-02

Family

ID=3772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826A KR100790780B1 (ko) 2005-07-26 2006-07-24 피니언 장착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034035A1 (ko)
JP (1) JP4405442B2 (ko)
KR (1) KR100790780B1 (ko)
CN (1) CN100555808C (ko)
DE (1) DE102006034563A1 (ko)
TW (1) TW2007137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915A (ja) * 2008-05-27 2009-12-10 Nidec Sankyo Corp モータ
CN103953837B (zh) * 2014-05-06 2016-05-11 迈柯唯医疗设备(苏州)有限公司 医用吊塔臂系统及用于该医用吊塔臂系统的转轴
JP6397604B1 (ja) * 2018-05-14 2018-09-2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1056A (en) * 1965-04-22 1966-12-13 William W Steinman Electric motor pump
JPH06170676A (ja) * 1992-12-04 1994-06-21 Toshiba Mach Co Ltd 工作機械の軸回転駆動装置
EP0647503A3 (en) * 1993-10-12 1995-12-13 Smc Kk Linear guide unit and linear guide unit system.
JP2001124155A (ja) 1999-10-28 2001-05-08 Shibaura Densan Kk ハイポイドギヤ式減速機を用いた電動機
JP2002317868A (ja) 2001-04-19 2002-10-31 Tsubakimoto Chain Co 直交軸形ギヤードモータにおけるギヤケースと減速機側ブラケットの位置決め構造
JP2004040848A (ja) 2002-06-28 2004-02-05 Tsubaki Emerson Co ギヤードモータのモータ軸支持機構
US6952061B2 (en) * 2002-11-28 2005-10-04 Honda Motor Co., Ltd Motor driv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37270A (ja) 2007-02-08
CN1913292A (zh) 2007-02-14
CN100555808C (zh) 2009-10-28
US20070034035A1 (en) 2007-02-15
TW200713756A (en) 2007-04-01
JP4405442B2 (ja) 2010-01-27
KR100790780B1 (ko) 2008-01-02
DE102006034563A1 (de)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9524B2 (ja) 駆動力伝達機構
EP2372188B1 (en) Speed change g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8360927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EP3632626B1 (en) Power tool
KR100592684B1 (ko) 감속기
KR100790780B1 (ko) 피니언 장착 모터
CN109980842B (zh) 车辆驱动装置
JP6489067B2 (ja) アクチュエータ
GB2480420B (en) Gearbox assembly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s
EP2543909B1 (en) Gear device
US20170246825A1 (en) Drive for a machine, torque motor, clutch unit, device for processing materials, and use of a torque motor
KR20140095064A (ko) 구동 장치
JP2014178023A (ja) ボールねじ機構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7143332B2 (ja) 自動車両ワイパーシステム用のギアモータ
JP7105557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124975B2 (ja) 軸受
WO2016080276A1 (ja) 駆動力伝達機構
JP2004040848A (ja) ギヤードモータのモータ軸支持機構
JP201111097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バックラッシ確認方法
JP2009275853A (ja) 減速機の出力部構造
JP2007285354A (ja) 揺動内接噛合型減速装置
JP4678165B2 (ja) 直動テーブル装置
JP6163117B2 (ja) ポンプ・モータ結合装置
JP2009068507A (ja) 減速機
KR20160142680A (ko) 차량용 조향장치 유성기어 유격보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